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545A -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 - Google Patents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545A
KR20160118545A KR1020150046827A KR20150046827A KR20160118545A KR 20160118545 A KR20160118545 A KR 20160118545A KR 1020150046827 A KR1020150046827 A KR 1020150046827A KR 20150046827 A KR20150046827 A KR 20150046827A KR 20160118545 A KR20160118545 A KR 2016011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fresh
composition
propolis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079B1 (ko
Inventor
우순옥
한상미
홍인표
여주홍
이만영
최용수
심하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04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0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유통기한이 연장됨과 동시에 이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는 수세된 상태로 상품화가 되므로 바로 섭취가 가능하게 되어, 소비자들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장기적으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Composition for shelf-life extension of fresh-cut leaf vegetable or fresh-cut fruit vegetable and the shelf-life extension method of fresh-cut leaf vegetable or fresh-cut fruit veget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장기적으로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보관가능하도록 해주는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 선도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엽채류(葉菜類, leaf vegetable)는 배추, 상추, 시금치 등과 같이 잎을 이용 목적으로 하는 채소의 총칭이며, 잎줄기채소라고도 한다.
또한, 과채류(果菜類, fruit vegetable)는 열매를 식용으로 하는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열매채소라고도 한다.
이러한 엽채류 또는 과채류는 다른 야채보다 섬유가 적고 연약하여 쉽게 씹을 수 있어 생식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금방 시들거나 부패하는 등의 상품성 저하가 빨라 저장성이 떨어진다. 특히나 신선한 상태 그대로 용이하게 소비자들이 섭취가능하게 제작되는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는 원재료 그대로를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먹기 용이하도록 전처리 작업(수세과정, 세절과정 등)을 거친 후 제품화가 되므로, 부패가 더 빨리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저장시 갖추어야할 요구조건은 크게 네가지로 볼 수 있는데, 첫째로는 적당한 호흡작용 억제, 둘째는 수분증발 억제, 셋째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 억제, 넷째는 표면 충격완화이다. 이들 저장 요구조건을 해소하여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공개기술로는 한국특허출원 특1975-0000587호(농산물의 선도 유지방법), 한국특허출원 특1988-0005504호(과실 및 야채의 저장방법) 및 한국특허출원 10-2005-0010468호(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별도의 특정 포장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비용이 추가될 우려가 있으면서 별도의 포장처리작업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해 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기존 유통 대비 그 기한을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의 경우에는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의 경우에는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는 양상추, 배추, 상추, 시금치, 브로컬리, 쑥갓, 깻잎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신선편이 과채류는 토마토, 방울토마토, 가지, 오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인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은, 프로폴리스 용액과 물을 혼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수세 또는 세절하여 신선편이 엽채류를 제조한 후 이를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침지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침지시킨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건져낸 다음 탈수한 후 이를 냉장보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보관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유통기한이 연장됨으로 인해,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가 수세 또는 세절된 상태로 상품화가 되더라도 소비자들이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장기적으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 선도유지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신선편이 양상추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이를 상온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신선편이 양상추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이를 냉장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신선편이 양상추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냉장 3일간 보관한 다음 이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신선편이 방울토마토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냉장 12일간 보관한 다음 이들의 신선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신선편이 깻잎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보관온도 및 시간에 따른 신선편이 깻잎의 형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신선편이 깻잎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냉장 3일간 보관한 다음 이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신선편이 상추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저장기간 별 이들의 형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신선편이 상추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냉장 3일간 보관한 다음 이들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조성물에는 프로폴리스 용액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식물로부터 수지(resin)를 수집하여 자신이 분비한 타액과 왁스를 혼합하여 만든 물질로서 식물성 수지, 왁스, 정유, 화분, 플라보노이드 및 기타 유기물과 미네랄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폴리스의 주요작용은 항균·항염증 작용, 진통·마취작용, 면역작용, 항산화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암작용, 항HIV·항AIDS 작용 등 생체 면역기능 활성화 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함유된 식물 유래의 페놀성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에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효능을 나타내는 프로폴리스를 본 발명의 목적인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 선도 유지를 위해 이용하여 여러차례 연구한 바, 하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프로폴리스 용액의 특정조건(적용농도 및 선도유지가능 제조단계)들을 알아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 선도유지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제조단계이다(S1O). 