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957A -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957A
KR20160120957A KR1020150050219A KR20150050219A KR20160120957A KR 20160120957 A KR20160120957 A KR 20160120957A KR 1020150050219 A KR1020150050219 A KR 1020150050219A KR 20150050219 A KR20150050219 A KR 20150050219A KR 20160120957 A KR20160120957 A KR 2016012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ubway station
acquiring
ob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153B1 (ko
Inventor
도희정
Original Assignee
도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희정 filed Critical 도희정
Priority to KR102015005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이동 경로 획득부;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 및 상기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가 교통 약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교통 정보 제공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나 승객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택시 등을 제외하고,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은 미리 정하여진 노선을 따라서 운행된다. 이러한 대중 교통을 이용할 때, 승객이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를 보여주는 경로 제공 서비스가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3622호 [명칭: 대중교통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명세서는 노약자, 장애인(예컨대, 휠체어 사용자), 임산부(예컨대, 유모차 사용자 포함) 등의 교통 약자가 이용가능한 지하철 탑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명세서는 교통 약자의 대중 교통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동시에 필요한 시설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이동 경로 획득부;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 및 상기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가 교통 약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상태는 노약자 정보, 장애인 정보 및 유모차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 가능 수단 정보는 엘리베이테 정보, 에스컬레이터 정보 및 장애인 리프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표시부는 리프트 예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리프트 예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장애인 리프트에 대한 예약 요청을 소정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 및 상기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교통 약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편의 시설 데이터가 구비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용 가능 수단 정보, 상기 지하철역 정보,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이 가능한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탑승 지하철역 정보 및 하차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지하철역 정보 및 하차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역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 및 지하철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이 가능한 최단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노약자, 장애인(예컨대, 휠체어 사용자), 임산부(유모차 사용자 포함) 등의 교통 약자가 이용가능한 지하철 탑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교통 약자의 대중 교통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장애인이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동시에 필요한 시설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전체 이동 경로의 일 예이다.
도 4는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의 일 예이다.
도 5는 사용자 상태별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시설 예약 요청 화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된 단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일부 구성은 단말에 구비될 수 있고, 일부 구성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단말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핸드헬드 방식의 단말은 물론,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아 선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장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또, 여기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단말이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장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특히,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설명되는 객체란 사용자의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서, 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소리, 이메일, SNS 게시물, 메모 및 전화나 인스턴트메시지(instant message)의 착, 발신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객체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이동 경로 획득부(120),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130), 표시부(140),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표시부(140)는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710, 72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상기 객체(710, 7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경로 획득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에서 획득된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체 이동 경로는 도보 이동 경로, 버스 이동 경로, 지하철 이동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전체 이동 경로는 승차 버스 정류장 정보, 하차 버스 정류장 정보, 승차 지하철역 정보, 하차 지하철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전체 이동 경로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의 표시부(140)는 출발 지점(A)으로부터 도착 지점(B)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경로의 각 구단마다의 교통 수단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하철역(730)은 탑승 지하철역 정보를 의미하고, 제 2 지하철역 (740)은 하차 지하철역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130)는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이동 경로가 획득되는 경우,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130)는 제 1 지하철역 정보(730), 제 2 지하철역 정보(740)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는 사용자가 어떤 유형의 교통 약자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상태는 노약자 인지 여부, 장애인인지 여부, 유모차 사용 여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751, 752, 753)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 사용 정보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유모차 정보)을 나타내며, 장애인 정보는 사용자가 신체에 장애를 가진 상태(장애인 정보)를 나타내면, 노약자 정보는 사용자가 노약자에 해당한다는 것(노약자 정보)을 나타낸다.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복수의 객체(751, 752, 75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150)는 상기 객체(751 내지 75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 가능 수단 정보는 사용자가 지하철역을 이용하려고 할 때 구비되어야 하는 편의 시설을 의미한다. 상기 이용 가능 수단 정보는 엘리베이테 정보, 에스컬레이터 정보 및 장애인 리프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상태별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저장부(170)는 사용자 상태(810)별 이용 가능 수단 정보(820)를 구비한 데이터(80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유모차를 사용하는 경우, 지하철역 이용시에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장애인에 해당하는 경우, 지하철역 이용시에 엘리베이터 또는 리프트의 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노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지하철역 이용시에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상태별 이용 가능 수단 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150)는 표시부에 표시된 객체(751 내지 75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과 저장부(170)에 구비된 데이터(800)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저장부(170)는 각 지하철역(910)별로 구비된 편의 시설(920)에 관한 데이터(90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역에는 에스컬레이터와 리프트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 2 역에는 엘레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 및 상기 지하철역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 5, 6을 참조하면, 출발역이 제 1 지하철역(730)이고, 도착역이 제 2 지하철역(740)이며, 사용자가 유모차를 구비한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제 1 지하철역의 이용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장애인 또는 노약자인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제 1 지하철역, 제 2 지하철역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경로 획득부(120)는, 상기 제어부(160)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가 교통 약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전체 이동 경로는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과는 상이한 지하철역을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지하철역에 구비된 시설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시설 예약 요청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40)는 리프트 예약 객체(754, 75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상기 객체(754, 75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리프트 예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장애인 리프트에 대한 예약 요청을 소정 서비스 제공 장치(예컨대, 지하철역 시설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장치(예컨대, 지하철역 시설 관리 서버)로부터 예약 요청에 대한 컨펌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140)는 이에 대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장애인이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동시에 필요한 시설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지하철역 내에서 지하철역 입구, 지하철 탑승장, 지하철역 출구를 경유하는 최단 거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지하철역 정보는 역내 편의 시설(예컨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리프트 등)의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지하철역 정보는 지하철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철 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는 지하철 내의 장애인석 등을 이용하기 위한 승강장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경로 획득부(120)는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탑승 지하철역 정보 및 하차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경로 획득부(120)는 상기 탑승 지하철역 정보 및 하차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역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 및 지하철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이 가능한 최단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교통 약자의 대중 교통 이용 편의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편의 시설 데이터가 구비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용 가능 수단 정보, 상기 지하철역 정보,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이 가능한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이동 경로 획득부
130: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
140: 표시부
150: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
160: 제어부
170: 저장부

