KR200275526Y1 -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526Y1
KR200275526Y1 KR2020020005306U KR20020005306U KR200275526Y1 KR 200275526 Y1 KR200275526 Y1 KR 200275526Y1 KR 2020020005306 U KR2020020005306 U KR 2020020005306U KR 20020005306 U KR20020005306 U KR 20020005306U KR 200275526 Y1 KR200275526 Y1 KR 200275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velope
tongs
fruit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2020020005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526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봉투의 입구에 접착제가 도포된 과일 봉투를 이용하여 성장 중인 과일 또는 열매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가 개시된다. 상기 자동 포장기는 몸체, 봉투 수납부, 봉투 수납부로부터 봉투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 부재, 이송된 봉투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 과일을 수용한 봉투 입구를 열압착하여 봉하는 열압착 부재, 각 구성 요소의 동작 및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자동 포장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수작업 없이 아닌 자동 포장기를 이용함으로써 과도한 노동력의 낭비 및 인력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일정한 품질의 과일 포장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AGING A PROTECTION ENVELOPE FOR FRUIT}
본 고안은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표준화된 규격을 갖는 복수 개의 봉투를 수납하여 재배중인 과일 또는 열매를 보호봉투를 통하여 자동으로 패키징할 수 있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봄철 과일 또는 열매의 꽃이 진 후 어린 과일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봉투를 포장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호봉투의 사용은 성과가 되기 전에 보호봉투를 과일에 씌움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과일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고 비바람의 자연현상이나 까치 등의 조류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개시된 과일봉투를 포장하는 방법은 개개의 과일에 대해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수작업에 의한 포장 방법은 과다한 노동력을 요구하며 인력이 부족할 때는 재배업자에게 과중한 부담을 부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작업으로 과일을 포장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과일봉투를 포장할 수 있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25163호인 "과일을 피복하는 과일 포장기" 및 실용신안등록 제195593호인 "자동 과실 봉지 씌우기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과일 포장기"는 자동으로 과일에 봉투를 씌우기 위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메인 프레임(23), 팔걸이(21), 손잡이(17), 봉투 케이스(39), 피스톤(4), 진공 레버(3), 진공고무(28) 및 흡입판(2) 등을 포함한다. 봉투 케이스에서 인출되는 봉투를 진공고무(28) 및 흡입판(2)으로 흡착하여 봉투를 벌리고 봉투에 결합된 클립을 당겨 과일일 피복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과일 포장기"에 있어서, 장치를 작동하기 위하여 진공 펌프를 가동시키야 하고, 흡입판(2) 및 진공고무(28)로 봉투를 진공 흡착하여 벌리기 위하여 상당한 정도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준화된 규격의 봉투를 제작하기 위해서 클립을 수용하는 봉투를 제작해야 하므로 포장을 위한 단가를 현저하게 높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195593호에 개시된 "자동 과실 봉지 씌우기 장치"도 장치의 입구를 과실에 대고 조작판의 누름 레바를 누르는 동작을 통하여 장치의 9개의 모터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과실 봉지를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봉지 씌우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 25mm 정도의 철사가 든 전용봉투를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되는 9개의 소형모터 각각의 기능을 갖고 있어 장치의 구조가 효율적이 못하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25mm의 철사가 수용된 전용 봉투를 제작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를 높인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과일의 보호봉투 포장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일정한 양질의 작업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하기 용이하고 봉투의 벌림을 정확하게 확보하여 오작동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화된 봉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제에 열압착하여 용이하게 과일봉투를 봉함으로써 과일봉투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기의 크기가 작으면서 자동 제어를 통해 조작이 간편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봉투 자동포장기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수납부 및 이송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가 과일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집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제2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프레임의 제1 집게 및 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2의 자동포장기의 봉투 입구를 닫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봉투의 보강편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및 제2 프레임 및폴더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봉투의 입구를 열압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포장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프레스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전열선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아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한 배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방아틀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자동포장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과일 보호 봉투 110 : 과일 수용부
120 : 핫-멜트 접착제 130 : 보강편
200 :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210 : 몸체
220 : 봉투 수납부 230 : 봉투 이송 모터
240 : 제1 프레임 260 : 제2 프레임
282 : 프레스 310 : 폴더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포장기의 몸체, 다수의 봉투를 수납할 수 있는 봉투 수납부, 상기 봉투 수납부에 수납된 봉투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 부재, 이송된 봉투 입구를 벌려 과일을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 봉투의 내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열압착을 통해 봉투를 봉하는 열압착 부재, 각 구성 요소의 작동 여부와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가 제공된다.
