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152A -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152A
KR20160116152A KR1020150042282A KR20150042282A KR20160116152A KR 20160116152 A KR20160116152 A KR 20160116152A KR 1020150042282 A KR1020150042282 A KR 1020150042282A KR 20150042282 A KR20150042282 A KR 20150042282A KR 20160116152 A KR20160116152 A KR 2016011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ard
bar cod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264B1 (ko
Inventor
이종수
남궁민석
황영후
조항민
심영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264B1/ko
Priority to CN201510952184.6A priority patent/CN106022551B/zh
Priority to US15/077,589 priority patent/US10504134B2/en
Publication of KR2016011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5Personalisation of cards for use
    • G06Q20/3555Personalisation of two or more cards

Abstract

본 발명은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바코드를 통해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며, 각각의 카드 정보에 따라 연동 가능한 제휴사 정보를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제휴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이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OF ONE-BARCODE SERVIC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바코드를 통해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며, 각각의 카드 정보에 따라 연동 가능한 제휴사 정보를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제휴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POS(point of sale) 시스템 또는 다양한 경영관리 시스템(management operating system)의 확산 및 영업 전략의 고도화에 따라, 대규모의 고객 서비스 기업뿐만 아니라 중소 규모의 서비스 업체에서도 고객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는 단골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업체의 입장에서는 고정 수입 확보에 도움이 되므로, 미용, 게임, 이동통신, 외식 등 거의 모든 분야의 서비스 업체에서 멤버쉽 카드를 발행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멤버쉽 서비스의 보편화에 따라, 해당 고객들은 다양한 멤버쉽 서비스를 영위하는 이점도 누리는 동시에 다양한 업체 및 분야의 멤버쉽 카드를 보유 및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겪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멤버쉽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배포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멤버쉽 카드를 매번 소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모바일 멤버쉽 카드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모바일 멤버쉽 카드 서비스 또한 각각의 멤버쉽 카드를 개별적으로 발급받고,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학생증 등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여러 카드와 연동 가능한 멤버쉽 서비스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카드 발급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각각의 멤버쉽 서비스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5460호, 2004년 4월 29일 공개 (명칭: 멤버쉽 카드를 이용한 멤버쉽 결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고, 각각의 카드와 연동 가능한 제휴 서비스들을 상기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카드 등록 후 해당 카드와 연동 가능한 제휴 서비스들은 보다 손쉽게 가입하고 등록하며, 제휴 서비스 등록을 위한 별다른 사용자 정보 입력 없이 보다 손쉽게 제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이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카드사 서버로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발급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카드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식별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달하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른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생성된 가상 카드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원바코드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휴사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휴사 정보 등록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원바코드 생성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사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이용 가능한 제휴사 등록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제휴사 등록 수락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해당 제휴사 서버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휴사 서버로부터 등록 완료가 통지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등록 완료를 통지하여 제휴사 등록이 수행된 원바코드가 상기 단말에서 생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응한 원바코드 식별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 동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휴사 서버로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제휴사 등록 안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식별 정보, 카드사 식별 정보, 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일련 번호 형태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가상 카드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원바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이용 가능한 제휴사 등록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제휴사 등록 수락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해당 제휴사 서버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 동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휴사 서버로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등록을 완료한 후 상기 단말로 안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에 대한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는 카드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여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상기 카드사 서버의 카드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고, 각각의 카드와 연동 가능한 제휴 서비스들을 상기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카드 등록 후 해당 카드와 연동 가능한 제휴 서비스들은 보다 손쉽게 가입하고 등록할 수 있으며, 제휴 서비스 등록을 위한 별다른 사용자 정보 입력 없이 보다 손쉽게 제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의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1000)은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카드를 발급하고 발급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300), 카드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휴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카드사 서버(300)로 접근하여 카드 발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카드 발급이 완료된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원바코드 생성을 위한 과정 전반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제휴사 서버(400)간의 연동을 통한 제휴 서비스 등록 과정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원바코드 생성이 완료되면, 원바코드에 매핑된 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카드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제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 카드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100)로 적용 가능하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상기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100)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 동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휴사 서버(400)로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등록을 완료한 후 상기 단말(100)로 안내하는 과정 전반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100)은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 요청 시 카드사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원바코드 식별 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 사용자의 별다른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카드사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발급하게 된다.
