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661A - 도광체 및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체 및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661A
KR20160115661A KR1020150143935A KR20150143935A KR20160115661A KR 20160115661 A KR20160115661 A KR 20160115661A KR 1020150143935 A KR1020150143935 A KR 1020150143935A KR 20150143935 A KR20150143935 A KR 20150143935A KR 20160115661 A KR20160115661 A KR 20160115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incidence
curved surfac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오 시무라
Original Assignee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1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K9/5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과제] 출사하는 광에 조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광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광체(1)는 본체부(3)를 구비한다. 본체부(3)는, LED 군(51)이 발광하는 광이 입사될 수 있는 입사면(7)과, 입사면(7)에 대향하여, 입사면(7)에 입사한 광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9)을 포함한다. 입사면(7)은, 제1 입사 곡면(13)을 포함한다. 제1 입사 곡면(13)은, 제1 출사면(9)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고, 본체부(3)의 광축(AX)이 통과한다. 제1 출사면(9)은, 입사면(7)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Description

도광체 및 발광 장치{LIGHT GUID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광체 및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광 장치는, LED 및 도광체를 구비하고, 백열전구의 배광과 같은 배광을 실현한다. 도광체는, 광입사부, 제1 원환상부, 제2 원환상부, 및 광출사부를 가진다. 광입사부는 원뿔형의 절결부이다. 제1 원환상부 및 제2 원환상부의 각각은, 광축의 둘레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단면 삼각 형상의 오목부이다. 광입사부, 제1 원환상부, 및 제2 원환상부로부터 입사한 광은,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한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12-3845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광 장치에서는, 광입사부, 제1 원환상부, 및 제2 원환상부의 각각은, 첨두를 가진다. 따라서, 광입사부, 제1 원환상부, 및 제2 원환상부로부터 입사하고,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하는 광에는, 조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출사하는 광에 조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광체 및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는, 광원이 발광하는 광이 입사될 수 있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에 대향하여, 상기 입사면에 입사한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입사면은, 제1 입사 곡면을 포함한다. 제1 입사 곡면은, 상기 제1 출사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며, 상기 본체부의 광축이 통과한다. 상기 제1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사면은, 상기 광축이 통과하는 제1 출사 곡면과, 상기 제1 출사 곡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제2 출사 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출사 곡면의 상기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입사면에 입사한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2 출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출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광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입사 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광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입사 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입사 곡면은, 상기 제2 입사 곡면과 상기 제2 출사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해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는, 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부는, 상기 입사면의 외연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광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부의 내벽면과 상기 입사면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배선이 횡단하는 횡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출사면 중 적어도 1개의 일부 또는 전부는,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발광 장치는, 상기의 도광체와, 상기 광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사하는 광에 조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도 1(a)의 IB-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를 통과하는 광의 출사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에 장착되는 광원 유닛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에 장착되는 광원 유닛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도 7(a)의 VIIB-VI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B-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광체(1)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b)는, 도광체(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1)는, 예를 들어, 렌즈이다. 도광체(1)는, 본체부(3)와, 통부(5)를 구비한다. 본체부(3)는, 입사면(7)과, 제1 출사면(9)과, 제2 출사면(11)을 가진다. 또, 본체부(3)는 광축(AX)을 가진다.
입사면(7)은, 제1 입사 곡면(13)과, 제2 입사 곡면(15)을 가진다. 도 1(b)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입사 곡면(13)을 파선으로 둘러싸고, 제2 입사 곡면(15)을 일점쇄선으로 둘러싸고 있다. 또, 도 2(a)에서는, 제1 입사 곡면(13)과 제2 입사 곡면(15)을 구별하기 위해, 일점쇄선을 붙이고 있다.
제1 출사면(9)은, 제1 출사 곡면(17)과, 제2 출사 곡면(19)을 가진다. 도 1(b)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출사 곡면(17)을 파선으로 둘러싸고, 제2 출사 곡면(19)을 일점쇄선으로 둘러싸고 있다. 또, 도 2(b)에서는, 제1 출사 곡면(17)과 제2 출사 곡면(19)을 구별하기 위해, 일점쇄선을 붙이고 있다.
