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820A -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820A
KR20160121820A KR1020150051499A KR20150051499A KR20160121820A KR 20160121820 A KR20160121820 A KR 20160121820A KR 1020150051499 A KR1020150051499 A KR 1020150051499A KR 20150051499 A KR20150051499 A KR 20150051499A KR 20160121820 A KR20160121820 A KR 2016012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control signal
moving object
illuminating devic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익수
Original Assignee
신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익수 filed Critical 신익수
Priority to KR102015005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820A/ko
Publication of KR2016012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은,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이동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제1조명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최대 밝기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Intelligent wireless communication security light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며 이동체가 감지되었을 때 점등이 되는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특히, 주택가나 골목, 공원 등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대한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이동체를 감지하는 각각의 조명장치들에 의해 이동체의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파악하고 파악된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와 주변 다른 조명장치들의 출력 밝기를 차등적으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야간에 이동하는 이동체의 안전과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나 골목, 공원, 놀이터, 공터 등의 공간에는 야간에 통행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안전을 위해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는 도로변의 가로등에 비해 높이가 낮은 보안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등이나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조명장치들과 달리 일몰 무렵에 점등되어 야간 내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출 무렵 소등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심야에 통행하는 보행자나 차량이 드문 시각에도 상시 점등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측면이 존재한다. 또한 주택가의 골목 등에 설치되는 조명장치가 야간 내내 점등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된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점등되어 있는 조명으로 인해 숙면에 방해를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보안등이나 가로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조명장치의 조도를 일괄적으로 낮추거나 소등하는 경우 각종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모든 조명장치가 항상 점등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통행하는 보행자나 차량 등의 이동체가 이동하는 이동경로는 대체적으로 한정되어 유사한 이동경로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공원과 같은 공간에서, 공원 전체 공간 내에 필요한 조명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으나, 사람들이 주로 이동하는 경로는 산책로 등이 구비된 한정적인 경로인 경우가 많고, 이 외의 장소로 이동하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드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보안등) 각각에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평소에는 보안이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명이 점등되다가,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조명장치가 최대밝기 또는 일정 이상의 밝기로 점등되도록 하여 전력의 낭비와 조명장치 인근의 주민의 불편함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체들이 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해당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들의 출력조명 밝기를 미리 제어함으로써 야간에 이동하는 이동체들의 안전과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등록번호 10-0981274,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조명 시스템에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보안등) 각각에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평소에는 보안이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명이 점등되다가,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조명장치가 최대밝기로 점등되도록 하며, 특히 이동체가 센싱된 조명장치 인근의 주변 조명장치는 평상시보다는 밝지만 최대밝기는 아닌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차등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들의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센싱하면서 이동체들이 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해당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들의 출력조명 밝기를 미리 제어함으로써 야간에 이동하는 이동체들의 안전과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은,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이동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제1조명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최대 밝기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정 횟수 이상 특정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센서부에 의해 이동체가 센싱되면, 상기 특정 조명장치 및 상기 제1조명장치를 지나는 경로를 상기 이동체의 이동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은, 상기 제1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 중 상기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 조명장치는 최대 밝기와 평상시 밝기 사이의 밝기로 조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은, 보안등 또는 가로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가 이동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제1조명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조명장치가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명장치가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최대 밝기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일정 횟수 이상 특정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센서부에 의해 이동체가 센싱되면,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 및 상기 제1조명장치를 지나는 경로를 상기 이동체의 이동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보안등) 각각에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평소에는 보안이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조명이 점등되다가,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조명장치가 최대밝기로 점등되도록 하며, 특히 이동체가 센싱된 조명장치 인근의 주변 조명장치는 평상시보다는 밝지만 최대밝기는 아닌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차등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체들의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센싱하면서 이동체들이 