이후, 단말(100)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카드사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하고, 단말(100)은 이를 기초로 원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바코드 생성 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별다른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해당하는 제휴사 서버(400)로 요청하여 자동적으로 제휴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단말(100)의 요청한 카드 등록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에 대한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신분증, 학생증, 회원카드 등과 같이 제휴사 서버(400)와 연동하여 제휴사에서 사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카드라면 어떠한 카드도 본 발명의 카드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기능 상에 한정을 두지 않음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 형태와 같이 물리적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모바일 카드와 같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휴사 서버(400)는 특정 카드사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카드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제휴된 제휴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휴사 서버(400)는 단말(100)이 아닌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동하여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는 제휴 서비스 등록 과정을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카드사 서버(300) 및 제휴사 서버(400)는 통신망(50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500)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5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거쳐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0),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 서비스 제어 모듈(130), 통신 처리 모듈(140) 및 표시 처리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을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0)은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요청하고, 이에 따른 결과 화면을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을 요청하며, 원바코드 생성이 이뤄지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은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는 데, 이때 카드 발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가져와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하는 과정 전반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사 서버(300)가 발급하는 카드가 학생증을 의미할 경우,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은 소속 학교, 학년 등의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신용 카드일 경우, 소속 회사, 직급 등의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 구현을 위해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은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 요청 시, 단말(100)에 대한 구분을 위해 단말 식별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 식별 정보는 단말(100)의 전화 번호, 단말(100)의 기기 번호 등 단말 간 구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도 본 발명의 단말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가상 카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가상 카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에 대한 제휴사 등록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요청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휴사 등록이 완료되면, 원바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원바코드는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모듈(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각 모듈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0),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이 요청한 정보를 통신 처리 모듈(140)을 거쳐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되는 과정,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통신 처리 모듈(140)을 거쳐 전달되는 정보를 해당 각 모듈로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110), 카드 생성 지원 모듈(120)을 통해 생성된 정보가 표시 처리 모듈(150)을 통해 출력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카드 처리 모듈(210), 원바코드 관리 모듈(220), 정보 관리 모듈(230) 및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카드 처리 모듈(210)은 카드사 서버(300)와 연동하여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생성되어 발급되는 과정을 지원한다. 예컨대, 카드 처리 모듈(210)은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식별 정보 전송 요청을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단말(100)의 식별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사 서버(300) 식별을 위한 카드사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사 식별 정보는 CI(Corporate Ident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카드 처리 모듈(210)은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정보 관리 모듈(230)에 질의하여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드 처리 모듈(210)은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원바코드 식별 정보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를 관리하고 식별하기 위해 카드 처리 모듈(210)이 부여하는 정보로써, 단말 식별 정보, 카드사 식별 정보, 난수 등 여러 가지 조합 방식에 따라 일련 번호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0)에 대응하여 고유의 형태로 부여될 수 있는 정보라면 그 어떠한 방식으로도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생성되면, 카드 처리 모듈(210)은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해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정보 관리 모듈(230)로 전달하여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 식별 정보, 카드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원바코드 처리 모듈(220)은 제휴사 서버(400)와 연동하여 원바코드에 대응한 제휴사가 등록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처리 모듈(220)은 단말(10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거쳐 원바코드 발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100)에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정보 관리 모듈(230)과 연동하여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원바코드 처리 모듈(220)은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를 확인한 후, 단말(100)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100)은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카드 정보에 따라 가상 카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됨에 따라, 단말(100)로부터 원바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이 수신되면 원바코드 처리 모듈(220)은 단말(100)로부터의 원바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제휴사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원바코드 처리 모듈(220)은 단말(100)로 제휴사 등록 동의 요청을 전달하고, 단말(100)로부터 제휴사 등록 수락이 전달되면, 해당 제휴사 서버(400)로 단말(100)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서버(400)가 