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713A -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713A
KR20160116713A KR1020150044881A KR20150044881A KR20160116713A KR 20160116713 A KR20160116713 A KR 20160116713A KR 1020150044881 A KR1020150044881 A KR 1020150044881A KR 20150044881 A KR20150044881 A KR 20150044881A KR 20160116713 A KR20160116713 A KR 20160116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orage case
case
fixe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열
Original Assignee
(주)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4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713A/ko
Publication of KR2016011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3/02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시트에 타측이 노출되게 내입 형성되며, 내측에 우산을 수용 가능도록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전방에는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의 타측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고정축의 일측에는 이격되어 고정축에 대응되게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고정축에는 각각 탄성지게 'ㄱ'자로 형성되어 상측은 고정돌기의 하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이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핀이 고정축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장공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시트에 고정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이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닿도록 형성되면서도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튼샤프트가 구비되고, 버튼샤프트의 일측에는 버튼샤프트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샤프트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미끄럼블록이 구비되며, 미끄럼블록의 상부에는 미끄럼블록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미끄럼블록용스프링이 구비되고, 미끄럼블록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힌지축이 구비되며, 힌지축에는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과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측은 수납케이스의 걸림구가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일측은 미끄럼블록의 하부 타측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블록이 구비되며, 잠금블록의 상부 타측에는 잠금블록에 수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열림스프링이 구비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구비되며, 상부측은 원뿔이 뒤집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고정축에 타측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정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부채꼴 형상으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형상의 단부에 기어가 형성되는 대기어와, 상기 대기어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는 수납케이스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축이 구비되고, 축에는 축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외측에 대기어의 기어에 대응되게 기어가 형성되는 소기어가 구비되며, 소기어의 후방에는 소기어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구의 하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연장바가 형성되고, 연장바의 끝단에는 이송롤러를 갖는 승강구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수납케이스의 내주면과 밀착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에 권취되어 구비되는 열선과,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열선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비되며, 수납케이스에 관통 결합되고, 우산의 유무를 체크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접센서 및 수납케이스 내측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습도센서를 갖는 센서부와, 상기 시트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측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내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이격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피동기어가 형성되며, 피동기어의 내측 하부에는 피동기어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내부케이스의 상부면과 닿는 회전베어링이 구비되는 회전케이스와, 상기 회전케이스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브러시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기어에 공급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Seat for car having storage device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일측에 우산 수납장치가 일체로 장착되어 우산을 쉽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산이 수납장치에 보관됨으로 우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향상됨과 아울러 탑승자의 옷 및 자동차의 실내에 물기가 묻을 우려가 없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 또는 눈 등이 내리는 우천 상황시, 실외에 주차된 차량에 탑승하고자 할 때, 우산 등을 접어서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아 운전석에 탑승하면서 동승석의 시트 아래쪽 공간에 놓거나, 운전석의 클러스터 아래쪽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그 곳에 넣거나, 또는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의 센터 콘솔 위를 통해 우산을 뒤로 넘겨서 리어시트 아래쪽 공간에 놓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때, 프론트 도어를 열고, 접은 우산을 든 채 운전석에 탑승하게 되면 우산의 간섭으로 탑승시 자세가 불편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우산으로부터 비산되는 빗물로 인해 실내(운전석 및 동승석 프론트 시트, 센터 콘솔 등)가 젖게 되어 실내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우산을 들고 운전석에 탑승할 때, 우산으로 인해 운전석이 좁게 느껴지는 동시에 탑승시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용 우산꽂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우산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우산 길이에 따라 길이가 절첩 조절되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며, 개구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 양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우산꽂이하우징과, 일측에 구비된 힌지가 힌지부에 고정핀으로 설치되어 회전식으로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안내공을 통해 출입되는 시트벨트를 지지하기 위해 B필러트림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단부 양쪽에는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구와 가동구를 대향으로 구비하되 가동구는 하단부 일측에 구비한 수납부의 출입공 내에서 스프링 장력을 받아 출몰되게 하고, 수납부 일측의 가이드공에 가동구를 동작시키는 노브가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152336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우산꽂이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탑승자가 활동을 하는데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23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시트의 일측에 우산 수납장치가 일체로 장착되어 우산을 쉽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산이 수납장치에 보관됨으로 우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향상됨과 