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176A -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176A
KR20160118176A KR1020160124821A KR20160124821A KR20160118176A KR 20160118176 A KR20160118176 A KR 20160118176A KR 1020160124821 A KR1020160124821 A KR 1020160124821A KR 20160124821 A KR20160124821 A KR 20160124821A KR 20160118176 A KR20160118176 A KR 2016011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ignal
beacon
wireless access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297B1 (ko
Inventor
박원기
이호진
김대웅
임향섭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9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01S5/0289Relative positioning of multiple transceivers, e.g. in ad hoc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기반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집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결정부에서,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LOCATION SERVICE BASED ON HYBRI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콘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측위 서비스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GPS, 와이파이(WIFI) 등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위치에 기초하여 실내 지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GPS, 와이파이의 경우, 건물 내부에서 측정된 단말의 위치 오차가 커서, 적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일례로, 건물 내부의 층간 이동 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실내 지도 상에 사용자의 위치가 잘못 디스플레이된다. 엘리베이터의 경우, 층간에 벽이 없이 전층에 걸쳐 하나의 통로로 뚫려 있기 때문에 와이파이(WiFi)이 신호가 전층에 걸쳐 전파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2층에서 5층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에서 내리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5층임에도 2층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외에, 엘리베이터로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 5층 엘리베이터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위치가 2층, 3층 등과 같이 전혀 다르게 디스플레이된다.
이처럼, 와이파이 신호가 층간을 이동하여 전파되는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위치가 잘못 결정됨에 따라, 결국 잘못 결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5층 엘리베이터 주변 상점에 위치하고 있는 데, 2층의 실내 지도, 혹은 2층의 관심 지점(POI) 등과 같이 잘못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층간 이동을 하거나, 혹은 층간 이동을 제공하는 수단(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주변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교하게 측정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와이파이(WiFi) 신호가 잘 안잡히거나,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측위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공간에서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교하게 측정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건물 내부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의 상태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를 절감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 위치 결정부, 및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이 수행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집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결정부에서,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집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결정부에서,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은, 상기 설치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가 포함된 경우,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부, 및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가 포함된 경우,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WiFi) 신호가 잘 안잡히거나,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측위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공간에서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다.
건물 내부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의 상태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세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배치된 비콘 송신기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측위를 수행하는 상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측위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와이파이(WiFi) 신호 및 비콘(Beacon) 신호를 혼용하여 무선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사용자가 소진한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에는 와이파이 신호와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API 4.3 이상, IOS7 이상, 블루투스 4.0 이상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이 이용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4.3 미만의 경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블루투스 3.0을 이용하여 비콘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들에서, 무선 측위 시스템은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를 혼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서버에서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측위 시스템이 서버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비콘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101),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Access Point: AP, 102), 및 사용자 단말(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콘 송신기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구분하여 설명하나, 비콘 송신기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하나로서 블루투스 표준 규격에 따라 비콘(beacon)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와이파이 통신 규격에 따라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신호, 와이파이 신호 이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다양한 신호들을 혼용하여 무선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101)은 사용자 단말(103)에 장착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WiFi 신호와 같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건물 내부에서 층간 이동하여 전파되는 특정 장소에 기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내부의 각 층 별로 엘리베이터가 위치하는 주변 천장에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101)이 기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101)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탑재될 수도 있다.