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549A - 웨이퍼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웨이퍼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549A
KR20160114549A KR1020160080191A KR20160080191A KR20160114549A KR 20160114549 A KR20160114549 A KR 20160114549A KR 1020160080191 A KR1020160080191 A KR 1020160080191A KR 20160080191 A KR20160080191 A KR 20160080191A KR 20160114549 A KR20160114549 A KR 2016011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as
holes
gas inlet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431B1 (ko
Inventor
우범제
윤석문
한명석
김현신
Original Assignee
피코앤테라(주)
우범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코앤테라(주), 우범제 filed Critical 피코앤테라(주)
Priority to KR102016008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4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46Dry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4Providing fillings in containers, e.g. gas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웨이퍼 수납용기를 수납실과 가스주입실 및 가스배기실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퍼 수납용기를 로드포트로 이송하여 상기 로드포트와 결합시, 상기 수납실 내부의 분리벽을 통해 퍼지가스를 주입 / 배기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하는 웨이퍼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이퍼 수납용기 {Front Opening Unified Pod}
본 발명은 웨이퍼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로드포트와 결합시 퍼지가스를 주입하여 효율적으로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하는 웨이퍼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웨이퍼 상에 증착 공정, 연마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식각 공정, 이온주입 공정, 세정 공정, 검사 공정, 열처리 공정 등이 선택적이면서도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제조되며, 이렇게 반도체 소자로 형성되기 위하여 웨이퍼는 각 공정에서 요구되는 특정 위치로 운반되어 진다.
반도체 제조 공정 시에, 가공되는 웨이퍼는 고정밀도의 물품으로 보관 및 운반 시 외부의 오염 물질과 충격으로부터 오염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개구 통합형 포드(Front Opening Unified Pod,FOUP)과 같은 웨이퍼 수납 용기에 수납되어 이송한다.
이 경우, 공정상에서 사용되는 공정 가스 및 공정상의 부산물인 퓸 등이 제거되지 않고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한 채로 웨이퍼 수납 용기에 수납된다.
그러나 이러한 잔존물이 웨이퍼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반도체 제조 장비의 오염 및 에칭 패턴(etch pattern)의 불량 등으로 이어져, 결국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웨이퍼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하는 웨이퍼 수납용기로는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34033호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64)는 쉘(shell, 65) 및 폐쇄된 상부, 폐쇄된 바닥면, 폐쇄된 좌면, 폐쇄된 우면, 개방된 전면, 그리고 폐쇄된 후면(67)을 포함한다.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24)가 용기부(64)를 밀봉할 수 있다.
용가부(64) 내부에는 복수개의 웨이퍼가 수납되는 웨이퍼 선반을 가질 수 있다.
운동 커플링 판(kinematic coupling plate, 74)은 용기부의 바닥에 위치하고 후방 포트(54)에서 전면 그로밋 및 후면 그로밋(77)을 수용하는 적당한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는 쉘(65)을 통해 연장한다.
용기부는 웨이퍼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하는 두개의 후방 간극(rearward apertures, 80)을 포함한다.
타워 요소로 구성되는 관형 환경 제어 요소(78)는 용기부(64)에 내부로부터 간극(80)으로 삽입된다.
관형 요소는 수용부(containment portion, 81), 오프셋 부(offset portion, 83), 그리고 포트부(port portion, 85)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그로밋(77)은 관형 요소의 낮은 영역(없94)에 밀봉되게 위치될 수 있고 체크 벨브(62)가 그곳에 위치될 수 있다.
윈통(cylindrical) 형상의 필터 및/또는 게터 미디어 재료(10)가 수용부에 포함될 수 있고 관형 요소의 내부에 들어맞게 구성된다.
상기 관형 요소는 노출된 수평 슬롯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axially-extending) 간극(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형 요소는 각각의 웨이퍼를 위한 슬릿(slit)을 포함할 수 있고 슬릿 포지션에서 각각의 웨이퍼의 표면에 퍼지 가스를 방출한다.
