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591A -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591A
KR20160115591A KR1020150043577A KR20150043577A KR20160115591A KR 20160115591 A KR20160115591 A KR 20160115591A KR 1020150043577 A KR1020150043577 A KR 1020150043577A KR 20150043577 A KR20150043577 A KR 20150043577A KR 20160115591 A KR20160115591 A KR 20160115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ving
rotating
lifting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주
Original Assignee
양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주 filed Critical 양석주
Priority to KR102015004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591A/ko
Publication of KR2016011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29C33/24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6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 B29C33/28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4Repa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금형 습합 개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금형 습합 개폐장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수용공간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금형을 지지프레임에서 본체로 이동시키고, 금형 중 분리된 하형을 지지프레임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수평이동회전부와,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형을 지지하여 승강이동하고 설정각도 회전하는 승강이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MOLD OPENING AND SUTTING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OF MOLD}
본 발명은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의 상형과 하형을 안칙하여 이동 분리한 후, 각각 회전시켜 세척 및 보수 등을 수행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상부금형(상형)과 하부금형(하형)이 개폐 가능한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금형의 수리나 보수 등을 위하여 금형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된 금형, 즉 2개의 금형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금형을 서로 분리한다.
이때 서로 조립되어 크레인 등에 메달린 2개의 금형을 분리한 후, 분리된 금형의 위치를 변경하여 수리 및 보수한다. 그 다음 2개의 금형을 조립이 가능하도록 위치를 변경시킨 후, 2개의 금형을 서로 조립하고, 조립된 금형을 크레인 등으로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 보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의 금형 분리방법은 크레인 등에 메달린 2개의 금형을 작업자가 헤머 등으로 타격하여 분리한다. 따라서 금형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금형에 의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금형이 분리된 상태에서, 금형의 수리 및 재조립을 위하여 2회에 걸쳐서 금형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한다. 이로써, 금형의 보수를 위한 공정이 증가되고 복잡해지며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2011-1062512호(발명의 명칭: 금형 반전기, 등록일: 2011.03.08)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금형의 상형과 하형을 안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분리한 후, 각각 회전시켜 세척 및 보수 등을 수행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금형 습합 개폐장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금형을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본체로 이동시키고, 금형 중 분리된 하형을 상기 지지프레임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수평이동회전부; 및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형을 지지하여 승강이동하고 설정각도 회전하는 승강이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수리를 위한 사다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부재의 상단부에는 작업자의 낙하 방지를 위한 보호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회전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슬라이드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체; 상기 이동판체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이 안치되어 이동하고, 하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판체; 및 상기 회동판체를 상기 이동판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실린더부재; 및 상기 수평실린더부재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판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실린더부재의 동력을 상기 이동판체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이동판체와 상기 회동판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동판체를 상기 이동판체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이동회전부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부 양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수평이동회전부 상에 안치된 상기 상형을 지지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승강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회전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불록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형을 지지하여 상기 승강구동부로 승강하는 승강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블럭 또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럭에 대해 상기 상형을 지지한 채로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부재는 상기 상형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작동부재는 상기 승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축연결된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금형 보수 방법은, 본체에서 지지프레임을 따라 외부로 인출된 수평이동회전부의 이동판체에 금형을 안치하는 금형안치단계; 상기 수평실린더부재의 작동을 통해 금형이 안치된 수평이동회전부의 회동판체를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부로 이동하는 금형내부이동단계; 분리된 상기 금형 중 상형을 승강회전부의 승강지지부재로 고정하고, 승강구동부의 작동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형상승단계; 분리된 금형 중 하형을 회동판체에 안치하여 이동판체를 지지프레임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는 하형외부이동단계; 상기 이동판체를 회전실린더부재의 구동을 통해 회동판체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형의 