봉투를 여러 장 수납할 수 있는 봉투 수납부는 상면을 덮는 커버 및 커버와 연결된 누름 부재를 구비하며, 누름 부재는 봉투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와 봉투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봉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이송 부재는 인출된 봉투를 레지스터 롤러까지 이송하기 위한 모터, 기어,픽업 롤러 및 봉투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하여 기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레지스터 롤러의 동작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레지스터 롤러에 정렬된 봉투는 반대로 회전하는 모터의 동력을 받아 제1 및 제2 프레임의 단부까지 이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레지스터 롤러와 제1 및 제2 프레임 단부와의 간격을 봉투의 길이보다 짧게 한다. 왜냐하면, 봉투 입구가 프레임의 단부까지 이송되어도 봉투의 일부가 레지스터 롤러에 물려 있어 봉투가 안정되게 고정되며, 과일을 수용하는 동시에 레지스터 롤러를 회전시켜 순간적으로 줄어드는 봉투 길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송된 봉투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은 봉투를 지지하는 한편, 각각 봉투의 입구를 집게로 구속한 후 벌어짐으로써 봉투 입구를 벌리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각 프레임은 거의 봉투의 너비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프레임 구조 또는 지지판을 형성하며, 그 단부에 봉투 입구를 구속하기 위한 집게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몸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만, 각 프레임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회전이 아닌 평행하게 이격될 수도 있다.
봉투 속에 열매를 삽입 후 봉투 입구를 봉합하기 위해 열압착 부재가 사용된다. 봉투 입구의 주변에 핫-멜트 접착제를 형성한 봉투가 제공되고, 과일을 수용한 후 열압착 부재로 봉투 입구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봉투 입구가 봉합된다.
또한, 폴더 부재는 와이어 형상의 폴더를 포함함으로써 과일 꼭지의 위치 설정, 꼭지의 가이드 역할 및 봉투에 형성된 보강편을 접어 올리는 기능을 한다.
작업자가 작업 도중 자동 포장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작업자의 팔에 자동 포장기를 고정할 수 있는 벨트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포장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는 자동포장기의 몸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지만,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허리에 차거나 등에 맬 수 있으며, 전원부와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자동 포장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거운 배터리를 들고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치의 사용이 편리해진다.
그리고, 작업 방향의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해 각 본체를 회전할 수 있는 힌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다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보호용 봉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과일 보호용 봉투(100)는 과일 수용 공간이 제공된 봉투 수용부(110), 봉투 수용부(110)의 입구 내부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120), 봉투 수용부(110)의 입구 일측에 형성된 보강편(130) 및 봉투 수용부(110) 입구의 양측에 각각 다른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C1, C2)을 구비한다.
봉투 수용부(110)에는 과일이 수용되며, 그 입구가 밀착된 후 후술하는 열압착 부재로부터 열 및 압력을 받음으로써 봉합된다. 보강편(130)에는 과일의 꼭지에 대응하여 홈(135)이 형성되며, 봉투 수납부(110)에 과일을 수용한 후 홈(135)에 과일의 꼭지를 끼워 넣음으로써 꼭지 주변을 감싸면서 보강편(130)이 접착된다.