그러나 종래의 웨이퍼 수납용기는 가스가 주입되는 영역, 웨이퍼가 실장된 영역, 가스가 배기되는 영역이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지 못해 웨이퍼가 실장된 영역에서의 가스의 유동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웨이퍼 수납용기 내에 수납되는 웨이퍼에 퍼지가스가 분사되지 않는 사영역이 생길 수 있고, 또한,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기 관형요소에 의해 퍼지가스가 분사되므로, 일정한 영역에 퍼지가스가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340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웨이퍼 수납용기를 수납실과 가스주입실 및 가스배기실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수납실 내부의 분리벽을 통해 퍼지가스를 주입 / 배기하여, 효율적으로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하는 웨이퍼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는 내부에 웨이퍼가 수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측면에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제1가스주입실; 상기 수납실과 상기 제1가스주입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된 제1분리벽; 및 상기 수납실 내부 양측에서 상기 웨이퍼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 하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설치되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멍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가스배기실; 및 상기 수납실과 상기 가스배기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분리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스주입실 및 상기 가스배기실은 각각 상기 수납실의 양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3분리벽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멍은 상기 제1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3구멍은 상기 제3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구멍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제2가스주입실; 상기 수납실과 상기 제2가스주입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분리벽;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가스배기실; 및 상기 수납실과 상기 가스배기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분리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스주입실 및 상기 제2가스주입실은 각각 상기 수납실의 양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배기실은 상기 수납실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2분리벽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멍은 상기 제1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2구멍은 상기 제2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멍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제2가스주입실; 상기 수납실과 상기 제2가스주입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분리벽;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가스배기실; 및 상기 수납실과 상기 가스배기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분리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스주입실, 상기 제2가스주입실 및 상기 가스배기실은 각각 상기 수납실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2가스주입실 및 상기 가스배기실은 상기 제1가스주입실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2, 3분리벽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멍은 상기 제1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2, 3구멍은 상기 제2, 3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3구멍 각각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웨이퍼 수납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가스주입실과 상기 수납실 사이에 위치하는 구멍을 갖는 분리벽을 통해 퍼지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종래의 웨이퍼 수납용기와 달리 일정한 영역에 상기 퍼지가스가 집중적으로 분사되지 않고, 사영역 없이 효율적으로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납실의 양측에 가스주입실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수납실의 배면측에 가스배기실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납실의 양측 벽면에서 퍼지가스가 주입되어 웨이퍼의 퓸을 제거하고 상기 수납실의 배면측에 위치한 상기 가스배기실을 통해 상기 퍼지가스가 배기됨으로써, 웨이퍼 수납용기의 전면 양측에서 주입된 퍼지가스가 후면 방향으로 흐르면서 사영역 없이 효율적으로 웨이퍼의 퓸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납실의 일측에 가스주입실이 위치하고, 상기 가스주입실의 반대측에 가스배기실이 위치함으로써, 한방향으로 퍼지가스의 흐름이 생기게 되어,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과 퍼지가스가 상기 가스배기실로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수납실의 일측에 제1가스주입실이 위치하고, 상기 수납실의 반대측에 제2가스주입실 및 가스배기실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납실에 주입되는 퍼지가스의 양을 증대시켜 효율적으로 웨이퍼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에 형성된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구멍이 상부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커지게 함으로써, 상기 가스주입실의 바닥면에 있는 가스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퍼지가스가 상부로 갈수록 더 많을 양이 수납실로 주입됨으로써, 하부에만 퍼지가스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와 하부에 균일하게 퍼지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에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길이를 갖는 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스주입실에서 상기 수납실로 주입되는 퍼지가스가 상기 관을 통해 주입되어 상기 관의 길이 방향으로 직진성을 가지게 되므로, 퍼지가스가 작은 압력으로 가스 유입홀을 통해 가스주입실로 공급되더라도 상기 수납실에 퍼지가스를 더 멀리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관의 길이를 상기 분리벽의 상부로 갈수록 짧게 형성하여 상기 구멍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납실의 하부에만 퍼지가스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와 하부에 균일하게 퍼지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웨이퍼 수납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13-13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구멍의 개구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3의 구멍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구멍의 길이 변화를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분리벽의 구멍에 관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구멍의 개구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3의 구멍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구멍의 길이 변화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분리벽의 구멍에 관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1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는 내부에 웨이퍼(w)가 수납되는 수납실(110). 수납실(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가스주입실(120), 수납실(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가스주입실(130), 수납실(11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가스배기실(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실(110)은 상부와 하부가 폐쇄되어 있고, 전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이며, 좌측면에는 제1분리벽(150)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2분리벽(160)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제3분리벽(17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납실(110)의 좌, 우측에는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이 각각 위치하고, 배면측에는 가스배기실(140)이 위치하고, 제1, 2가스주입실(120, 130) 및 가스배기실(140) 수납실(110)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이 각각 형성되어, 수납실(110)과 제1, 2가스주입실(120, 130) 및 가스배기실(140)이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수납실(110)에는 웨이퍼(w)가 수납되며, 이 경우 수납실(110) 내부 양측면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웨이퍼(w)를 지지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10) 내부 양측면에 다수 개로 적층된 플레이트(200)를 설치하여 웨이퍼(w)를 지지할 수도 있다.
