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469A -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6469A KR20160116469A KR1020150044219A KR20150044219A KR20160116469A KR 20160116469 A KR20160116469 A KR 20160116469A KR 1020150044219 A KR1020150044219 A KR 1020150044219A KR 20150044219 A KR20150044219 A KR 20150044219A KR 20160116469 A KR20160116469 A KR 201601164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electrolyte injection
- case assembly
- injection port
- b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365—
-
- H01M2/08—
-
- H01M2/368—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로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배출부재; 상기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전해액 주입구 측으로 차단부재를 공급하는 투입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차단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압 상태로 이차전지의 케이스 조립체를 밀봉하여 케이스 조립체의 부피 증대를 방지한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충방전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캔 내부의 대기압과 충방전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압력이 상승하면서 상기 캔의 두께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 캔의 두께 증대로 인해 이차 전지의 성능이 떨어지고, 특히 두께 증대로 인해 조립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의 조립 공정에서 상기 캔 내부를 음압상태로 밀봉하며, 이에 이차 전지의 충방전시 캔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캔의 두께 증대를 방지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연결되는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밀폐부재, 상기 연결공간을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배출부재, 상기 전해액 주입구 측으로 차단부재를 공급하는 투입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 에 밀착되어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밀폐부재의 연결공간을 통해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상기 투입부재는, 상기 연결공간 내로 상기 차단부재를 공급하는 차단부재 공급부와; 상기 차단부재 공급부로부터 상기 연결공간 측으로의 상기 차단부재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 공급부는 일단에 상기 차단부재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에 상기 연결공간과 연결되는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는 상기 배출구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공간을 통해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위치한 상기 차단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케이스 조립체 벽면이 내측으로 휘어져서 압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은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전해액 주입구 밀폐단계(S10);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음압 형성단계(S20);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위치시키는 볼 투입단계(S30); 및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위치한 볼을 압입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은 밀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 밀폐단계(S10)는 상기 밀봉장치의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음압 형성단계(S20)는 상기 밀봉장치의 배출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볼 투입단계(S30)는 상기 밀봉장치의 볼 투입부재를 통해 상기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밀봉단계(S40)는 상기 밀봉장치의 밀봉부재를 통해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위치한 볼을 압입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밀봉단계(S40)가 완료되면,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압입된 볼을 다시 가압하여 상기 볼을 전해액 주입구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소성 변형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성 변형단계(S50)가 완료되면, 변형된 볼 및 전해액 주입구를 용접하거나 또는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마감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밀봉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캔 조립체의 내부를 음압상태로 밀봉할 수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의 충방전시 캔 조립체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캔 조립체의 두께 증대를 방지하며, 특히 이차전지 성능저하 및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밀봉장치에서 전해액 주입구를 볼 형상의 차단부재로 마감함으로써 전해액 주입구를 보다 완벽하게 마감할 수 있다.
셋째: 밀봉장치에서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부재로 밀폐함으로써 캔 조립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조성할 수 있다.
넷째: 밀봉장치에서 배출장치로 진공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캔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장치를 도시한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장치의 작동도로, 도 3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전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후 상태의 도면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을 나타낸 작업도로, 도 6은 밀봉방법에서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밀봉방법에서 케이스 조립체 음압으로 만드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8은 밀봉방법에서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투입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9는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압입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10은 전해액 주입구에 압입된 볼을 다시 압입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11은 전해액 주입구와 볼의 주면을 실링하는 상태의 도면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장치를 도시한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장치의 작동도로, 도 3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전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후 상태의 도면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을 나타낸 작업도로, 도 6은 밀봉방법에서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밀봉방법에서 케이스 조립체 음압으로 만드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8은 밀봉방법에서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투입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9는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압입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10은 전해액 주입구에 압입된 볼을 다시 압입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11은 전해액 주입구와 볼의 주면을 실링하는 상태의 도면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 전극조립체(10)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되는 케이스 조립체(20)를 포함하며, 케이스 조립체(20)는 전극조립체(10)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21) 및 캔(21)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캡 조립체(22)에는 캔(21)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22a)가 형성되고, 전해액 주입구(22a)는 전해액 주입이 완료되면 밀봉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충방전을 진행하는데, 이때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대기압과 충방전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캔(21)의 두께 증가가 발생하며, 이 캔(21)의 두께 증대로 이차전지의 성능저하 및 조립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음압 상태로 형성한 상태로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하며, 이에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대기압 및 충방전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캔(21)의 두께 증가를 방지하여 이차전지 성능 및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한편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하는 밀봉장치(100)를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장치(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위한 것으로,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폐하는 밀폐부재(110),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재(120), 전해액 주입구(22a)에 차단부재(130)를 공급하는 투입부재(140), 및 차단부재(130)를 가압하여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하는 밀봉부재(150)를 포함한다.
