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065A -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065A
KR20160117065A KR1020150045673A KR20150045673A KR20160117065A KR 20160117065 A KR20160117065 A KR 20160117065A KR 1020150045673 A KR1020150045673 A KR 1020150045673A KR 20150045673 A KR20150045673 A KR 20150045673A KR 20160117065 A KR20160117065 A KR 20160117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e
bus
traff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176B1 (ko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빈기술
디와이엘엔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빈기술, 디와이엘엔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빈기술
Priority to KR102015004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1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시골 마을이나 외딴곳에서 버스의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버스 탑승 기회를 놓치지 않토록하고, 또한 버스내에 설치되는 운행시스템에 미리 탑승할 정보를 입력시켜 장애인이나 노인 같은 탑승이 어려운 사람인 경우 운전자가 미리 정보를 파악하여 도와서 안전하게 탑승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원하는 고객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GPS 수신기(230) 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이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요청하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기 저장된 정류장, 노선, 환승정보, 교통흐름정보 등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상기 요청한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정보이용자의 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220)와; 상기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로부터 현재 운행중인 마을버스 및 시내버스에 대한 차량정보를 제공받고 아울러, 자신의 집으로부터 정류장까지의 시간정보를 제공받으며, 또한 집에서 마을버스 정류장 또는 시내버스 정류장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건강상태에 따른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해당하는 마을 버스 및 시내버스를 승차하기 위해서 집에서 출발해야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휴대 단말기(1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System for guiding traffic time of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using communication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골 마을이나 외딴곳에서 버스의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버스 탑승 기회를 놓치지 않토록하고, 또한 버스내에 설치되는 운행시스템에 미리 탑승할 정보를 입력시켜 장애인이나 노인 같은 탑승이 어려운 사람인 경우 운전자가 미리 정보를 파악하여 도와서 안전하게 탑승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으며,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안내 시스템(BIS : Bus Information System)을 운영하여 기존에는 자신이 타야하는 버스가 언제 도착하는지 모르고 무작정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하여야 하였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버스 안내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에 안내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현재 해당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해 오는 버스에 대한 정보 즉, 버스 번호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버스에는 GPS 모듈이 설치되어, 현재 버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원격의 교통 센터로 전송하고, 교통 센터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버스의 위치로부터 버스 노선의 하류측 즉, 버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버스 정류장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버스 정류장 시스템은 이를 수신하여 안내 디스플레이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스 안내 시스템은, 단순히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해 오는 버스의 버스 번호 및 해당 버스의 도착 예정시간만을 알려주는 단순한 기능밖에 없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버스의 운용이 많치 않은 시골동네는 정해진 시간에 버스가 도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특히 눈이나 비가 와서 도로 사정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더욱이 버스의 정시 운행을 알 수 없고, 만약에 태풍이나 도로 끊김과 같은 상황에서 무작정 차량을 타기 위해 나섰다가 차량의 운행중지를 나중에 알거나 운행중지 사실도 몰라서 장시간 무작정 기다리는 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노약자나 장애우 같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버스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다음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버스 운전사는 자신이 운행하는 버스에 승차하려는 사람이 있는지 또는 거동이 불편한 자가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버스 운행을 재개할 수 밖에 없어 민원이 발생하거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및 방법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동체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기저장된 노선정보, 교통흐름정보등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원하는 고객에게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차량의 교통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가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교통체계를 제공할 수 있어, 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에게 교통시설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원하는 고객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GPS 수신기(230)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이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요청하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기 저장된 정류장, 노선, 환승정보, 교통흐름정보 등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상기 요청한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정보이용자의 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220)와; 