제1가스주입실(120)은 수납실(110)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 및 전면과 배면, 좌측면이 폐쇄되어 있고, 우측면에는 제1분리벽(1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가스주입실(120)의 내부 전면 바닥면에는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로드포트(미도시)와 결합시 상기 로드포트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퍼지가스를 유입시키는 제1가스 유입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가스주입실(130)은 수납실(110)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 및 전면과 배면, 우측면이 폐쇄되어 있고, 좌측면에는 제2분리벽(1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가스주입실(130)의 내부 전면 바닥면에는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상기 로드포트와 결합시 상기 로드포트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퍼지가스를 유입시키는 제2가스 유입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배기실(140)은 수납실(110)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하부 및 후면과 좌, 우측면이 폐쇄되어 있고, 전면에는 제3분리벽(170)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배기실(140)의 내부 좌, 우측 바닥면에는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로드포트와 결합시 수납실(110)에 수납된 웨이퍼(w)의 퓸과 퍼지가스를 배기하는 제1, 2가스 배기홀(141, 1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2가스 유입홀(121, 131) 및 제1, 2가스 배기홀(141, 142)의 위치와 갯수는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결합되는 로드포트의 공급부와 배기부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60)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이 형성된다.
제1, 2구멍(151, 161)은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에서 수납실(110) 내부로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제3구멍(171)은 플레이트(200)에서 수납실(110) 내부에 분사된 퍼지가스와 퓸 가스를 후술할 가스배기실(140)로 배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은 다수개의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2구멍(151, 161)은 수평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실(100)에 수납되는 웨이퍼(w)의 갯수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구멍(171)은 수납실(110) 내부로 주입되는 퍼지가스 및 퓸의 양에 따라 제1, 2구멍(151, 161)과 같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에서 상부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제1, 2구멍(151, 161)의 개구면적의 크기를 제1 2분리벽(150, 160)의 상부로 갈수록 크게 함으로써, 후술할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2가스 유입홀(121, 131)에서 퍼지가스가 유입되어 제1, 2구멍(151, 161)을 통해 수납실(110)의 내부로 주입될 때, 제1, 2분리벽(150, 160)의 상부와 하부에 균일하게 퍼지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수납실(110)에 존재하는 상기 퍼지가스와 퓸이 제3구멍(171)을 통해 후술할 가스배기실(14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2가스 배기홀(141, 142)로 배기될 때, 제1, 2가스 배기홀(141, 142)이 위치한 바닥면, 즉, 제3분리벽(170)의 하부에만 상기 퍼지가스와 퓸이 배기될 수 있는데,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제3구멍(171)의 개구면적의 크기를 제3분리벽(170)의 상부로 갈수록 크게 함으로써, 제3분리벽(170)의 하부에만 상기 퍼지가스와 퓸이 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태의 제1구멍(도 8에는 미도시) 및 제2, 3구멍(161', 17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형태의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도 각각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의 상부로 갈수록 수평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효과는 전술한 도 7의 다수개의 구멍형태의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의 경우와 같다.