과일 봉투(100)에 사용될 수 있는 핫-멜트 접착제(120)로는 폴리에틸렌(PE), 에틸렌초산비닐(EVA), 에틸렌에틸아크리에이트(EEA) 등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접착제나 폴리아마이드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를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200)는 몸체(210), 봉투 수납부(220), 봉투(100)를 인출 및 이송하는 이송 부재, 제1 및 제2 프레임(240, 260), 열압착 부재(280), 제어부(330)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봉투 수납부(220)에 다수 개의 봉투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해서 봉투가 1개씩 인출된다. 과일봉투로 과일을 포장함에 있어 봉투가 모두 사용된 경우 커버(222)를 올려 다시 봉투(100)를 장착한다. 누름 부재(224)는 일측이 커버(222)에 연결되고 타측이 봉투(100)를 누름으로써 봉투(100)를 가압한다. 커버(222)를 올릴 때 누름 부재(224)도 같이 올라가기 때문에 봉투(100)의 재 수납이 용이해진다. 봉투(100)의 잔량은 투명창을 통해 알 수 있으나, 센서에 의해 감지된 후 잔량이 커버(222)에 설치된 LCD판을 통해 나타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수납부 및 이송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작동 스위치(322)를 누르면 봉투용 이송 모터(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맞물린 기어에 의해서 픽업 롤러(23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픽업 롤러(232)의 회전에 의해서 1개의 봉투(100)가 인출된다. 봉투(100)는 전진하여 레지스터 롤러(234)의 사이에 닿게 된다. 하지만, 레지스터 롤러(234)는 한 방향(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레지스터 롤러 기어(238)의 회전이 축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레지스터 롤러(234)에 의해 정체된 봉투(100)는 봉투용 이송 모터(230)가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비로소 레지스터 롤러(234)를 통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240, 260) 사이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여 레지스터 롤러(234)를 구성함으로써 픽업 롤러(232)에 의해 이송된 봉투(100)가 1차적으로 정렬하게 된다. 레지스터 롤러(234)에 인접하여 장착된 센서(235)에 봉투(100)가 감지되면 제어부(330)에 의해서 봉투용 이송 모터(23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봉투(100)의 단부는 제1 및 제2 프레임(240, 260)의 단부까지 이송된다. 이때, 레지스터 롤러(234)와 프레임(240, 260)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봉투 길이보다 짧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봉투(100)의 이송이 완료된 이후에도 레지스터 롤러(234)가 봉투(100)의 일부를 고정한다면 이후의 봉투(100)의 벌림 및 열압착 작업등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치수의 제한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2의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가 과일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제2 프레임에서의 제2 집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제2 프레임(26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봉투(100)의 입구가 프레임(240, 260)의 단부로 이송되면서 제어부(330)는 봉투용 이송 모터(230)의 회전을 정지하고, 제1 집게 구동 모터(244)와 제2 집게 구동 모터(264)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1 집게 구동 모터(244)에 의해서 제1 집게 와이어(246)가 감겨진 롤러가 회전을 하고, 제1 프레임(240)의 단부에 장착된 제1 집게(242)를 잡아당기게 된다. 당겨진 제1 집게(242)는 봉투(100)의 C2부분을 통과하여 봉투(100)의 하측벽, 즉 제1 프레임(240)에 접한 벽을 구속하게 된다. 제1 집게 구동 모터(244)와 연결된 센서 캠(252)을 더 포함하며, 센서 캠(252) 주위에 배치된 센서는 센서 캠(252)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고,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제어부(330)는 제1 집게(242)가 봉투(100)를 구속할 때 제1 집게 구동 모터(244)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1 집게 와이어(246)의 일부에 제1 집게 완충용 스프링(2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집게 완충용 스프링(248)은 제1 집게 와이어(246)의 장력 조절 및 모터의 오버 런(over run)을 상쇄한다.
이와 동시에, 제2 구동 모터(264)의 회전력은 제2 집게 구동축(263)에 전달되며, 제2 집게 구동축(263)의 회전은 제2 집게 와이어(266)가 감겨진 롤러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2 집게 구동축(263)이 회전하면서 제2 집게 와이어(266)가 감기게 되고, 제2 프레임(260)의 단부에 장착된 제2 집게(262)를 잡아당긴다. 당겨진 제2집게(262)는 봉투(100)의 C1부분을 통과하여 봉투(100)의 상측벽을 구속하게 된다. 봉투(100)의 입구의 상하에 각각 2개의 홈(C1,C2)이 간격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제1 집게(242) 및 제2 집게(262)가 각각 봉투(100)의 하측 입구와 상측 입구를 집을 때 타측 입구에 의해서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2 프레임(260)은 제2 집게 구동축(26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만, 제2 집게 구동축(263)에 고정되지 않아 구동축(263) 상에서 미끄러진다. 제2 프레임(260)에는 스토퍼(276)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274)가 장착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274) 및 스토퍼(274, 276)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집게 구동축(263)에는 로커 부재(270) 및 복수개의 로커 암(272)이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260)이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76)와 로커 암(272)이 상호 맞물려서 로커 부재(270)와 솔레노이드(274)가 결속된다.
