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549A -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 Google Patents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549A
KR20160122549A KR1020150052608A KR20150052608A KR20160122549A KR 20160122549 A KR20160122549 A KR 20160122549A KR 1020150052608 A KR1020150052608 A KR 1020150052608A KR 20150052608 A KR20150052608 A KR 20150052608A KR 20160122549 A KR20160122549 A KR 20160122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late member
air
particle charging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592B1 (ko
Inventor
권순박
정우태
박덕신
정현승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59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01D46/007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평면으로 존재하는 평평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공기와 접촉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이 흡착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평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부재로 접근해오는 공기 중의 미세 부유물에 대해 하전을 통하여 전기적인 극성을 띄게 함과 동시에, 평판부재도 미세 부유물과 동일한 전기적인 극성으로 하전됨으로써, 미세 부유물과 평판부재 사이에 전기적인 반발 현상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미세 부유물이 흡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Apparatus with Prevent of Adhesion of Micro Particles, and Heat Radiation Plate having using such Apparatus}
본 발명은 2차원 평면으로 존재하는 평평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공기와 접촉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이 흡착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평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이루는 하나의 구성부재로 이용되거나 또는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냉각용 방열판으로서 이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때, 접근해오는 공기 중의 미세 부유물에 대해 하전을 통하여 전기적인 극성을 띄게 함과 동시에, 평판부재도 미세 부유물과 동일한 전기적인 극성으로 하전됨으로써, 하전된 미세 부유물이 접근할 때 전기적인 반발 현상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미세 부유물이 흡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장치가 설치되는데, 종래의 필터장치에서는 공기가 유입되어 오는 방향의 전면에는 망눈을 가지는 철망 등과 같은 망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8520호에는 필터링 부재 앞에 망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기술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링 부재 앞에 배치되는 망부재는 2차원 평면에서 평평하게 존재하는 평판부재에 해당하는데, 공기가 공기흡입구로 유입되기 위하여 망부재를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미세 부유물은 망부재의 망눈에 흡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망부재에 미세 부유물이 달라붙어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다른 평판부재로는 방열판을 예로 들 수 있다. 컴퓨터 등과 같이 폐쇄되어 있는 본체의 내부에 전기회로기판 등이 구비된 설비의 경우, 전기회로의 작동에 따라 내부에서 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전기회로기판 등이 담겨 있는 본체에는 방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 등에도 방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판은 단순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공기가 자연스럽게 본체 내외로 소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천공되어 존재하거나 또는 망눈을 가지는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판부재나 천공 판부재, 또는 망부재 등도 모두 2차원 평면으로 존재하는 평판부재인데, 방열판으로 사용될 경우 앞서 살펴본 필터장치의 망부재와 마찬가지로, 공기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면서 공기 중의 미세 부유물이 외면에 흡착될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의 표면에 흡착되어 오염되는 경우, 결국 평판부재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평판부재가 방열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와 같이 표면에 미세 부유물이 흡착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천공된 방열판의 경우에는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미세 부유물이 자칫 본체의 내부로 흘러들어가 전기회로기판 등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평판부재가 망눈을 가지는 망부재로 이루어져서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필터장치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망눈에 흡착되어 있던 미세 부유물이 한꺼번에 공기흡입구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오히려 오염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평판부재를 주기적으로 육안 검사하여, 오염된 경우에는 평판부재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교체하거나 청소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부재의 교체 및 유지 관리를 위하여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8520호(2006. 09. 26.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필터장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방열판 등으로 사용되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는 2차원 평면형상의 평판부재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미세 부유물의 흡착에 의한 평판부재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평판부재의 청소 주기 또는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서 메쉬(mesh) 필터의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판부재가 방열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평판부재에 미세 부유물이 흡착됨으로 인하여 방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 나아가 평판부재가 공기를 소통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평판부재를 통해서 소통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 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평한 평판부재, 상기 평판부재의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평판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입자하전부재; 및 평판부재와 입자하전부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평판부재와 입자하전부재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장치를 이루도록 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입자하전부재는, 공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지만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전용 솔을 구비하고 있어서 공기가 입자하전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미세 부유물이 하전용 솔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하전되어 전기 극성을 띄게 되며; 