본 단계에서는 물과 프로폴리스 용액을 혼합하여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소비자들이 구입 후 바로 섭취가능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포장전에 수확한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반드시 불순물 제거 등을 위한 수세과정을 거쳐야 하며, 또한 바로 섭취가능해야 하므로 양배추와 같이 큰 엽채류들은 세절과정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상기 수세과정 또는 세절과정을 거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경우에는 단순히 포장작업을 거쳐 제품화를 하게 되면 잔존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부패가 일어나거나, 세절로 인해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는 표면이 많아 장기보관시 갈변이 많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세 또는 세절과정을 거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 선도유지를 가능케 하는 방법을 알아내고자 여러차례 연구한 바, 프로폴리스 용액을 물과 혼합하여 선도 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에는 프로폴리스가 프로폴리스 용액 전체중량대비 10~25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인 것으로, 상기 프로폴리스 농도가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용액상에 함유된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너무 적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선도유지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액상에 함유된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너무 많아 다 용해되지 않을 우려가 있어, 엽채류 또는 과채류에 적용하게 되면 용해되지 않은 프로폴리스의 잔존물로 인해 소비자들의 식감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의 경우에는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도 3 및 도 4,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함유된 프로폴리스 용액의 함량이 너무 적어 신선편이 엽채류의 갈변이 발생되거나 장기 공기노출로 인한 건조현상이 나타나 장기 선도유지가 불가하며, 0.1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함유된 프로폴리스 용액의 함량이 너무 많아 오히려 프로폴리스 용액에 의한 갈변이 발생되어 신선편이 엽채류의 장기 선도유지가 불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의 경우에는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함유된 프로폴리스 용액의 함량이 너무 적어 신선편이 과채류의 무름현상이 발생되어 장기 선도유지가 불가하며, 1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초과함량에 따른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어,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침지하는 단계이다(S20). 본 단계에서는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수세 또는 세절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로 제조한 후 이를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침지시키는 것으로서, 본 단계를 통해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내부에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이 스며들거나 표면에 코팅되어 갈변방지 및 산화방지로 인한 장기 선도유지보관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로는 양상추, 배추, 상추, 시금치, 브로컬리, 쑥갓, 깻잎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상기 신선편이 과채류로는 토마토, 방울토마토, 가지, 오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러한 엽채류 또는 과채류는 다른 야채보다 섬유가 적고 연약하여 오랫동안 침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침지시킬 시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는 상온(20~25℃)에서 1~10분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물러짐 없이 원상태 그대로를 유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이어, 장기적으로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 제조단계이다(S3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침지시킨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건져낸 다음 탈수한 후 이를 냉장보관함으로써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장기 선도유지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보관은 필수과정인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은 침지과정을 거쳐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장기 선도유지를 하는 것이므로, 탈수과정을 거치더라도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에 잔존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오히려 부패의 원인을 일으켜 장기 선도유지가 어렵게 된다. 이에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를 침지시킨 후 이를 탈수한 다음에는 반드시 냉장보관하여야 하며, 냉장보관할 경우에는 신선편이 엽채류의 경우 최대 6일(통상적인 신선편이 엽채류의 냉장저장기간은 2~3일정도임), 신선편이 과채류의 경우 최대 12일(통상적인 신선편이 과채류의 냉장저장기간은 5~7일정도임)까지 선도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1 제조
프로폴리스 1kg을 3.5L의 80% 주정에 용해시켜 용액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 이 용액을 필터한 후 19중량%의 프로폴리스가 함유된 용액(프로폴리스 측정기로 확인한 바, 36 brix를 나타냄)으로 맞추기 위하여 농축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폴리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 0.01㎖와 물 100㎖을 혼합하여 상기 프로폴리스 농도가 0.01중량%로 함유된 선도유지용 조성물1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2 제조
프로폴리스 용액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프로폴리스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 0.1㎖와 물 100㎖을 혼합하여 상기 프로폴리스 농도가 0.1중량%로 함유된 선도유지용 조성물2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조성물3 제조
프로폴리스 용액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프로폴리스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 1㎖와 물 100㎖을 혼합하여 상기 프로폴리스 농도가 1중량%로 함유된 선도유지용 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양상추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각각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준비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수세 및 세절한 양상추를 각각 넣어 상온(23℃)에서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이내로 탈수한 다음 냉장(4℃)보관하여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양상추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상추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각각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준비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수세한 상추를 각각 넣어 상온(23℃)에서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이내로 탈수한 다음 냉장(4℃)보관하여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상추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깻잎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각각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준비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수세한 깻잎을 각각 넣어 상온(23℃)에서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이내로 탈수한 다음 냉장(4℃)보관하여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깻잎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방울토마토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각각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준비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수세한 신선편이 방울토마토를 각각 넣어 상온(23℃)에서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이내로 탈수한 다음 냉장(4℃)보관하여 본 발명의 장기 선도유지가 가능한 신선편이 방울토마토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신선편이 양상추 저장성 확인
