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106A - 가스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가스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106A
KR20160115106A KR1020150042122A KR20150042122A KR20160115106A KR 20160115106 A KR20160115106 A KR 20160115106A KR 1020150042122 A KR1020150042122 A KR 1020150042122A KR 20150042122 A KR20150042122 A KR 20150042122A KR 20160115106 A KR20160115106 A KR 2016011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top plate
ring
shaft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102B1 (ko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10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버너가 장착된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에 개구되는 장착홀; 상기 장착홀의 영역에 배치되며, 밸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버너로의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상기 밸브 샤프트와 결합되며, 상기 탑 플레이의 상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노브; 및 상기 장착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노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노브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조리기기 { Gas cooker }
본 발명은 가스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조리기기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가스 조리기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가스 조리기기 중 가스 레인지나 가스 오븐 레인지의 쿡탑 유닛에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으로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버너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버너는, 화염 버너(Flame Burner) 또는 쿡탑 버너(Cook-Top Burner)로 명명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쿡탑은 매립형 주방용 가구인 싱크장에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쿡탑의 하부에 대응하는 싱크장에는 가스 오븐 또는 식기 세척기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수납장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싱크장에 매립된 가스 쿡탑의 경우 버너가 착화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장의 문을 개폐하게 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버너부의 공기가 급격하게 싱크장의 내부로 유동되어 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버너가 소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게 될 때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일시적으로 공기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버너가 소화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4418호에는 가스 쿡탑의 상판에 공기 유입홀을 형성하여 싱크장의 공기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버너의 착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빌트입 타입의 가스 쿡탑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가스 쿡탑에서는 공기 유입홀의 외부 노출로 인하여 외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특히 청소 등의 작업시 상기 유입홀을 통해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등 사용 및 관리상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홀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버너의 조작을 위한 노브가 장착되는 장착홀을 이용하여 외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노브 링에 의해 상기 장착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더욱 개선하는 가스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조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버너가 장착된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에 개구되는 장착홀; 상기 장착홀의 영역에 배치되며, 밸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버너로의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상기 밸브 샤프트와 결합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노브; 및 상기 장착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노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노브 링을 포함한다.
상기 노브 링의 내경은 상기 노브의 직경보다는 더 작고, 외경은 상기 노브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 링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의 둘레는 상기 평면부와 경사부가 접하는 부분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와 노브 링은 동종의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 링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 링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와, 각 연장부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로 구성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어 상기 절곡부를 구속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 링에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의 회전량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홀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홀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 링의 높이는 상기 홀 테두리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바디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 바디와 상기 밸브 샤프트를 연결하는 노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노브 샤프트를 수용하는 샤프트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 바디와 노브 샤프트는 상기 노브 샤프트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의 하방에는 상기 노브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노브 링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는 싱크장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조리기기에 의하면, 버너의 불꽃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 조작되는 노브가 장착되는 장착홀을 통해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공기 유입을 위한 홀을 외부에 형성하지 않으면서 상기 노브의 장착을 위해서 형성되는 상기 장착홀을 이용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너가 자체 소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의 둘레에는 상기 노브의 하단과 상기 장착홀이 형성되는 탑 플레이트의 사이게 노브 링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 링은 상기 노브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게 하면서 외부로의 장착홀 노출은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공기 유입의 기능은 유지한 채로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와 동일한 질감의 알루미늄 소재로 상기 노브 링을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 링에는 상기 노브의 회전 조작 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링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서 상기 장착홀의 내측 영역에서 엘이디가 조사될 경우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과도하게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노브의 하면측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노브의 하면 둘레가 간접 조명의 형태와 같이 밝혀져 외관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장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탑 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3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조작부 모습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노브 및 노브 링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노브 및 노브 링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6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노브 