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해당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들의 출력조명 밝기를 미리 제어함으로써 야간에 이동하는 이동체들의 안전과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의 동작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이동경로에 따른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의 기본 동작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은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각각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의 on/off 여부 및/또는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LED 조명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소정의 이동체(예컨대, 보행자 및/또는 차량 등)가 센싱되지 않는 평상시 소등되었거나 또는 일정 이하의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체가 감지되는 경우 일정 밝기 이상의 조명 또는 최대 밝기의 조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출력하도록 점등되어 상기 이동체가 용이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각각이 상기 이동체를 센싱하는 경우 최대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을 설치 및/또는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보안등인 경우, 보안 및 안전을 위해 상기 이동체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일정 수준 밝기의 조명이 계속해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조명이 필요없는 주간에는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과 상관없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모두 소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4) 각각은 이동체를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필요 이상의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지 않음으로 인해 전력소모를 절감하고 인근 주민들의 빛 공해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중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1)가 소정의 이동체(예컨대, 보행자)를 센싱한 경우,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상기 조명 1은 미리 정해진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밝기는 예컨대 상기 조명 1이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밝기의 조명을 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밝기는 최대 밝기가 아니라 평상 시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에 비해 일정 수준 이상 더 밝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밝기를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조명 1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2, 조명 3 및 조명 4)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조명 1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각각 전송하는 상기 제어신호에는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각각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이동체가 주로 이동하는 메인 이동경로가 예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각각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2, 조명 3 및 조명 4)는 상기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제어 밝기의 조명이 아닌, 평상 시 출력되는 밝기의 조명에 비해서는 일정 이상 더 밝지만, 상기 제어 밝기보다는 어두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평상 시 조명의 밝기보다는 밝으나 상기 제어 밝기에 비해서는 어두운 밝기를 제2제어 밝기라 정의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이동체가 센싱되지 않는 평상시에 최대 밝기의 50% 밝기인 조명을 출력하고 있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특정 조명장치는 제어 밝기(예컨대, 100%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2, 조명 3 및 조명 4)는 70% 밝기의 조명(즉, 제2제어 밝기)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은 이동체가 센싱된 위치를 중심으로 그 주변 소정의 범위를 평상시보다 밝게 함으로써 야간에 상기 이동체의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력소모를 가급적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조명장치와 주변 다른 조명장치가 조명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각각에 의해 설정되는 이동경로 설정과 이에 따른 전력소모 절감의 효과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상기 조명 1이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할 대상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명 1은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경우(또는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상기 조명 1 주변에 위치한 상기 조명 2, 조명 3, 및 조명 4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조명 2가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경우에는 예컨대 조명 1, 조명 3, 조명 4, 및 조명 6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어떠한 경우든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각각은 이동체를 센싱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전송할 다른 조명장치들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를 센싱한 특정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1)가 위치한 장소뿐 아니라 상기 특정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1)를 중심으로 주변부까지 평상시보다 밝은 조명을 출력할 수 있어 야간에 통행하는 이동체의 안전과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를 센싱한 조명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신호가 무선통신을 통해 주변의 다른 조명장치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이동체가 이동할 확률이 높은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들을 미리 제어함으로써 야간에 통행하는 상기 이동체의 안전과 시야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 기능 및 작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조명장치의 구성과 기능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인 제1조명장치(100)는 센서부(110), 수신부(120), 전송부(130), 및/또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명장치(100)는 LED 모듈을 구비한 보안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야간에 조명이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면 어떠한 종류의 조명장치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센서부(110)는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100)에 접근하는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다. 인체나 차량 등의 이동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관련한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에 상응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부여된 소정의 ID 또는 제조과정에서 부여되는 식별정보일 수 있으며,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제1조명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0)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중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아닌 다른 조명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된 경우뿐 아니라,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상기 제어신호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용이한 구분을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각각이 다른 조명장치들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제1제어신호,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각각 다른 조명장치들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제2제어신호로 구분하여 정의하도록 한다. 