상기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로부터 현재 운행중인 마을버스 및 시내버스에 대한 차량정보를 제공받고 아울러, 자신의 집으로부터 정류장까지의 시간정보를 제공받으며, 또한 집에서 마을버스 정류장 또는 시내버스 정류장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건강상태에 따른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해당하는 마을 버스 및 시내버스를 승차하기 위해서 집에서 출발해야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휴대 단말기(1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10)는,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에 접면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발생하는 맥박을 체크하여 기준 이상일 경우 착용자가 상태가 비정상적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맥박센서(111)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에게서 발생하는 알콜을 감지하여 착용자가 알콜을 섭취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알콜을 섭취하였을 경우에는 행방불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알콜 센서(112)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발걸음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일으켜 진동이 빨라지면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일탈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동센서(113)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 온도를 체크하여 온도 변화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 환자의 신체에 중대한 문제가 생겼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센서(114)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 습도를 체크하여 습도의 변화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 착용자가 긴장하여 땀이 피부를 통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며 이에 따라 기준 이상의 습도이면 성범죄 발생 의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려하는 습도센서(115)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주파수를 분석하며 기준 이상 지속되는 비명소리가 발생할 경우 착용자가 넘어지거나 굴러서 크게 다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명정보 수집센서(116)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환자에게 전기적 에너지를 인가하여 비상상황을 환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주는 전기침(117)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기 전기침(117)은, 몸체 하우징(a)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외부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회전하는 전동모터(117a)와; 상기 전동모터(117a)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상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 회전축(117b)과; 상기 모터 회전축(117b)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모터 회전축(117b)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하로 승강하면서 유동하며 환자의 피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전기적 자극을 충분히 주는 전기자극 부재(117c)와; 상기 몸체 하우징의 일단과 전기자극 부재(117c)사이에 설치되며 전기자극 부재(117c)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117d)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센서들의 입력값을 종합하여 전기침의 승하강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몸체 하우징에는 발전장치(119)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장치(119)는, 분극방향(D)이 서로 상반되도록 평행하게 위치한 평판형태의 두 압전세라믹(119a)과,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 사이에 도포되어 서로를 접합시키는 접착제(119b)와,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의 일측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지지대(S)와,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의 상, 하면에 각각 연결된 리드선(119c)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및 방법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동체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기저장된 노선정보, 교통흐름정보등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원하는 고객에게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차량의 교통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가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교통체계를 제공할 수 있어, 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에게 교통시설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통신망사업자 또는 정보제공사업자는 이용자에게 부가가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정보체계를 말단 이용자들에게까지 확장할 수 있어 대중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의 전기침 배열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침 제 1 돌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침 제 2 돌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침 제 3 돌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 회로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 장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전장치 제 1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 제 2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의 전기침 배열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침 제 1 돌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침 제 2 돌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침 제 3 돌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환자 단말기 회로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 장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전장치 제 1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 제 2 동작도로서,
본 발명의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GPS 수신기(230)와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서버(220)를 구비하고 있다.
