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333A -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333A
KR20160112333A KR1020150037935A KR20150037935A KR20160112333A KR 20160112333 A KR20160112333 A KR 20160112333A KR 1020150037935 A KR1020150037935 A KR 1020150037935A KR 20150037935 A KR20150037935 A KR 20150037935A KR 20160112333 A KR20160112333 A KR 20160112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battery pack
guide
electric fie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673B1 (ko
Inventor
김민찬
박건태
추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3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판상형 전지팩들의 전장 및 두께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지팩이 하향 슬라이딩 되도록 상면 양측에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향으로 이격되어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지팩의 두께를 검사하는 두께 검사부; 상기 두께 검사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위치하여 전지팩의 전장을 검사하는 전장 검사부; 및 상기 전장 검사부가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측면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A Inspection Device for Battery Packs with Various Length and Thickness}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그 중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도 1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는 각형 전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50)는 전극조립체(10)가 각형의 금속 케이스(20)에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20)의 개방 상단에 돌출형 전극단자(예를 들어, 음극단자: 32)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3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10)의 음극은 음극 탭(12)을 통해 탑 캡(30) 상의 음극단자(32)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러한 음극단자(32)는 절연부재(34)에 의해 탑 캡(30)으로부터 절연되어 있고, 양극은 그것의 양극 탭(14)이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도전성 소재로 되어 있는 탑 캡(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자체로서 양극단자를 형성한다.
전극 탭들(12, 14)을 제외하고 전극조립체(10)와 탑 캡(30)의 전기적 절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각형 케이스(20)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시트형 절연부재(40)를 삽입한 뒤, 탑 캡(30)을 장착하고, 탑 캡(30)과 케이스(20)의 접촉면을 따라서 용접으로 이들을 결합한 후 전해액 주입구(43)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후 금속 볼(도시하지 않음)을 용접하여 밀봉하고, 에폭시 등으로 용접 부위를 도포함으로써 전지가 완성된다.
도 2에는 종래의 전지팩의 두께 및 전장 검사 장치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검사 장치(60)에서 지면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 플레이트(61)의 상면에 전지팩(50)의 두께 및 전장을 검사하기 위해 전지팩을 투입한다. 전지팩(50)이 검사 장치(6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61)에 대해 상향 이격되어 있는 가로 바(65)에 걸려 멈추게 되면 불량으로 처리되고, 또는 전지팩(50)의 전장(L1)이 길어서 가이드들(62, 63) 사이의 슬라이드 플레이트(61)에 삽입되지 못하면 불량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지팩에 대해 두께 및 전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모델에 부합하는 지그(Jig)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그러나, 모델의 두께 또는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전지팩의 크기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그를 제작하여 검사하게 되지만, 전지팩의 규격이 변경되면 변경 전의 지그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불필요한 지그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불용 지그의 관리 문제도 발생된다.
더욱이, 변경된 전지팩의 정상 규격에 대응하는 지그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감소되고, 그에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팩의 전장 또는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전지팩의 정상 규격의 검사를 위한 새로운 지그를 제작할 필요 없이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에 적용될 수 있는 전지팩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판상형 전지팩들의 전장 및 두께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지팩이 하향 슬라이딩 되도록 상면 양측에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향으로 이격되어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지팩의 두께를 검사하는 두께 검사부;
상기 두께 검사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위치하여 전지팩의 전장을 검사하는 전장 검사부; 및
상기 전장 검사부가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측면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는, 전지팩의 전장 또는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신규 지그 제작에 따른 비용 증가를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에는 전지팩의 전장이 정상인 경우에 정위치 눈금에서 정지하도록 정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의 두께는, 전지팩이 하향 슬라이딩 이동할 때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지팩의 두께의 20% 내지 70%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의 진직도는 1 마이크로미터 내지 3 마이크로미터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롤러의 표면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절연 물질이 롤러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는 전지팩의 폭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께 검사부는,
상기 롤러가 회전축의 양단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롤러를 지지하고, 양측 하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에 전지팩이 통과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지팩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롤러 지지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 1 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고정 노브;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제 1 고정 노브의 상단에는, 두께 검사부의 두께 조절부 및 전장 검사부의 전장 조절부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마이크로미터 헤드가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미터 헤드로 롤러 및/또는 상하 조절나사들을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마이크로미터 헤드에는 전지팩의 전장 및 두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미터 헤드의 눈금 단위는 두께 검사시 0.001 마이크로미터로 조정될 수 있고, 전장 검사시 0.01마이크로미터로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두께 조절부는 0.5 mm/rev의 상하 조절나사일 수 있고, 상기 두께 조절부의 두께 측정 범위는 1 mm 내지 15 mm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장 검사부는,