아울러 탑승자의 옷 및 자동차의 실내에 물기가 묻을 우려가 없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타측이 노출되게 내입 형성되며, 내측에 우산을 수용 가능도록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전방에는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의 타측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고정축의 일측에는 이격되어 고정축에 대응되게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고정축에는 각각 탄성지게 'ㄱ'자로 형성되어 상측은 고정돌기의 하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이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핀이 고정축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장공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시트에 고정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이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닿도록 형성되면서도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튼샤프트가 구비되고, 버튼샤프트의 일측에는 버튼샤프트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샤프트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미끄럼블록이 구비되며, 미끄럼블록의 상부에는 미끄럼블록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미끄럼블록용스프링이 구비되고, 미끄럼블록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힌지축이 구비되며, 힌지축에는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과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측은 수납케이스의 걸림구가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일측은 미끄럼블록의 하부 타측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블록이 구비되며, 잠금블록의 상부 타측에는 잠금블록에 수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열림스프링이 구비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구비되며, 상부측은 원뿔이 뒤집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고정축에 타측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정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부채꼴 형상으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형상의 단부에 기어가 형성되는 대기어와, 상기 대기어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는 수납케이스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축이 구비되고, 축에는 축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외측에 대기어의 기어에 대응되게 기어가 형성되는 소기어가 구비되며, 소기어의 후방에는 소기어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구의 하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연장바가 형성되고, 연장바의 끝단에는 이송롤러를 갖는 승강구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수납케이스의 내주면과 밀착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에 권취되어 구비되는 열선과,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열선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비되며, 수납케이스에 관통 결합되고, 우산의 유무를 체크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접센서 및 수납케이스 내측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습도센서를 갖는 센서부와, 상기 시트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측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내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이격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피동기어가 형성되며, 피동기어의 내측 하부에는 피동기어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내부케이스의 상부면과 닿는 회전베어링이 구비되는 회전케이스와, 상기 회전케이스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브러시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기어에 공급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는 시트의 일측에 우산 수납장치가 일체로 장착되어 우산을 쉽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산이 수납장치에 보관됨으로 우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향상됨과 아울러 탑승자의 옷 및 자동차의 실내에 우산의 물기가 묻을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는 시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는 시트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케이스가 열리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검림수단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구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 수납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의 시트(2)에 타측이 노출되게 내입 형성되며, 내측에 우산(4)을 수용 가능도록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전방에는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며, 장공(11)의 타측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2)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12)이 형성되고, 고정축(12)의 일측에는 이격되어 고정축(12)에 대응되게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돌기(13)가 형성되며, 고정축(12)에는 각각 탄성지게 'ㄱ'자로 형성되어 상측은 고정돌기(13)의 하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이 시트(2)에 고정되는 고정핀(14)이 고정축(12)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구(15)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장공(11)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시트(2)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0)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이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닿도록 형성되면서도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튼샤프트(31)가 구비되고, 버튼샤프트(31)의 일측에는 버튼샤프트(31)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샤프트(31)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미끄럼블록(32)이 구비되며, 미끄럼블록(32)의 상부에는 미끄럼블록(32)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미끄럼블록용스프링(33)이 구비되고, 미끄럼블록(32)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힌지축(34)이 구비되며, 힌지축(34)에는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34)과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측은 수납케이스(10)의 걸림구(15)가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일측은 미끄럼블록(32)의 하부 타측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블록(35)이 구비되며, 잠금블록(35)의 상부 타측에는 잠금블록(35)에 수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열림스프링(36)이 구비되는 걸림수단(30)과, 상기 수납케이스(10)의 하부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구비되며, 상부측은 원뿔이 뒤집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되는 지지구(40)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고정축(12)에 타측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정축(12)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부채꼴 형상으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형상의 단부에 기어가 형성되는 대기어(50)와, 상기 대기어(50)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는 수납케이스(10)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축(61)이 