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102)은 건물 내부의 상점, 건물 내부의 통로 천장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102) 중 적어도 하나는 비콘 송신기들(101)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송신기를 탑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비콘 송신기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비콘 송신기가 탈부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건물 내부를 이동하면서 건물 내부에 배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102) 및 비콘 송신기들(101)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및 비콘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3)은 건물 내부의 통로를 이동하면서 통로의 천장에 배치된 와이파이 송신기로부터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이 건물 내부의 층간 이동 수단 근처에 위치하거나 혹은 층간 이동 시 비콘 송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외에, 비콘 송신기 주변에 와이파이 송신기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콘 송신기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준 반경 이내에 와이파이 송신기가 존재하거나, 와이파이 송신기에 비콘 송신기가 탑재된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비콘 신호와 와이파이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은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한 무선 측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3)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3)에서 수집된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건물 내부의 실내 지도, 길안내, 행사 정보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3)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3)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배치된 비콘 송신기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건물 내부의 통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건물 내부의 각 상점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비콘 송신기들은 건물의 지하 주차장,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주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이 비콘 송신기들보다 다수 배치되며, 비콘 송신기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잘 안잡히는 음영 지역(예를 들어, 주차장,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에서 무선 측위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예를 들면, 비콘 송신기들(B)은 건물 내부의 각 층별 엘리베이터 주변 장소(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위치하는 해당 층의 천장), 에스컬레이터가 시작되는 장소, 에스컬레이터 중간에 해당하는 장소, 및 에스컬레이터가 끝나는 장소 등에 배치될 수 있다.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상행 에스컬레이터를 예로 들면, 에스컬레이터가 시작되는 1층의 에스컬레이터 주변 시설물(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주변 1층 매장의 카운터, 기둥, 매대 등)에 비콘 송신기1(201)가 배치되고, 광고판 등과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중간 위치에도 비콘 송신기2(202)가 배치되고, 에스컬레이터가 끝나는 2층의 에스컬레이터 주변 시설물(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주변 2층 매장의 카운터, 기둥, 매대 등)에 비콘 송신기3(20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송신기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송신기1(201) 주변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1(204)가 배치되고, 비콘 송신기3(203) 주변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2(205)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3(206)이 배치되고, 비콘 송신기4(207) 주변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4(208)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송신기들과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천장에서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비콘 신호의 패킷 구조는 저전력 기반인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패킷 구조를 나타내며, 패킷은 1byte의 프리앰블(preamble), 4bytes의 접속주소(Access Address), 2 내지 39 bytes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및 3byts의 CRC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2bytes의 헤더(header), 6bytes의 맥 주소(MAC Address), 및 31bytes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비콘 신호마다 부여된 고유의 식별 정보(Major, Min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비콘 신호마다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수신된 각 비콘 신호를 구분할 수 있으며, 수신된 비콘 신호가 어느 비콘 송신기에 해당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은 프로세서(410), 버스(4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 메모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40)는 운영체제(441) 및 무선 측위 서비스 제공 루틴(4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정보 수신부(411), 위치 결정부(412), 및 서비스 제공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은 도 4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4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40)에는 운영체제(441)와 무선 측위 서비스 제공 루틴(4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4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메모리(4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420)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4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무선 측위 서비스 제공 루틴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 내부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에 의해, 그리고 버스(420)를 통해 프로세서(4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정보 수신부(411), 위치 결정부(412), 및 서비스 제공부(413)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4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 수신부(411), 위치 결정부(412), 및 서비스 제공부(413)는 도 5의 단계들(510 내지 550)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예를 들어,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측위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및 비콘 신호를 혼용하여 무선 측위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510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411)는 사용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3)은 건물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건물 내부 통로를 이동하거나, 에스컬레이터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들로부터 전송된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신호는 와이파이 송신기의 식별자 정보인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위치 결정부(412)는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실내 지도를 사전에 구축 시, 건물 내부에 배치된 와이파이 송신기들 중 비콘 송신기들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들을 미리 알 수 있다. 즉, 비콘 송신기들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들의 MAC 주소가 기구축될 수 있다. 위치 결정부(412)는 사용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와이파이 신호들의 MAC 주소가 기저장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의 MAC 주소와 매칭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매칭하는 경우(520:YES), 위치 결정부(412)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3)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3)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송신기에서 전송한 비콘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비콘 신호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측위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 위치 결정부(412)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부(412)는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54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부(413)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413)는, 건물 내부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길 안내 등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건물 내부의 각 상점에 해당하는 이벤트, 쿠폰 할인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520 단계를 참고하면, 와이파이 신호들의 MAC 주소가 기저장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의 MAC 주소와 매칭하지 않는 경우(520: NO), 위치 결정부(412)는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550).