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700A -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 Google Patents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700A
KR20160119700A KR1020160040075A KR20160040075A KR20160119700A KR 20160119700 A KR20160119700 A KR 20160119700A KR 1020160040075 A KR1020160040075 A KR 1020160040075A KR 20160040075 A KR20160040075 A KR 20160040075A KR 20160119700 A KR20160119700 A KR 2016011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intake
pressure
pipe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ublication of KR2016011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3/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for charging or scavenging
    • F02B33/44Passages conducting the charge from the pump to the engine inlet, e.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3/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for charging or scavenging
    • F02B33/44Passages conducting the charge from the pump to the engine inlet, e.g. reservoirs
    • F02B33/446Passages conducting the charge from the pump to the engine inlet, e.g. reservoirs having valves for admission of atmospheric air to engine, e.g. at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4Engines with exhaust drive and other drive of pumps, e.g. with exhaust-driven pump and mechanically-driven second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3/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공압압축기(24)와 압축된 공압을 저장할 수 있는 공압탱크(12)를 구비하고, 공압탱크에 공압분배관(13)을 연결하고, 공압분배관에 솔레노이드밸브(14)가 부착된 공압분사노즐(9)을 연결하고, 이러한 공압분사노즐을 흡기매니폴드(16)의 배면에서 흡기관(2)쪽의 흡기밸브(3)쪽으로 실린더 개수만큼 연결한 뒤, 급가속이 필요할 경우에 ECU(21)에 연결된 선택스위치(19)로 솔레노이드밸브(14)를 작동시켜서 공압(11)을 흡기관로(2) 속에서 흡기밸브(3)쪽으로 분사(10)시켜서 흡기관로안의 압력을 높여줌으로 하여서 연소실(7) 속으로 급과급이 되게 하여서, 미연소 되는 배출가스 없이 급가속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Op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percharger}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있어서, 실린더내로 흡입되는 흡입기를 실린더의 내용적보다 더 많이 유입 시켜서, 보다 적은 엔진으로 보다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해 적용하는 과급기(슈퍼챠저)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의 압력으로 작동하는 터보차저의 경우, 엔진이 저속상태에서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약해서 흡입기에 압력을 제대로 가하지 못함으로서, 터보차저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대안으로 저속구간에서도 가속성능을 좋게 하기 위하여 트윈터보를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차량 정차후 차량을 재 발진 시킬 때 엑셀레이트를 밟아도 반응속도가 더뎌서 차량이 시원하게 첫 발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또 나온 대안이 콤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압을 터보챠저 흡기구쪽 팬에 분사하여 흡기팬을 강제로 회전시켜서 흡기 압력을 높여 주려하고 있다 (출원번호 10-2000-0079329, 일본 특개소59-101539*) 그 내용을 살펴보면, 두 발명 모두 콤프레서에서 압축된 공압을 저속구간에서 ECU의 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전자변)를 열어서 터보챠저의 흡입기쪽 팬에 공압을 분사노즐로 분사하여 그 때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흡입압력을 높이려하는 요지들이다.
상기 인용한 두 발명처럼 터보차저의 흡입기쪽팬(압축팬)에 공압을 분사한다하여도 흡입기쪽 팬에 물려있는 배출기쪽의 팬도 같이 회전을 하여야 함으로, 배기가스의 배출량이 부족한 저속구간에서는 저항이 발생하여서, 공압을 흡입기쪽 팬에 분사한다 하여도 터보챠저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가 어려워서, 원하는 만큼의 흡입압력의 증대를 얻을 수가 없을 것이며,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많은 량의 공압을 필요로 함으로, 많은 량의 공압을 얻는 데에도 많은 량의 에너지가 소모될 것이다.
상기 인용한 두 안은 모두다 공압이 터보챠저의 압축팬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흡입기의 압력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됨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며 응답성 또한 많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저속뿐만 아니라 고속에서도 추가적인 과급이 가능하고, 또한 과급이 필요할 때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자연흡기방식이나 아니면 터보차저가 부착된 엔진에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과급기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도1에서와 같이, 공압압축기(24)와 압축된 공압을 저장할 수 있는 공압탱크(12)를 구비하고, 이 공압탱크에 공압분배관(13)을 연결하고, 공압분배관에 솔레노이드밸브(14)가 부착된 공압분사노즐(9)을 연결하고, 이 공압분사노즐을 흡기매니폴드(16)의 배면에서 흡기관(2)내측의 흡기밸브(3)쪽으로 실린더 개수만큼 연결한 뒤, 급가속이 필요로 할 경우에, ECU(21)에 연결된 선택스위치(19)(20)로 솔레노이드밸브(14)들을 작동시켜서, 공압(11)을 흡기관로(2) 속에서 흡기밸브(3)쪽으로 분사(10)시켜서, 흡기관로안의 압력을 높여줌으로 하여서, 연소실(7) 속으로 급과급이 되게 하여서, 미연소 되는 배출가스 없이 급가속을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인 공압에 의한 내연기관 과급기이다.