구비되고, 축(61)에는 축(61)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외측에 대기어(50)의 기어에 대응되게 기어가 형성되는 소기어(62)가 구비되며, 소기어(62)의 후방에는 소기어(62)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구(40)의 하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연장바(63)가 형성되고, 연장바(63)의 끝단에는 이송롤러(64)를 갖는 승강구(60)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수납케이스(10)의 내주면과 밀착 구비되는 내부케이스(70)와,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측에 권취되어 구비되는 열선(80)과,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열선(80)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90)와, 상기 제어부(90)와 연결 구비되며, 수납케이스(10)에 관통 결합되고, 우산(4)의 유무를 체크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근접센서(101) 및 수납케이스(10) 내측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습도센서(102)를 갖는 센서부(100)와, 상기 시트(2)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110)와,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측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내부케이스(70)의 내주면과 이격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케이스(70)의 상부에 안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피동기어(121)가 형성되며, 피동기어(121)의 내측 하부에는 피동기어(121)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내부케이스(70)의 상부면과 닿는 회전베어링(122)이 구비되는 회전케이스(120)와, 상기 회전케이스(120)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브러시(130)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0)와, 상기 모터(140)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기어(121)에 공급하는 회전기어(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자동차의 시트(2)에 타측이 노출되게 내입 형성되며, 내측에 우산(4)을 수용 가능도록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전방에는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며, 장공(11)의 타측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2)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12)이 형성되고, 고정축(12)의 일측에는 이격되어 고정축(12)에 대응되게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돌기(13)가 형성되며, 고정축(12)에는 각각 탄성지게 'ㄱ'자로 형성되어 상측은 고정돌기(13)의 하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이 시트(2)에 고정되는 고정핀(14)이 고정축(12)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구(15)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상부 일측은 하향 만곡되게 형성되어 수납케이스(10)의 힌지 운동시에 상부 일측이 원활하게 시트(2)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케이스(10)의 하부에는 내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기가 포집되는 포집구(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집구(16)에 포집되는 물기는 후술되는 열선(8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10)는 수분에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케이스(10)의 타측에는 수납케이스덮개(17)가 형성되며, 수납케이스덮개(17)는 시트와 동일한 재질인 인조가죽, 합성섬유사, 천연가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선택된 하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케이스덮개(17)는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시트의 재질에 맞춰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장공(11)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시트(2)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0)는 장공(11)에 끼움되어 구비되며, 수납케이스(10)가 고정축(12)에 의해 힌지 회전될 시에 일정한 범위 안에서 수납케이스(10)가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10)에 구비되는 고정핀(14)는 수납케이스(10)가 원활히 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이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닿도록 형성되면서도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튼샤프트(31)가 구비되고, 버튼샤프트(31)의 일측에는 버튼샤프트(31)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샤프트(31)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미끄럼블록(32)이 구비되며, 미끄럼블록(32)의 상부에는 미끄럼블록(32)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미끄럼블록용스프링(33)이 구비되고, 미끄럼블록(32)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힌지축(34)이 구비되며, 힌지축(34)에는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34)과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측은 수납케이스(10)의 걸림구(15)가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일측은 미끄럼블록(32)의 하부 타측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블록(35)이 구비되며, 잠금블록(35)의 상부 타측에는 잠금블록(35)에 수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열림스프링(36)을 갖는 걸림수단(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수단(30)은 수납케이스(10)가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열림 또는 닫힘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수단(30)의 열림 작동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수납케이스(10)를 일측으로 살짝 밀면 수납케이스(10)의 걸림구(15)가 잠금블록(35)의 하부측을 밀어 잠금블록(35)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수납케이스(10)에 의해 버튼샤프트(31)가 밀려 미끄럼블록(32)을 상승시키게되고, 상승된 미끄럼블록(32)에 의해 열림스프링(36)의 탄성력을 받는 잠금블록(35)은 다시 반대로 회전하여 걸림구(15)를 밀어줌으로써 수납케이스(10)가 열림되게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30)의 닫힘 작동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수납케이스(10)를 일측으로 살짝 밀면 수납케이스(10)의 걸림구(15)가 잠금블록(35)의 하부측을 밀어 잠금블록(35)을 회전시킴으로써 잠금블록(35)의 상부 타측이 미끄럼블록(32)의 하부측을 밀어올리게되고, 잠금블록(35)에 계속 회전하여 잠금블록(35)의 상부 일측이 미끄럼블록(32)의 하부를 벗어나면 미끄럼블록용스프링(33)의 장력을 받는 미끄럼블록(32)이 하부로 내려와서 잠금블록(35)의 상부 일측을 걸림되게 함으로써 수납케이스(10)가 닫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하부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구비되며, 상부측은 원뿔이 뒤집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되는 지지구(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40)는 후술되는 승강구(60)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며, 우산에 묻은 빗물이 하부로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부측이 원뿔이 뒤집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배수공(41)이 구비됨으로써 하부로 빗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40)는 빗물에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고정축(12)에 타측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정축(12)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부채꼴 형상으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형상의 단부에 기어가 형성되는 대기어(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대기어(50)는 수납케이스(10)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후술되는 승강구(60)와 연동하여 지지구(40)를 승하강 시키게되는 것이다.