링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노브를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조작부에서 외기가 흡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조작부에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빌트인 타입의 상면에 장착되는 쿡 탑과 같은 조리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조작되는 노브가 구비되는 가스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장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탑 플레이트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10)는 싱크장(1)과 같은 가구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조리기기(10)는 상기 싱크장(1)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3)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탑 플레이트(100)에 의해 상기 싱크장(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공급 배관과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하부의 구성들은 모두 상기 싱크장(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상면은 둘레를 따라 테두리(110)가 돌출되고, 중앙의 내측면은 함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0)에는 다수의 버너(20)가 배치되는 버너 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버너(20) 상방에는 조리를 위한 용기가 안착되는 그레이트(3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너(20)는 가스 조리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전단 중앙에는 조작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테두리(110)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테두리(110)와 이어진 형태로 구성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40)에는 상기 다수의 버너(20)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노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브(200)의 개수는 상기 버너(20)의 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200)가 장착되는 상기 조작부(140)는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노브(200)를 조작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조작부 모습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140)에는 다수의 노브(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200)의 하단에는 상기 노브 링(300)이 구비된다. 상기 노브 링(300)은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200)의 하단과 동일한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동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자체의 질감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하여 상기 노브(200) 및 노브 링(300)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소재를 단조 가공하여 상기 노브(200)와 노브 링(300)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200)는 상기 탑 플레이트(100)와 상기 노브(20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지만 내경이 상기 노브(200)의 외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노브(200)의 내측 홀 또는 장착홀(1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노브(200)의 둘레에는 표시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1)는 상기 노브(200)의 회전 조작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321)의 둘레를 따라 눈금이나 문자 또는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노브(200) 및 노브 링(30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노브 및 노브 링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노브 및 노브 링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노브 링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140)에는 상기 노브(200) 및 노브 링(30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홀(141)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41)은 상기 노브(200)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41)의 직경은 상기 노브(200)의 하면의 직경 및 상기 노브 링(30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41)의 둘레에는 홀 테두리부(14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홀 테두리부(141)는 조리 중 또는 청소 중에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물이 상기 장착홀(14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홀 테두리부(142)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 링(300)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테두리부(142)는 상기 조작부(14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140)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41)의 외측에는 결합구(145)가 더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45)는 상기 장착홀(1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200)의 결합돌기(3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200)의 결합돌기(330)가 상기 결합구(1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200)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노브(200)를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 고정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결합구(145)는 상기 노브 링(300)의 결합돌기(330)가 수용되는 것으로 삽입부(143)와 걸림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43)는 결합구(145)의 절곡부(332)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44)는 상기 삽입부(143)의 일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결합구(145)의 연장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링(300)의 장착시 상기 절곡부(332)가 상기 삽입부(143)를 통해 삽입되도록 삽입시킨 후에 상기 노브 링(30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연장부(331)가 상기 걸림부(144)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절곡부(332)가 상기 걸림부(144)에 걸림 구속되어 도 6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노브 링(300)이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노브 링(300)의 중심은 상기 장착홀(141)의 중심과 동일하게 배치되고 상기 홀 테두리부(142)는 상기 노브 링(3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하방에는 상기 버너(20)로의 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 배관은 물론 상기 버너(20)로의 가스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41)의 중앙에는 회전 조작되는 밸브 샤프트(41)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샤프트(41)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4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브(2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버너(20)의 화력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노브(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브(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노브(200)는 사용자가 잡고 조작하는 노브 바디(210)와 상기 노브 바디(210)에 결합되며, 밸브 샤프트(41)와 결합되는 노브 샤프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바디(210)는 상기 노브 링(300)과 동일한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며, 단조 가공되어 알루미늄 고유의 질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 바디(21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브 바디(21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211)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핸들(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211)의 직경은 상기 장착홀(141) 및 상기 노브 링(300)의 내경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212)은 상기 베이스(211)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베이스(211)의 외측 일단에서 다른 일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212)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핸들(212)을 