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413)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하지 않는 경우, 위치 결정부(412)는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한 무선 측위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치 결정부(412)는 사용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가 되도록 사용자 단말(103)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위치 결정부(412)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1층에서 2층으로 이동한 후, 2층 내부 통로를 걷고 있는 경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2층 내부 통로를 이동하고, 사용자 주변에 비콘 송신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더 이상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 위치 결정부(412)는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변경하여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위치 결정부(412)는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3)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측위를 수행하는 상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서, 각 단계들(610 내지 630)은 정보 수신부(411), 위치 결정부(412), 및 서비스 제공부(41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정보 수신부(411)는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에서 전송한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610 단계에서, 위치 결정부(412)는 사용자 단말(10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온(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비콘 송신기에서 전송된 비콘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411)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3)에서 수집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위치 결정부(412)는 비콘 신호의 레벨(예를 들어, RSSI 등의 신호 세기)과 기설정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 중 어느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측위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비콘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630:YES), 위치 결정부(412)는 기존에 무선 측위에 이용되던 와이파이 기반 측위를 중지하고,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주변에 위치하거나,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등 비콘 송신기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수신된 비콘 신호의 레벨(RSSI)이 클 수 있다. 엘리베이터 주변일수록 와이파이 신호의 층간 이동 특성으로 인해 와이파이 신호가 잘 안잡히므로,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한 무선 측위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 위치 결정부(412)는 와이파이 신호 대신 비콘 신호를 이용함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보다 정확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비콘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작은 경우(630:NO),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기 보다는 하차 후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부(412)는 수집된 와이파이 신호가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송신기에서 전송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반복 수행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측위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상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나, 상행 방향 이외에 하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1(701)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 3(703)을 향해 건물 내부를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1(701)과 무선 액세스 포인트 2(702) 사이에 위치 시, 사용자 단말(103)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1 및 2(701, 702)로부터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411)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20에서 수집된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결정부(412)는 수신된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서비스 제공부(413)는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 2(702)에서 3(703)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2 및 3(702, 703)에서 전송한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 수신부(411)에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41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3(703)으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신호의 MAC 주소에 기초하여 비콘 송신기1(704)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결정(412)는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로 변경되도록 사용자 단말(103)을 제어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이 온(ON)되면, 사용자 단말(103)은 비콘 송신기1(704)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지 않고, 단순히 에스컬레이터를 지나치거나 에스컬레이터 주변의 매장을 지나쳐 비콘 송신기1(704)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수신된 비콘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일 수 있다. 그러면, 위치 결정부(412)는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 단말(103)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비콘 송신기1(704)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1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3)이 비콘 송신기 2(705)에서 비콘 신호2를 수집하고, 다시 비콘 송신기 3(706)으로부터 비콘 신호3을 수신하는 경우, 위치 결정부(412)는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1층에서 2층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부(412)는 비콘 송신기1의 MAC 주소에 기초하여 1층 에스컬레이터 주변에 배치된 비콘 송신기1에서 전송된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위치 결정부(412)는 비콘 송신기2 및 3의 MAC 주소에 기초하여, 1층과 2층 사이의 에스컬레이터 주변 광고판에 배치된 비콘 송신기 2에서 전송된 신호가 수신되고, 2층 에스컬레이터 주변에 배치된 비콘 송신기3에서 전송된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412)는 확인을 통해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비콘 송신기1(704)에서 비콘 송신기3(705)을 향해 상행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비콘 신호의 MAC 주소 이외에, 위치 결정부(412)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상행 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탑승하여 1층에서 2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콘 송신기1(704)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1의 세기는 점점 약해지고, 이후 비콘 송신기2(705)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2의 세기가 강해지다가, 다시 비콘 신호2의 세기는 약해지고 비콘 송신기3(706)으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3의 세기가 강해질 수 있다. 이처럼, 위치 결정부(412)는 비콘 신호의 세기(RSSI)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1층에서 2층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1층에서 2층으로 이동 후, 하차하여 2층의 목적지를 향해 이동할 수도 있고, 계속하여 3층, 4층 등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계속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3)은 에스컬레이터 주변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계속 수집하여 정보 수신부(411)로 제공하고, 위치 결정부(412)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3층, 4층 등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2층에서 하차하여 이동하는 경우, 하차 시점까지는 비콘 송신기3(706)의 신호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나, 하차 이후 사용자가 목적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비콘 송신기3(706)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결국, 비콘 송신기3(706)이 신호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이 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4(707) 및 5(708)로부터 와이파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위치 결정부(412)는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4(707) 및 5(708)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2층에서 하차하여 왼쪽, 오른쪽 등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목적지를 향해 이동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방향 전환을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3)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413)는 사용자의 방향 전환에 따라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회전각과 스텝 카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회전각과 스텝 카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얼만큼 회전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413)는 기준점을 알지는 못하더라도 사용자가 30도, 45도, 90도 등으로 회전 이동하였음을 자이로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부(413)는, 사용자가 좌측, 우측 방향 등으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건물 내부의 통로 길목, 교차로 등에서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함에 따른 위치 변화를 바로 실내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413)는, 사용자가 전환한 방향을 기준으로 실내 지도를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서비스 제공부(413)가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실내 지도에 반영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사용자 단말(103)에서 상기 사용자의 방향 전환을 실내 지도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3)은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회전각과 스텝 카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얼만큼 회전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결정된 회전 이동값에 기초하여 실내 지도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건물 내부 등의 실내에서는 하수도 파이프, 전기 배선 등과 같이 자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이 많이 존재하므로 동서남북 자성이 모두 달라진다. 