세척과 수리가 용이하도록 젖혀주는 하형회전단계;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회동작동부재의 작동을 통해 승강블럭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형의 세척과 수리가 용이하도록 젖혀주는 상형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세척 및 수리를 마친 후, 상기 단계들의 반대과정을 거쳐 상형과 하형을 금형으로 맞추고 인출하는 조립 및 인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은 금형의 상형과 하형을 안칙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분리한 후, 각각 회전시켜 세척 및 보수 등을 수행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은 회동판체를 회전구동부를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형의 세척 및 보수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은 승강블록의 승강이동한 후 회전작동부재를 통해 상형을 설정각도로 회전시키므로 상형의 보수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를 이용한 금형의 보수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보수 방법의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는, 본체(10), 지지프레임(20), 수평이동회전부(30) 및 승강이동회전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는, 사출금형 등과 같이 다양한 금형을 장시간 사용한 후 내부에 발생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보수하기 위해 금형을 개페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습합'은 금형이 노후 등의 이유로 제품에 flash(burr, 바리)가 많이 찰 때 금형을 손질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된다. 수용공간부(1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본체(1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공간으로서, 금형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본체(10)에는 수리를 위한 사다리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사디리부재(14)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너비를 갖는 상태로 본체(10)의 일측 모서리부쥐에 구비된다. 사다리부재(14)는 지지프레임(20)의 연장부위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간섭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사다리부재(14)의 상단부에는 작업자의 낙하 방지를 위한 보호망부재(16)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망부재(16)는 작업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사각형 또는 원형의 망 형태로 구성된다. 보호망부재(16)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지지프레임(20)은 수용공간부(12)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지지프레임(20)에는 한 쌍의 레일부(20)가 형성되어 수평이동회전부(30) 이동판체(32)의 수평이동을 안내한다. 지지프레임(20)은 수용공간부(12)의 바닥에서 연장되어 외부에서 금형이 안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수평이동회전부(30)는 지지프레임(20)에서 금형을 본체(10)의 수용공간부(12)로 이동시키고, 금형 중 분리된 하형을 지지프레임(30)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수평이동회전부(30)는 크레인 또는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금형을 안치하고, 본체(10)의 수용공간부(12)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후 상형을 분리한 후 안치된 하형을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회전한다. 금형은 사출 금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금형으로서, 수십톤 내지 수백톤 나가므로 체결장치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헌다.
수평이동회전부(30)는 지지프레임(20)에서 슬라이드부(34)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체(36)와, 이동판체(36) 상에 구비되어 금형이 안치되어 이동하고, 하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판체(36)와, 회동판체(36)를 이동판체(32)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38)를 포함한다.
이동판체(36)는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레일부(22)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레일부(22)는 지지프레임(20)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이동판체(36)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레일부(22)의 개수는 2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회동판체(36)는 금형 중 하형의 저면이 접촉되어 안치되고, 슬라이드 이동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다수개의 함몰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동판체(36)는 이동판체(32)의 모서리부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판체(36)는 회전구동부(38)를 통해 이동판체(32)를 수직으로 직립하거나 설정각도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회동판체(36) 상에 안치된 하형은 젖혀지게 되고, 하형의 측면에 세척수를 분시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리를 진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부(34)는 본체(10)의 하부에서 지지프레임(20)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실린더부재(341)와, 수평실린더부재(34)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이동판체(32)에 타단이 연결되어 수평실린더부재(34)의 동력을 이동판체(32)에 전달하는 연결부재(342)를 포함한다. 수평실린더부재(341)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34)는 실린더방식 이외에 기어방식 체인방식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이동판체(32)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42)는 수평실린더부재(341)의 실린더축과 이동판체(32)를 연결하는 브라켓이다.
회전구동부(38)는 이동판체(32)와 회동판체(3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381)와, 힌지부(381)를 기준으로 회동판체(36)를 이동판체(32)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부재(382)를 포함한다. 힌지부(381)는 이동판체(32)와 이동판체(36)의 모시리측 가장자리부위에 상호 연결되도록 도시한다, 이때, 힌지부(381)는 이동판체(32)에서 회동판체(3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회전실린더부재(382)는 실린더축이 회동판체(36)에 연결되고, 실린더본체가 이동판체(32)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실린더부재(382)는 양측에 한 쌍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실린더부재(382)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승강이동회전부(40)는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형을 지지하여 승강이동하고 설정각도 회전하는 구성이다. 승강이동회전부(40)는 본체(10)에서 실린더방식, 기어방식, 체인방식, 벨트방식등의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금형 중 상형을 승강할 수 있다.
