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824A -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824A
KR20160120824A KR1020150049564A KR20150049564A KR20160120824A KR 20160120824 A KR20160120824 A KR 20160120824A KR 1020150049564 A KR1020150049564 A KR 1020150049564A KR 20150049564 A KR20150049564 A KR 20150049564A KR 20160120824 A KR20160120824 A KR 2016012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se
motor
power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182B1 (ko
Inventor
박준규
최재식
김용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1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Abstract

전원연결부; 및 내측에는 모터구동부가 위치되고, 일측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홀을 형성되며, 결합홀에는 복수의 결합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결합수단 중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에 상기 전원연결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COMBINING APPARATUS OF POWER FOR MOTOR}
본 발명은 차량의 HVAC 시스템의 블로어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HVAC 시스템에는 블로어가 장착되고, 상기 블로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가 사용된다. 이때, 모터는 전압으로 제어하는 일반 전압 제어(FET) 모터와 PWM제어부를 이용하여 펄스의 폭을 변조하여 제어하는 펄스 폭 변조(PWM)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PWM 모터의 경우에는 별도의 PWM제어부가 함께 결합되어야 하는데, 동일한 차종에서도 옵션이나 환경에 따라 FET 모터가 적용되거나 PWM 모터가 적용되는 등 두 종류의 모터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모터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따라 동일한 차종에서도 HVAC 시스템의 레이아웃이 달라지게 되어 공정이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늘어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특히, 커넥터의 경우,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커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먼지등의 유입을 차단하며, 조립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모터의 측면에 커넥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PWM 모터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PWM제어부의 레이아웃과 모터의 극성을 바꿔주는 브러쉬 홀더의 위치에 따라 커넥터의 조립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DC 모터를 동일하게 사용하더라도 제어방식의 차이에 의한 부품의 장착 또는 미장착 시에도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 브러쉬 홀더의 위치에 상관없이 커넥터의 위치를 만족하면서도 제어부만 이원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995-0034271 Y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DC 모터를 동일하게 사용하더라도 제어방식의 차이에 의한 부품의 장착 또는 미장착 시에도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 브러쉬 홀더의 위치에 상관없이 커넥터의 위치를 만족하면서도 제어부만 이원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전원결합장치는 전원연결부; 및 내측에는 모터구동부가 위치되고, 일측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홀을 형성되며, 결합홀에는 복수의 결합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결합수단 중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에 상기 전원연결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바디와, 바디를 관통하여 모터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 및 상기 결합수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되,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케이스와 동심원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이 결합홀측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돌기이며, 상기 결합부는 슬라이딩돌기에 대응되도록 바디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슬릿으로서, 슬라이딩슬릿이 슬라이딩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측면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에 슬라이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슬라이딩돌기를 내측과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최외측면에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의 거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는 바디측으로 만입된 상하방향의 슬릿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의 전원단자는 일측은 모터구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PWM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PWM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에 결합되어, 커버에 의해 모터구동부와 PWM제어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결합홀측 상면에 일부가 제거된 원형상의 홀이 형성되되, 홀의 측면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슬릿이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내측모서리에 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측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측케이스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홀에 끼움결합된 후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의 