한편, 제2 집게(262)를 잡아당겨 봉투(100)를 구속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76)와 로커 암(272)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가 필요하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집게(262)로 봉투(100)를 구속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274)가 작동하여 스토퍼(276)를 잡아당겨 로커 암(272)으로부터 해제한다. 제2 집게(262)가 봉투(100)의 상측벽을 구속한 후 솔레노이드(274)가 작동하지 않아 스토퍼(276)와 로커 암(272)이 상호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2 집게 와이어(266)는 더 이상 감겨지지 않고 제2 프레임(260) 및 프레스(282)가 제1 프레임(240)으로부터 벌어진다. 이 경우, 봉투(100)는 제2 집게(262)에 의해 구속되어 봉투(100)의 입구가 벌어지게 된다. 제2 집게구동축(263)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과 연결되어 제1 프레임(240)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도 7은 제1 프레임의 제1 집게 및 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집게(242)가 봉투(100)의 하측벽을 집는 것과 동시에 2개의 제1 집게(242) 사이에 장착된 폴더(310)는 제1 집게(242)와 소정의 위상 차를 갖고 회전한다. 따라서, 제1 집게(242)가 봉투(100)를 집을 때 폴더(310)는 제1 프레임(240)에 거의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집게 와이어(246)와 연결된 롤러의 시작점과 폴더 와이어(312)와 연결된 롤러의 시작점이 소정의 위상차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제1 집게(242)와 폴더(310)가 다른 위상으로 회전을 한다. 폴더(310)가 제1 프레임(240)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회전하였을 때, 폴더(310)는 과일의 꼭지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폴더(310) 중앙에 형성된 홈에 과일 꼭지를 수용함으로써 과일이 자동포장기의 중앙으로 수용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즉, 작동 스위치(322)를 누름으로써 봉투 수납부(220)로부터 봉투(100)가 이송 부재에 의해서 인출 및 이송되며, 이송된 봉투(100)의 입구는 제1 프레임(240)의 제1 집게(242) 및 제2 프레임(260)의 제2 집게(262)에 의해 구속되고,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240,260)이 벌어짐으로써 봉투(100)의 입구가 벌어진다. 봉투(100)의 입구가 벌어지는 동안 폴더(310)도 소정의 위상 차로 회전하여 과일 꼭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과일을 봉투 내에 수용한 후 봉투의 입구를 다시 막고 열압착 부재에 의해서 봉합하는 과정 및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자동 포장기의 봉투 입구를 닫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과일의 꼭지는 폴더(310)에 의해 안내되어 봉투 중앙에 재치된다. 이때, 다시 작동 스위치(322)를 누르면, 제1 집게 구동 모터(244) 및 제2 집게 구동 모터(264)가 작동하게 된다. 제2 집게 구동 모터(26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프레임(260)은 하강하게 되고 과일을 포장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프레임(260)은 하강하는 반면 프레스(282)는 로커(283)에 걸려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과일이 봉투(100) 안에 재치되면서 짧아지는 봉투(100)의 길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어부(330)는 상기 레지스터 롤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 9는 봉투(100)의 보강편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및 제2 프레임과 폴더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330)는 봉투(100)의 입구를 닫은 후, 제1 집게 구동 모터(244)를 다시 회전시켜 폴더(310)로 보강편(130)을 닫혀진 봉투(100)의 입구 위로 접게 된다. 보강편(130)은 봉합된 봉투의 입구 중 과일의 꼭지가 재치된 부분을 강화함으로써 과일봉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강편(310)을 접으면서 제1 집게 완충용 스프링(248)은 늘어나게 되어, 제1 집게 구동 모터(244)의 회전에 의한 길이의 변화를 상쇄한다.