밀폐부재(110)는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액 주입구(22a)가 형성된 케이스 조립체(20)의 표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전해액 주입구(22a)와 연결되는 연결공간(111a)이 형성되는 본체(111), 본체(111)의 단부(도 2에서 보았을 때 하부)에 형성되고 본체(111)와 케이스 조립체(20)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1)의 연결공간(111a)의 개구부는 전해액 주입구(22a)를 향하도록 경사면(111b)으로 형성하며, 이에 연결공간(111a)으로 공급된 차단부재(130)는 경사면(111b)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전해액 주입구(22a) 측에 위치한다.
배출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ㅇ디, 밀폐부재(1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연결공간(111a)을 통해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든다. 이때 케이스 조립체(20) 내부가 음압 상태가 되면, 케이스 조립체(20)의 캔(21) 내벽이 내부를 향해 휘어지게 된다.
여기서 배출부재(120)는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공기를 밀폐부재(110)의 연결공간(111a)을 통해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일 수 있으며, 이에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보다 신속하게 음압상태로 만들 수 있다.
차단부재(130)는 도 4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구(22a)에 결합되면서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한다. 여기서 차단부재(130)는 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차단부재(130)를 전해액 주입구(22a)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차단부재(130)의 형상이 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해액 주입구(22a)의 면적, 형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원활히 밀봉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투입부재(140)는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부재(130)를 전해액 주입구(22a) 측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밀폐부재(1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연결공간(111a) 내로 차단부재(130)를 공급하는 차단부재 공급부(141)와, 차단부재 공급부(141)로부터 연결공간(111a) 측으로의 차단부재(130)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부재 공급부(141)는 일단에 차단부재(130)의 투입구(141a)를 형성하고, 타단에 연결공간(111a)과 연결되는 배출구(141b)를 형성하며, 투입구(141a)는 배출구(141b) 보다 높게 위치한다. 즉, 차단부재 공급부(141)의 투입구(141a)에 차단부재(130)를 삽입하면 차단부재(130)는 경사진 차단부재 공급부(141)를 따라 회전하면서 배출구(141b)를 통해 연결공간(111a)에 공급되고, 연결공간(111a)에 공급된 차단부재(130)는 연결공간(111a)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전해액 주입구(22a) 상면에 위치한다.
밀봉부재(150)는 전해액 주입구(22a) 측에 위치한 차단부재(130)를 가압하여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부재(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연결공간(111a)을 통해 하향 이동하면서 전해액 주입구(22a)에 위치한 차단부재(130)를 가압하여 전해액 주입구(22a)에 결합시키는 가압부(151)를 포함한다.
즉, 밀봉부재(150)는 배출부재(140)에 의해 전해액 주입구(22a)에 차단부재(130)를 결합시켜 밀봉하며, 이에 케이스 조립체(20)를 음압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100)는 케이스 조립체(20)를 음압상태로 밀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음압 상태로 밀봉된 케이스 조립체(20)를 포함한 이차전지를 충방전할 경우 케이스 조립체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케이스 조립체의 두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밀봉장치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조립체(20)의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폐하는 전해액 주입구 밀폐단계(S10), 전해액 주입구(22a)를 통해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음압 형성단계(S20), 케이스 조립체(20)의 전해액 주입구(22a)에 차단부재(130)를 위치시키는 차단부재 투입단계(S30), 및 전해액 주입구(22a)에 위치한 차단부재(130)를 압입하여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40)를 포함한다.
