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693B1 -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693B1
KR102165693B1 KR1020190023420A KR20190023420A KR102165693B1 KR 102165693 B1 KR102165693 B1 KR 102165693B1 KR 1020190023420 A KR1020190023420 A KR 1020190023420A KR 20190023420 A KR20190023420 A KR 20190023420A KR 102165693 B1 KR102165693 B1 KR 10216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portable terminal
mes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063A (ko
Inventor
유명상
유다은
유승민
김은숙
Original Assignee
유명상
유다은
유승민
김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상, 유다은, 유승민, 김은숙 filed Critical 유명상
Priority to KR102019002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6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의 설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지역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하면 전자화폐를 지급함으로써, 독창적인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KIOSK DEVICE}
본 발명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의 설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 장치는 무인 정보 제공 단말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보 제공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시장, 은행, 쇼핑몰 및 기관 등에서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총칭한다.
대개의 키오스크 장치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광고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출금, 상품구매 및 발권 등의 서비스 업무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수 등의 상품을 구비하고 이를 판매하는 자판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는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터치스크린, 카드 판독기, 프린터, 스피커, 비디오카메라, 및 인터폰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구비하며,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사용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고성능, 다기능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용 사용자 단말은 기존의 음성 통화 기능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그 종류 및 개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로 사용자들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 및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그 종류가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수의 상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사들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홍보하기 위해 상당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나, 매일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발매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통상적인 광고방식으로 고객들을 관심을 유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독창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입력되는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절차를 진행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와 관련된 절차를 진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회원등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개인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사용자 계정에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전자화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일 수 있다.
상기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식별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른 회신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키오스크 장치가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입력되는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른 회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각 지역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하면 전자화폐를 지급함으로써, 독창적인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발송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장치(100)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입력되는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절차를 진행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100)는 자판기와 같이 각 지역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업체광고 정보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등록된 서비스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쇼핑, 음식, 운동, 진료, 영화관람 및 기타 서비스 등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 또는 주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100)는,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설치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 개인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 전술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 통신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식별정보는 해당 사용자 명의로 부여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각 키오스크 장치(100)는 별도의 관리코드에 의해 다수개가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식별 및 관리 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키오스크 장치(100)와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절차를 처리 및 관리하는 서버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200)는 다수의 회원관리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요청을 지연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200)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400)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중, 계약된 업체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각 키오스크 장치(100)에 제공하고, 그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사용자의 개인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발송하고, 설치에 따른 전자화폐를 지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하나이상의 키오스크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모듈(210)과,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선택되면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며, 설치시 해당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220)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로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메시지 관리모듈(230)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모듈(21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키오스크 장치(100)와 연결되며, 개인식별정보 및 기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버 통신모듈(210)은 개인식별정보에 의해 사용자 및 그의 휴대용 단말기(10)가 식별되면 휴대용 단말기(10)에 설치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링크(Link) 주소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220)은,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따라 요청되면, 어플리케이션 설치절차 및 전자화폐 지급절차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220)은 개인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회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요청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푸시메시지 관리모듈(230)에 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주소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에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에 따른 보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지정된 액수의 전자화폐를 지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220)은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유무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21)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 및 설치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부(223)와, 해당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거나, 지급된 전자화폐의 증감을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메시지 관리모듈(230)은,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220)의 요청에 따라, 푸시메시지를 생성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에 서버 통신모듈을(210)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푸시메시지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주소 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50)는 어플리케이션 설치절차 및 전자화폐 지급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250)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전자화폐 금액 등이 있으며, 각 모듈들은 절차진행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거나 생성 및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0)는 금융기관서버와 연결되어 각 사용자에게 지급된 전자화폐를 현금 또는 이에 준하는 포인트로 환전할 수 있으며, 공익적 측면으로 기부업체와 연계하여 기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에 따른 혜택을 전술한 가상의 전자화폐뿐만 아니라, 특정 상품과 같은 현물에 대한 교환 및 할인쿠폰의 형태도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서 지급하는 전자화폐는, 현금, 가상포인트 및 현물교환 및 할인쿠폰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결제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먼저, 각 지역에 배치된 키오스크 장치가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0). 사용자는 키오스크 장치의 화면에서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 및 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제공되는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혜택은 회원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에 부여되는 전자화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설치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자신의 개인식별정보를 키오스크 장치에 입력하면, 키오스크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서비스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되며, 서비스 서버는 이에 응답하여 개인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상기 설치 메시지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링크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는 식별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화폐를 지급하게 된다(S12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의 구동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는 각 지역에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와 접속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고(S200), 이후 키오스크 장치에 개인식별정보가 입력되면(S210),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회원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때, 회원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관리부는 키오스크 장치를 통해 회원가입할 것을 요청하고 이를 위한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하며(S230), 등록회원인 경우, 사용자가 관심대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S240), 어플리케이션 식별부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푸시메시지 관리모듈은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한다(S250).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시지를 확인하고, 그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주소를 선택하면,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의 다운로드 화면으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S260).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단계(S260)이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며(S270),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의 전자화폐 관리부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지정된 전자화폐를 지급하게 된다(S280).
이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S260) 이후에 서비스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른 회신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는 이를 위한 식별 패킷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발송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오스크 장치는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510)을 광고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500)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각 어플리케이션(510)을 선택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라 지급되는 전자화폐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500)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번호 입력란(5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입력란(520)에 자신의 명의로 회원등록된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게 된다. 또한, 입력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번호에 푸시 메시지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시지를 송부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개인식별정보인 휴대용 단말기 번호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푸시 메시지(610)를 발송하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600)에서 해당 푸시 메시지(610)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메시지(610)는 SMS 또는 MMS 형태로 발송될 수 있다. 특히, 푸시 메시지(610)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링크 주소(615)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다운로드 링크 주소(615)를 선택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휴대용 단말기 100 : 키오스크 장치
200 : 서비스 서버 210 : 서버 통신모듈
220 :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221 : 사용자정보 관리부
223 : 어플리케이션 식별부 225 : 전자화폐 관리부
230 : 푸시메세지 관리모듈 250 : 데이터 베이스