평판부재는 미세 부유물과 동일한 전기 극성을 띄도록 하전되어; 하전된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로 접근하게 되면 미세 부유물과 평판부재 사이에 반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평판장치가 본체에 구비되어 방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열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에 흡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그에 따라 평판부재를 청소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주기가 연장되고, 그만큼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의 평판장치가 공기를 소통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평판장치를 통과하게 되는 미세 부유물의 양이 크게 줄어들게 되고, 더 나아가 평판장치로 접근하게 되는 미세 부유물의 양 자체가 줄어들게 되므로, 평판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부유물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판장치가 필터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터장치가 필터링해야 하는 부하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필터장치에 의한 필터링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필터장치의 교체 주기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장치가 방열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흡착되는 미세 부유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미세 부유물의 흡착으로 인한 발열 기능의 저하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가 전자기기의 본체에 구비된 방열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평판장치에 구비된 입자하전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원 B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 F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1은 공기흡입장치가 열차의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공기흡입장치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 11의 원 E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공기흡입장치에서 개폐부를 개방하여 본 발명의 평판장치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공기흡입장치에서 형성되는 공기 흐름을 화살표로 추가하여 표현한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가 전자기기의 본체(200)에 구비된 방열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평판장치(100)의 평판부재(2)는 그 형태가 상이한데, 도 2에는 평판부재(2)가 단순한 판재로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평판부재(2)가 천공홀(21)을 가진 천공 판재로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평판부재(2)가 망눈(22)을 가지는 망부재로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 사시도로서, 평판부재(2)가 천공 판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한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는, 2차원 평면에 존재하게 되는 평평한 평판부재(2), 상기 평판부재(2)의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평판부재(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평한 입자하전부재(1), 및 상기 평판부재(2)와 상기 입자하전부재(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장치를 이루도록 하는 프레임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입자하전부재(1)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에는 입자하전부재(1)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의 원 B 부분 즉, 하전용 솔(brush)(12)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입자하전부재(1)는 공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의 미세 부유물을 하전(荷電)시켜서 미세 부유물이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띄게 만드는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입자하전부재(1)는 2차원 평면에 존재하게 되는 평평한 부재로서 공기는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망눈을 가지는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자하전부재(1)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 부유물을 하전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하전용 솔(12)이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입자하전부재(1)에는 하전용 솔(12)에 전기를 공급하여 하전시키기 위한 제1전기공급수단(예를 들면, 전원장치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전용 솔(12)에 전기가 공급되면 하전용 솔(12)의 끝단에서는 방전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하전용 솔(12)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에 따라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하전용 솔(12)은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사람이 만지거나 접촉하였을 때 쉽게 구부러지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제1전기공급수단은 하전용 솔(1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입자하전부재(1)가 하전용 솔(12)과 마찬가지로 전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전기공급수단이 입자하전부재(1)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자하전부재(1)에는 하전용 솔(12)이 구비되어 있고, 입자하전부재(1) 또는 하전용 솔(12)에 직접 제1전기공급수단에 의해 전기가 공급되어 전압이 발생되면, 공기가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하전 솔(12)을 지나게 되고,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의 미세 부유물은 하전 솔(12)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이온에 의하여 하전되어 전기적으로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띄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에서는, 위와 같은 입자하전부재(1)와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평판부재(2)가 배치된다. 평판부재(2)는 2차원 평면에 존재하는 평평한 부재인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를 소통시키지 않는 단순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천공홀(21)을 가진 천공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입자하천부재(1)와 유사하게 망눈(22)을 가지는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평판부재(2)는 전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해온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과 "동일한 전기 극성"을 띄도록 전원이 공급된다. 즉,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해온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이 양(+)의 전하를 띄도록 하전된다면 평판부재(2)도 양(+) 전하를 띄도록 하전되는 것이며, 반대로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해온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이 음(-)의 전하를 띄도록 하전된다면 평판부재(2)도 음(-) 전하를 띄도록 하전되는 것이다. 평판부재(2)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전기 극성을 띄게 하기 위하여 평판부재(2)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전기공급수단(도시를 생략함)이 연결된다.