전해액 주입구 밀폐단계(S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밀봉장치(100)의 밀폐부재(110)를 통해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폐한다. 즉, 전해액 주입구(22a)가 형성된 케이스 조립체(20)에 밀폐부재(110)를 밀착시켜서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폐시키며, 이에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때 밀폐부재(110)의 밀폐부(112)가 전해액 주입구(22a)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음압 형성단계(S2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밀봉장치(100)의 배출부재(120)를 통해 케이스 조립체(20)의 내부 공기를 밀폐부재(110) 밖으로 배출시켜 케이스 조립체(20)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음압 형성단계(S20)는 상기 케이스 조립체(20)의 캔(21) 벽면이 내측으로 휘어져서 압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조립체(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차단부재 투입단계(S3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밀봉장치(100)의 투입부재(140)를 통해 전해액 주입구(22a)에 차단부재(130), 즉 볼을 위치시킨다. 즉, 차단부재 투입단계(S30)는 투입부재(140)에 차단부재(130)를 삽입하면 차단부재(130)는 경사진 투입부재(140)를 따라 굴르면서 밀폐부재(110)의 연결공간(111a)에 삽입되고, 연결공간(111a)에 삽입된 차단부재(130)는 밀폐부재(110)에 형성된 경사면(111b)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전해액 주입구(22a) 측에 위치한다.
이때 투입부재(140)는 차단부재(130)가 연결공간(111a)에 투입됨과 동시에 투입부재(140)의 투입구(141a)가 개폐부(142)에 의해 폐쇄되며, 이에 케이스 조립체(20)의 음압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단계(S4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해액 주입구(22a)에 위치한 차단부재(130)를 가압하여 전해액 주입구(22a)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밀봉장치(200)의 가압부재(150)를 이용한다.
즉, 가압부재(150)는 밀폐부재(110)에 구비되고, 밀폐부재(110)의 연결공간(111a)을 통해 하향 이동하면서 전해액 주입구(22a)에 위치한 차단부재(130)를 가압하는 가압부(15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밀봉단계(S40)가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전해액 주입구(22a)에 압입된 차단부재(130)를 다시 가압하여 상기 차단부재(130)를 전해액 주입구(22a)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소성 변형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구(22a)로부터 융기되어 있는 차단부재(130)를 프레스(200)를 이용하여 다시 가압하며, 이에 차단부재(130)가 전해액 주입구(22a)에 압입되면서 소성 변형되고, 전해액 주입구(22a)의 밀봉력을 높일 수 있다.
소성 변형단계(S50)가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형된 차단부재(130)와 및 전해액 주입구(22a)를 용접하거나 또는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마감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을 참조하면 차단부재(130)와 및 전해액 주입구(22a)의 밀착면에 주면을 따라 용접하며, 이에 전해액 주입구(22a)를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밀봉된 케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케이스 조립체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두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전지의 성능 및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극조립체
20: 케이스 조립체
21: 캔
22: 캡 조립체
22a: 전해액 주입구
100: 밀봉장치
110: 밀폐부재
120: 배출부재
130: 차단부재
140: 투입부재
150: 밀봉부재
20: 케이스 조립체
21: 캔
22: 캡 조립체
22a: 전해액 주입구
100: 밀봉장치
110: 밀폐부재
120: 배출부재
130: 차단부재
140: 투입부재
150: 밀봉부재
Claims (16)
-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로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배출부재;
상기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전해액 주입구 측으로 차단부재를 공급하는 투입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차단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볼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내부에 전해액 주입구와 연결되는 연결공간과, 하부에 상기 케이스 조립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밀폐부재의 연결공간을 통해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재는,
상기 연결공간 내로 상기 차단부재를 공급하는 차단부재 공급부와;
상기 차단부재 공급부로부터 상기 연결공간 측으로의 상기 차단부재의 이동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 공급부는 일단에 상기 차단부재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에 상기 연결공간과 연결되는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는 상기 배출구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공간을 통해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위치한 상기 차단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케이스 조립체 벽면이 내측으로 휘어져서 압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전해액 주입구 밀폐단계(S10);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음압 형성단계(S20);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위치시키는 볼 투입단계(S30); 및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위치한 볼을 압입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밀봉방법은 밀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 밀폐단계(S10)는 상기 밀봉장치의 밀폐부재를 통해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음압 형성단계(S20)는 상기 밀봉장치의 배출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 조립체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케이스 조립체 내부를 음압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 투입단계(S30)는 상기 밀봉장치의 차단부재 투입부재를 통해 상기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볼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S40)는 