Claims (1)

  1.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번호인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회원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회원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주소의 선택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절차를 진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른 회신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 설치에 따른 보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지정된 액수의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사용자에게 지급된 전자화폐를 현금 또는 이에 준하는 포인트로 환전하는 금융기관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와 관련된 절차를 진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상기 전화번호를 통해 식별된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관리모듈; 및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를 구성하는 각 모듈들은 각각의 절차 진행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거나 생성 및 갱신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기부업체와 연계하여 기부를 수행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은,
    회원등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개인식별정보를 통해 회원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사용자 계정에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전자화폐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이고,
    상기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지역에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와 접속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키오스크 장치에 개인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회원등록 여부를 판단하되, 회원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키오스크 장치를 통해 회원가입할 것을 요청하고 이를 위한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하며, 등록회원인 경우, 사용자가 관심대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부를 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푸시메시지 관리모듈은 개인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메시지를 확인하고, 그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주소를 선택하면,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의 다운로드 화면으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지정된 전자화폐를 지급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른 회신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는 이를 위한 식별 패킷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23420A 2019-02-27 2019-02-27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10216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20A KR102165693B1 (ko) 2019-02-27 2019-02-27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20A KR102165693B1 (ko) 2019-02-27 2019-02-27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009A Division KR20180028394A (ko) 2017-11-30 2017-11-30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63A KR20190023063A (ko) 2019-03-07
KR102165693B1 true KR102165693B1 (ko) 2020-10-14

Family

ID=6576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20A KR102165693B1 (ko) 2019-02-27 2019-02-27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406A (ko)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우디 환전 키오스크
KR20210029405A (ko)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우디 환전 키오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296A (ko) * 2007-09-14 2009-03-18 (주)세림아이엔씨 전자화폐 충전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4686A (ko) * 2009-12-08 2011-06-15 (주) 제이와이투원 키오스크를 이용한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0007A (ko) * 2010-07-23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키오스크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키오스크 시스템
KR101308025B1 (ko) * 2011-04-05 2013-09-12 현주훈 소셜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정보 확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279B1 (ko) * 2013-09-30 2015-11-16 (주) 재미디지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63A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365B1 (en) Blaze mobile banking using a non-browser based application
US10565579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network of multi-vendor, multi-interface computers
US92928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marketing messages to mobile-device users from a mobile-commerce platform
US20090204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targeted content
US20120166279A1 (en) Mobile Marketing and Purchasing System
US10891669B2 (en) Virtual sales assistant kiosk
CN102844781A (zh) 提供媒体流中识别出的物品
KR101806481B1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N110298678B (zh) 用户权益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20200041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165693B1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US20130218675A1 (en) Mobile dedicated gift token management system
JP20200043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90109653A (ko) 카드 결제에 따른 광고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8394A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WO2012146089A1 (zh) 广告购物方法、客户端及系统
US10007903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customer data from a device
WO2018016841A1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JP735020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30114554A (ko) 식음료 사업주를 위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6228343A (zh) 一种广告推荐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US201800186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users
KR20230114535A (ko) 음식 배달 주문과 연동된 동영상 광고 통합 플랫폼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220078063A (ko)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화된 마케팅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7480A (ko)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2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21

Effective date: 2020090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