기대되는 효과로는 정차상태에서도 바로 순간적으로 과급을 하여 급가속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또한 주행 중에서도 추월 등을 위해서 순간적으로 급가속을 하여 추월 등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언제든지 응답성이 바로 나온다는 점이며, 또한 공회전속도를 아주 낮추어도 바로 급가속이 가능함으로 공회전이나 워밍업시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들에 구비된 선택스위치를 이용하여 과급유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자연흡기방식이든 터보차저에 의한 방식이든 가리지 않고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징점이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원 발명의 의한 공압 분사장치의 확대도면
도 3은 공압분배관과 분사노즐이 흡기매니폴드에 결합되는 구조도
도 4는 도1의 구성을 변형하여 구성한 도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원 발명의 과급원리와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도2참조). 흡기밸브(3)에 인접한 흡기관(2)내부에 분사노즐(9)을 흡기밸브(3)가 위치한쪽으로 분사되게 장치하고 이 분사노즐을 통하여 압축된 공압(11)을 흡기밸브가 위치한쪽으로 분사(10)하게 되면, 분사노즐에 의하여 분사된 공압이 흡기관(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흡기관(2)내부의 공기를 함께 밀고 들어가면서 공압(11)이 분사(10)된 곳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 높아진 압력은 흡기밸브를 거쳐서 곧바로 연소실로 들어가 차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연소실(7)내부로 순식간에 과급되게 한 것이 본원 발명의 기본원리이다.
이때 필요한 공압은 별도의 공기압축기(24)에 의해서 압축되어지며 압축된 공압(11)은 공압탱크(12)에 저장해서 상시로 공압을 분사하여 과급기능을 상시 사용할 때에나, 아니면 순간 가속이 필요하거나 정차 후 재출발할 때에만 과급을 위해 사용하여서 에너지 절약모드로 사용하여 공압을 절약할 수 도 있다.
공압 압축기는 여러 형태가 존재하나 전기모터에 의한 구동방식을 사용하여 공압이 필요압력에 도달 시 자동으로 꺼지고 기준압력에 미달 시에는 자동으로 켜지게 별도의 전기구동용 모터를 장착하여 공압을 발생 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필요한 공압은 높을수록 좋으나 너무 높은 압력을 얻으려면 에너지 소모가 과하고 무리가 갈 수 있어서 대기압의 3~5배정도의 압력이면 충분하긴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훨씬 더 큰 압력을 발생시켜 공압탱크(12)에 저장해서 사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공압탱크(12)에 다수개의 노즐연결구(25)를 가진 공압분배관(13)을 연결하고, 이 공압분배관(13)의 노즐연결구(25)에 솔레노이드밸브(14)에 의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공압분사노즐(9)들을 연결한다. 공압분배관에 있는 노즐연결구의 개수는 설치되는 엔진의 기통수와 동일해야 할 것이다(*도3참조*).
상기와 같이 공압분배관에 결합된 공압노즐(9)을 흡기매니폴드(16)의 배면에 뚫어놓은 분사노즐삽입구(26)에 삽입하여 고정시켜준다. 이렇게 하면 과급용 공압라인의 결합이 완료 된다.
상기 기술한 내용들은 실제 결합방법과는 순서와 결합방법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제 결합에 있어서는 흡기매니폴드에 분사노즐을 먼저 결합시키고 난 뒤에 공압분배관을 소켓을 사용하여 분사노즐에 결합시켜야 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는 결합구조 설명을 공압탱크를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공압라인에 과급선택스위치(19)(20)와 ECU를 연결하여 과급기로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이 완료된 각각의 분사노즐에 부착된 솔레노이드밸브(14)를 메인 컨트롤박스인 ECU(21)에 전선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핸들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좌측선택스위치(19)와 우측선택스위치(20)도 ECU에 전선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1에서 도시된 TDC(22)는 엔진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서 캠축의 위치를 감지하여 ECU에 알려주는 센서이다. ECU는 이 정보를 토대로 연료분사시기와 점화시기 등을 조절한다.