상기 밀봉장치의 밀봉부재를 통해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위치한 차단부재를 압입하여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조립체의 밀봉방법. -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S40)가 완료되면,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압입된 볼을 다시 가압하여 상기 볼을 전해액 주입구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소성 변형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소성 변형단계(S50)가 완료되면, 변형된 볼 및 전해액 주입구를 용접하거나 또는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마감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밀봉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4219A KR101864923B1 (ko) | 2015-03-30 | 2015-03-30 |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4219A KR101864923B1 (ko) | 2015-03-30 | 2015-03-30 |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6469A true KR20160116469A (ko) | 2016-10-10 |
KR101864923B1 KR101864923B1 (ko) | 2018-06-05 |
Family
ID=5714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4219A KR101864923B1 (ko) | 2015-03-30 | 2015-03-30 |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49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55338A (zh) * | 2017-12-27 | 2018-06-12 | 深圳市新嘉拓自动化技术有限公司 | 打液机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178A (ko) * | 2020-08-18 | 2022-02-2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제조용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08133A (ja) * | 1999-01-19 | 2000-07-28 |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 密閉電池の注液口封止方法と装置 |
KR100958649B1 (ko) | 2002-12-27 | 2010-05-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
KR20120036389A (ko) * | 2010-10-08 | 2012-04-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KR20120036392A (ko) * | 2010-10-08 | 2012-04-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장치 |
JP2013131378A (ja) * | 2011-12-21 | 2013-07-04 | Toyota Motor Corp | 封口方法、密閉型電池、及び、封口装置 |
-
2015
- 2015-03-30 KR KR1020150044219A patent/KR1018649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08133A (ja) * | 1999-01-19 | 2000-07-28 |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 密閉電池の注液口封止方法と装置 |
KR100958649B1 (ko) | 2002-12-27 | 2010-05-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
KR20120036389A (ko) * | 2010-10-08 | 2012-04-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KR20120036392A (ko) * | 2010-10-08 | 2012-04-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장치 |
JP2013131378A (ja) * | 2011-12-21 | 2013-07-04 | Toyota Motor Corp | 封口方法、密閉型電池、及び、封口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55338A (zh) * | 2017-12-27 | 2018-06-12 | 深圳市新嘉拓自动化技术有限公司 | 打液机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4923B1 (ko) | 2018-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419B1 (ko)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
CN112234326B (zh) | 一种电池注液口结构及电池盖板 | |
KR102394494B1 (ko) |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 |
EP2472634B1 (en) | Double-sealed cap assembl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WO2012002201A1 (ja) | 二次電池の製造方法、二次電池及び組電池 | |
US9620751B2 (en) | Dual sealing cap assembl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US20110091765A1 (en)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ealing structure for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 |
KR101440891B1 (ko) | 이차 전지 | |
KR101864923B1 (ko) | 이차전지용 밀봉장치 및 밀봉방법 | |
KR102066013B1 (ko) |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
US11056749B2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2626926B1 (en) | Prismatic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jection port with superior sealing performance | |
CN109148814B (zh) | 二次电池 | |
WO2023116342A1 (zh) | 电池盖板和电池 | |
JP2002298832A (ja) |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注液孔の封止方法 | |
CN207554247U (zh) | 喷油泵柱塞偶件 | |
KR100719740B1 (ko)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CN213636125U (zh) | 电池结构 | |
KR20190121069A (ko) | 이차전지 | |
KR20150051467A (ko) | 자가 밀봉성의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US20120183824A1 (en) | Gas venting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51444A (ko) | 이차전지의 전해액 보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전해액 보충 방법 | |
KR101280051B1 (ko) |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장치 | |
KR102698661B1 (ko) | 장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JP5499010B2 (ja) | 染料感応型太陽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