이를 등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크게, 카드 발급 등록 단계(S100), 원바코드 생성 요청 단계(S200), 원바코드 생성 완료 단계(S300)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발급 등록 단계는 단말(100)이 카드사 서버(300)에 요청하여 카드 등록을 요청하고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카드가 발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원바코드 생성 요청 단계는 단말(100)이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초기 실행 시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자신이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발급된 카드 정보에 따라 원바코드 생성을 위한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원바코드 생성 완료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제휴사 서버(400) 간의 연동을 통해 각 카드 정보에 해당하는 제휴사를 등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하여 단말(100)이 하나의 원바코드를 통해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고, 복수 개의 카드 정보 각각 해당하는 제휴사 정보를 자동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각 단계를 통해, 단말(100)의 사용자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의 카드 등록이 완료됨과 동시에 보다 쉽게 카드별 해당 제휴사 정보를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고, 제휴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로, 특히, 도 5는 도 4의 도시된 카드 발급 등록 단계(S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4의 도시된 원바코드 생성 요청 단계(S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4의 도시된 원바코드 생성 완료 단계(S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발급 등록 단계는 먼저, 단말(100)이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을 요청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S101). 여기서,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신분증, 학생증, 회원카드 등과 같이 제휴사 서버(400)와 연동하여 제휴사에서 사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카드라면 어떠한 카드도 본 발명의 카드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기능 상에 한정을 두지 않음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 형태와 같이 물리적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모바일 카드와 같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단말(100)이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 요청 시 카드 발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드 발급에 필요한 각종 정보는 발급받고자 하는 카드 유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사 서버(300)가 발급하는 카드가 학생증을 의미할 경우, 단말(100)은 소속 학교, 학년 등의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신용 카드일 경우, 소속 회사, 직급 등의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 구현을 위해 단말(100)은 카드사 서버(300)로 카드 발급 요청 시, 단말(100)에 대한 구분을 위해 단말 식별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 식별 정보는 단말(100)의 전화 번호, 단말(100)의 기기 번호 등 단말 간 구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도 본 발명의 단말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카드사 서버(3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S103). 이때, 카드사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단말(100)의 식별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카드사 서버(300) 식별을 위한 카드사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사 식별 정보는 CI(Corporate Ident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한다(S105).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S107). 여기서, 원바코드 식별 정보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를 관리하고 식별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부여하는 정보로써, 단말 식별 정보, 카드사 식별 정보, 난수 등 여러 가지 조합 방식에 따라 일련 번호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0)에 대응하여 고유의 형태로 부여될 수 있는 정보라면 그 어떠한 방식으로도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생성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먼저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S109).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카드사 식별 정보,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원바코드 식별 정보는 단말 고유의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 식별 정보, 카드사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한 카드사 서버(3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른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고(S111), 이에 대해 단말(100)로 안내할 수 있다(S113).
이후에 단말(100)은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발급된 카드를 오프라인으로 수령하거나 온라인으로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S105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제공하게 된다. 즉, A 카드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최초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생성되었다면, 그 이후의 다른 카드사 서버의 요청 발생 시 새로운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한 동일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복수 개의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하나의 원바코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113 단계 이후의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100)은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카드 발급 처리 완료 통보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므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 이후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S201).
상기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단말(10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행될 수 있으며,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카드 발급 처리 완료 통보를 수신한 즉시, 자동적으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단말(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실행되어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만을 단말(100)이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에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질의한다(S203). 이때, 단말(100)은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정보를 함께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의 각 절차가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후에 진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단말 식별 정보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원바코드 발급 정보 질의에 따라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100)에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한다(S205).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에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를 확인한 후, 단말(100)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전송한다(S207).