제1 내지 3구멍(151, 161, 171)에는 길이를 갖는 관(181)이 설치될 수 있다.
관(181)은 그 일단이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에 설치되고, 타단은 각각 제1, 2가스주입실(120, 130)과 가스배기실(14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2구멍(151, 161)에 길이를 갖는 관(181)을 설치함으로써,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에서 수납실(110)로 주입되는 퍼지가스가 관(181)을 통해 주입되어 관(181)의 길이 방향으로 직진성을 가지게 되므로, 퍼지가스가 작은 압력으로 후술할 제1, 2가스 유입홀(121, 131)을 통해 제1, 2가스주입실(120, 130)로 공급되더라도 수납실(110) 내부에 상기 퍼지가스를 더 멀리 주입할 수 있고, 제3구멍(171)에 길이를 갖는 관(181)을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로서 가스배기실(140)에 퍼지가스와 퓸의 배기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181)의 길이는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의 상부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관(181)의 길이를 상부로 갈수록 짧게 함으로써, 관(181)을 통해 퍼지가스가 주입되거나, 퍼지가스와 배기가스가 배기될 때, 관(181)의 길이가 짧은 상부에 많은 양의 퍼지가스가 흐르고, 관(181)의 길이가 긴 하부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퍼지가스가 흐르게 되어,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의 상부와 하부에 균일하게 퍼지가스가 흐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181)은 전술한 슬릿형태의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구멍들은 다수개의 구멍형태의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만으로 구성하거나, 슬릿형태의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만으로 구성하였으나, 제1, 2분리벽(150, 160)은 슬릿형태의 제1, 2구멍(151', 161')으로 형성되고, 제3분리벽(170)은 다수개의 구멍형태의 제3구멍(171)으로 형성하는 등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에 수납된 웨이퍼(w)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하는 과정을 퍼지가스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로드포트(미도시)에 결합이 되면, 상기 로드포트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퍼지가스가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의 내부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2가스 유입홀(121, 131)을 통해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에 유입된다.
제1, 2가스주입실(120, 130)에 유입된 상기 퍼지가스는 제1, 2분리벽(150, 160)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2구멍(151, 161)을 통해 수납실(110)의 내부로 주입된다.
즉, 수납실(110)의 좌, 우측면에서 퍼지가스가 주입되며, 이렇게 주입된 상기 퍼지가스는 웨이퍼(w)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과 함께 제3분리벽(170)의 제3구멍(171)을 통해 가스배기실(140)로 배기된다.
가스배기실(140)로 배기된 상기 퍼지가스와 퓸은 가스배기실(140)의 내부 좌, 우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2가스 배기홀(141, 142)을 통해 상기 로드포트의 배기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포트에서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분리되어 다른 공정으로 웨이퍼 수납용기(100)가 이송될 때, 웨이퍼 수납용기(100)에 수납된 웨이퍼(w)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미도시)가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개방된 전면부에 결합하여 웨이퍼 수납용기(100)를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웨이퍼(w)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개방된 전면부에 상기 도어를 결합하여, 밀봉된 상태에서 웨이퍼(w)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하, 위에서 언급한 플레이트(2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실(110)의 내부의 양측면에 플레이트(200)를 설치하는 경우, 플레이트(200)가 웨이퍼(w)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지지봉(2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봉(230)에 웨이퍼(w)가 안착된다.
지지봉(230)은 웨이퍼(w)가 닿게 되는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웨이퍼(w)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00)의 상면 일부분에 웨이퍼(w)를 안착시켜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봉(230)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웨이퍼(w)를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10')의 좌측에 제1가스주입실(120')이 위치하고, 수납실(110')의 우측에 가스배기실(14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수납실(110')의 좌측면에는 제1분리벽(150)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3분리벽(170)이 형성되어, 수납실(110')과 제1가스주입실(120') 및 가스배기실(140')이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1가스주입실(120') 내부 바닥면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제1가스 유입홀(121)과 제3가스 유입홀(122)이 형성되고, 가스배기실(140') 내부 바닥면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제1가스 배기홀(141)과 제2가스 배기홀(142)이 형성된다.