도 10은 봉투의 입구를 열압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 포장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각기 프레스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전열선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보강편(130)을 접은 후 방아쇠(324)를 당기면 프레스(282)가 로커(283)로부터 해제되어 하강하게 된다. 하강한 프레스(282)는 제2 프레임(260)을 누르며, 방아쇠(324)의 일부가 프레스(282)의 후면을 물리적으로 누르게 된다. 방아쇠(324)에 가해진 힘으로 직접 프레스(282)를 누르기 때문에 별도의 에너지를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방아쇠(324)를 당길 때, 제어부(330)는 방아쇠(324)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프레임(240)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 전열선(288)을 가열한다. 가열된 전열선(288)은 봉투(100)의 내부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를 녹이고, 녹은 핫-멜트 접착제는 봉투의 입구를 봉하게 된다.
제1 프레임(240)의 단부 및 전열선(288)의 사이에 단열 판재(286)가 배치된다. 단열 판재(286)는 전열선(288)의 열이 제1 프레임(24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출되는 열을 막아 빨리 열압착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전열선(288)은 대체로 U자 형상으로 제1 프레임(240) 상에 형성된다. 2개의 U자형 전열선(288)의 만곡점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전열선(288)과 이어지는 단자는 제1 프레임(240)의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는 봉투 입구에서 과일 꼭지가 재치되는 부분에 직접 열을 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310)의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양 전열선(288)은 양쪽으로 배치된다.
열압착 부재가 봉투의 입구를 열압착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집게 구동 모터(244, 264)가 이전과 반대로 회전하여 제1 및 제2 집게(242, 262)를 해제한다.
또한, 열압착시 전열선(288)의 열에 의해서 과일의 꼭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과일 꼭지 주변에 상온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방아쇠(324)가 장착되는 방아틀에 형성된 공기 실린더(296) 및 공기 실린더(296)와 제1 프레임(240)의 꼭지가 재치되는 홈(290)을 연결하는 공기 연결 호스(294)를 포함한다. 방아쇠(324)를 당김과 동시에 공기 실린더(296)에 저장된 공기가 연결 호스(294)를 통과하여 분사구(292)에서 과일의 꼭지 주위로 분사된다. 공기의 분사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분사 시간을 늘이기 위해 방아쇠(324)와 공기 실린더(296) 사이에 완충 스프링(298)을 배치하여 공기 실린더(296)의 공기를 간접적으로 눌러 공기의 분사시간을 늘일 수 있다.
한 과수 나무에 있더라도 과일 또는 열매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의 위치, 자세 및 시야를 수시로 변경해야 한다. 편리한 작업을 위해서 몸체(210)가 손잡이로부터 각도를 달리하여 장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아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한 배면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방아틀의 힌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방아틀(320)의 힌지 구조는 방아틀 힌지(326), 방아틀 힌지(326)에 형성된 핀(327) 및 몸체(210)에 형성된 다단의 슬롯을 형성하는 핀 수용부(328)를 포함한다. 스프링이 내장된 방아틀 힌지(326)를눌러서 핀(327)을 핀 수용부(328)로부터 이탈하게 하고,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핀(327)을 복귀시켜 몸체(210)와 방아틀(320)을 고정한다. 이 경우, 방아틀 힌지(326)와 방아틀(320) 사이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누르는 힘이 제거될 때 방아틀 힌지(326)는 자동으로 복귀된다.
도 15는 자동 포장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자동 포장기(200)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밴드(340)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밴드(340)를 작업자의 팔목과 같은 신체 일부에 걸어 돌발 상황에서도 자동 포장기(200)가 떨어지거나 그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50)의 부피와 무게 그리고 작업의 효율을 고려하여 전원부(350)를 자동포장기의 외부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350)를 작업자의 허리에 차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와 연결하여 지속적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기술의 개발에 따라 전원부를 자동포장기의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허리에 차거나 등에 매어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 개의 봉투를 자동 포장기 내로 수납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스위치 동작으로 과일을 봉투에 용이하게 포장하고 봉할 수 있다.