단순히 나침반으로 실내에서 사용자의 방향(예를 들어, 동서남북)을 결정하는 경우, 오차가 매우 커서 전혀 다른 방향이 사용자의 방향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실내에서도 사용자의 방향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자이로 센서 및 비콘을 이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면 동서남북 방향을 알지는 못하나, 센싱값에 기초하여 얼만큼 틀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송신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함에 따라, 기준점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은, 기준점을 기준으로 90도, 180도 등의 방향 전환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은, 회전 각도뿐만 아니라, 회전 방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103)을 소지한 사용자가 건물 내부를 이동할 때 통로 중심을 일정하게 이동하기 보다는 통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상점들에 디스플레이된 제품을 구경하거나, 혹은 사람들을 피해서 좌측, 우측 등으로 방향을 이동하면서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이외에,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이동 수단을 통해 층간 이동 후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이처럼, 목적지까지 이동 시,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400)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세 이동 경로(801)를 실내 지도에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103)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상세 이동에 따라 달라진 방향을 실내 지도에 반영하여 지도를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에서 하차 후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 자이로 센서(450)는 90도로 회전 이동이 발생하였음을 즉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3)은 회전 이동 감지 시점까지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2)로부터 와이파이 신호를 수집하다가, 회전 이동하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2(803)로부터 와이파이 신호를 수집하여 정보 수신부(411)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부(413)는 90도 회전 이동이 발생하였음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 이동이 발생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802) 및 2(803)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부(413)는 좌측으로 90도 방향 전환이 발생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413)는 실내 지도를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실내 지도가 사용자의 방향 전환에 따라 회전하여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제공됨에 따라, 보다 정교하게 사용자에게 길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 단말(910), 파일 배포 시스템(920) 및 설치 파일(930)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9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통신과 데이터 통신이 모두 가능한 단말 장치일 수 있고, 파일 배포 시스템(920)은 설치 파일(930)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례로, 파일 배포 시스템(920)은 설치 파일(930)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921) 및 사용자 단말(910)의 요청에 따라 설치 파일(930)을 사용자 단말(910)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배포 시스템(9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910)에 제공하는 설치 파일(930)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판매자 또는 개발자로부터 등록받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910)은 파일 배포 시스템(920)으로부터 수신한 설치 파일(93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installation)할 수 있으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비콘 송신기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혼용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사용자 단말(910)을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910)에서 수집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또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9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91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향 전환이 감지됨에 따라, 방향 전환에 따른 상세 이동 경로를 실내 지도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방향에 따라 실내 지도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9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 공연장에서의 작품 안내 등과 같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이 서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으로는 사용자 단말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하의 도 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000)은 신호 수집부(1010), 서비스 제공부(1020), 자이로 센서(1030), 및 무선 통신 모듈(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이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신호 수집부(1010)는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에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수집부(101)는 무선 통신 모듈(1040)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비콘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040)은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비콘 송신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460)은 와이파이(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모듈은, BLE 기반의 블루투스 4.0 이상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가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인지 여부를 MAC 주소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인 경우,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은 사용자 단말(1000)의 블루투스 모듈이 온(ON)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신호 수집부(101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비콘 송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은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030)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10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는 실내 지도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오디오 등을 통해 제공하거나, 혹은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 지점 정보 등을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030)는 건물 내부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방향 전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03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관련된 정보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각 및 스텝 카운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은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수신된 회전각, 스텝 카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얼만큼 방향 전환 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은 