물론 용어를 구분하여 부르기는 하지만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제어신호는 모두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한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출력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이 보안등 시스템인 경우 정해진 시간 또는 조건에 따라(예컨대, 오후 6시, 일몰 후 어두워짐 등)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이 점등되고,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출력하는 조명의 밝기를 최대 밝기의 50%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상기 이동체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최대 밝기 즉, 100% 밝기인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조명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상기 수신부(120)를 통해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 즉,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최대 밝기의 약 70% 밝기인 제2제어 밝기로 조명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등 또는 가로등이 설치된 공간이나, 또는 지하 주차장과 같이 넓은 면적의 실내 공간 등에서는 야간에 보행자의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예측된 이동경로의 조명을 미리 출력하여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뒷받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를 위해 각각의 조명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보행자의 움직임을 별도의 카메라 시스템(예컨대, CCTV 등)을 통해 분석하여 이동경로를 예측함으로 인해,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 소모가 크고 시스템 자원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별도의 제어 시스템이나 카메라 시스템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 각각이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따른 경험을 통해 이동체가 이동할 이동경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과 시스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6)에 의해 이동경로가 예측(또는 설정)되는 방식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이동경로 설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공간(예컨대, 골목, 공원, 공터, 운동장, 지하 주차장 등)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16)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16)은 각각 도 2에서 전술한 상기 제1조명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 조명 16) 각각은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또는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제어신호(즉,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즉, 제1제어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는 해당 조명장치를 중심으로 전, 후, 좌, 우에 위치한 4개의 조명장치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면에서 조명 6이 이동체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조명 6은 조명 2, 조명 5, 조명 7, 및 조명 10으로 제어신호(즉,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조명 1 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이동체는 주로 조명 1, 조명 2, 조명 6, 조명 10, 조명 11, 및 조명 12를 거치는 이동경로 1을 통해 이동하며, 그리고 조명 3 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이동체는 주로 조명 3, 조명 7, 조명 11, 조명 15를 거치는 이동경로 2를 통해 이동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을 통행하는 이동체들은 상기 이동경로 1 또는 상기 이동경로 2를 통해 주로 이동하며, 그 외 다른 조명장치들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문 경우일 수 있다.
이처럼 소정의 공간 내에서 이동체들이 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는 전체 공간 중 일부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이동경로 즉, 이동체들이 주로 이동하는 메인 이동경로를 경험적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이동경로 상의 조명장치들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동체의 안전과 시야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동경로 1에 대해 살펴보면, 처음 상기 조명 1이 진입하는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조명 1은 자신의 조명을 제어 밝기로 출력하면서, 상기 제어신호(제1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예컨대, 조명 2 및 조명 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명 1로부터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조명 2 및 상기 조명 5는 조명밝기를 평상시(예컨대, 50% 밝기 출력)보다 밝은 제2제어 밝기로 출력(예컨대, 70% 밝기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명 2가 상기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조명 2 역시 제어 밝기로 조명을 출력하며, 상기 조명 2에 의해 상기 조명 1과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다른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1, 조명 3, 및 조명 6)로 제어신호(제1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조명 2의 입장에서, 먼저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상기 조명 1로부터 상기 조명 1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1제어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이동체가 상기 조명 2에 의해 센싱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조명 6의 경우도 상기 조명 2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이동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수차례 반복되게 되면, 상기 조명 2는 상기 조명 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체가 높은 확률로 자신에게 이동하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6의 경우에도 상기 조명 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된 후에 이동체가 센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후 상기 이동경로 1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횟수 이상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조명 1 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이동체가 전술한 상기 이동경로 1을 통해 이동하리라는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상기 조명 2는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상기 조명 1로부터 제어신호(즉, 상기 조명 1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동체가 직접 센싱되지 않아도 조명의 밝기를 제어 밝기로 제어하면서,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변의 다른 조명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2로부터 상기 조명 2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한 다른 조명장치들 중 상기 조명 6은 마찬가지로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다른 조명장치들로 전송하고, 조명의 밝기를 제어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 6을 제외한 나머지 조명장치들 즉, 상기 이동경로 1 상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조명 2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조명장치인 조명 3은 조명의 밝기를 평상시와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밝기는 