입사면(7)에는, 광원으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 군(51)이 발광하는 광이 입사될 수 있다. LED 군(51)은 복수의 LED를 포함한다. 또한, LED 군(51)을 대신하여, 단수의 LED를 광원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제1 입사 곡면(13)의 중앙을 도광체(1)의 광축(AX)이 통과한다. 제1 입사 곡면(13)은, 제1 출사면(9)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즉, 제1 입사 곡면(13)은, LED 군(51)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제1 입사 곡면(13)의 곡률 반경은, 제1 출사 곡면(17)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제1 입사 곡면(13)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형이다.
제2 입사 곡면(15)은, 제1 입사 곡면(13)을 둘러싸도록 광축(AX)의 둘레에 형성된다. 제2 입사 곡면(15)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환상이다. 제2 입사 곡면(15)은, 본체부(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입사 곡면(15)과 제2 출사면(11) 사이의 거리가 제1 출사면(9)을 향해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본체부(3)에는, 광축(AX)의 둘레에, 대략 원환상의 두께부(16)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3)의 직경 방향이란, 광축(AX)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1 출사면(9)은, 입사면(7)에 입사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출사한다. 제1 출사면(9)은, 입사면(7)에 대향하여, 입사면(7)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출사면(9)은 오목부(27)를 형성한다.
제1 출사 곡면(17)의 중앙을 도광체(1)의 광축(AX)이 통과한다. 제1 출사 곡면(17)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형이다. 제2 출사 곡면(19)은, 제1 출사 곡면(17)의 주위에 형성되고,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환상이다. 제2 출사 곡면(19)의 곡률 반경은, 제1 출사 곡면(17)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제2 출사면(11)은, 입사면(7)에 입사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출사한다. 제2 출사면(11)은, 제1 출사면(9)과 입사면(7)을 둘러싸도록, 도광체(1)의 광축(AX)의 둘레에 형성된다. 제2 출사면(11)은 대략 원통 형상이다.
통부(5)는, 입사면(7)의 외연을 따라 형성되고, 도광체(1)의 광축(AX)을 따라 연장된다. 도 1(a)에서는, 본체부(3)와 통부(5)를 구별하기 위해, 일점쇄선을 붙이고 있다. 통부(5)의 내벽면(23)과 입사면(7)은 오목부(25)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벽면(23)은, 오목부(25)의 측면을 형성하고, 입사면(7)은, LED 군(51)에 대한 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입사 곡면(15)은, 오목부(25)의 측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통부(5)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위치 결정부(21)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부(21)는, 본체부(3)에 대해 LED 군(51)을 위치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부(21)는, 통부(5)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또한, 위치 결정부(21)는, 통부(5)를 관통하지 않고, 통부(5)의 내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도광체(1)를 통과하는 광의 출사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광체(1)를 통과하는 광의 출사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군(51)이 발광한 광은, 제1 입사 곡면(13)에 입사하고, 본체부(3)에 진입한다. 제1 입사 곡면(13)은, 입사한 광을 제1 출사면(9)을 향해 굴절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입사 곡면(13)은, 입사한 광을 굴절시켜 평행광으로 하고, 제1 출사면(9)을 향해 나아가게 한다.
제1 출사면(9)은, 제1 출사면(9)에 도달한 광의 일부(이하, 「제1 입사광」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투과 및 굴절시켜 출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출사면(9)은, 제1 출사면(9)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와 본체부(3)의 굴절률과 공기의 굴절률로 정해지는 굴절각으로, 제1 입사광을 투과 및 굴절시켜 출사한다.
또, 제1 출사면(9)은, 제1 출사면(9)에 도달한 광의 다른 일부(이하, 「제2 입사광」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제2 출사면(11)을 향해 반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출사면(9)은, 제1 출사면(9)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로 정해지는 반사각으로, 제2 입사광을 제2 출사면(11)을 향해 반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출사면(9)은,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을 따라,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입사광을 제2 출사면(11)을 향해 반사한다.
제2 출사면(11)은, 제2 입사광을 투과 및 굴절시켜 출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출사면(11)은, 제2 출사면(11)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와 본체부(3)의 굴절률과 공기의 굴절률로 정해지는 굴절각으로, 제2 입사광을 투과 및 굴절시켜 출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출사면(11)은,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을 따라,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입사광을 출사한다.