잡고 상기 노브(200)를 회전 조작 용이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11)의 하면에는 상기 노브 샤프트(220)가 결합되는 샤프트 안착부(211a)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의 양측에는 상기 노브 샤프트(220)와 상기 노브 바디(210)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230)가 체결되는 체결홀(211b)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는 상기 베이스(211)의 하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브 샤프트(22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노브 샤프트(220)의 상부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의 둘레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노브 샤프트(220)의 원판(221)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 샤프트(220)를 상기 노브 바디(210)에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원판(221)이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의 둘레와 원판(221)의 둘레가 서로 형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판(221)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11)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원판(221)의 둘레가 상기 노브 바디(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211b)은 상기 노브 바디(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2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211b)의 입구 부분은 상기 노브 샤프트(220)에 형성되는 체결부재 장착부(223)와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샤프트(220)는 상기 노브 바디(210)와 상기 밸브 샤프트(41)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각각 상기 노브 바디(210) 및 밸브 샤프트(4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노브 샤프트(220)는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에 삽입되는 상기 원판(221)의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 보스(222)와 상기 샤프트 보스(222)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230)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장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보스(222)는 상기 원판(221)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상기 원판(221)을 기준으로 상부는 상기 샤프트 안착부(211a)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 보스(222)는 상기 노브(200)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보스(222)는 상기 원판(221)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샤프트 보스(222)의 연장 길이는 상기 장착홀(141)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 샤프트(4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보스(222)의 하면에는 개구된 샤프트홀(222a)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 샤프트(41)는 상기 샤프트홀(222a)로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 보스(222)의 내측에서 키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 장착부(223)는 상기 샤프트 보스(222)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211)에 형성되는 체결홀(211b)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 장착부(223)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 장착부(223)가 상기 체결홀(211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노브 바디(210)와 상기 노브 샤프트(220)가 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체결부재 장착부(223)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211b)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홀(211b)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브 바디(210)와 노브 샤프트(220)는 상기 체결부재(230)에 의해 서로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 샤프트(220)가 상기 밸브 샤프트(41)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 바디(210)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밸브 샤프트(41)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가스 밸브(40)의 개도를 조절하여 버너(2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노브(200)는 상기 탑 플레이트(10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브(200)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사이 공간에는 노브 링(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 링(300)은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청소 및 정비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 링(30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200)와 같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어 단조 가공됨으로써 상기 노브(200)와 함께 일체감 있는 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브 링(300)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21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노브 링(300)의 내경은 상기 베이스(211)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되 상기 장착홀(141)의 직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 링(300)의 높이는 상기 장착홀(141)의 둘레에 형성된 상기 홀 테두리부(142)보다 더 높게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노브 링(300)의 상면은 평면부(310)와 경사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310)는 상기 장착홀(141)과 인접한 상기 노브 링(300) 상면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211)의 외측단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20)는 상기 평면부(310)의 외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외측에서 사용자가 노브(200)를 바라볼 때 상기 노브(200)와 탑 플레이트(100) 사이에 구비된 노브 링(300)에 의해 상기 장착홀(141)이 노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노브 링(300)의 내경 또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탑 플레이트(100)의 구조 및 상기 노브(200)의 설치 구조상 사용자는 상기 노브(200)를 상방 또는 측상방에서 바라보게 되는 경우가 많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노브(200)의 단부 즉 상기 베이스(211)의 외측단과 상기 평면부(310)와 경사부(320)가 만나는 경계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사용자는 상기 노브(200)와 노브 링(300) 사이의 간격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상기 노브(200)와 노브 링(300) 사이의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노브(200)와 노브 링(300) 사이의 간격이 용이하게 식별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장착홀(1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310)에는 표시부(3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1)는 상기 노브(200)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 또는 문자, 그림의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노브(200)의 회전량을 판단하여 상기 버너(2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노브 링(300)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3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30)는 좌우 양측 마주보는 지점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 플레이트(100) 상의 결합구(14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330)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31)와 연장부(331)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32)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331)의 연장 길이는 상기 결합돌기(330)가 상기 결합구(145)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332)가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하면과 접하거나 다소 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 링(300)의 장착시 상기 결합돌기(330)를 상기 결합구(14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브(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노브 링(300)이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홀(141)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50)는 상기 장착홀(141)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브(200)의 하면이 간접 조명의 방식으로 빛이 나도록 하여 상기 노브(200)가 간접조명과 같이 밝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노브를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조작부에서 외기가 흡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브(200)는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노브(200)의 베이스(211)와 상기 노브 링(300)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보이게 된다. 