상기 제 2 가이드가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지팩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전지팩의 전장을 조절하는 전장 조절부가 결합되어 있는 전장 검사부 본체; 및
상기 전장 검사부 본체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제 2 가이드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노브;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전장 조절부는, 예를 들어, 0.5 mm/rev의 상하 조절나사일 수 있고, 상기 전장 조절부의 전장 측정 범위는 30 mm 내지 100 mm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2개의 플레이트들이 아크 형상으로 중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에는 2개의 플레이트들이 고정하기 위해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으며, 2개의 구멍들을 관통하는 위치 고정구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치 고정구의 일단은 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 플레이트에 돌출된 형태이며, 위치 고정구의 타단은 구멍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플레이트들의 2개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멍들은 지면에 대해 등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 범위는 10도 내지 5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께 검사 장치에는 전지팩의 두께 및 전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지팩 두께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지팩의 크기에 맞도록 고정 노브의 조임을 해제하여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
상기 전지팩의 두께 검사 및 전장 검사를 위해 마스터 블록을 이용하여 두께 및 전장을 조절하는 과정;
마이크로미터 헤드를 이용하여 두께 및 전장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과정;
상기 고정 노브로 제 1 가이드 및/또는 제 2 가이드를 고정시키는 과정;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 사이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면에 전지팩을 투입하는 과정;
상기 전지팩이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면을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두께 검사부를 통과하고,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에서 정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전지팩을 탈리하여 외관을 검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두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지팩이 두께 검사부의 롤러에서 정지하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전지팩이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를 통과하거나 정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하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는, 전지팩의 전장 또는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신규 지그를 제작하기 위한 추가 시간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장 및 두께 조절부들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지팩들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므로 지그의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는 각형 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팩의 두께 및 전장 검사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전지팩들의 전장 및 두께 검사 장치(100)는 전지팩(101)의 두께를 검사하는 두께 검사부(110), 전장을 검사하는 전장 검사부(17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8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163) 및 제 2 가이드(164)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팩(101)이 지면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상면에서 하향 슬라이딩되는 구조이다.
제 1 가이드(163) 및 제 2 가이드(164)에는 전지팩(101)의 전장이 정상인 경우에 정위치 눈금들(167)에서 정지하도록 정위치를 나타내는 눈금들(167)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제 1 가이드(163) 및 제 2 가이드(164)의 두께(T2)는, 전지팩(101)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상면을 하향 슬라이딩 이동할 때 측면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지팩(101)의 두께의 70%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두께 검사부(110)는 롤러(150)가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롤러 지지부(151), 두께 조절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 플레이트(155) 및 제 1 가이드(163)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고정 노브(141)로 구성되어 있다.
또, 두께 검사부(110)는 지면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에 대해 상향으로 이격되어 롤러(150)가 롤러 지지부(151)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들(152, 153)를 따라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되어 전지팩(101)의 두께를 검사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길이는 전지팩(101)의 폭을 기준으로 600%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161)는 스틸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표면은 크롬 도금되어 전지팩(101)의 슬라이드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수평 플레이트(155)는 상기 롤러 지지부(151)와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양 측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6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161) 상에 전지팩(101)이 통과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수평 플레이트(155)의 상측에는 표면이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롤러(150)가 위치하고, 롤러(1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지팩(101)의 두께를 검사하도록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하고 있다.
전지팩(101)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상면에서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롤러(150)와 롤러 지지부(151)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후방으로 수평 플레이트(155)와 롤러 지지부(151)를 지지 리브(166)가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두께 조절부(도시하지 않음)는 상하 조절나사로 0.5 mm/rev 단위로 롤러(150)의 위치를 변경하여 전지팩(101)의 두께를 조절하며, 두께 측정 범위는 1 mm 내지 15 mm의 범위이다.