예를 들어, LED 군(51)이 발광한 광 중 입사광(C1)은, 제1 입사 곡면(13)에 입사하고, 본체부(3)에 진입한다. 입사광(C1)은, 제1 입사 곡면(13) 중 광축(AX)의 근방의 영역(이하, 「근방 영역」으로 기재한다)에 입사한 광을 가리킨다. 제1 입사 곡면(13)은, 제1 출사 곡면(17)을 향해 입사광(C1)을 굴절시킨다. 제1 출사 곡면(17)은, 입사광(C1)의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사광(C1)의 대부분)를 출사광(E1)으로서 광축(AX)을 따라 출사한다.
예를 들어, LED 군(51)이 발광한 광 중 입사광(C2)은, 제1 입사 곡면(13)에 입사하고, 본체부(3)에 진입한다. 입사광(C2)은, 제1 입사 곡면(13) 중 근방 영역의 주위의 영역에 입사한 광을 가리킨다. 제1 입사 곡면(13)은, 제2 출사 곡면(19)을 향해 입사광(C2)을 굴절시킨다. 제2 출사 곡면(19)은, 입사광(C2)의 일부를, 광축(AX)측으로 굴절시켜, 출사광(E2)으로서 출사한다. 또, 제2 출사 곡면(19)은, 입사광(C2)의 다른 일부를,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을 따라, 제2 출사면(11)을 향해 반사한다. 제2 출사면(11)은, 제2 출사 곡면(19)에 반사된 광을, 출사광(E3)으로서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을 따라 출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은, 광축(AX)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도 3에서는, 두께부(16)가 파선과 제2 입사 곡면(15)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도시되고,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단면을 도시하는 사선을 생략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광체(1)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발광 장치(2)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장치(2)는, 도광체(1)와, 광원 유닛(50)을 구비한다. 광원 유닛(50)은, LED 군(51)과, 기판(53)과, 소켓(55)을 포함한다. 기판(53)에는 LED 군(51)이 실장된다. LED 군(51)이 실장된 기판(53)은 소켓(55)에 장착된다.
광원 유닛(50)은, 도광체(1)의 오목부(25)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55)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클로부(claw)(57)를 포함한다. 그리고, 클로부(57)가, 도광체(1)의 통부(5)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21)에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광원 유닛(50)이 오목부(25)에 장착되고, 도광체(1)의 본체부(3)에 대해, LED 군(51)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LED 군(51)이 발광하는 광이 본체부(3)의 입사면(7)에 입사한다.
도 5(a)는, 광원 유닛(50)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광원 유닛(50)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유닛(50)은, LED 군(51), 기판(53), 및 소켓(55)에 더해, 2개의 비스(59)와, 2개의 벽부(63)와, 2개의 끼워맞춤부(65)를 포함한다.
소켓(55)은, 절연체(예를 들어,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소켓(55)의 표면에는 대략 원형의 구멍(60)이 형성된다. 구멍(60)으로부터 LED 군(51)이 노출되어 있다. LED 군(51)을 사이에 끼우도록, 2개의 비스(59)가 배치된다. 비스(59)는 광원 유닛(50)을 조명 기구에 고정한다. 연면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 소켓(55)에 있어서, 비스(59)와 LED 군(51) 사이에는, 절연성을 가지는 벽부(63)가 형성된다. 연면 거리란, 절연물의 표면을 따라 측정한 2개의 도전부 사이(즉, 비스(59)와 LED 군(51) 사이)의 최단 거리이다.
끼워맞춤부(65)는, 소켓(55)의 이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53)은, 끼워맞춤부(65)에 끼워맞춰져, 소켓(55)에 장착된다. 또한,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시를 생략했으나, 광원 유닛(50)은 2개의 전원선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전원선 장착부는, 소켓(55)의 측벽에 형성되고, 기판(53)을 통해 LED 군(51)에 접속된다. 그리고, 전원선 장착부에는 전원선이 장착된다. 그 결과, LED 군(51)에는, 기판(53) 및 전원선 장착부를 통해, 전원선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발광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조명 기구(100)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기구(100)는 발광 장치(2)를 구비한다. 조명 기구(100)는, 예를 들어, 천정(200)으로부터 매달린다.