또한, 봉투를 자동으로 이송하여 과일을 수용하고, 열압착을 통해 과일을 봉하기 때문에 봉투의 입구를 정확하게 봉할 수 있으므로 불량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봉투의 보강편을 이용하여 봉투의 입구의 강도를 보조하기 때문에 과일의 보존력이 우수하고 비, 바람 등의 자연 재해에 대한 내구성 있게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접착제가 도포된 봉투로 과일 또는 열매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봉투를 수납하는 봉투 수납부;
    상기 봉투 수납부로부터 봉투를 인출 및 이송하는 이송 수단;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된 봉투 입구의 일측을 구속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된 봉투 입구의 타측을 구속하여 봉투 입구를 개폐하는 제2 프레임;
    상기 봉투 입구의 주변부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열압착 수단;
    상기 이송 수단,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열압착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동 포장기의 동작을 단속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동 포장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수납부는 일면을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수납된 봉투를 누르는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수납부에 수납된 봉투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봉투 자동 포장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수납부에 수납된 봉투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상기 봉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잔량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봉투 수납부에 수납된 봉투를 인출하기 위한 픽업 롤러; 및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 인출된 봉투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는 레지스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레지스터 롤러 사이의 간격은 장착되는 봉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몸체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의 단부에 봉투 입구를 구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몸체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의 단부에 봉투 입구를 구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집게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벌어지기 전에 봉투의 입구를 구속하게 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과 다시 인접한 후에 봉투의 입구에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집게 구동 모터, 상기 제1 집게에 상기 제1 집게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집게 와이어 및 상기 제1 집게 와이어의중간에 배치되는 제1 집게 완충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2 집게 구동 모터, 상기 제2 프레임의 힌지 축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로커 암을 형성하는 로커 부재, 상기 로커 암에 대응하여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로커 암의 결속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부재, 상기 제2 집게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집게에 전달하는 제2 집게 와이어 및 상기 제2 집게 와이어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2 집게 완충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가 상기 로커 부재와 결속될 때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 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서 봉투의 입구에 대응하여 형성된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단부를 따라 U자형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에 양극 및 음극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U자형 전열선의 양 단자가 각기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전열선의 만곡점 사이에 과일의 꼭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일측에 공기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전열선의 작동시 상기 공기 분사 구멍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몸체에 장착되는 방아틀, 상기 방아틀에 배치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방아틀에 배치되는 방아쇠를 포함하며, 상기 방아틀은 방아틀 힌지, 상기 방아틀 힌지에 형성된 핀 및 상기 핀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슬릿을 형성한 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서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5. 입구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그 입구 일측의 중앙에 홈을 갖는 보강편이 형성된 봉투를 이용하여 과일 또는 열매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봉투를 수납하는 봉투 수납부;
    상기 봉투 수납부로부터 봉투를 인출 및 이송하는 이송 수단;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된 봉투 입구의 일측을 구속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된 봉투 입구의 타측을 구속하여 봉투 입구를 열어 과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봉투 입구를 닫아 과일이 봉투 내로 수용되게 작동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장착되어 봉투 내에 과일이 재치된 후 보강편을 접는 폴더 부재;
    상기 봉투 입구의 주변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열압착 수단;