프레임부재(3)는,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부재(3)에 의해,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는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장치를 이루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에서 미세 부유물이 하전되어 평판부재에 대해 반발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 5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원 F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공기가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하여 평판부재(2)의 전면으로 향하는 것을 청색의 굵은 화살표로 표현하였으며, 도 10에서 하전된 미세 부유물과 하전된 평판부재(2) 사이에 전기적으로 반발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화살표 R로 표현하였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평판장치(100)의 평판부재(2)가 공기와 접촉할 때에, 공기는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는 입자하전부재(1)에 돌출되어 있던 하전용 솔(12)을 지나게 된다. 하전용 솔(12)에서는 전기 공급에 의해 다량의 이온이 발생하게 되는데,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의 미세 부유물(P)이 하전용 솔(12)을 지나면서 이온에 의해 하전되어 전기적으로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띄게 된다. 이와 동시에 평판부재(2) 역시 미세 부유물(P)의 전기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띄도록 하전된다(도면의 예에서는 미세 부유물이 음극으로 하전되었으므로, 평판부재도 음극으로 하전된 것으로 도시됨). 이와 같은 평판부재(2)와 미세 부유물(P) 간의 동일한 전기 극성으로 인하여 미세 부유물(P)과 평판부재(2) 사이에는 반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미세 부유물(P)은 평판부재(2)에 흡착되기 어려운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미세 부유물(P)이 평판부재(2)에 잘 흡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2)에 흡착되어 평판부재(2)가 오염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그에 따라 평판부재(2)는 기능의 저하 없이 원래의 기능을 충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되며, 평판부재(2)를 청소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주기가 연장되고, 그만큼 평판부재(2)의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평판부재(2)가 방열판으로서 기능하면서도 공기를 본체(200)의 내부로 소통시키는 경우, 위와 같이 미세 부유물(P)과 평판부재(2) 간에 작용하게 되는 전기적인 반발 현상으로 인하여, 위와 같은 평판부재(2)에 부착되는 미세 부유물(P)의 양이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미세 부유물의 흡착으로 인한 발열 기능의 저하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평판부재(2)로 접근하게 되는 미세 부유물(P)의 양 자체가 줄어들게 되므로, 공기가 평판부재(2)를 통과하여 본체(200) 내부로 흘러들어 갈 때, 본체(200) 내로 유입되는 미세 부유물(P)의 양도 크게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본체(2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장치 등이 미세 부유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낮아지게 되는 효과도 발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에서 평판부재(2)가 방열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평판부재(2)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평판부재(2)가 천공 판재 또는 망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를 이루는 하나의 구성부재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필터의 전방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낙엽 등 비교적 큰 부유물을 걸러내는 부재로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는, 열차나 버스 등과 같은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 또는 차량에 구비된 냉난방 장치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흡입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는데, 다음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는 공기흡입장치(300)가 열차의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공기흡입장치(300)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 11의 원 E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덮개부의 내측 부분이 보이도록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개폐부를 개방하여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공기흡입장치(300)에서 형성되는 공기 흐름을 화살표로 추가하여 표현한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박스(box)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덮개부(31)를 포함하는 공기흡입장치(300)가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덮개부(300)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덮개부(31)의 종방향 양단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막혀 있을 수도 있다. 박스 형상체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외부 공기를 차량 실내 또는 차량에 구비된 냉난방 장치로 흐르게 하는 공기 흡입덕트가 내장되어 있는데, 공기 흡입덕트의 입구 즉, 흡입구는 덮개부(31)에 의해 덮여 있는 박스 형상체의 횡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흡입구에,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덮개부(31)에서, 흡입구와 마주하고 있는 부분에는 개폐문(32)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덮개부(31)의 개폐문(32)을 개방한 후, 흡입구로 접근하여 평판장치(100)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흡입장치(300)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거나 또는 종방향으로 바람이 불어오게 되면, 공기는 종방향(차량 주행방향)으로 전방에서부터 그리고 덮개부(31)의 하단의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본체의 횡측면과 덮개부(31)의 내면 사이의 간격으로 흘러들어오게 되고, 종방향의 후방으로 흘러가면서 일부는 평판장치(100)를 거쳐서 흡입구로 유입되고 일부는 흡입구의 종방향 후방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흡입구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공기 흡입덕트를 통해서 직접 차량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차량에 구비된 냉난방 장치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는 이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공기흡입장치(3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것처럼, 외부 공기가 평판장치(100)의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하면서 하전용 솔(12)에 의해 미세 부유물(P)이 하전되고 어 전기적으로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띄게 됨과 동시에 평판부재(2) 역시 하전되어 미세 부유물(P)의 전기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면서 미세 부유물(P)과 평판부재(2) 사이에는 반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외부 공기가 흡입구의 종방향 후방으로 흘러갈 때 평판부재(2)에 부착되지 못한 미세 부유물(P)은 이러한 공기의 흐름과 함께 후방으로 날아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가 차량 등에 구비되는 공기흡입장치(300)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미세 부유물(P)의 흡착 최소화에 따른 유지, 관리에서의 장점 이외에도, 공기 흡입덕트를 통해서 차량의 실내 또는 냉난방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질이 향상되어 쾌적한 차량 실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는, 미세 부유물이 흡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그에 따라 미세 부유물의 흡착 오염으로 인한 기능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고 원래의 기능을 충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청소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주기가 연장되어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공기가 통과되는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장점에 더하여, 장치로 접근하게 되는 미세 부유물(P)의 양 자체가 줄어들게 되므로, 공기와 함께 통과하게 되는 미세 부유물의 양도 크게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평판장치(100)를 통과하는 공지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평판장치(100)는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방열판이나 공기흡입장치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용될 수도 있지만, 그 용도와 사용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장치의 전면에 설치되어 필터장치의 일 구성요소로서 이용될 수도 있으며, 기타 공기와 접촉하여 미세 부유물이 흡착될 위험에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1: 입자하전부재
2: 평판부재
3: 프레임부재
4: 하전용 솔
P: 미세 부유물

Claims (5)

  1. 평평한 평판부재(2), 상기 평판부재(2)의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평판부재(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입자하전부재(1); 및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장치를 이루도록 하는 프레임부재(3)를 포함하며;
    입자하전부재(1)는,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전용 솔(12)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는데, 공기가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미세 부유물이 하전용 솔(12)을 통한 하전에 의해 전기 극성을 띄게 되며;
    평판부재(2)는 미세 부유물과 동일한 전기 극성을 띄도록 하전되어;
    하전된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2)로 접근하게 되면 미세 부유물과 평판부재(2) 사이에 반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평판부재(2)는 천공홀(21)을 가진 천공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평판부재(2)는 망눈(22)을 가지는 망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전용 솔(12)에 전기를 공급하여 하전시키기 위한 제1전기공급수단 및 평판부재(2)에 전기를 공급하여 하전시키기 위한 제2전기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장치.