이를 수신한 단말(100)은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카드 정보에 따라 가상 카드를 생성하고(S209),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생성되는 가상 카드는 복수 개 생성될 수 있으며, 실제 카드 번호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며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원바코드 생성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213). 여기서, 단말(100)은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각각의 가상 카드의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가상 카드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가상 카드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가상 카드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휴사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S213 단계 이후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의 원바코드 생성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301). 다시 말해, 단말(100)은 하나의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발급받게 되는 데, 하나의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카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A, B, C 총 3개의 카드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각 카드 정보마다 10개의 제휴사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이 선택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휴사 정보가 등록된 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제휴사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 제휴사 등록 동의 요청을 전달하고(S303), 단말(100)로부터 제휴사 등록 수락이 전달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제휴사 서버(400)로 단말(100)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서버(400)가 이를 등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S309). 즉, 종래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카드사 서버(300)를 통해 카드를 등록하는 과정과 별도로 각각의 제휴사 마다 등록하는 절차를 별도로 수행해야만 했었다. 또한, 각각의 제휴사 마다 단말(100)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해야만 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제휴사 등록 과정은 제휴사 서버(400)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말 식별 정보 및 원바코드 식별 정보만을 제공하여 제휴사 등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복잡한 절차 없이 보다 간편하게 제휴사를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휴사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의 많은 개인 정보를 노출할 필요 없이 제휴사를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309 단계 이후에, 제휴사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등록이 완료됨을 통지하고(S311),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 이를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휴사 등록 절차 수행 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휴사가 복수 개 존재할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S303 단계에서 단말(100)로 복수 개의 제휴사 등록 동의 요청을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각각의 제휴사 서버(400)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각각의 제휴사 서버(400)에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복수 개의 제휴사 등록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제1 제휴사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S301 단계에서 ~ S311 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제휴사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원바코드 생성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S315). 여기서 생성되는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불리는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단말(100)은 이러한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원바코드가 생성되면, 생성된 원바코드를 표시하여(S317), 단말(100)의 사용자가 제휴사 매장에서 해당 원바코드를 스캔하여 제휴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의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 주체 관점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의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카드 발급 요청에 따라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다(S401). 이때, 카드사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단말(100)의 식별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카드사 서버(300) 식별을 위한 카드사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사 식별 정보는 CI(Corporate Ident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3).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생성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카드사 서버(3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른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고, 이에 대해 단말(1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한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질의하고,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원바코드 발급 정보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403 단계에서 원바코드 식별 정보 생성 시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부여된 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와 같이 단말(100)에 해당하는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S407),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한 카드 정보를 확인한 후(S409),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411).