제1, 3분리벽(150, 170)에는 각각 제1, 3구멍(151, 171)이 형성된다.
제1, 3구멍(151, 171)은 제1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형태나 슬릿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는 수납실(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가스주입실(120')에서 수납실(110')로 퍼지가스가 주입되며, 주입된 상기 퍼지가스와 웨이퍼(w)의 표면에 잔존하는 퓸이 수납실(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가스배기실(140')을 통해 로드포트(미도시)의 배기부로 배출된다.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제1가스주입실(120')은 수납실(110')의 우측에, 제2가스주입실(130') 위치는 수납실(11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수납실(110')에는 전술한 플레이트(200)가 다수개로 적층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에서와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10")의 좌측에 제1가스주입실(120")이 위치하고, 수납실(110")의 우측에 제2가스주입실(130") 및 가스배기실(14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수납실(110")의 좌측면에는 제1분리벽(150)이 형성되고, 우측 전면에는 제2분리벽(160)이 형성되며, 우측 후면에는 제3분리벽(170)이 형성되어, 수납실(110)과 제1, 2가스주입실(120", 130") 및 가스배기실(140")이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1가스주입실(120") 내부 바닥면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제1가스 유입홀(121)과 제3가스 유입홀(122)이 형성되고, 제2가스주입실(130") 내부 바닥면의 전면에는 제2가스 유입홀(131)이 형성되며, 가스배기실(140") 내부 바닥면의 후면에는 제1가스 배기홀(141)이 형성된다.
또한, 제2가스주입실(130")과 가스배기실(140")사이에는 제4분리벽(180)이 형성되어 제2가스주입실(130")과 가스배기실(140")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내지 제3분리벽(150, 160, 170)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구멍(151, 161, 171)은 제1실시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형태나 슬릿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는 수납실(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가스주입실(120")과 우측 전면에 위치하는 제2가스주입실(130")에서 수납실(110")로 퍼지가스가 주입되며, 주입된 상기 퍼지가스와 웨이퍼(w)의 퓸이 수납실(110")의 우측 후면에 위치하는 가스배기실(140")을 통해 로드포트(미도시)의 배기부로 배출된다.
물론,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제1가스주입실(120")이 수납실(110")의 우측에, 제2가스주입실(130") 및 가스배기실(140")은 수납실(11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가스주입실(130")이 수납실(110")의 후면에, 가스배기실(140")이 수납실(110")의 전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의 수납실(110")에는 전술한 플레이트(200)가 다수개로 적층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웨이퍼 수납용기(100)에서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100', 100": 웨이퍼 수납용기 110, 110', 110": 수납실
120, 120', 120": 제1가스주입실 121: 제1가스 유입홀
122: 제3가스 유입홀 130, 130', 130": 제2가스주입실
131: 제2가스 유입홀 140, 140', 140": 가스배기실
141: 제1가스 배기홀 142: 제2가스 배기홀
150: 제1분리벽 151, 151': 제1구멍
160: 제2분리벽 161, 161': 제2구멍
170: 제3분리벽 171, 171': 제3구멍
180: 제4분리벽 181: 관
200: 플레이트 230: 지지봉

Claims (4)

  1. 내부에 웨이퍼가 수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의 측면에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제1가스주입실;
    상기 수납실과 상기 제1가스주입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된 제1분리벽; 및
    상기 수납실 내부 양측에서 상기 웨이퍼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 하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설치되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멍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수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가스배기실; 및
    상기 수납실과 상기 가스배기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분리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스주입실 및 상기 가스배기실은 각각 상기 수납실의 양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3분리벽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멍은 상기 제1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3구멍은 상기 제3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구멍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수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제2가스주입실;
    상기 수납실과 상기 제2가스주입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분리벽;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가스배기실; 및
    상기 수납실과 상기 가스배기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분리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스주입실 및 상기 제2가스주입실은 각각 상기 수납실의 양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배기실은 상기 수납실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2분리벽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멍은 상기 제1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2구멍은 상기 제2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멍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수납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제2가스주입실;
    상기 수납실과 상기 제2가스주입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분리벽;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는 가스배기실; 및
    상기 수납실과 상기 가스배기실을 서로 독립된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되, 가스가 연통되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분리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스주입실, 상기 제2가스주입실 및 상기 가스배기실은 각각 상기 수납실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2가스주입실 및 상기 가스배기실은 상기 제1가스주입실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리벽 및 상기 제2, 3분리벽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구멍은 상기 제1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2, 3구멍은 상기 제2, 3분리벽에 설치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3구멍 각각은 개구면적을 갖되, 상기 개구면적의 상, 하 거리는 상기 상, 하로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수납용기.