상측에는 전원연결부가 결합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터의 전원결합장치에 따르면 모터와 PWM제어부를 일체형으로 할 수 있어 부품수를 축소하고, 커넥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차종 내에서 FET 모터 방식과 PWM 모터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도 모터 방식에 해당하는 전원연결부만을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레이아웃의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의 표준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의 브러쉬 홀더가 상하측 어느 쪽에 위치하더라도 해당하는 전원연결부만 결합하면 모터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므로 모터의 측면에 커넥터를 위치시킬 수 있어 차량의 운행이 따른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도 모터에 결합된 커넥터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공정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전원결합장치가 장착된 HVAC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모터구동부가 결합된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케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결합홀측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PWM 모터 방식의 적용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원연결부가 케이스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PWM제어부가 마련된 로어커버에 전원연결부가 결합된 케이스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FET 모터 방식의 적용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가 케이스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전원결합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전원결합장치가 장착된 HVAC 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구동부(200)가 결합된 커버(7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케이스(30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홀(330)측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PWM 모터 방식의 적용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전원연결부(600)가 케이스(300)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PWM제어부(600)가 마련된 로어커버(730)에 전원연결부(500)가 결합된 케이스(300)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8은 FET 모터 방식의 적용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500)가 케이스(300)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전원결합장치는 전원연결부(500); 및 내측에는 모터구동부(200)가 위치되고, 일측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홀(330)이 형성되며, 결합홀(330)에는 복수의 결합수단(310)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전원연결부(500)가 복수의 결합수단(310) 중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3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즉, 내측에는 모터결합부(200)가 위치되는 케이스(300)가 마련되되, 상기 케이스(300)의 일측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홀(3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30)에 전원연결부(500)가 결합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300)는 상측케이스(350)와 하측케이스(37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330)은 상측케이스(35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부(500)가 상측케이스(35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진 후, 상측케이스(350)와 하측케이스(370)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전원연결부(500)가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부(500)가 결합된 케이스(300)는 로어커버(730)에 삽입된 후 어퍼커버(710)에 의해 커버링된다(도 2).
특히, PWM 모터 방식이 선택되어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케이스(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700) 중 로어커버(730)에 PWM제어부(600)가 마련되어, 전원연결부(500)와 PWM제어부(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커버(700)에 의해 모터구동부(200)와 PWM제어부(600)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는 HVAC 시스템(1000)의 블로어(100)측 하방에 결합되어 모터(200)에 의해 블로어(100)가 동작되는 것이다(도 1). 만약, FET 모터 방식이 선택되어 장착되는 경우에는 도 8에서처럼, PWM 모터 방식의 전원연결부(500)와는 또다른 전원연결부(500)가 장착된 후 PWM제어부(600)가 장착되지 않은 로어커버(730)와 어퍼커버(710)에 의해 커버링된 후(도 2) HVAC 시스템(1000)에 결합되게 된다(도 1).