이후에, 단말(100)은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카드 정보에 따라 가상 카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생성되는 가상 카드는 복수 개 생성될 수 있으며, 실제 카드 번호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며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제휴사 등록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하고(S413),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카드 정보에 대응한 제휴사 서버(400)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S415), 제휴사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100)의 사용자는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휴사 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가입할 수 있으며,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단말이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시스템"은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그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정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모듈의 물리적인 레이아웃(layout)은 중요하지 않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모듈이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단말(100)을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메신저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메신저 서비스 장치(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단말(1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 및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9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 및 가맹점 단말(2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바코드를 통해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며, 각각의 카드 정보에 따라 연동 가능한 제휴사 정보를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제휴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등록하고, 각각의 카드와 연동 가능한 제휴 서비스들을 상기 하나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카드 생활은 물론 제휴 서비스 이용에 따른 편의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120: 카드 생성 지원 모듈 130: 서비스 제어 모듈
140: 통신 처리 모듈 150: 표시 처리 모듈
200: 서비스 제공 서버 210: 카드 처리 모듈
220: 원바코드 처리 모듈 230: 정보 관리 모듈
240: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300: 카드사 서버
400: 제휴사 서버 500: 통신망

Claims (10)

  1. 단말이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카드사 서버로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발급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카드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식별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한 후,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달하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른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원바코드 발급 정보에 포함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생성된 가상 카드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원바코드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휴사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휴사 정보 등록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원바코드 생성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사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이용 가능한 제휴사 등록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제휴사 등록 수락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해당 제휴사 서버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휴사 서버로부터 등록 완료가 통지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등록 완료를 통지하여 제휴사 등록이 수행된 원바코드가 상기 단말에서 생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5.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응한 원바코드 식별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 동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휴사 서버로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제휴사 등록 안내를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식별 정보, 카드사 식별 정보, 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일련 번호 형태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가상 카드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카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원바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이용 가능한 제휴사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로 이용 가능한 제휴사 등록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제휴사 등록 수락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해당 제휴사 서버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원바코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질의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 발급된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원바코드 발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바코드 발급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제휴사 정보 등록 동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휴사 서버로 상기 기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휴사 등록을 완료한 후 상기 단말로 안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원바코드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원바코드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에 대한 카드 발급 처리를 완료하는 카드사 서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여 발급된 원바코드 식별 정보에 상기 카드사 서버의 카드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42282A 2015-03-26 2015-03-26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1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82A KR102410264B1 (ko) 2015-03-26 2015-03-26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CN201510952184.6A CN106022551B (zh) 2015-03-26 2015-12-17 用于提供单条形码服务的方法及其系统
US15/077,589 US10504134B2 (en) 2015-03-26 2016-03-22 Method for providing for one-barcode service,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82A KR102410264B1 (ko) 2015-03-26 2015-03-26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52A true KR20160116152A (ko) 2016-10-07
KR102410264B1 KR102410264B1 (ko) 2022-06-17

Family

ID=5697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82A KR102410264B1 (ko) 2015-03-26 2015-03-26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04134B2 (ko)
KR (1) KR102410264B1 (ko)
CN (1) CN1060225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878A (ko) * 2017-06-01 2018-1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파싱 기반 혜택 수단 관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4785B1 (ja) * 2019-04-01 2020-03-13 佐鳥電機株式会社 データ復元装置、データ管理サーバ、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復元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0A (ko) 2002-10-22 2004-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멤버쉽 카드를 이용한 멤버쉽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500B1 (ko) * 2007-05-31 2008-02-12 (주)에이엠에스 통합 마일리지카드를 이용한 지불통합 결제방법 및결제시스템