상기 대기어(50)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는 수납케이스(10)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축(61)이 구비되고, 축(61)에는 축(61)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외측에 대기어(50)의 기어에 대응되게 기어가 형성되는 소기어(62)가 구비되며, 소기어(62)의 후방에는 소기어(62)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구(40)의 하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연장바(63)가 형성되고, 연장바(63)의 끝단에는 이송롤러(64)를 갖는 승강구(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미도시된 승강구(60)는 축(61), 소기어(62), 연장바(63) 및 이송롤러(64)로 형성되는 것이며, 대기어(50)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소기어(62)로 인해 대기어(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장바(63)를 회전시켜 지지구(40)를 승하강 시키게된다.
또한, 상기 승강구(60)에 구비되는 이송롤러(64)는 연장바(63)가 지지구(40)의 하부에서 원활히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수납케이스(1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내부케이스(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측에는 열선(80)이 권취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열선(80)은 후술되는 제어부(90)에 의해 작동되는 시간 및 온도가 제어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열선(80)을 제어하도록 제어부(9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후술되는 센서부(100)와 연결되어 수납케이스(10) 내측에 우산(4)의 삽입여부 및 수납케이스(10) 내측의 습도 등의 정보를 제공받으며, 센서부(100)의 정보에 의해 열선(80) 및 후술되는 램프(110)로 신호를 전송하여 열선(80)의 작동 여부 및 램프(110)의 점등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90)와 연결 구비되며, 수납케이스(10)에 관통 결합되고, 우산(4)의 유무를 체크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근접센서(101) 및 수납케이스(10) 내측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습도센서(102)를 갖는 센서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2)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램프(110)는 수납케이스(10) 내측에 우산(4)이 삽입되면 점등되는 것이며, 우산(4)이 이탈되면 소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측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내부케이스(70)의 내주면과 이격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케이스(70)의 상부에 안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피동기어(121)가 형성되며, 피동기어(121)의 내측 하부에는 피동기어(121)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내부케이스(70)의 상부면과 닿는 회전베어링(122)이 구비되는 회전케이스(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케이스(120)는 후술되는 모터(140)의 회전력을 회전기어(150)를 통해 피동기어(121)로 전달받아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케이스(120)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브러시(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브러시(130)는 회전케이스(120)의 회전으로 인해 우산(4)의 케노피(6)를 말아주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우산(4)의 케노피(6)가 손상되지 않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터(140)는 수납케이스(10)가 열림될 시에 제어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수납케이스(10)가 열려있는 동안 작동되게 되는 것이며, 수납케이스(10)가 닫힘되면 작동이 중지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140)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기어(121)에 공급하는 회전기어(15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는 시트(2)의 일측에 우산 수납장치가 일체로 장착되어 우산(4)을 쉽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산(4)이 수납장치에 보관됨으로 우산(4)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향상됨과 아울러 탑승자의 옷 및 자동차의 실내에 우산(4)의 물기가 묻을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시트 4 : 우산
6 : 케노피 10 : 수납케이스
20 : 걸림돌기 30 : 걸림수단
40 : 지지구 50 : 대기어
60 : 승강구 70 : 내부케이스
80 : 열선 90 : 제어부
100 : 센서부 110 : 램프
120 : 회전케이스 130 : 브러시
140 : 모터 150 : 회전기어

Claims (5)

  1. 자동차의 시트(2)에 타측이 노출되게 내입 형성되며, 내측에 우산(4)을 수용 가능도록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전방에는 관통된 장공(11)이 형성되며, 장공(11)의 타측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시트(2)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축(12)이 형성되고, 고정축(12)의 일측에는 이격되어 고정축(12)에 대응되게 전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고정돌기(13)가 형성되며, 고정축(12)에는 각각 탄성지게 'ㄱ'자로 형성되어 상측은 고정돌기(13)의 하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하측이 시트(2)에 고정되는 고정핀(14)이 고정축(12)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구(15)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장공(11)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시트(2)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타측이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닿도록 형성되면서도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튼샤프트(31)가 구비되고, 버튼샤프트(31)의 일측에는 버튼샤프트(31)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샤프트(31)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미끄럼블록(32)이 구비되며, 미끄럼블록(32)의 상부에는 미끄럼블록(32)에 수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미끄럼블록용스프링(33)이 구비되고, 미끄럼블록(32)의 하부에는 이격되어 전후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힌지축(34)이 구비되며, 힌지축(34)에는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34)과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측은 수납케이스(10)의 걸림구(15)가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일측은 미끄럼블록(32)의 하부 타측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블록(35)이 구비되며, 잠금블록(35)의 상부 타측에는 잠금블록(35)에 수평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열림스프링(36)이 구비되는 걸림수단(3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하부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구비되며, 상부측은 원뿔이 뒤집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되는 지지구(4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고정축(12)에 타측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정축(12)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부채꼴 형상으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형상의 단부에 기어가 형성되는 대기어(50);