상기의 과정이 모두 끝나면 본원 발명의 구성요소간의 결합과 연결은 모두 완료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압(11)에 의해서 과급기능을 사용하는 원리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과급기능을 상시적으로 작동시켜서 사용하거나, 아니면 차량 정차 후 재출발 할 때, 그리고 저속구간이나 아니면 평균주행속도로 주행 중 앞 차량을 추월할 때처럼, 지금 현재 상태보다 더 빠른 가속이 필요할 경우에 핸들 좌우측에 구비된 좌우측 과급선택스위치(19)(20)를 동시에 눌러서 과급기능을 선택하면, ECU(21)는 선택스위치의 신호를 바탕으로 해서 솔레노이드밸브(14)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서,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줌으로서 공압탱크(12)에 저장된 공압(11)이 공압분배관(13)을 통해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과하여서 분사노즐(9)에 의해서 공압이 분사(10)되게 된다.
상기서 좌우측 두개의 선택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야 ECU에 신호가 전달되게 한 것은 안전을 위해서이며, 과급이 필요 없을 경우엔 좌우측 스위치 중 한 곳만 눌러도 과급기능 해지가 되도록 ECU에 입력해 둔다.
상기와 같이 분사(10)된 공압은 흡기관(2)내부의 공기들을 흡기밸브(3)가 위치한쪽으로 강하게 밀어 붙임으로서 연소실내부로 많은 량의 공기가 신속하게 밀려들어가게 됨으로 연소실 내부는 평소보다 많은 량의 공기가 과급되게 된다. 그럼 ECU는 더 많은 량의 연료를 분사시켜서 강한 폭발을 유도하여 보다 더 큰 출력을 엔진이 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분사노즐을 설치하는 위치는 흡기밸브(3)에 인접한쪽이 과급을 하기에 유리할 것이며 분사방향은 흡기밸브쪽을 향하여야 하며 위치는 엔진들의 형상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정에서 분사노즐에 의한 공압의 분사가 흡기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 모두에 걸쳐서 분사가 이루어 질 경우 공압을 발생시키는 데에 따른 에너지의 과소비가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공압(11)분사시기를 흡기밸브가 열리기 시작해서 흡기밸브가 닫히는 때 까지만 열릴 수 있게 ECU에 입력을 시켜주면 4행정중 흡기1행정 동안만 공압의 분사가 이루어짐으로서 공압을 발생시키는 에너지가 1/4로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할 경우 공압 발생용 콤프레서와 공압저장탱크를 더 소형화 할 수가 있어서 경량화 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ECU(21)는 TDC(22)의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연료분사 시기를 각 실린더별로 제어하듯, 공압(11) 분사 역시 솔레노이드밸브(14)를 통해서 각각의 공압분사노즐(9)들을 흡기행정 때에만 열리게 제어해 주게 된다.
기존의 터보챠저 엔진들은 급가속시 순간 과급이 이루어 지지 않아서 매연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데 본원 출원에 의한 과급법은 충분한 과급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짐으로 급가속을 했음에도 기존 엔진처럼 매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원 출원에 의한 과급방식은 기존의 터보챠저 엔진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자연흡기식 엔진에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기화기식 엔진보다는 직분사엔진에 적용했을 때 더 효율적이다.
상기의 내용들을 도1과 도2를 참조하여서 함축하여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내연기관등에서 출력향상을 위해서 설치하는 과급기에 있어서, 실린더헤더(15)에 연결되어서 흡입기(1)를 각각의 실린더속으로 골고루 빨려들게 분산유도해주는 흡기매니폴드(16)의 배면에 노즐삽입구(26)들을 뚫어주고, 이 노즐삽입구에 솔레노이드밸브(14)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공압분사노즐(9)들을 실린더 기통 수만큼 흡기밸브(3)쪽으로 향하게 결속시킨 뒤, 이 분사노즐(9)들의 뒤쪽에 공압분배관(13)을 연결하고, 이 공압분배관을 공압압축기(24)에 연결되어 있는 공압저장탱크(12)에 연결시켜서 공압라인을 완성시킨 뒤, 공압을 개폐해줄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14) 들과 과급선택스위치(19)(20)들을 ECU에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이다.