수신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전송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방위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1001)은 방위와 방향 전환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0)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지도를 회전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른 상세 이동 경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정보 수신부, 위치 결정부, 및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이 수행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집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결정부에서,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기지정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로 확인되면 오프(OFF) 상태로 변경하고,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확인되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와 기지정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무선 측위 서비스를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한 무선 측위 서비스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비콘 신호의 레벨과 기설정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무선 측위 서비스를 위한 신호로 결정하고, 결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방향 전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건물 내부의 실내 지도를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집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기지정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로 확인되면 오프(OFF) 상태로 변경하고,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확인되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와 기지정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무선 측위 서비스를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한 무선 측위 서비스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비콘 신호의 레벨과 기설정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무선 측위 서비스를 위한 신호로 결정하고, 결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방향 전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5. 사용자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설치 파일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설치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기지정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상태가 온(ON) 상태가 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배포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파일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판매자 또는 개발자로부터 등록받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7.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에서 전송된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에서 전송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부; 및
    상기 비콘 신호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수집부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신호에 기지정된 비콘 송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전송한 신호가 포함되어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가 되고,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송신기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온(ON) 상태이면 오프(OFF) 상태로 변경되고,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상태가 오프(OFF) 상태이면 오프(OFF) 상태가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측위 서비스 시스템.
KR1020160124821A 2016-09-28 2016-09-28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0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821A KR102102297B1 (ko) 2016-09-28 2016-09-28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821A KR102102297B1 (ko) 2016-09-28 2016-09-28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755A Division KR101663056B1 (ko) 2015-01-22 2015-01-22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76A true KR20160118176A (ko) 2016-10-11
KR102102297B1 KR102102297B1 (ko) 2020-04-20

Family

ID=5716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821A KR102102297B1 (ko) 2016-09-28 2016-09-28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1235A (zh) * 2022-06-28 2022-10-11 广州土圭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信标综合巡检方法及巡检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3059A1 (en) * 2004-07-28 2006-02-02 Towner David K Seamless stitching of multiple image fields in a wide-format laser printer
JP2007108326A (ja) * 2005-10-12 2007-04-26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携帯型地図表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20043854A (ko) * 2010-10-27 2012-05-07 홍충식 불특정 다수의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초정밀 위치 측위 시스템
JP2012222814A (ja) * 2011-04-01 2012-11-12 Intel Corp ユーザ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3059A1 (en) * 2004-07-28 2006-02-02 Towner David K Seamless stitching of multiple image fields in a wide-format laser printer
JP2007108326A (ja) * 2005-10-12 2007-04-26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携帯型地図表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20043854A (ko) * 2010-10-27 2012-05-07 홍충식 불특정 다수의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초정밀 위치 측위 시스템
JP2012222814A (ja) * 2011-04-01 2012-11-12 Intel Corp ユーザ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1235A (zh) * 2022-06-28 2022-10-11 广州土圭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信标综合巡检方法及巡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97B1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879B1 (ko)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TWI607228B (zh) 室內測位服務提供方法、系統、電腦可讀儲存介質與檔案分配系統
JP6679630B2 (ja) 位置基盤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471001B1 (ko) Gps 음영 지역에서의 차량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28171A (ko) 위치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47134B1 (ko)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084887A1 (en) Using wired endpoints to determine position information for wireless endpoints in a network
JP2023500915A (ja) 車両駐車管理方法、電子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0327A (ko)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80040933A (ko)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2147A (ko)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KR102558389B1 (ko)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63056B1 (ko)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02297B1 (ko) 하이브리드 기반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7792A (ko) 주차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KR10195744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20110057838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53493B1 (ko) Gsm을 이용한 실내 주차장 진입 여부 판단 및 층간 구분 방법
KR102152941B1 (ko)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9006370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725197B1 (ko) 주차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152799B2 (ja) 無線基地局及びモバイル機器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205754867U (zh) 一种定位系统
TWM510516U (zh) 停車場車位導引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