KR20110128572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멤버쉽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91541A (ko) * 2011-02-09 2012-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멤버십 카드 발급 시스템, 멤버십 카드 발급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멤버십 카드 발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멤버십 카드 발급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20105600A (ko) * 2011-03-10 2012-09-26 신찬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큐알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 활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038A (en) * 1994-06-20 1996-12-31 Pitroda; Satyan G. Universal electronic transaction card including receipt storage and system and methods of conduct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6131811A (en) * 1998-05-29 2000-10-17 E-Micro Corporation Wallet consolidator
US7318049B2 (en) * 2000-11-17 2008-01-08 Gregory Fx Iannacci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US7316350B2 (en) * 2003-04-22 2008-01-08 First Data Corporation Multi-purse card system and methods
US6886741B1 (en) * 2004-03-08 2005-05-03 Melvin E. Salveson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CN1758290B (zh) * 2004-07-02 2010-08-18 招商银行股份有限公司 银行借记卡的附属卡系统及其处理方法
US20070267479A1 (en) * 2006-05-16 2007-11-22 Chockst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parking transactions and other financial transactions
CN101216928A (zh) * 2007-01-05 2008-07-09 谭伏根 一种卡对卡划拨捐款的会员卡及管理结算系统
CN101101639A (zh) * 2007-07-24 2008-01-09 台均科技(深圳)有限公司 会员卡信息存储装置和注册、登陆及增加会员卡信息方法
US20100114731A1 (en) * 2008-10-30 2010-05-06 Kingston Tamara S ELECTRONIC WALLET ("eWallet")
US20110226850A1 (en) * 2010-03-17 2011-09-22 Jay Ungos Online barcode directory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tilizing the same
US20110231268A1 (en) * 2010-03-17 2011-09-22 Jay Ungos Online barcode directory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tilizing the same
US20110227928A1 (en) * 2010-03-17 2011-09-22 Jay Ungos Online Barcode Directory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tilizing the Same
CN103635920A (zh) * 2011-02-22 2014-03-12 维萨国际服务协会 通用电子付款装置、方法与系统
WO2012125527A2 (en) * 2011-03-11 2012-09-20 Ross Beverly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 identification device
US20130159154A1 (en) * 2011-08-18 2013-06-20 Thomas Purves Wallet service enrollment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9355393B2 (en) * 2011-08-18 2016-05-31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ulti-directional wallet connector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40129422A1 (en) * 2011-07-18 2014-05-08 Tiger T G Zhou Systems and methods for issuing mobile payment cards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net-connected devices
US20130041725A1 (en) * 2011-08-11 2013-02-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vendor rewards programs
US9710807B2 (en) * 2011-08-18 2017-07-1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hird-party value added wallet features and interfaces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50220914A1 (en) * 2011-08-18 2015-08-0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Electronic Wallet Management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JP6238971B2 (ja) * 2012-05-24 2017-11-29 ペイパ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ォレット入会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003840A (ko) * 2012-06-29 2014-01-10 주식회사 케이티 금융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0A (ko) 2002-10-22 2004-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멤버쉽 카드를 이용한 멤버쉽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500B1 (ko) * 2007-05-31 2008-02-12 (주)에이엠에스 통합 마일리지카드를 이용한 지불통합 결제방법 및결제시스템
KR20110128572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멤버쉽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91541A (ko) * 2011-02-09 2012-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멤버십 카드 발급 시스템, 멤버십 카드 발급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멤버십 카드 발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멤버십 카드 발급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20105600A (ko) * 2011-03-10 2012-09-26 신찬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큐알코드 생성 시스템 및 그 활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878A (ko) * 2017-06-01 2018-1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파싱 기반 혜택 수단 관리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2551A (zh) 2016-10-12
KR102410264B1 (ko) 2022-06-17
US20160283968A1 (en) 2016-09-29
CN106022551B (zh) 2020-05-15
US10504134B2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991B1 (en) Opt-in tracking across messaging application platforms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US9978053B1 (en) Dynamic promotion code insertion in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
US20210049579A1 (en) Multi-factor identity authentication
US20160275603A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US10009741B1 (en) Content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transcoding, and tracking gateway
US10187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validity of beacon signal
US20160239862A1 (en) Method of discount service according to the goods purchase use sequence, and apparatus thereof
CN110070394A (zh) 数据处理方法、系统、介质和计算设备
KR102410264B1 (ko) 원바코드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JP609946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検索サーバ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ランキング生成方法
CN112686528A (zh) 用于分配客服资源的方法、装置、服务器和介质
KR20120107637A (ko) 용역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N112346608A (zh) 一种基于业务活动结果显示的页面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165693B1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EP3437054A1 (en) Merchant loyalty account enrollment through payment checkout platform services
WO20141859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ce based mobile payment
Hong et al. Towards future politics of the cybersphere: China’s temporal-spatial governance of digital transition
KR20180028394A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US1150768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nd regulating the availability of syndicated data items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including online and offline channels
CN111506340B (zh) 业务规则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21043034A1 (zh) 一种业务查询方法及相关装置
US9483783B1 (en) Purchase system using a computing device
US10069957B1 (en) Token based content distribu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500667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