모터 등의 구성과 동작에 관한 내용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케이스(300)와 전원연결부(5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내지 4를 통해 케이스(3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300)는 내측에 모터구동부(200)가 위치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케이스(350)와 하측케이스(370)로 구분된다. 상기 하측케이스(370)에는 모터구동부(200)가 위치되고, 상측케이스(350)의 일측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홀(33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결합홀(330)은 케이스(300) 형상인 원기둥의 상면의 일부와 측면을 포함하도록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결합홀(300)에는 복수의 결합수단(310)이 마련되어 결합수단(310) 중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310)에 전원연결부(500)가 결합되게 된다. 첫번째 결합수단(310)은 상기 상측케이스(350)의 측면이 결합홀(330)측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돌기(313)이고, 두번째 결합수단(310)은 상기 상측케이스(350)의 결합홀(330)측 상면에 일부가 제거된 원형상의 홀이 형성되되, 홀의 측면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슬릿(311)이다. 상기 결합수단(310)의 상측에는 전원연결부(500)가 결합수단(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390,39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슬라이딩돌기(313)의 경우에는 상측케이스(350)의 측면의 상측이 결합홀(300)측으로 절곡되어 전원연결부(5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슬릿(311)의 경우에는 최상측의 홀이 결합홀(330)측으로 연장되어 홀의 직경이 작아짐으로써, 전원연결부(500)가 결합 후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도 5와 8을 참조하여 전원연결부(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PWM 모터 방식이 장착되는 경우의 전원연결부(500)를 확인할 있으며, 도 8에서는 FET 모터 방식이 장착되는 경우의 전원연결부(500)를 확인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부(500)는 결합홀(330)에 대응되는 형상의 바디와(510), 바디(510)를 관통하여 모터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530) 및 상기 결합수단(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부(551,553)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510)는 상기 관통홀(3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되,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케이스와 동심원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바디(510)는 케이스(300)의 최외측면 보다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케이스(300)와 바디(510)의 외측면이 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보다는 케이스(300)에 전원연결부(500)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PWM 모터 방식에 대응되는 전원연결부(500)의 경우에는 PWM제어부(600)의 체결부(650)의 두께로 인한 거리가 발생되므로, 전원단자(530)가 체결부(650)에 좀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도록 바디(510)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첫번째로, PWM 모터 방식이 장착되는 경우의 전원연결부(500)를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원연결부(500)의 결합부(553)는 상기 관통홀(330)의 슬라이딩돌기(313)에 대응되도록 바디(51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슬릿(553)으로서, 슬라이딩슬릿(553)이 슬라이딩돌기(313)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슬릿(553)은 바디(510)의 측면에서 바디(510)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바디(510)의 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511)가 형성되어 지지돌기(511)에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 슬라이딩슬릿(553)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돌기(511)에 의해 슬라이딩슬릿(553)이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딩돌기(313)와 슬라이딩슬릿(553)의 결합시 지지돌기(511)가 슬라이딩돌기(313)를 내측과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어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510)에는 바디(510)의 최외측면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소정의 너비를 갖는 거치부(570)가 마련된다. 상기 거치부(570)의 측면에는 바디(510)측으로 만입된 상하방향의 슬릿홈(571)이 형성되어 전원연결부(500)가 결합된 케이스(300)가 로어커버(730)에 삽입시, 로어커버(730)의 턱에 거치부의 슬릿홈(571)이 걸림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도 전원연결부(50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7에서처럼 PWM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는 PWM 모터 방식의 경우에는 PWM제어부(600)가 마련되는데, PWM제어부(600)는 반도체(630)와 반도체(630)의 하방에 결합되는 방열핀(미도시), 전원이 연결되는 커넥터(610)와 커넥터(610)의 전원을 모터구동부(200)에 전달할 수 있는 체결부(6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연결부(500)의 전원단자(530)의 일측은 모터구동부(200)와 연결되고, 타측은 PWM제어부(600)의 체결부(650)와 결합되게 되어 커넥터(610)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PWM제어부(600)를 거쳐 전원연결부(500)를 통해 모터구동부(2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인 것이다.
두번째로, FET 모터 방식이 장착되는 경우의 전원연결부(500)를 도 8을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FET 모터 방식의 전원연결부(500)도 바디(510)와 전원단자(530) 및 결합부(551)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510)는 관통홀(3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되되,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케이스와 동심원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PWM 모터 방식의 전원연결부보다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결합부(551)는 상기 바디(510)의 내측모서리에 가이드슬릿(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551)로서, 가이드돌기(551)가 가이드슬릿(311)에 결합되게 된다. FET 모터 방식의 전원연결부(500)는 별도의 PWM제어부와 연결되지 않아도 되므로, 전원연결부(500)의 측면에 전원이 바로 체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원연결부(500)로 전원이 인가되면 다이렉트로 모터구동부(200)로 공급되는 구조인 것이다.