KR1020160080191A 2016-06-27 2016-06-27 웨이퍼 수납용기 KR10168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91A KR101684431B1 (ko) 2016-06-27 2016-06-27 웨이퍼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91A KR101684431B1 (ko) 2016-06-27 2016-06-27 웨이퍼 수납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523A Division KR101637498B1 (ko) 2015-03-24 2015-03-24 웨이퍼 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549A true KR20160114549A (ko) 2016-10-05
KR101684431B1 KR101684431B1 (ko) 2016-12-08

Family

ID=5715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91A KR101684431B1 (ko) 2016-06-27 2016-06-27 웨이퍼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238B1 (ko) 2016-11-16 2018-05-03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웨이퍼 운반 카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1422A (ja) * 1998-03-03 1999-09-17 Shinko Electric Co Ltd ウェーハ収納容器
KR20040074768A (ko)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피 보관체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한 보관 방법 및 보관함및 스토커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JP2009141015A (ja) * 2007-12-04 2009-06-25 Ulvac Japan Ltd 基板収容容器及び基板処理方法
KR20100134033A (ko) 2008-03-13 2010-12-22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관형 환경 제어 요소를 갖는 웨이퍼 용기
JP2012004199A (ja) * 2010-06-15 2012-01-05 Shin Etsu Polymer Co Ltd 基板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1422A (ja) * 1998-03-03 1999-09-17 Shinko Electric Co Ltd ウェーハ収納容器
KR20040074768A (ko)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피 보관체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한 보관 방법 및 보관함및 스토커를 포함하는 보관 장치
JP2009141015A (ja) * 2007-12-04 2009-06-25 Ulvac Japan Ltd 基板収容容器及び基板処理方法
KR20100134033A (ko) 2008-03-13 2010-12-22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관형 환경 제어 요소를 갖는 웨이퍼 용기
JP2012004199A (ja) * 2010-06-15 2012-01-05 Shin Etsu Polymer Co Ltd 基板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431B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498B1 (ko) 웨이퍼 수납용기
US20230307276A1 (en) Container for storing wafer
US10847395B2 (en) Wafer storage container
KR101033408B1 (ko) 수용 대상물 이송 시스템
JP6400534B2 (ja) 基板収納容器
JP6351317B2 (ja) 基板収納容器
TW201631649A (zh) 基板液處理裝置、排氣切換單元及基板液處理方法
JP6431440B2 (ja) 基板収納容器
JP2015156421A (ja) パージシステム、及び該パージシステムに供せられるポッド及びロードポート装置
KR101684431B1 (ko) 웨이퍼 수납용기
KR101368706B1 (ko) 웨이퍼 캐리어
JP6553498B2 (ja) 基板収納容器
KR101822554B1 (ko) 웨이퍼 수납용기
KR20160114547A (ko) 웨이퍼 수납용기
KR20160114548A (ko) 웨이퍼 수납용기
JP7087357B2 (ja) ポッド及びパージ装置
KR20190006046A (ko) 웨이퍼 수납용기
KR101722683B1 (ko) 웨이퍼 수납용기
KR101922692B1 (ko) 웨이퍼 수납용기
KR20210045378A (ko) 웨이퍼 수납용기
KR20170076563A (ko) 웨이퍼 수납용기
KR20060006615A (ko) 보트 퍼징장치
KR20180054945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20090035859A (ko) 가스 배기 장치
JP2017216383A (ja) ガスパージノズル及びフロントパージ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