이상,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광체(1)의 입사면(7) 및 제1 출사면(9)의 각각은 만곡하고 있는 곡면이다. 따라서, 입사면 및/또는 제1 출사면이 첨두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제1 출사면(9)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에 조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출사 곡면(19)은, 제1 입사 곡면(13)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일부를 투과 및 굴절시켜 출사하는 한편, 광의 다른 일부를,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을 따라 제2 출사면(11)을 향해 반사한다. 따라서, 제2 출사 곡면(19)에 반사된 광은, 광축(AX)에 교차하는 방향(D)을 따라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광을 출사한다. 그 결과, LED 군(51)에 의해, 백열전구의 필라멘트가 발광한 광과 같은 배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출사 곡면(19)의 곡률 반경은, 제1 출사 곡면(17)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2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이 제1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 이하인 경우에 비해, 제2 출사 곡면(19)으로부터 투과 및 출사한 광은, 제1 출사 곡면(17)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교차한다. 그 결과, 광축(AX)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조사면(예를 들어, 책상의 천판의 상면, 또는 바닥면)에 있어서, 광의 암부(暗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면에 있어서, 원형 형상으로 넓어지는 광의 중심 영역에 암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입사 곡면(13)의 곡률 반경은, 제1 출사 곡면(17)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1 입사 곡면(13)은, 제1 입사 곡면의 곡률 반경이 제1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 이하인 경우에 비해, LED 군(51)이 발광하는 광을 보다 많이 수광할 수 있다. 즉, LED 군(51)이 발광하는 광 중 제1 입사 곡면(13)에 입사하지 않는 광은, 손실광인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실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LED 군(51)과 제1 입사 곡면(13)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발광 장치(2)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손실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출사면(11)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광량을 많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LED 군(51)에 의해, 백열전구의 필라멘트가 발광한 광과 같은 배광을 더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입사 곡면(15)과 제2 출사면(11) 사이의 거리가 제1 출사면(9)을 향해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3)에 두께부(16)가 형성된다. 따라서, LED 군(51)으로부터 제2 입사 곡면(15)에 입사한 광은, 제2 입사 곡면(15)과 제2 출사면(11)에 의해 굴절된다. 그 결과, 제2 출사면(11)으로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도광체(1)의 대각선 하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F2)을 억제하고, 굴절광(F1)을 많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1)의 대각선 하방에 위치하는 사람이 제2 출사면(1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한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 입사 곡면(15) 및 제2 출사면(11)에서 광이 굴절됨으로써, 제2 입사 곡면(15) 및 제2 출사면(11)을 통해 오목부(25)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도광체(1)의 주로 대각선 하방에 위치하는 사람이 제2 입사 곡면(15) 및 제2 출사면(11)을 통해 LED 군(51)을 보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도광체(1), 나아가서는, 조명 기구(100)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통부(5)를 설치함으로써, 도광체(1)에 오목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25)를 형성함으로써, 도광체(1)에 광원 유닛(5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위치 결정부(21)에 클로부(57)를 걸어맞춰, 광원 유닛(50)을 도광체(1)에 장착한다. 따라서, 도광체(1)의 본체부(3)에 대해 LED 군(51)을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유닛으로서 발광 장치(2)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타입의 조명 기구로의 전개가 용이해진다.
(변형예)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체(1)에 대해 설명하는 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도광체(1)는, 횡단부(71)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횡단부(71)를 가지지 않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체(1)와 상이하다. 이하, 본 변형예가 본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7(a)는, 본 변형예에 따른 도광체(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VIIB-VI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1)의 통부(5)는 2개의 횡단부(71)를 더 포함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횡단부(71)는, 통부(5)에 형성된 절결이다. 횡단부(71)를 배선이 횡단한다. 예를 들어, 도광체(1)에 장착되는 광원 유닛(50)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이, 횡단부(71)를 통과하고, 도광체(1)의 외부로 꺼내진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횡단부(7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체(1)가 배선에 얹히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도광체(1) 및 LED 군(51)을 적절한 자세로 조명 기구(100)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서는, 본체부(3)와 통부(5)를 구별하기 위해, 일점쇄선을 붙이고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양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하기에 개시하는 (1)~(3)).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여러가지의 발명의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전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상이한 실시 형태에 이르는 구성 요소를 적당히 조합해도 된다. 도면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간격 등은, 도면 작성의 관계상으로부터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개시하는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등은 일 예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 형태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입사면(7), 제1 출사면(9), 및 제2 출사면(11) 중 적어도 1개의 일부 또는 전부는,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에 의해, 도광체(1)로부터 출사하는 광의 조도를 작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눈부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벽면(23)은, 광확산 처리를 실시하는지의 여부는 어느 쪽이든 상관없는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 예로서 광확산 처리는 실시되어 있지 않다. 