승강이동회전부(40)는 본체(10)의 수용공간부(12) 양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승강구동부(42)와, 수평이동회전부(30) 상에 안치된 금형 중 상형을 지지하여 승강구동부(42)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승강회전부(44)를 포함한다. 승강구동부(42)는 실린더부재이고, 본체(10)의 양측에 2개씩 배치된다. 한편, 승강구동부(42)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승강회전부(40)는 승강구동부(42)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블럭(441)과, 승강불럭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형을 지지하여 승강구동부(42)로 승강하는 승강지지부재(442)와, 승강블럭(441) 또는 승강지지부(442)에 구비되어 승강블럭(441)에 대해 상형을 지지한 채로 승강지지부재(442)를 회전시키는 회전작동부재(443)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지지부재(442)는 상형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형은 승강지지부재(442)에 체결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승강지지부재(442)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작동부재(443)는 승강블럭(441)에 설치되어 승강지지부재(442)에 축 연결된 유압모터이다. 승강작동부재(443)는 승강지지부재(443)를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반전시키거나 설정각도로 회전시켜 상형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리를 진행하게 한다. 승강지지부재(442)는 승강블럭(441)의 중심부위에 고정되어 승강작동부재(443)의 작동에 의해 실정각도 회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습합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금형보수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보수 방법의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보수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보수 방법은, 금형안치단계(S10), 금형내부이동단계(S20), 상형상승단계(S30), 하형외부이동단계(S40), 하형회전단계(S50) 및 상형회전딘계(S60)를 포함한다.
도 5의 첫 번째 도면과 도 6을 참조하면, 금형안치단계(S10)는 본체(10)에서 지지프레임(20)을 따라 외부로 인출된 수평이동회전부(30)의 이동판체(32)에 금형을 안치하는 단계이다. 이동판체(32)는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레일부(22)를 따라 이동한다. 금형은 크레인 또는 기중기 등을 통하여 수평이동회전부(30)의 회동판체(36) 상에 안치된다. 회동판체(36)는 이동판체(32)에서 힌지부(28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판체(32)는 슬라이드부(34)의 수평실린더부재(341)에 의해 수평이동한다. 수평실린더부재(341)는 지지프레임(20)의 중심 바닥에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실린더부재(341)의 실린더축이 연결부재(342)를 통해 이동판체(32)에 연결되어 신장을 통해 금형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의 두 번째 도면과 도 6을 참조하면, 금형내부이동단계(S20)는 수평실린더부재(341)의 작동을 통해 금형이 안치된 수평이동회전부(30)의 회동판체(36)를 본체(10)의 수용공간부(12)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 5의 세 번째 도면과 도 6을 참조하면, 상형상승단계(S30)는 분리된 금형 중 상형을 승강회전부(40)의 승강지지부재(442)로 고정하고, 승강구동부(42)의 작동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승강구동부(42)는 실린더부재를 적용한다. 상형은 승강지지부재(442)에 체결장치(미도시)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5의 네 번째 도면과 도 6을 참조하면, 하형외부이동단계(S40)는 분리된 금형 중 하형을 회동판체(36)에 안치하고 이동판체(32)를 지지프레임(20)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 5의 다섯 번째 도면과 도 6을 참조하면, 하형회전단계(S50)는 회동판체(36)를 회전구동부(38)의 회전실린더부재(382)의 신장을 통해 이동판체(3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하형의 세척과 수리가 용이하도록 젖혀주는 단계이다. 회동판체(36)는 이동판체(32)의 모서리에 결합된 힌지부(381)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회전실린더부재(382)는 완전하게 신장될 경우, 회동판체(36)를 수직으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형의 상면에 있는 이물질을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한 후, 적절한 수리를 진행한다.
도 5의 여섯 번째 도면과 도 6을 참조하면, 상형회전딘계(S60)는 승강지지부재(442)를 회동작동부재(443)의 작동을 통해 승강블럭(34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형의 세척과 수리가 용이하도록 젖혀주는 단계이다. 회동작동부재(443)를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전기모터 등을 이용하여 기어방식 등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형과 하형의 세척 및 수리를 마친 후, 거쳐온 단계들의 반대과정을 거쳐 상형과 하형을 조립하여 금형으로 맞추고 인출하는 조립 및 인출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형의 인출은 크레인 또는 기중기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수용공간부
14 : 사다리부재 16 : 보호망부재
30 : 수평이동회전부 32 : 이동판체
34 : 슬라이드부 341 : 수평실린더부재
342 : 연결부재 36 : 회동판체
38 : 회전구동부 381 : 힌지부
382 : 회전실린더부재 40 : 승강이동회전부 :
42 : 승강구동부 44 : 승강회전부
441 : 승강블럭 442 : 승강지지부재
443 : 회전작동부재

Claims (10)

  1.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금형을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본체로 이동시키고, 금형 중 분리된 하형을 상기 지지프레임 단부 측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수평이동회전부; 및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형을 지지하여 승강이동하고 설정각도 회전하는 승강이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수리를 위한 사다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사다리부재의 상단부에는 작업자의 낙하 방지를 위한 보호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회전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슬라이드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체;
    상기 이동판체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이 안치되어 이동하고, 하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판체; 및
    상기 회동판체를 상기 이동판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실린더부재; 및
    상기 수평실린더부재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판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평실린더부재의 동력을 상기 이동판체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이동판체와 상기 회동판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동판체를 상기 이동판체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이동회전부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부 양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수평이동회전부 상에 안치된 상기 상형을 지지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승강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회전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불록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형을 지지하여 상기 승강구동부로 승강하는 승강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블럭 또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럭에 대해 상기 상형을 지지한 채로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부재는 상기 상형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작동부재는 상기 승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축연결된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습합 개폐기.