특히,상기 노브 링(300)이 상기 노브(200)의 하방에서 상기 장착홀(141)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브(200)의 하부 공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41)은 상기 노브 링(300)의 높이에 의해 외부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보다 간결하고 깔끔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노브(200)의 핸들(212)을 잡고 돌리게 되면 상기 가스 밸브(40)의 밸브 샤프트(41)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버너(20)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게 되고 상기 버너(2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노브 링(300)의 표시부(321)를 통해서 상기 노브(200)의 회전량과 상기 버너(20)의 화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20)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장(1)의 도어(2)를 개폐하거나 상기 버너(20)의 화력을 조절하게 될 경우 버너(20)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상기 장착홀(141)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노브(200)와 상기 노브 링(300)의 사이는 상방에서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격된 상태이며, 상기 노브(200)와 노브 링(3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장착홀(141)을 통해서 상기 탑 플레이트(100)의 하면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100) 하방에 위치된 버너(20)로 공급되어 버너(20)가 소화되지 않고 화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조작부에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탑 플레이트(100)에는 발광부재(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재(50)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노브(200)는 간접 조명의 형태로 밝혀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50)는 상기 장착홀(14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밸브 샤프트(4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부재(50)는 상기 노브(200)의 하면을 항햐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 링(300)은 상기 발광부재(50)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측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노브(200)와 노브 링(300) 사이가 한층 더 밝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50)는 실내의 조도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노브(200)를 회전 조작하게 될 때 온/오프되어 사용중인 버너(20)에 대응하는 상기 노브(200)가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며, 버너가 장착된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에 개구되는 장착홀;
    상기 장착홀의 영역에 배치되며, 밸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버너로의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
    상기 밸브 샤프트와 결합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노브; 및
    상기 장착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노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노브 링을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의 내경은 상기 노브의 직경보다는 더 작고, 외경은 상기 노브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둘레는 상기 평면부와 경사부가 접하는 부분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노브 링은 동종의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와, 각 연장부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로 구성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어 상기 절곡부를 구속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에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의 회전량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홀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의 높이는 상기 홀 테두리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바디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 바디와 상기 밸브 샤프트를 연결하는 노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노브 샤프트를 수용하는 샤프트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바디와 노브 샤프트는 상기 노브 샤프트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하방에는 상기 노브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노브 링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싱크장 또는 가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KR1020150042122A 2015-03-26 2015-03-26 가스 조리기기 KR10167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122A KR101671102B1 (ko) 2015-03-26 2015-03-26 가스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122A KR101671102B1 (ko) 2015-03-26 2015-03-26 가스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106A true KR20160115106A (ko) 2016-10-06
KR101671102B1 KR101671102B1 (ko) 2016-10-31

Family

ID=5716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122A KR101671102B1 (ko) 2015-03-26 2015-03-26 가스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70A (ko) * 2018-06-04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70A (ko) * 2018-06-04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19235750A1 (ko) * 2018-06-04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828472B2 (en) 2018-06-04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102B1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2497B (zh) 毂和辐条燃烧器端口构造
US20140318526A1 (en) Diffusion cap burner for gas cooking appliance
US20110011389A1 (en)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20090080178A1 (en) Kitchen Appliance
KR20090065058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667958B2 (en) Burner illumination in an appliance
KR101328507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US20100326421A1 (en) Fireplace assembly with integrated burn control system
KR101671102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82645B1 (ko) 가스조리기기
KR20090064606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23600B1 (ko) 야외용 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421210Y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KR101402953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KR101719820B1 (ko) 가스 조리기기
KR20100096971A (ko) 조리기기
KR101118262B1 (ko) 가스레인지용 믹싱밸브
US20220170643A1 (en) Cooktop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light display
KR101316480B1 (ko) 조리기기
KR20090064605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21688B1 (ko) 수납이 용이한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