아니지만 평상시보다 밝은 밝기인 제2제어 밝기의 조명(예컨대, 70% 밝기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상기 조명 3은 이동체가 직접 센싱되지 않는 이상,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제어신호를 다른 조명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조명 6 역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다른 조명장치들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조명 1이 최초 이동체를 센싱하게 되면 상기 이동경로 1 상에 위치한 다른 조명장치들(예컨대, 조명 2, 조명 6, 조명 10, 조명 11, 및 조명 12) 역시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기 전에 미리 평상 시에 비해 밝은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이동체의 원활하고 안전한 이동을 도울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체가 전술한 과정을 통해 예측되고 기억된 이동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체를 센싱한 해당 조명장치만이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 이후에 다른 이동체가 상기 조명 1에 의해 센싱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경로 1 상에 위치한 조명장치들이 제어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여 이동체에게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경로는 특정 조명장치가 다른 조명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이동체를 직접 센싱하는 과정이 일정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소정의 공간 내에서 이동체의 이동경로를 예측/설정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조명장치들 각각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간편하게 이동경로를 예측/설정할 수 있으며, 이동체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외의 조명장치들에 대해서는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조명장치는 평상 시에는 최대 밝기가 아닌 소정의 밝기(예컨대, 최대 밝기의 50% 밝기)의 조명을 출력하고 있다가, 이동체를 센싱(s100)하는 경우 제어 밝기(예컨대, 100%의 밝기)의 조명을 출력(s130)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명장치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아닌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제2제어신호를 수신(s110)하는 경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s120)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상기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을 제어 밝기로 출력(s130)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제어신호가 상기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는 출력되는 조명의 밝기를 평상 시 밝기와 최대 밝기 사이의 밝기인 제2제어 밝기(예컨대, 최대 밝기의 70% 밝기)로 제어(s14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이동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제1조명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미리 정해진 제어 밝기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횟수 이상 특정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센서부에 의해 이동체가 센싱되면, 상기 특정 조명장치 및 상기 제1조명장치를 지나는 경로를 상기 이동체의 이동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은,
    상기 제1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 중 상기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 조명장치는 상기 제어 밝기와 평상시 밝기 사이인 제2제어 밝기로 조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은,
    보안등 또는 가로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6.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가 이동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제1조명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조명장치가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명장치가 조명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이동체의 센싱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미리 정해진 제어 밝기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일정 횟수 이상 특정 조명장치로부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센서부에 의해 이동체가 센싱되면,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 및 상기 제1조명장치를 지나는 경로를 상기 이동체의 이동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제2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조명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제공방법.
  9.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51499A 2015-04-13 2015-04-13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21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499A KR20160121820A (ko) 2015-04-13 2015-04-13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499A KR20160121820A (ko) 2015-04-13 2015-04-13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90A Division KR20170013961A (ko) 2017-01-23 2017-01-23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20A true KR20160121820A (ko) 2016-10-21

Family

ID=5725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499A KR20160121820A (ko) 2015-04-13 2015-04-13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8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74B1 (ko)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74B1 (ko)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9875B1 (ko) 저고도 설치형 저전력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JP2016210410A (ja) 車両用の制御可能な照明装置
CN102958257B (zh) 一种楼梯照明装置控制系统和方法
CN108349428A (zh) 车辆用照明装置
US20120229033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KR20100136186A (ko) Led가로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16660A (ko) 카메라센서의 모션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조명 램프의 점멸 혹은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KR102045837B1 (ko) 차량 진행 방향 인지장치를 구비한 주차장 조명제어 시스템
KR20110043556A (ko)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US10684165B2 (en) Measurement and control of lighting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JP5249679B2 (ja) 道路照明制御装置および道路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165364B1 (ko)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시설물의 무선제어 시스템
US9839087B2 (en) Lighting system
KR102004351B1 (ko) 차량감응식 터널 조명 제어장치
KR20100086709A (ko) 지하주차장의 조명관리 장치
KR20130055872A (ko) 스마트 가로등을 활용한 주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4242376B2 (ja) トンネルの照明設備
JP5097651B2 (ja) 道路照明制御装置および道路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70013961A (ko)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1820A (ko) 지능형 무선통신 보안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50057072A (ko)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