상기에서 두개의 공압선택스위치(19)(20)를 운전석의 조향핸들에 핸들에 설치하여 두 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야 공압분사노즐이 열리게 한 것이 특징인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이다.
상기에서 공압분사노즐이 흡기밸브가 열리는 흡기행정에만 분사가 이루어지게 ECU(21)에 설정한 것이 특징인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이다.
이처럼 공압 분사에 의한 과급법은, 공압을 필요로 할 때 순간적으로 과급을 해 주어야 하는 특성상, 공압을 분사해주는 위치가 흡기밸브 쪽에 최대한 가까운 쪽이어야 흡기밸브를 거쳐서 실린더 속으로 최대한 단 시간에 많은 량의 흡입기를 불어 넣을 수가 있다.
그러다 보니 분사노즐의 설치 위치를 실린더 헤드에 인접한 흡입관쪽 내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실린더 개수만큼 노즐의 개수가 늘어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한 이유로 해서 노즐의 설치 위치를 흡기 매니폴드의 몸통배관(매니폴드배관이 실린더헤드의 흡 배기관로로 나뉘기 전의 부분)에 한 개의 노즐만 설치하여 공압을 분사하면, 도 4처럼 분사 효율은 다소 떨어지지만, 설치해야하는 노즐의 개수도 줄고 구조도 간단해 지게 되는데 이를 도 4를 보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압 압축기(24)와 압축된 공압을 저장할 수 있는 공압탱크(12)를 구비하고, 이 공압탱크에 공압(11)을 개폐해 줄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14a)를 연결하고, 이 솔레노이드밸브의 타단에 공압분배관(13a)을 연결하고, 이 공압 분배관의 연결구에 흡기쪽 공압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연결관(28)을 각각 연결하고, 이 흡기쪽 공압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연결관(28)의 타단에; 흡기매니폴드(16)와 배기매니폴드(17)의 관로 안에서 흡입기(1)와 배기가스(6)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공압이 분사(10)되게 각각 부착시킨 흡기쪽 공압분사노즐(9a)과 배기쪽 공압분사노즐(9a)에 각각 연결하여서 공압 분사라인을 완성시키고; 공압(11)을 개폐해줄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14a)와 과급선택스위치(20a)를 ECU에 연결선(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이다.
이렇게 완성된 공압 분사라인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ECU(21)에 연결된 선택스위치(20a)를 통해 ECU에 신호를 주면 ECU가 솔레노이드밸브(14a)를 작동시켜 공압을 분사하게 해준다.
상기내용을 좀더 요약해 보면, 공압탱크(12)에 솔레노이드밸브(14a)를 연결하고, 이 솔레노이드밸브의 타단에 공압분배관(13a)을 연결하고, 이 공압 분배관의 연결구에 흡기쪽 공압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연결관(28)을 각각 연결하고, 이 흡기쪽 공압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연결관(28)의 타단에, 흡기쪽 공압분사노즐(9a)과 배기쪽 공압분사노즐(9a)을 연결하여; 흡기매니폴드(16)와 배기매니폴드(17)의 관로 안에서 흡입기(1)와 배기가스(6)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공압이 분사(10)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에 의한 내연기관 과급기이다.
높은 압력의 공압(11)을 흡기 및 배기관로 속에서 흡기 및 배기가스의 진행방향으로 분사(10)시켜서 흡기 및 배기관로안의 압력을 높여줌으로 하여서 연소실 속으로 급 과급이 되게 하여서, 미연소 되는 배출가스 없이 급가속을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의 공압라인을 장착하는 순서는 알아보면, 공압탱크(12)에 공압 개폐용 솔레노이드밸브(14a)를 사이에 두고, 다수개의 연결구를 가진 공압 분배관(13a)을 연결해 준다. 그리고 흡기매니폴드(16)와 배기매니폴드(17)의 관로 안에서 흡입기(1)와 배기가스(6)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공압이 분사(10)되게 각각의 공압 분사용 노즐(9a)을 장착시킨다. 그런 뒤에 흡기쪽 공압 분사용 노즐(9a)과 배기쪽 공압 분사노즐(9a)을 각각의 흡기쪽 공압 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 연결관(28) 으로 상기의 공압 분배관(13a)의 연결구에 연결하여 공압을 노즐 쪽으로 보낼 수 있게 해준다.