Claims (9)

  1.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이동 경로 획득부;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지하철역 정보 획득부;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이용 가능 수단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 및 상기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경로 획득부는,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가 교통 약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는 노약자 정보, 장애인 정보 및 유모차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가능 수단 정보는 엘리베이테 정보, 에스컬레이터 정보 및 장애인 리프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리프트 예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부는, 리프트 예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장애인 리프트에 대한 예약 요청을 소정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6.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 및 상기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편의 시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교통 약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7. 교통 약자에게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 가능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편의 시설 데이터가 구비된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용 가능 수단 정보, 상기 지하철역 정보, 상기 출발 지점 정보 및 도착 지점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이 가능한 전체 이동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전체 이동 경로에 포함된 탑승 지하철역 정보 및 하차 지하철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 지하철역 정보 및 하차 지하철역 정보에 구비된 역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 및 지하철내 편의 시설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 이동이 가능한 최단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50050219A 2015-04-09 2015-04-09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38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19A KR102380153B1 (ko) 2015-04-09 2015-04-09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19A KR102380153B1 (ko) 2015-04-09 2015-04-09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957A true KR20160120957A (ko) 2016-10-19
KR102380153B1 KR102380153B1 (ko) 2022-03-29

Family

ID=5725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219A KR102380153B1 (ko) 2015-04-09 2015-04-09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44A (ko) * 2019-12-27 2021-07-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ap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489A (ko) * 1994-11-17 1996-06-17 김광호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93622A (ko) 2005-02-22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8192A (ko) * 2008-04-11 2009-10-15 엔에이치엔(주) 이종의 대중 교통을 연계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10021005A (ko) * 2009-08-25 2011-03-04 유비벨록스(주) 하차지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40113768A (ko) * 2013-03-13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50018733A (ko) * 2013-08-09 2015-02-24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489A (ko) * 1994-11-17 1996-06-17 김광호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93622A (ko) 2005-02-22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8192A (ko) * 2008-04-11 2009-10-15 엔에이치엔(주) 이종의 대중 교통을 연계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10021005A (ko) * 2009-08-25 2011-03-04 유비벨록스(주) 하차지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KR20140113768A (ko) * 2013-03-13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50018733A (ko) * 2013-08-09 2015-02-24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44A (ko) * 2019-12-27 2021-07-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ap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153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WO20150362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oarding of a means of transport
JP6596892B2 (ja) バス乗車方法及びモバイル装置
US201903063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KR20140023541A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JP6760750B2 (ja) 車椅子介助システム
CN102376001A (zh) 对具有rfid装置的对象处接收的请求作出响应的系统和方法
CN113364490A (zh) 一种nfc应用的调用方法、电子设备及nfc装置
JP2010231549A (ja) 乗客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
KR102078177B1 (ko) 경로선택방법을 이용한 통합경로정보제공방법
KR20150021391A (ko) 교통카드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노선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2380153B1 (ko) 대중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6088390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JP2007219811A (ja) 携帯通信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576718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JP2007323123A (ja) 誤乗車防止システム及び誤乗車防止方法
US20130268449A1 (en) Mobility device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20200382630A1 (en) Service recommendation
JP2021177332A (ja) 改札機、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11263716B2 (en) Rendering digitized services in a smart environment
EP2991024A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use of a vehicle by a user and corresponding system
US20190051175A1 (en) Driving service system and provider-side mobile device and server thereof
KR20160016102A (ko) 내비게이션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