내벽면(23)은, 일부 또는 전부가 차광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입사 곡면(13) 중 제1 출사 곡면(17)에 대향하는 영역, 제1 입사 곡면(13) 중 제2 출사 곡면(19)에 대향하는 영역, 및 제2 입사 곡면(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사 곡면(17), 제2 출사 곡면(19), 및 제2 출사면(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사 곡면(13) 중 제1 출사 곡면(17)에 대향하는 영역의 전부 혹은 일부, 제1 입사 곡면(13) 중 제2 출사 곡면(19)에 대향하는 영역의 전부 혹은 일부, 제2 입사 곡면(15)의 전부 혹은 일부, 제1 출사 곡면(17)의 전부 혹은 일부, 제2 출사 곡면(19)의 전부 혹은 일부, 또는 제2 출사면(11)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를 제1 입사 곡면(13) 중 제1 출사 곡면(17)에 대향하는 영역에 실시함으로써, 도광체(1)의 직하 조도를 내릴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1)의 주로 직하에 위치하는 사람이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를 제1 입사 곡면(13) 중 제2 출사 곡면(19)에 대향하는 영역 또는 제2 출사면(11)에 실시함으로써, 도광체(1)의 측방의 조도를 내릴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1)의 주로 측방에 위치하는 사람이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를 제2 입사 곡면(15)에 실시함으로써, 도광체(1)의 대각선 하방의 조도를 내릴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1)의 주로 대각선 하방에 위치하는 사람이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확산 처리는, 대상물의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광을 확산시키는 물질을 대상물에 도포하거나, 광을 확산시키는 필름을 대상물에 붙임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어, 차광 처리는, 입사한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과시키지 않는 색채의 도료를 대상물에 바르거나, 입사한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과시키지 않는 색채의 필름을 대상물에 붙임으로써 실행된다.
(2) 본 실시 형태 및 본 변형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21)에는, 소켓(55)에 형성된 클로부(57)가 걸어맞춰졌다. 단, 광원 유닛(50)이 소켓(55)을 가지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어, 기판(53)에 형성된 2개의 클로부를 2개의 위치 결정부(21)에 걸어맞춰, 광원 유닛(50)을 도광체(1)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 위치 결정부(21) 및 클로부(57)의 각각은 2개 설치되었는데,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횡단부(71)는 2개 설치되었는데,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며,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위치 결정부(21)는, 관통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오목부여도 된다. 또한, 횡단부(71)는, 절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관통 구멍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부(5) 및 위치 결정부(21)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21)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3) 본 실시 형태 및 본 변형예에 따른 도광체(1) 및 발광 장치(2)를 탑재하는 조명 기구는, 도 6에 도시한 조명 기구(10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광체(1) 및 발광 장치(2)는, 수직으로 기립한 벽부, 경사진 벽부, 또는 경사진 천정에 장착되는 조명 기구에 탑재되어도 된다. 또, 도광체(1)의 광축(AX)이 조명 기구가 장착되는 면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임의이면 된다. 예를 들어, 광축(AX)이 조명 기구가 장착되는 면에 대략 직교하도록, 도광체(1)를 조명 기구에 탑재할 수도 있고, 광축(AX)이 조명 기구가 장착되는 면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도광체(1)를 조명 기구에 탑재할 수도 있으며, 광축(AX)이 조명 기구가 장착되는 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도광체(1)를 조명 기구에 탑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광체 및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가진다.
1: 도광체 3: 본체부
5: 통부 7: 입사면
9: 제1 출사면 11: 제2 출사면
13: 제1 입사 곡면 15: 제2 입사 곡면
17: 제1 출사 곡면 19: 제2 출사 곡면
21: 위치 결정부 51: LED 군(광원)
71: 횡단부 AX: 광축

Claims (9)

  1. 본체부를 구비하는 도광체로서,
    상기 본체부는,
    광원이 발광하는 광이 입사될 수 있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에 대향하여, 상기 입사면에 입사한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며, 상기 본체부의 광축이 통과하는 제1 입사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는, 도광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사면은, 상기 광축이 통과하는 제1 출사 곡면과, 상기 제1 출사 곡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제2 출사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출사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도광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출사 곡면의 상기 곡률 반경보다 큰, 도광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입사면에 입사한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2 출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출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광축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입사 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광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입사 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 곡면은, 상기 제2 입사 곡면과 상기 제2 출사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출사면을 향해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도광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의 외연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광축을 따라 연장되는 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벽면과 상기 입사면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도광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도광체.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배선이 횡단하는 횡단부를 포함하는, 도광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제1 출사면 중 적어도 1개의 일부 또는 전부는, 광확산 처리 또는 차광 처리되어 있는, 도광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광체와,
    상기 광원을 구비하는, 발광 장치.