상기에서 분사노즐을 설치하는 위치는 흡기매니폴드 및 배기매니폴드에 설치하여야 하며, 가장 설치효율이 높은 위치는 도 4에서 처럼 매니폴드관이 여러 개의 관으로 분리가 되지 않은 지점에 각각 의 공기흐름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렇게 공압분사 라인을 완성시키고, 공압을 분사하여 과급기능을 발휘 하려하면, 공압탱크 안에 압축된 공압을 쉽게 열어주었다 닫았다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ECU를 중심으로 공압 개폐용 솔레노이드밸브(14a)와 선택스위치(20a)가 전기 전원적으로 도 4에서 처럼 서로 연결 되어야한다.
이렇게 선택적으로 공압을 분사하면, 높은 압력의 공압(11)을 흡기 및 배기관로 속에서 흡기 및 배기가스의 진행방향으로 분사(10)시켜서 흡기 및 배기관로안의 압력을 높여줌으로 하여서 연소실 속으로 급 과급이 되게 하여서, 미연소 되는 배출가스 없이 급가속을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필요시에 선택스위치(20a)를 사용해 자동차의 출력을 높여 가속성능과 응답성을 좋게 할 수가 있다.
상기 흡기관쪽과는 반대로 배기관 쪽에서는 더 빠르고 많은 량의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줌으로서 자동차의 츨력을 증대 시켜서 가속 성능을 향상 시켜 준다.
상기 배기 매니폴드 쪽의 공압 분사노즐은 선택 사항으로 설치 않을 수도 있지만, 흡기 및 배기 양쪽 매니폴드 모두에 설치 해 주어야 더 큰 출력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공압라인에 과급선택스위치(20a)를 켜서 공압을 분사할 때 관내에서는 공압이 분사되는 쪽으로 분사되는 공압에 의하여 관내의 유체가 압축이 되어져 압력이 증가하게 됨으로서 진행 방향으로 더 빠르고 많은 량의 기체가 지나가게 되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사노즐을 설치하는 위치는 하나의 관에서 실린더별로 여러개의 관으로 나누어 지기 전의 위치(흡배기 매니폴드의 분배되기 전의 원 관로쪽)가 과급을 하기에 유리할 것이며 분사방향은 흡기 및 배기가스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향하여야 하며, 정확한 위치는 엔진들의 형상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을 것이다.
도1과 도4에서 적용된 공압 분사노즐은, 공압을 개폐해 주는 역할은 같지만 형태는 서로 조금 다르다.
도 1에서 적용한 분사노즐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겸비한 공압 분사노즐 으로서, 앞쪽으로는 미세한 구멍이 뚫려있는 노즐끝부분과 매니폴드의 노즐삽입구에 돌려서 끼울 수 있는 나사산을 구비하였고, 중간쪽 몸통부분에는 공압을 개폐해 줄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어 있으며, 뒤쪽에도 공압분배관에 끼울 수 있게 나사산이 만들어져 있으며, 노즐 끝부분이 일자형이다.
도 4에서 적용한 분사노즐은 솔레노이드밸브 없이 분사노즐부분으로만 구성되어있으며, 노즐 끝부분이 ㄱ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형태이다.
1 : 흡입기 2 : 흡입관 3 : 흡입밸브
4 : 배기밸브 5 : 배기관 6 : 배출가스
7 : 연소실 8 : 피스톤 9 : 공압분사노즐
9a : 공압분사노즐 10 : 공압분사 11 : 공압
12 : 공압탱크 13 : 공압분배관 13a : 공압분배관
14 : 솔레노이드밸브 14a : 솔레노이드밸브 15 : 실린더헤드
16 : 흡기매니폴드 17 : 배기매니폴드 18 : 핸들
19 : 좌측선택스위치 20 : 우측선택스위치 20a : 선택스위치
21 : ECU 22 : TDC 23 : 터보차저
24 : 콤프레서 25 : 분사노즐연결구 26 : 노즐삽입구
27 : 흡기쪽공압연결관 28 : 배기쪽공압연결관 30 : 연결선

Claims (4)

  1. 내연기관의 출력향상을 위해서 설치하는 과급기에 있어서, 공압압축기(24)와 압축된 공압을 저장할 수 있는 공압탱크(12)를 구비하고, 이 공압탱크에 공압분배관(13)을 연결하고, 이 공압분배관에 솔레노이드밸브(14)가 부착된 공압분사노즐(9)을 연결하고, 이 공압분사노즐을 흡기매니폴드(16)의 배면에서 흡기관(2)내측의 흡기밸브(3)쪽으로 실린더 개수만큼 연결한 뒤, ECU(21)에 연결된 선택스위치(19)(20)로 솔레노이드밸브(14)들을 작동시켜서, 공압(11)을 흡기관로(2) 속에서 흡기밸브(3)쪽으로 분사(10)시켜서, 급과급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에 의한 내연기관 과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두개의 공압선택스위치(19)(20)를 운전석의 조향 핸들에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에 의한 내연기관 과급기.