GPS수신기(230)는 일정한 노선 및 시간표에 따라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마을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차량(210)에 설치되어 인공위성(250)으로부터 안테나(240)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그 다음 GPS수신기(230)는 수신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유무선 통신망, 바람직하기로는 무선통신망인 이동통신망(200)을 통하여 호스트서버(220)에 송출하여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려면 GPS수신기(230) 및 호스트서버(220)에 통신모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서버(220)에는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이외에도, 배차정보, 및 각 도로망의 교통흐름정보 등의 교통관련 정보와 정류장 인근상점 등의 가맹점 정보 및 학교, 병원, 우체국, 관공서, 놀이시설 등의 공공 건물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GPS수신기(230)에서는 차량의 GPS정보가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서 수시로 변하므로 차량의 위치가 변할 때마다 인공위성(250)으로부터의 GPS정보를 계속 업데이팅받아서 호스트서버(220)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각 도로망의 교통흐름정보는 도로망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로부터 분석가공된 정보일 수도 있고, 기타 교통방송,교통경찰국 등의 링크된 교통 정보제공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등의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정보의 전송은 CDMA 또는 PCS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트서버(220)에는 상기 교통관련 정보가 바뀔 때마다 즉시 업데이팅되도록 인터넷기반의 교통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센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은 교통관련정보를 원하는 정보이용자가 유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기로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 이동통신망(200)을 거쳐 호스트서버(220)에 접속(액세스)한 후 원하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기 저장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휴대 단말기(110)는 자신의 PDA, CDMA, PCS, 셀루라폰 등의 무선데이터통신장치를 이용하거나 PC기반의 인터넷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류장 위치, 또는 건물위치 등과 같은 위치정보 및 차량의 노선번호를 음성 또는 문자 입력함으로써, 어느 정류장에 어떤 버스가 언제 도착할 것인지를 요청할 수도있고, 이때 고객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목적지까지의 예상소요시간 또는 최적 노선안내정보 등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본인이 승차하고 싶은 목적지의 차량을 예약하면, 차를 타기 위해 움직여야할 시간이 되었을때 전기적 자극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10)에는 다양한 센서를 탑재토록 하는바, 맥박 센서(111)와 알콜 센서(112)와, 진동센서(113)와, 온도센서(114)와, 습도 센서(115)와, 비명정보 수집 센서(116)와 전자침(117) 및 제어부(1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맥박센서(111)는 휴대 단말기의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에 접면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발생하는 맥박을 체크하여 기준 이상일 경우 착용자가 상태가 비정상적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알콜 센서(112)는 휴대 단말기의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에게서 발생하는 알콜을 감지하여 착용자가 알콜을 섭취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알콜을 섭취하였을 경우에는 행방불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진동센서(113)는 휴대 단말기의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발걸음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일으켜 진동이 빨라지면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일탈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온도센서(114)는 휴대 단말기의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 온도를 체크하여 온도 변화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 환자의 신체에 중대한 문제가 생겼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습도센서(115)는 휴대 단말기의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 습도를 체크하여 습도의 변화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 착용자가 긴장하여 땀이 피부를 통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며 이에 따라 기준 이상의 습도이면 몸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려한다.
상기 비명정보 수집센서(116)는 착용자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주파수를 분석하며 기준 이상 지속되는 비명소리가 발생할 경우 착용자가 넘어지거나 굴러서 크게 다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전기침(117)은 착용자에게 전기적 에너지를 인가하여 비상상황을 환자 스스로에게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바, 비상 정도에 따라서 전기침의 압력값을 달리함으로서 환자에게 적절히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의식을 잃치 않토록 강한 전기자극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18)는 센서들의 입력값을 종합하여 전기침의 승하강 강도를 결정하여 환자에게 적절히 전기적 자극을 출력함으로서 비상상황을 적절히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맥박센서와 알콜센서 및 비명정보 수집센서는 높은 점수를 매겨서 기준이상일 경우 2점을 부여하고, 아울러 진동센서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는 낮은 점수를 매겨서 기준이상일 경우 1점을 부여하며, 이들을 합산하여 2점 이하일 경우에는 낮은 강도의 전기적 자극을 부여하고, 3점 내지 5점일 경우에는 중간 강도의 전기적 자극을 부여하며, 6점 이상일 경우에는 강한 전기적 자극을 부여하여 환자가 의식을 잃지 않토록 유도한다.
상기 전기침(117)은 전동모터(117a)와, 모터 회전축(117b)과, 전기자극 부재(117c)와, 슬라이딩 지지부재(117d)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전동모터(117a)는 휴대 단말기(11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외부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회전한다.
상기 모터 회전축(117b)은 전동모터(117a)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상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전기자극 부재(117c)는 모터 회전축(117b)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모터 회전축(117b)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하로 승강하면서 유동하며 환자의 피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전기적 자극을 충분히 줄 수 있도록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재(117d)는 단말기 몸체와 전기자극 부재(117c)사이에 설치되며 전기자극 부재(117c)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다.