  9. 본체에서 지지프레임을 따라 외부로 인출된 수평이동회전부의 이동판체에 금형을 안치하는 금형안치단계;
    상기 수평실린더부재의 작동을 통해 금형이 안치된 수평이동회전부의 회동판체를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부로 이동하는 금형내부이동단계;
    분리된 상기 금형 중 상형을 승강회전부의 승강지지부재로 고정하고, 승강구동부의 작동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형상승단계;
    분리된 금형 중 하형을 회동판체에 안치하여 이동판체를 지지프레임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는 하형외부이동단계;
    상기 이동판체를 회전실린더부재의 구동을 통해 회동판체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형의 세척과 수리가 용이하도록 젖혀주는 하형회전단계;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회동작동부재의 작동을 통해 승강블럭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형의 세척과 수리가 용이하도록 젖혀주는 상형회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보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세척 및 수리를 마친 후, 상기 단계들의 반대과정을 거쳐 상형과 하형을 금형으로 맞추고 인출하는 조립 및 인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보수 방법.
KR1020150043577A 2015-03-27 2015-03-27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KR20160115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77A KR20160115591A (ko) 2015-03-27 2015-03-27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77A KR20160115591A (ko) 2015-03-27 2015-03-27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91A true KR20160115591A (ko) 2016-10-06

Family

ID=5716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77A KR20160115591A (ko) 2015-03-27 2015-03-27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5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1170A (zh) * 2019-08-03 2019-09-24 尹建星 一种塑料压缩成型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1170A (zh) * 2019-08-03 2019-09-24 尹建星 一种塑料压缩成型设备
CN110271170B (zh) * 2019-08-03 2021-08-20 广东烜洋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压缩成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6036B2 (ja) 上げ床の後処理装置
CN204997896U (zh) 两边独立式轮胎后充气装置
EP3052325B1 (en) Tyre-changing machine
KR100921320B1 (ko) 오일 그루브 가공을 위한 실린더 라이너용 지그
EP2062753B1 (en) Machine for fitting and removing wheel tyres comprising tyre lifting means
JP6786113B2 (ja) 重力式鋳造機
KR200364425Y1 (ko) 수평형 이동식 절단기
KR20160115591A (ko) 금형 습합 개폐장치 및 금형 보수 방법
KR101170057B1 (ko)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EP2514613B1 (en) Tyre changer machine and method for lifting a wheel for loading it on the tyre changer machine.
CN209304939U (zh) 一种鞋厂开模机
WO2013114694A1 (ja) タイヤ加硫機、および、タイヤ加硫設備
KR100851334B1 (ko) 그린타이어 인출장치
JP6809104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CN210212442U (zh) 一种可以保持货物稳定的卸货用升降机
CN110722367B (zh) 一种用于汽车零件加工中的角度调整装置
CN105729426A (zh) 一种流水线工作台
CN110466577A (zh) 一种四氟板搬运小车
EP1852273A1 (en) Auxiliary device for workshop machines suitable for lifting wheels for vehicles, particularly for tyre-changing machines or the like
CN109895044B (zh) 升降旋转平台及自动化加工设备
CN210058017U (zh) 一种自动搅拌机械手臂装置
ITMO20080124A1 (it) Macchina equilibratrice per l'equilibratura di ruote di veicoli
CN110259123B (zh) 建筑工地的装夹旋转装置
KR101258576B1 (ko) 용융금속 자동 주입 장치
KR101840218B1 (ko) 산업용 프레임 커버 제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