  5. 본체(200)에 구비되어 방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열판으로서,
    평평한 평판부재(2), 상기 평판부재(2)의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평판부재(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입자하전부재(1); 및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평판부재(2)와 입자하전부재(1)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나의 장치를 이루도록 하는 프레임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판장치(100)로 이루어져 있는데,
    평판장치(100)에서 입자하전부재(1)는, 입자하전부재(1)는,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전용 솔(12)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는데, 공기가 입자하전부재(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미세 부유물이 하전용 솔(12)을 통한 하전에 의해 전기 극성을 띄게 되며; 평판부재(2)는 미세 부유물과 동일한 전기 극성을 띄도록 하전되어; 하전된 미세 부유물이 평판부재(2)로 접근하게 되면 미세 부유물과 평판부재(2) 사이에 반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
KR1020150052608A 2015-04-14 2015-04-14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KR10170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08A KR101702592B1 (ko) 2015-04-14 2015-04-14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08A KR101702592B1 (ko) 2015-04-14 2015-04-14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49A true KR20160122549A (ko) 2016-10-24
KR101702592B1 KR101702592B1 (ko) 2017-02-06

Family

ID=572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08A KR101702592B1 (ko) 2015-04-14 2015-04-14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360A (zh) * 2020-05-20 2020-09-25 安徽浦进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防风沙机械式过滤器
KR20210092354A (ko) * 2020-01-15 2021-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마이크로 섬유와 전기장을 활용한 미세입자 집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434A (ja) * 1997-03-21 1998-10-06 Calsonic Corp 空気清浄器
KR100628520B1 (ko) 2005-09-09 2006-09-26 최병학 공기정화장치
JP2014087732A (ja) * 2012-10-30 2014-05-15 Amano Corp 電気集塵機
KR20140146149A (ko) * 2012-04-13 2014-12-24 테크놀로지카 에스.에이.에스. 디 바넬라 살바토레 앤드 씨. 여과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434A (ja) * 1997-03-21 1998-10-06 Calsonic Corp 空気清浄器
KR100628520B1 (ko) 2005-09-09 2006-09-26 최병학 공기정화장치
KR20140146149A (ko) * 2012-04-13 2014-12-24 테크놀로지카 에스.에이.에스. 디 바넬라 살바토레 앤드 씨. 여과 조립체
JP2014087732A (ja) * 2012-10-30 2014-05-15 Amano Corp 電気集塵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354A (ko) * 2020-01-15 2021-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마이크로 섬유와 전기장을 활용한 미세입자 집진 시스템
CN111701360A (zh) * 2020-05-20 2020-09-25 安徽浦进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防风沙机械式过滤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592B1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7425A (en) Electrofilter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KR101702592B1 (ko)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흡착 저감기능을 가지는 평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열판
US9550189B2 (en) Electronic fine dust separator
KR20170051893A (ko) 전기식 집진필터
KR2016008475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KR20160015640A (ko) 차량용 전기집진장치
WO2016163335A1 (ja) 荷電装置及び電気集塵機
US2969127A (en) Air purifier
JP2006068580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洗浄装置
JP4715626B2 (ja) イオナイザ、イオナイザ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US11878262B2 (en) Filter module
JP2006068581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清浄装置
KR101725241B1 (ko)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메쉬 필터 흡착현상 저감기능과 미세 부유물 흡입 최소화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기흡입장치 및 차량용 공기흡입구조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CN112512695A (zh) 电集尘装置
CN111032189A (zh) 过滤器装配件和具有过滤器装配件的空气净化器
JP3178634U (ja) 空気清浄機
CN110743710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其控制方法
CN211128656U (zh) 一种机电设备控制箱
CN211678243U (zh) 电集尘过滤器
KR102066479B1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EP2786769B1 (de) Elektrisch isolierte Filtereinheit aus synthetischem Material und Ionisator zur elektrostatischen Abscheidung von Feinstäuben in Lüftungskanälen
CN208936354U (zh) 高效除尘静压箱
DE102018220720A1 (de) Elektrostatisches Filtermodul für Luftreiniger und Luftreini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