제 1 고정 노브(141)는 롤러 지지부(151)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 1 가이드(163)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 1 고정 노브(141)의 상단에는, 두께 검사부(110) 및 전장 검사부(170)의 눈금 조정 단위를 보다 좁은 간격으로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마이크로미터 헤드(130)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전장 검사부(170)는 전지팩(101)의 전장을 검사하는 전장 검사부 본체(171) 및 제 2 가이드(164)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노브(142)로 구성되어 있다.
전장 검사부 본체(171)에는 제 1 가이드(163)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 2 가이드(164)가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장 검사부 본체(171)에는 전지팩(101)의 전장을 조절하는 전장 조절부(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으며, 전지팩(101)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6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전지팩(101)의 전장을 조절하는 구조이다.
전장 조절부(도시하지 않음)는 상하 조절나사로 0.5 mm/rev의 단위로 전장을 조절하며, 전장 측정 범위는 30 mm 내지 100 mm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각도 조절부(180)는 아크 형상으로 한 쌍의 플레이트들(181, 182)이 중첩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플레이트(181)의 일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61)의 측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고, 제 2 플레이트(182)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90)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들(181, 182)을 중첩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구(183)의 일단은 구멍들(185, 186, 187, 188)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 플레이트(182)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며, 위치 고정구(183)의 타단은 구멍들(185, 186, 187, 188)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각각의 플레이트들(181, 182)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플레이트들(181, 182)에 고정되어 있다.
각도 조절부(180)의 각도 조절 범위는 10도 내지 50도 범위로 조절되며, 각도 조절부(180)의 플레이트들(181, 18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들(185, 186, 187, 188)은 지면에 대해 등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들의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 두께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은, 최초에 고정 노브의 조임을 해제하여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를 이동시키고(S110), 전지팩의 두께 검사 및 전장 검사를 위해 정상 규격의 마스터 블록을 이용하여 두께 및 전장을 조절한다(S120). 그 다음, 상하 조절나사로 조절된 간격에 대해 마이크로미터 헤드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간격 및 두께를 조절하고(S130), 가이드들을 이동시킨 후 고정 노브를 조임으로써 가이드들을 고정시켜 제 1 고정 노브 및 제 2 고정 노브로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를 고정시킨다(S140). 그 다음, 마스터 블록을 사용하여 검사를 위한 간격 조정이 종료되면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 사이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면에 전지팩을 투입하고(S150), 전지팩이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면을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두께 검사부를 통과하는지를 검사하게 되는데(S160), 전지팩이 두께 검사부를 통과하면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를 검사하고(S170), 전지팩이 두께 검사부를 통과하여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에서 정지한 경우 정상 판정하게 된다(S180). 그러나, 전지팩이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를 나타내는 눈금 영역을 통과하는 경우이거나, 정위치 눈금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하면 전장이 정해진 규격보다 짧거나 긴 것이므로 불량으로 판정한다(S19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8)

  1. 다양한 크기를 갖는 판상형 전지팩들의 전장 및 두께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지팩이 하향 슬라이딩 되도록 상면 양측에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향으로 이격되어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전지팩의 두께를 검사하는 두께 검사부;
    상기 두께 검사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위치하여 전지팩의 전장을 검사하는 전장 검사부; 및
    상기 전장 검사부가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측면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에는 전지팩의 전장이 정상인 경우에 정위치 눈금에서 정지하도록 정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의 두께는, 전지팩이 하향 슬라이딩 이동할 때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지팩의 두께의 20% 내지 70%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의 진직도는 1 마이크로미터 내지 3 마이크로미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표면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절연 물질이 롤러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는 전지팩의 폭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사부는,
    상기 롤러가 회전축의 양단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롤러를 지지하고, 양측 하단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에 전지팩이 통과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지팩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부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롤러 지지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 1 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고정 노브;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노브의 상단에는, 두께 검사부의 두께 조절부 및 전장 검사부의 전장 조절부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마이크로미터 헤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터 헤드에는 전지팩의 전장 및 두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터 헤드의 눈금 단위는 두께 검사시 0.001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터 헤드의 눈금 단위는 전장 검사시 0.01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부는 0.5 mm/rev의 상하 조절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부의 두께 측정 범위는 1 mm 내지 15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검사부는,