  3. 제 1항에 있어서,
    공압분사노즐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흡기밸브가 열리는 흡기행정에만 분사가 이루어지게 ECU(21)에 설정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에 의한 내연기관 과급기.
  4. 제 1항에 있어서,
    공압탱크(12)에 솔레노이드밸브(14a)를 연결하고, 이 솔레노이드밸브의 타단에 공압분배관(13a)을 연결하고, 이 공압 분배관의 연결구에 흡기쪽 공압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연결관(28)을 각각 연결하고, 이 흡기쪽 공압연결관(27)과 배기쪽 공압연결관(28)의 타단에, 흡기쪽 공압분사노즐(9a)과 배기쪽 공압분사노즐(9a)을 연결하여; 흡기매니폴드(16)와 배기매니폴드(17)의 관로 안에서 흡입기(1)와 배기가스(6)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공압이 분사(10)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에 의한 내연기관 과급기.
KR1020160040075A 2015-04-06 2016-04-01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KR20160119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447 2015-04-06
KR20150048447 2015-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700A true KR20160119700A (ko) 2016-10-14

Family

ID=5715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075A KR20160119700A (ko) 2015-04-06 2016-04-01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9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90B1 (ko) * 2018-11-28 2020-05-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노즐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흡기 매니폴드
KR20210056118A (ko) * 2019-11-08 2021-05-18 박기민 공압조향수단을 구비한 자주형 농기계
IT202000000991A1 (it) * 2020-01-20 2021-07-20 Fpt Ind Spa Impianto motore di veicolo provvisto di un turbocompressore di sovralimentazione, e metodo di controllo per comandare tale impianto moto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90B1 (ko) * 2018-11-28 2020-05-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노즐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흡기 매니폴드
KR20210056118A (ko) * 2019-11-08 2021-05-18 박기민 공압조향수단을 구비한 자주형 농기계
IT202000000991A1 (it) * 2020-01-20 2021-07-20 Fpt Ind Spa Impianto motore di veicolo provvisto di un turbocompressore di sovralimentazione, e metodo di controllo per comandare tale impianto motore
WO2021148958A1 (en) * 2020-01-20 2021-07-29 Fpt Industrial S.P.A. Vehicle engine system provided with a turbocharger,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uch engine system
US11815040B2 (en) 2020-01-20 2023-11-14 Fpt Industrial S.P.A. Vehicle engine system provided with a turbocharger,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uch engin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525B2 (en) System for improving gas distribution in an intake manifold
CN104884772A (zh) 带涡轮增压器的发动机
JPS6060007B2 (ja) カウンタフロ−型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8567365B2 (en) Vacuum port having a flow disruptor
US8776768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CN105026722A (zh) 用于内燃机的控制装置
US10451012B2 (en) Gaseous fuel combus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570834B2 (en) Supercharging for improved engine braking and transient performance
KR20160119700A (ko)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JP6641206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S5934850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20100031926A1 (en) Intake manifold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0330059B2 (en) Vacuum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vacuum system
WO2016163703A1 (ko)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JPS5990720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5911297B2 (ja) 内燃機関
KR20170111560A (ko) 선택적 내연기관 과급기
JP4614134B2 (ja) 過給機付内燃機関
JP3215654U (ja) 全地形万能車または多用途車の過給及び蓄圧構造
JP3215653U (ja) 全地形万能車または多用途車の過給構造
JP3215655U (ja) 全地形万能車または多用途車の過給構造
CN113006981B (zh) 一种用于气体机的进气调控方法
JPS5999028A (ja) タ−ボ過給機付きデイ−ゼル機関における不足空気の吹込み装置
CN116447167A (zh) 进气补偿方法和带进气补偿结构的涡轮增压控制装置
KR100488777B1 (ko) 자동차용 디젤 엔진의 고압 공기 공급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