1. 실험방법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신선채소인 양상추에 적용하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과 프로폴리스를 농도별로 혼합하여 제조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수세후 세절한 신선편이 양상추를 각각 넣고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 내로 탈수 처리한 다음 상온(23℃) 또는 냉장(4℃) 보관하여 기간별로 본 실험에 해당되는 신선편이 양상추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온에 보관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처리는 갈변과 무름현상이 심해졌고, 프로폴리스 농도를 0.1중량%로 처리하였을 경우 갈변과 무름현상이 가장 적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 농도를 1중량%로 높였을 때는 오히려 갈변 현상과 무름현상이 0.1중량%에 비하여 더 심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달리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장보관시에는 3일 후에는 무처리는 갈변현상이 나타났지만 프로폴리스를 저농도로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갈변이 일어나지 않았다. 프로폴리스를 1중량%로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수세하면서 바로 갈변현상이 생겨 계속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0.01중량%와 0.1중량% 처리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처리 6일 후에서도 자른 부위에서 갈변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 실험예 2> 프로폴리스 용액 처리 후 신선편이 양상추의 관능 검사
프로폴리스 용액 농도별 처리 후 냉장보관 6일 다음 각 농도별 신선편이 양상추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신선편이 양상추의 신선도, 갈변도 및 맛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대 ~ 50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명씩 총 50명을 선발하여 관능검사를 진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육안으로 신선도 및 색상 등을 관찰하여 5점 채점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프로폴리스 농도(%) 무처리 0.001 0.01 0.1 1
신선도 3 4 5 5 4
갈변도 4 3 1 1 4
4 5 5 5 4
* 신선도; 5(아주좋음), 4(조금좋음), 3(보통)
* 갈변도: 1(거의 갈변되지 않음), 2(약간 갈변), 3(보통), 4(조금 많이 갈변)
* 맛: 5(신선한 맛), 4(향이 조금 감소)
상기 표 1의 관능검사 결과를 살펴 볼 때, 프로폴리스 처리 후 냉장보관을 6일한 신선편이 양상추의 경우 프로폴리스 용액 0.01~0.1중량% 처리한 구에서는 신선도의 변화가 없었고, 갈변이 일어나지 않았다. 맛도 처리하기 전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의 처리농도가 높을 경우(1 중량% 초과) 양상추는 오히려 갈변현상이 심해지고 신선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본 발명의 신선편이 양상추의 경도 확인
1. 실험방법
경도 측정은 경도 측정기로 하되, 농도별로 냉장 3일 보관된 양상추 5장정도각각 겹쳐 놓고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프로폴리스 처리 신선편이 양상추의 경도는 프로폴리스 농도 0.1중량%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값(20N)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4> 신선편이 방울토마토 신선도 확인
1. 실험방법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신선편이 방울토마토에 적용하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과 프로폴리스를 농도별로 혼합하여 제조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수세한 신선편이 방울토마토를 각각 넣고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 내로 탈수 처리한 다음 냉장(4℃) 보관하여 본 실험을 확인하였다.
경도 측정은 경도 측정기로 하되, 냉장 기간별로 보관된 신선편이 방울토마토를 대상으로 농도별로 각각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방울토마토의 경우에는 12일 지난 후에도 프로폴리스 용액 0.01~1중량%를 처리한 처리구에서 신선한 상태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즉, 방울토마토는 양상추와 달리 껍질이 있는 과채류이기 때문에 프로폴리스 처리에 의하여 신선도가 더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실험예 5> 신선편이 깻잎 저장성 확인
1. 실험방법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신선채소인 깻잎에 적용하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과 프로폴리스를 농도별로 혼합하여 제조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수세한 신선편이 깻잎을 각각 넣고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 내로 탈수 처리한 다음 상온(23℃) 또는 냉장(4℃) 보관하여 기간별로 본 실험에 해당되는 신선편이 깻잎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 0.01 중량% 처리 후 냉장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저장상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본 발명의 신선편이 깻잎의 경도 확인
1. 실험방법
경도 측정은 경도 측정기로 하되, 농도별로 냉장 3일 보관된 깻잎 5장정도 각각 겹쳐 놓고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프로폴리스 처리 신선편이 깻잎의 경도는 무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바, 이는 장기보관으로 인해 깻잎의 표면이 건조해짐에 따라 질겨져 경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며, 프로폴리스 처리구에서는 이보다 낮은 경도를 나타나는 바, 프로폴리스 처리로 인해 표면 건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7> 신선편이 상추 저장성 확인
1. 실험방법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신선채소인 상추에 적용하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과 프로폴리스를 농도별로 혼합하여 제조된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수세한 후 신선편이 상추를 각각 넣고 5분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꺼내어 1분 내로 탈수 처리한 다음 상온(23℃)에서 3일, 저온(4℃)에서 10일간 보관하여 본 실험을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장처리시 프로폴리스 용액 0.01~0.1중량% 처리한 구에서 신선편이 상추의 저장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 실험예 8> 본 발명의 신선편이 상추의 경도 확인
1. 실험방법
경도 측정은 경도 측정기로 하되, 농도별로 냉장 3일 보관된 신선편이 상추 5장정도 각각 겹쳐 놓고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프로폴리스 처리 신선편이 상추의 경도는 프로폴리스 농도 0.1중량%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값(20N)을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들로 프로폴리스 용액은 신선편이 엽채류 또는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이에 프로폴리스 용액을 신선채소의 유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프로폴리스 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중량%인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된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편이 엽채류는 양상추, 배추, 상추, 시금치, 브로컬리, 쑥갓, 깻잎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5. 프로폴리스 용액과 물을 혼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엽채류를 수세 또는 세절하여 신선편이 엽채류를 제조한 후 이를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침지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침지시킨 신선편이 엽채류를 건져낸 다음 탈수한 후 이를 냉장보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신선편이 엽채류의 장기보관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에는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0.01~0.1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7. 프로폴리스 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중량%인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선택된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편이 과채류는 토마토, 방울토마토, 가지, 오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
  11. 프로폴리스 용액과 물을 혼합하여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과채류를 수세 또는 세절하여 신선편이 과채류를 제조한 후 이를 상기 선도유지용 조성물에 침지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침지시킨 신선편이 과채류를 건져낸 다음 탈수한 후 이를 냉장보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신선편이 과채류의 장기보관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용 조성물에는 상기 프로폴리스 용액이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0.01~1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신선편이 과채류의 선도유지방법.