특히, FET 모터 방식의 전원연결부(500)의 경우에는 측면에 결합홀(330)의 슬라이딩돌기(313)에 대응되는 홈을 별도로 형성하여 슬라이딩돌기(313)와 가이드슬릿(311)에 이중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두 종류의 전원연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슬릿과 돌기는 돌기와 슬릿으로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며, 두개의 구성을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에 해당하는 체결방법으로 얼마든지 변경하여 적용 가능함을 밝힌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모터의 전원결합장치에 의하면, 모터와 PWM제어부를 일체형으로 할 수 있어 부품수를 축소하고, 커넥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차종 내에서 FET 모터 방식과 PWM 모터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도 모터 방식에 해당하는 전원연결부만을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레이아웃의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의 표준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의 브러쉬 홀더가 상하측 어느 쪽에 위치하더라도 해당하는 전원연결부만 결합하면 모터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므로 모터의 측면에 커넥터를 위치시킬 수 있어 차량의 운행이 따른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도 모터에 결합된 커넥터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공정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블로어
200 : 모터구동부
300 : 케이스
310 : 결합수단
311 : 가이드슬릿
313 : 슬라이딩돌기
330 : 결합홀
350 : 상측케이스
370 : 하측케이스
390 : 이탈방지수단
500 : 전원연결부
510 : 바디
511 : 지지돌기
530 : 전원단자
551 : 가이드돌기
553 : 슬라이딩슬릿
570 : 거치부
571 : 슬릿홈
600 : PWM제어부
610 : 커넥터
630 : 반도체
650 : 체결부
700 : 커버
710 : 어퍼커버
730 : 로어커버

Claims (13)

  1. 전원연결부; 및
    내측에는 모터구동부가 위치되고, 일측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결합홀을 형성되며, 결합홀에는 복수의 결합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결합수단 중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에 상기 전원연결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바디와, 바디를 관통하여 모터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 및 상기 결합수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되,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케이스와 동심원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이 결합홀측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돌기이며, 상기 결합부는 슬라이딩돌기에 대응되도록 바디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슬릿으로서, 슬라이딩슬릿이 슬라이딩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측면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에 슬라이딩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슬라이딩돌기를 내측과 외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최외측면에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의 거치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는 바디측으로 만입된 상하방향의 슬릿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의 전원단자는 일측은 모터구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PWM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PWM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에 결합되어, 커버에 의해 모터구동부와 PWM제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결합홀측 상면에 일부가 제거된 원형상의 홀이 형성되되, 홀의 측면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슬릿이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내측모서리에 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측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측케이스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홀에 끼움결합된 후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상측에는 전원연결부가 결합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KR1020150049564A 2015-04-08 2015-04-08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KR10170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564A KR101704182B1 (ko) 2015-04-08 2015-04-08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564A KR101704182B1 (ko) 2015-04-08 2015-04-08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824A true KR20160120824A (ko) 2016-10-19
KR101704182B1 KR101704182B1 (ko) 2017-02-08

Family

ID=5725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564A KR101704182B1 (ko) 2015-04-08 2015-04-08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1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5694B2 (ja) * 2011-05-11 2015-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5694B2 (ja) * 2011-05-11 2015-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182B1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110A (en) Electrical noise suppressor for direct current motor
US9884641B2 (en) Steering wheel
JP2003304666A (ja) 駆動装置
EP2589464A2 (en) Electric tool
JP2008220061A (ja) モータ装置
KR100820604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704182B1 (ko) 모터의 전원결합장치
KR101639510B1 (ko) 피더블유엠 일체형 블로어 모터
KR200486676Y1 (ko) 전동식 커튼용 구동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커튼
KR102374857B1 (ko) 모터용 가이드부재,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및 모터
JP2021182861A (ja) モータハウジングとプラグ接続口との組み合わせ及び専用のモータハウジング
JP3914719B2 (ja) モータ用コネクタ装置
JP2007228733A (ja) 電動機及び換気装置
JP7134650B2 (ja) 回転装置、回転装置の取付構造、及び回転装置と外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CN210126561U (zh) 车辆前部结构
JP6898767B2 (ja) 電力変換装置
KR100670241B1 (ko) 와이퍼 모터
CN210122146U (zh) 车辆前部结构
CN202361296U (zh) 用于安装照明装置的器具
KR20130009254A (ko) 전원분배장치
JP2009090801A (ja) 車両用ドアミラーカバー
KR20120027653A (ko)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0536606B1 (ko)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CN104443141B (zh) 一种音乐摩托
JP6310774B2 (ja) 車両用ミラー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