    상기 이송 수단,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폴더 부재 및 상기 열압착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동포장기의 동작을 단속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동 포장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몸체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의 단부에 봉투 입구를 구속하기 위한 2개의 제1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몸체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의 단부에 봉투 입구를 구속하기 위한 2개의 제2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폴더 부재는 상기 제1 집게의 사이에 형성되며 보강편의 대응하는 홈을 갖는 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집게 구동 모터, 상기 제1 집게에 상기 제1 집게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집게 와이어, 상기 제1 집게 와이어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1 집게 완충용 스프링, 상기 제2 프레임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2 집게 구동 모터, 상기 제2 프레임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로커 암을 형성하는 로커 부재, 상기 로커 암에 대응하여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로커 암의 결속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부재,상기 제2 집게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집게에 전달하는 제2 집게 와이어 및 상기 제2 집게 와이어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2 집게 완충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가 상기 로커 부재와 결속될 때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봉투 수납부에 수납된 봉투를 인출하기 위한 픽업 롤러; 및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 인출된 봉투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는 레지스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 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서 봉투의 입구에 대응하여 형성된 전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열선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단부를 따라 U자형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에 양극 및 음극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전열선의 양 단자가 각기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몸체에 장착되는 방아틀, 상기 방아틀에 배치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방아틀에 배치되는 방아쇠를 포함하며,
    상기 방아틀은 방아틀 힌지, 상기 방아틀 힌지에 형성된 핀 및 상기 핀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슬릿을 형성한 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연결 구조에 의해서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2020020005306U 2002-02-22 2002-02-22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200275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06U KR200275526Y1 (ko) 2002-02-22 2002-02-22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06U KR200275526Y1 (ko) 2002-02-22 2002-02-22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21A Division KR20030069570A (ko) 2002-02-22 2002-02-22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526Y1 true KR200275526Y1 (ko) 2002-05-11

Family

ID=7311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306U KR200275526Y1 (ko) 2002-02-22 2002-02-22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52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70A (ko) * 2002-02-22 2003-08-27 김인식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101019405B1 (ko) * 2008-06-04 2011-03-07 (주)에드모텍 과일봉지 자동 씌움장치
KR20160122637A (ko) 2015-04-14 2016-10-24 엄제헌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101782389B1 (ko) * 2015-10-29 2017-09-27 김용현 농작물 생육 봉지용 열접착장치
KR20200095720A (ko) 2019-02-01 2020-08-11 석진혁 과일봉지 씌움장치
CN115812493A (zh) * 2022-11-18 2023-03-21 常州大学 果蔬套袋机械手及视觉引导下的果蔬套袋系统、套袋方法
KR20230109826A (ko) * 2022-01-13 2023-07-21 서해영 과채류 포장봉지 결속와이어 부착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70A (ko) * 2002-02-22 2003-08-27 김인식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101019405B1 (ko) * 2008-06-04 2011-03-07 (주)에드모텍 과일봉지 자동 씌움장치
KR20160122637A (ko) 2015-04-14 2016-10-24 엄제헌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101782389B1 (ko) * 2015-10-29 2017-09-27 김용현 농작물 생육 봉지용 열접착장치
KR20200095720A (ko) 2019-02-01 2020-08-11 석진혁 과일봉지 씌움장치
KR20230109826A (ko) * 2022-01-13 2023-07-21 서해영 과채류 포장봉지 결속와이어 부착장치
KR102601280B1 (ko) 2022-01-13 2023-11-14 서해영 과채류 포장봉지 결속와이어 부착장치
CN115812493A (zh) * 2022-11-18 2023-03-21 常州大学 果蔬套袋机械手及视觉引导下的果蔬套袋系统、套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5526Y1 (ko)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US6955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products
US4011807A (en) Strap feeding and tensioning machine
KR100415070B1 (ko)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
KR101019405B1 (ko) 과일봉지 자동 씌움장치
CN108502262A (zh) 一种阀口袋自动上袋集成系统及控制方法
KR20030069570A (ko)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CN210557095U (zh) 一种感应式医用废物封装垃圾桶
JPS58171317A (ja) 結束装置
JP2003246304A (ja) 梱包用バンドの操作シール装置
KR200275523Y1 (ko) 과일 재배용 봉투
KR101574240B1 (ko) 자동 결속 장치
KR20020094678A (ko) 로봇의 팔을 이용해 과일을 피복하는 과일자동피복기
CN208412328U (zh) 包装纸箱快速贴带及封箱机构
KR20000030734A (ko) 과일을 피복하는 과일 보호용 봉투와 과일 포장기 및 과일포장방법
KR200225163Y1 (ko) 과일을 피복하는 과일 포장기
JPH10119929A (ja) 包装補助装置
CN218230073U (zh) 一种环保型复合熟食包装袋
CN217125198U (zh) 一种合盖装置
CN219601812U (zh) 一种线束标签卷贴机构
CN218343789U (zh) 一种吸塑盒包装机
JP7320267B2 (ja) 結束装置における結束テープ途切れ防止装置
JP2566500B2 (ja) 瓶等の容器の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42863B1 (ko) 열매포장기
KR100511472B1 (ko)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