KR1020150046827A 2015-04-02 2015-04-02 신선편이 엽채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KR10174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27A KR101743079B1 (ko) 2015-04-02 2015-04-02 신선편이 엽채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27A KR101743079B1 (ko) 2015-04-02 2015-04-02 신선편이 엽채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45A true KR20160118545A (ko) 2016-10-12
KR101743079B1 KR101743079B1 (ko) 2017-06-05

Family

ID=5717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827A KR101743079B1 (ko) 2015-04-02 2015-04-02 신선편이 엽채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0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034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아스파라거스의 저장성 및 기능성 향상 방법
KR20180114432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대도 폐열 활용 기술을 이용한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190030118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대도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CN115428826A (zh) * 2022-08-12 2022-12-06 无锡海核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静电场结合溶液浸泡实现气调果菜长效保鲜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224B1 (ko) 2020-04-29 2023-0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이용한 신선편이 파프리카 및 그 제조방법
KR102477936B1 (ko) 2020-07-10 2022-1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편이 파프리카 침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034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아스파라거스의 저장성 및 기능성 향상 방법
KR20180114432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대도 폐열 활용 기술을 이용한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190030118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대도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CN115428826A (zh) * 2022-08-12 2022-12-06 无锡海核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静电场结合溶液浸泡实现气调果菜长效保鲜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079B1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079B1 (ko) 신선편이 엽채류 선도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엽채류의 선도유지방법
US9044045B2 (en) Antibrowning compositions
CN103999929B (zh) 一种苹果、梨保鲜剂及其使用方法
KR101278762B1 (ko) 과일, 채소류 갈변억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변 억제 방법
CN103109924A (zh) 一种含精氨酸的功能性果蔬保鲜剂
Zakipour Rahimabadi et al. The Effects of Coating and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on Chemical Attributes of Silver Carp Fillet Stored at 4ºC.
US3518096A (en) Food preserving process
KR101240297B1 (ko) 신선편이 바나나 제조용 침지 수용액과 그것을 사용한 신선편이 바나나의 제조 방법
Rahimabadi et al. The effects of coating and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on chemical attributes of silver carp fillet stored at 4° C.
KR20180019011A (ko) 효과적인 마의 갈변방지 공정
KR101203950B1 (ko) 딸기 당절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딸기 당절임
KR20160084050A (ko) 항산화와 갈변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항산화능 향상 및 갈변 억제 방법
KR101947086B1 (ko) 마의 갈변방지를 위한 기능성 조성물
Pérez-Cago et al. Effect of whey protein-beeswax edible composite coating on color change of fresh-cut persimmons cv. Rojo Brillante
KR102058134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13550B1 (ko)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 방법
JP4073119B2 (ja) 食品保存剤
KR101098494B1 (ko) 홍삼추출액과 솔잎추출액을 함유하는 굴비 제조방법
KR102477936B1 (ko) 신선편이 파프리카 침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01633A1 (en) Agent for preserving quality of peeled and/or cut vegetable or fruit and/or seafood
WO2013147227A1 (ja) 皮むき及び/又はカット野菜・果物、及び/又は、魚介類の品質保持剤
KR101901629B1 (ko) 고등어의 가공 방법
KR102673463B1 (ko) 과채류 갈변 방지제 조성물
Ramos-García et al. Antimicrobial compounds added in edible coatings for use in horticultural products.
KR102440111B1 (ko) 신선편이 농산물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을 이용한 갈변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