    상기 제 2 가이드가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지팩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전지팩의 전장을 조절하는 전장 조절부가 결합되어 있는 전장 검사부 본체; 및
    상기 전장 검사부 본체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제 2 가이드를 고정하는 제 2 고정 노브;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조절부는 0.5 mm/rev의 상하 조절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조절부의 전장 측정 범위는 30 mm 내지 100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2개의 플레이트들이 아크 형상으로 중첩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에는 2개의 플레이트들이 고정하기 위해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으며, 2개의 구멍들을 관통하는 위치 고정구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치 고정구의 일단은 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외측 플레이트에 돌출된 형태이며, 위치 고정구의 타단은 구멍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플레이트들의 2개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은 지면에 대해 등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 범위는 10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사 장치에는 전지팩의 두께 및 전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검사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 두께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지팩의 크기에 맞도록 고정 노브의 조임을 해제하여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
    상기 전지팩의 두께 검사 및 전장 검사를 위해 마스터 블록을 이용하여 두께 및 전장을 조절하는 과정;
    마이크로미터 헤드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과정;
    상기 고정 노브로 제 1 가이드 및/또는 제 2 가이드를 고정시키는 과정;
    상기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 사이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면에 전지팩을 투입하는 과정;
    상기 전지팩이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면을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두께 검사부를 통과하고,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에서 정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전지팩을 탈리하여 외관을 검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측정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이 두께 검사부의 롤러에서 정지하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측정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이 전장 검사부의 정위치를 통과하거나 정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하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측정 방법.
  26. 제 23 항에 따른 방법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7. 제 26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50037935A 2015-03-19 2015-03-19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KR10177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935A KR101778673B1 (ko) 2015-03-19 2015-03-19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935A KR101778673B1 (ko) 2015-03-19 2015-03-19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33A true KR20160112333A (ko) 2016-09-28
KR101778673B1 KR101778673B1 (ko) 2017-09-14

Family

ID=5710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935A KR101778673B1 (ko) 2015-03-19 2015-03-19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841B1 (ko) * 2020-01-09 2020-02-14 권준화 카트리지 제품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0932B (zh) * 2018-06-07 2019-12-24 安徽海锂子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软包芯底角位破损检测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6704B2 (ja) * 2001-12-12 2007-02-07 大同特殊鋼株式会社 寸法測定装置
CN103900449B (zh) 2012-12-29 2017-04-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平面度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841B1 (ko) * 2020-01-09 2020-02-14 권준화 카트리지 제품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673B1 (ko)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659B1 (ko)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용접 방법
US9880207B2 (en) Precise detector of charge current for charge-discharge device
KR20130128030A (ko) 3 전극계 전압 측정지그
KR101778673B1 (ko)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KR20170116539A (ko) 리튬-황 전지용 수직저항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용 양극 평가 방법
CN207215965U (zh) 测试软包锂电池边电压的装置
CN202177374U (zh) 一种锂离子电池厚度检测装置
KR101280573B1 (ko) 원통형 전지셀 측정장치
KR101994346B1 (ko) 전지셀의 두께 측정이 가능한 충방전 장치
US11978865B2 (en) Battery cell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device and battery cell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using same
KR102192298B1 (ko) 만입부가 형성된 지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클램핑 장치
KR20210150106A (ko) 이차전지의 실링부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링부의 두께 측정방법
KR101778665B1 (ko) 다양한 두께를 갖는 전지셀들의 두께 검사 장치
US118881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degree of alignment of battery module
CN105676031A (zh) 锂离子电池电极材料电性能测试装置和电池制作方法
JP2014165068A (ja) 試験電池ホルダー及びそれを備える充放電試験装置
KR101456424B1 (ko) 신규한 구조의 두께 검사 장치
US20240077545A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jig for impedance measurement of battery cell
JP6674636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2064307B1 (ko) 전지셀에 대한 충격량을 조절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
CN216051935U (zh) 一种锂电池测内阻工装
KR20160028725A (ko) 이차전지 관통 시험 장치 및 관통 시험 방법
EP4026651B1 (en) Welding quality inspection device
CN220913038U (zh) 隔膜电阻的测试装置
KR102544388B1 (ko) 원형 배터리 절연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