즉, 제어부(118)의 제어작용에 의해서 전기자극 부재의 돌출 정도를 달리하여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 정도를 달리하는바,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보다 많이 돌출하고, 단순 경고 수준이면 돌출 정도를 작게 유지한 상태에서 전기자극을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 하우징에는 발전장치(119)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장치(119)는, 분극방향(D)이 서로 상반되도록 평행하게 위치한 평판형태의 두 압전세라믹(119a)과,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 사이에 도포되어 서로를 접합시키는 접착제(119b)와,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의 일측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지지대(S)와,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의 상, 하면에 각각 연결된 리드선(119c)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세라믹(119a)의 자유단을 하측으로 변형시키게 되면 정(+) 전압이 발생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세라믹(119a)의 자유단을 상측으로 변형시키게 되면 부(-) 전압이 발생된다. 이때 종래의 발전장치는 상기 정(+) 전압과 부(-) 전압을 그대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정류장치를 이용하여 정(+) 전압과 부(-) 전압을 정류시킨 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정장치의 압전 세라믹은 필름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는바, 예컨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은 중합체 내부에서 긴 사슬형태의 분자들이 서로 인력과 척력을 작용하면서 압전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석영과 같은 천연 재료에 비해 압전 효과가 몇 배 더 크다.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 진동 신호가 PVDF 필름에 전달되면 압전 효과에 의해 전압이 발생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2의 GPS 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300에서 정류장, 노선, 환승정보, 도로망의 교통흐름정보 등의 교통정보를 차량안내 호스트서버에 저장한다. 이러한 교통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팅되도록 데이터저장센터에 저장되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차량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단계 302), GPS수신기는 그 수신된 인공위성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무선데이터통신망 등의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서버에 전달하여 저장한다 (단계 304).
그 다음, 호스트서버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계속 업데이팅하고 고객으로부터의 정보요청이 있는가를 체크한다 (단계 306).
단계 308에서 고객으로부터 정보요청이 있는지를 계속 판단한 결과, 정보이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등의 교통시간을 요청한 경우, 상기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서버는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기 저장된 교통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도착시간,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 등의 상기 요청한 교통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무선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정보이용자에게 그 산출된 차량안내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310).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10)는 상기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로부터 현재 운행중인 마을버스 및 시내버스에 대한 차량정보를 제공받고 아울러, 자식의 집으로부터 정류장까지의 시간정보를 제공받으며, 또한 집에서 마을버스 정류장 또는 시내버스 정류장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건강상태에 따른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해당하는 마을 버스 및 시내버스를 승차하기 위해서 집에서 출발해야하는 시간을 알려준다.
110: 착용 전용 단말기
111: 맥박 센서
112: 알콜 센서
113: 진동센서
114: 온도센서
115: 습도 센서
116: 비명정보 수집 센서
117: 전자침
118: 제어부
119: 발전장치
210: 차량
220: 호스트 서버
230: GPS 수신기
240: 안테나
250; 인공위성

Claims (5)

  1.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원하는 고객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시간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GPS 수신기(230)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이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요청하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기 저장된 정류장, 노선, 환승정보, 교통흐름정보 등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상기 요청한 원하는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정보이용자의 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220)와;
    상기 교통시간 안내 호스트 서버로부터 현재 운행중인 마을버스 및 시내버스에 대한 차량정보를 제공받고 아울러, 자신의 집으로부터 정류장까지의 시간정보를 제공받으며, 또한 집에서 마을버스 정류장 또는 시내버스 정류장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건강상태에 따른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해당하는 마을 버스 및 시내버스를 승차하기 위해서 집에서 출발해야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휴대 단말기(1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110)는,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에 접면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발생하는 맥박을 체크하여 기준 이상일 경우 착용자가 상태가 비정상적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맥박센서(111)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에게서 발생하는 알콜을 감지하여 착용자가 알콜을 섭취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알콜을 섭취하였을 경우에는 행방불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알콜 센서(112)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발걸음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일으켜 진동이 빨라지면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일탈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동센서(113)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 온도를 체크하여 온도 변화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 환자의 신체에 중대한 문제가 생겼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센서(114)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피부 습도를 체크하여 습도의 변화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 착용자가 긴장하여 땀이 피부를 통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며 이에 따라 기준 이상의 습도이면 성범죄 발생 의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려하는 습도센서(115)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착용자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주파수를 분석하며 기준 이상 지속되는 비명소리가 발생할 경우 착용자가 넘어지거나 굴러서 크게 다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명정보 수집센서(116)와;