    상기 대기어(50)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는 수납케이스(10)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축(61)이 구비되고, 축(61)에는 축(61)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외측에 대기어(50)의 기어에 대응되게 기어가 형성되는 소기어(62)가 구비되며, 소기어(62)의 후방에는 소기어(62)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어 지지구(40)의 하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연장바(63)가 형성되고, 연장바(63)의 끝단에는 이송롤러(64)를 갖는 승강구(6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수납케이스(10)의 내주면과 밀착 구비되는 내부케이스(70);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측에 권취되어 구비되는 열선(8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열선(80)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90);
    상기 제어부(90)와 연결 구비되며, 수납케이스(10)에 관통 결합되고, 우산(4)의 유무를 체크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근접센서(101) 및 수납케이스(10) 내측의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하는 습도센서(102)를 갖는 센서부(100);
    상기 시트(2)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90)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110);
    상기 내부케이스(70)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측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내부케이스(70)의 내주면과 이격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케이스(70)의 상부에 안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피동기어(121)가 형성되며, 피동기어(121)의 내측 하부에는 피동기어(121)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내부케이스(70)의 상부면과 닿는 회전베어링(122)이 구비되는 회전케이스(120);
    상기 회전케이스(120)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브러시(13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0);
    상기 모터(140)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기어(121)에 공급하는 회전기어(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수납케이스(10)의 상부 일측은 하향 만곡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수납케이스(10)의 하부에는 내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기가 포집되는 포집구(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10)는 수분에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10)의 타측에는 수납케이스덮개(17)가 형성되며, 수납케이스덮개(17)는 시트와 동일한 재질인 인조가죽, 합성섬유사, 천연가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선택된 하나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1020150044881A 2015-03-31 2015-03-31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20160116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81A KR20160116713A (ko) 2015-03-31 2015-03-31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81A KR20160116713A (ko) 2015-03-31 2015-03-31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713A true KR20160116713A (ko) 2016-10-10

Family

ID=5714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81A KR20160116713A (ko) 2015-03-31 2015-03-31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233A (zh) * 2016-12-01 2017-02-22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 一种户外座椅安装结构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36B1 (ko) 2010-12-21 2012-06-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우산꽂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36B1 (ko) 2010-12-21 2012-06-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우산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233A (zh) * 2016-12-01 2017-02-22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 一种户外座椅安装结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746B2 (en) Storage box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KR101461330B1 (ko)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KR20160116709A (ko)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CN103774945A (zh) 用于车辆的滑动门的线型中心轨道连杆结构
KR20160116713A (ko)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20160116712A (ko)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101605669B1 (ko) 우산 수납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KR101152336B1 (ko) 자동차용 우산꽂이
US20100282995A1 (en) Open/close Device of a Washing Tank Drain System
JP2016078836A (ja)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KR101575985B1 (ko) 자동차용 볼조인트 소켓
KR20180068163A (ko)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US20060028043A1 (en) Compartment in an automobile for storing an umbrella
JP2009280087A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753599B1 (ko) 전선권취장치
JP2948532B2 (ja) 車両における傘の袋収納装置
KR100410836B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자동차 후드
KR0141044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CN218616386U (zh) 车载脚垫系统和具有其的车辆
US11904752B2 (en) Handle device for embarking and disembarking vehicle
CN108282176B (zh) 一种mifi装置传输设备
KR100460789B1 (ko)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KR102094176B1 (ko)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JP2002240569A (ja) 傘装置
KR101928653B1 (ko) 차량용 자동 우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