KR1020150143935A 2015-03-27 2015-10-15 도광체 및 발광 장치 KR20160115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6513A JP6507008B2 (ja) 2015-03-27 2015-03-27 導光体及び発光装置
JPJP-P-2015-066513 2015-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661A true KR20160115661A (ko) 2016-10-06

Family

ID=557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935A KR20160115661A (ko) 2015-03-27 2015-10-15 도광체 및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07008B2 (ko)
KR (1) KR20160115661A (ko)
CN (1) CN205191492U (ko)
TW (1) TWI6633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1989B2 (ja) * 2016-07-14 2020-08-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8165740A (ja) * 2017-03-28 2018-10-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3845A (ja) 2010-06-14 2012-01-05 Nittoh Kogaku Kk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39267B (zh) * 2008-03-20 2012-11-21 香港理工大学 自由曲面透镜配光的大功率led路灯灯头
JP2010239021A (ja) * 2009-03-31 2010-10-21 Koha Co Ltd 光源モジュール
US8330342B2 (en) * 2009-12-21 2012-12-11 Malek Bhairi Spherical light output LED lens and heat sink stem system
JP5246817B2 (ja) * 2010-08-22 2013-07-24 泰金▲宝▼電通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ランプ
US8297799B2 (en) * 2010-12-02 2012-10-30 Aether Systems Inc. Omnidirectional LED lamp and complex, unitary lens
JP5666318B2 (ja) * 2011-01-08 2015-02-12 株式会社稲葉電機 ハロゲンランプ型led照明具
JP2012160666A (ja) * 2011-02-02 2012-08-23 Sharp Corp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5272029B2 (ja) * 2011-03-04 2013-08-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レンズおよび照明装置
CN103477252A (zh) * 2011-04-22 2013-12-25 夏普株式会社 透镜和光源单元
TWI412706B (zh) * 2011-07-27 2013-10-21 麗光科技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
JP6378468B2 (ja) * 2013-01-25 2018-08-22 株式会社nittoh 光学部材
CN204042750U (zh) * 2014-06-30 2014-12-24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led灯具的偏光透镜及具有该偏光透镜的led灯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3845A (ja) 2010-06-14 2012-01-05 Nittoh Kogaku Kk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07008B2 (ja) 2019-04-24
TWI663363B (zh) 2019-06-21
JP2016186884A (ja) 2016-10-27
TW201634862A (zh) 2016-10-01
CN205191492U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3718B2 (ja) 光学レンズ
US9453622B2 (en) Lens and LED module having the same
US9618683B2 (en) Luminaire having a light guide
CN107614964B (zh)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及照明装置
KR20180035782A (ko) 렌즈 부품 및 발광 장치
US20180292054A1 (en) A light emitting device combining light from several leds
TWI457622B (zh) 導光板與背光模組
US20150355398A1 (en) Light emitting arrangement using light guides
US20140126216A1 (en) Light guide
US10018330B2 (en) Light flux control member, light-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KR20160115661A (ko) 도광체 및 발광 장치
JP2014239008A (ja) 照明器具
US20150109808A1 (en) Vehicle lamp
JP6425063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乗物
JP663132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道路照明器具
JP6678524B2 (ja) 照明装置
TW201309971A (zh) 照明裝置
JP7515107B2 (ja) 照明器具
KR20200012426A (ko) 색분리 방지 다중배열 조명장치
US11988375B2 (en) Light source unit,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CN215411558U (zh) 照明器具以及导光体
TWM544636U (zh) 光導燈具之光學結構
JP2018017555A (ja) 照明装置
JP2020024821A (ja) 光学素子、照明装置
TWI510735B (zh) 發光二極體燈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