    몸체 하우징(a)에 설치하되 환자에게 전기적 에너지를 인가하여 비상상황을 환자에게 전기적 자극을 주는 전기침(117)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침(117)은,
    몸체 하우징(a)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외부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회전하는 전동모터(117a)와;
    상기 전동모터(117a)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상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 회전축(117b)과;
    상기 모터 회전축(117b)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모터 회전축(117b)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하로 승강하면서 유동하며 환자의 피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전기적 자극을 충분히 주는 전기자극 부재(117c)와;
    상기 몸체 하우징의 일단과 전기자극 부재(117c)사이에 설치되며 전기자극 부재(117c)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재(117d)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의 입력값을 종합하여 전기침의 승하강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우징에는 발전장치(119)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전장치(119)는,
    분극방향(D)이 서로 상반되도록 평행하게 위치한 평판형태의 두 압전세라믹(119a)과,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 사이에 도포되어 서로를 접합시키는 접착제(119b)와,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의 일측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지지대(S)와, 상기 두 압전세라믹(119a)의 상, 하면에 각각 연결된 리드선(119c)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을방송장치를 이용한 마을 버스 도착 알림 정보 시스템.
KR1020150045673A 2015-03-31 2015-03-31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KR10166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73A KR101669176B1 (ko) 2015-03-31 2015-03-31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73A KR101669176B1 (ko) 2015-03-31 2015-03-31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065A true KR20160117065A (ko) 2016-10-10
KR101669176B1 KR101669176B1 (ko) 2016-10-25

Family

ID=5714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673A KR101669176B1 (ko) 2015-03-31 2015-03-31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53B1 (ko) * 2017-01-12 2018-06-15 박종철 통학버스 노선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1125661A1 (ko) * 2019-12-16 2021-06-24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중교통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6783A1 (en) * 2019-04-30 2021-10-21 Lg Electronics Inc. Total management system using ui/ux for setting mobility service recommendation and dynamic drop-off location based on zone,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322A (ja) * 2007-10-05 2009-04-30 Panasonic Corp 行動指示情報管理装置、携帯情報端末装置、行動指示情報管理システム、行動指示情報管理方法、行動指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51669B1 (ko) * 2009-12-16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53B1 (ko) * 2017-01-12 2018-06-15 박종철 통학버스 노선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1125661A1 (ko) * 2019-12-16 2021-06-24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중교통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76785A (ko) * 2019-12-16 2021-06-24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중교통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176B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176B1 (ko)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US836852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 signal transmitting device
US20180172464A1 (en) In-vehicle device and rout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CN110200761B (zh) 智能代步轮椅及基于无障碍地图的应用方法
EP2869080A1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WO201817960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61614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60117066A (ko) 독거노인 및 장애인 보호 감시 기능을 갖는 마을방송 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7074B1 (ko)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치매노인 실종 방지 시스템
US20110279222A1 (en) Travel assistan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633308B1 (ko) 시각 장애인용 자동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95953B1 (ko) 시각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비콘 스피커 및 그 방법
KR20130101777A (ko) 노약자의 안전 보행을 지원하는 전동 보행기
KR101155530B1 (ko) 무선 점자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JP2005160064A (ja) 歩行支援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で使用する携帯端末機及びアダプタ装置
KR101660905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Hyun et al. Smart signage: Technology enhancing indoor location awarenes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KR2022010542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휠체어 안전 시스템
JP2022023273A (ja) 誘導情報生成プログラム
Baranski et al. Emphatic trials of a teleassist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N110971255A (zh) 腕部穿戴设备
KR100587166B1 (ko) 대중교통수단의 노선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6476051B2 (ja) ルート案内装置
KR20160059495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