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312A - 입형 원심펌프 - Google Patents

입형 원심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312A
KR20160112312A KR1020150037715A KR20150037715A KR20160112312A KR 20160112312 A KR20160112312 A KR 20160112312A KR 1020150037715 A KR1020150037715 A KR 1020150037715A KR 20150037715 A KR20150037715 A KR 20150037715A KR 20160112312 A KR20160112312 A KR 2016011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housing
suction pipe
filter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730B1 (ko
Inventor
소진호
Original Assignee
소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진호 filed Critical 소진호
Priority to KR102015003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7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입형 원심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는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필터부재(30)가 구비된 필터하우징(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흡입관(40)과, 상기 필터하우징(20)의 하측 둘레부에서 연장된 연장관(50)과, 상기 연장관(50)에 연결된 펌프본체(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40)을 통해 흡입된 폐수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3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게 되며,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30)의 상면에 걸려 제거되며,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덮개(22)를 열고 상기 필터부재(30)를 꺼내어 세척할 수 있어서, 필터부재(30)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입형 원심펌프{vertical sump pump}
본 발명은 필터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입형 원심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에서 배출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퍼 올리는 데 사용되는 입형 원심펌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흡입구(1a)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수구(1b)가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2)와, 상기 하우징(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관체(3)와, 상기 지지관체(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2)에 연결된 구동축(4)과, 상기 지지관체(3)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4)에 연결된 구동모터(5)와, 상기 하우징(1)의 흡입구(1a)에 구비된 필터부재(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은 폐수에 잠기고, 상기 구동모터(5)는 폐수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6)는 둘레면에 미세한 흡입공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통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를 이용하여 구동축(4)을 회전시키면, 상기 임펠러(2)가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구(1a)를 통해 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배수구(1b)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흡입구(1a)에 구비된 필터부재(6)에 걸려 제거됨으로서, 상기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임펠러(2) 등이 손상되거나, 상기 배수구(1b)에 연결된 배수관(1c) 등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입형 원심펌프는 상기 하우징(1)의 흡입구(1a)에 구비된 필터부재(6)를 이용하여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냄으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필터부재(6)의 외측면에 다량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필터부재(6)를 막게 됨으로, 일정시간마다 필터부재(6)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은 상기 지지관체(3)의 하단에 구비되어 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됨으로, 필터부재(6)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62207호, 등록특허 10-101985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입형 원심펌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필터부재(30)가 구비된 필터하우징(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흡입관(40)과, 상기 필터하우징(20)의 하측 둘레부에서 연장된 연장관(50)과, 상기 연장관(50)에 연결된 펌프본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펌프본체(60)가 고정되는 지지패널(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관(5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배수공(52a)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52a)에는 배수공(52a)을 개폐하는 개폐수단(90)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수단(90)을 이용하여 배수공(52a)을 개방하면,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과,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재(30)는 상기 연장관(50)이 결합되는 결합공(31a)과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필터패널(31)과, 상기 필터패널(31)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손잡이(32)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패널(31)의 둘레면이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관(50)은 상기 결합공(31a)을 통해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입관(40)은 상기 필터하우징(20)에 고정된 상부흡입관(41)과, 상기 상부흡입관(41)의 하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흡입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흡입관(42)을 승강시켜 흡입관(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하우징(20)이나 펌프본체(60) 또는 지지패널(10)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본체(6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70)와, 상기 진동감지센서(70)에 연결된 경보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는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필터부재(30)가 구비된 필터하우징(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흡입관(40)과, 상기 필터하우징(20)의 하측 둘레부에서 연장된 연장관(50)과, 상기 연장관(50)에 연결된 펌프본체(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40)을 통해 흡입된 폐수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3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게 되며,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30)의 상면에 걸려 제거되며,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덮개(22)를 열고 상기 필터부재(30)를 꺼내어 세척할 수 있어서, 필터부재(30)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형 원심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를 도시한 것으로, 공장 등에서 배출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퍼 올리는 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입형 원심펌프는 상기 저수조에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결합되며 내부에 필터부재(30)가 구비된 필터하우징(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연결된 흡입관(40)과, 상기 필터하우징(20)이 하측둘레부에서 연장된 연장관(50)과, 상기 연장관(50)에 연결된 펌프본체(60)와, 상기 지지패널(10)에 구비된 진동감지센서(70)와, 상기 진동감지센서(70)에 연결된 경보수단(8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패널(1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저수조의 덮개판(8)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8)에는 개구부(9)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널(10)은 상기 개구부(9)를 덮어 가리도록 상기 덮개판(8)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하우징(20)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본체(21)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22)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22)를 열어서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3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21)는 상기 지지패널(10)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11)에 하단 둘레부가 매입되도록 고정결합된다.
상기 필터부재(30)는 상기 연장관(50)이 결합되는 결합공(31a)과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필터패널(31)과, 상기 필터패널(31)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손잡이(3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부재(30)의 둘레면이 지지되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32)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부로 필터부재(30)를 삽입하면, 상기 필터부재(30)의 둘레부가 상기 걸림턱(21a)에 지지되어,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공간을 상부챔버(23)와 하부챔버(24)로 구획한다.
이때,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는 일정한 수위의 폐수가 저장된다.
상기 흡입관(4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하측면과 상기 필터부재(30)의 결합공(31a)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재(30)의 상측, 즉, 상기 상부챔버(23)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40)은 상기 필터하우징(20)에 고정된 상부흡입관(41)과, 상기 상부흡입관(41)의 하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흡입관(42)으로 구성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흡입관(42)을 승강시켜 흡입관(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관(50)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하향연장부(51)와, 상기 하향연장부(5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52)와, 상기 수평연장부(52)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향연장부(51)는 상단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하부챔버(2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50)의 중간부, 즉 상기 수평연장부(52)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배수공(52a)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52a)에는 배수공(52a)을 개폐하는 개폐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90)은 상기 연장관(50)의 중간부 하측에 구비된 힌지브라켓(91)과, 상기 힌지브라켓(91)에 중간부가 힌지결합된 시이소부재(92)와, 상기 시이소부재(9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공(52a)에 결합되는 마개(93)와, 상기 시이소부재(92)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93)가 상기 배수공(52a)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94)와, 상기 시이소부재(92)의 후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부재(9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94)는 일단이 상기 힌지브라켓(9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시이소부재(92)에 연결된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와이어부재(95)는 상기 지지패널(10)에 형성된 도시 안된 구멍을 통해 지지패널(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에는 도시 안된 핸들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핸들을 상측으로 당기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이소부재(92)가 회동되면서 상기 마개(93)가 하강되어, 상기 배수공(52a)이 개방된다.
상기 펌프본체(60)는 하측면에 흡입구(61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배수구(61b)가 형성된 펌프하우징(61)과, 상기 펌프하우징(6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62)와, 상기 펌프하우징(6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62)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6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3)와, 상기 배수구(61b)에 연결된 배수관(63)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펌프하우징(61)은 상기 지지패널(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장관(50)은 상향연장부(53)의 상단이 상기 펌프하우징(61)의 흡입구(61a)에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63)은 하단이 상기 펌프하우징(61)의 배수구(61b)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패널(1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63)를 구동시키면, 상기 임펠러(62)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하우징(20) 내부의 폐수가 상기 펌프본체(60)의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배수관(63)을 통해 배출되며, 이때,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폐수가 상기 흡입관(40)을 통해 필터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된 후, 다시 상기 펌프본체(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40)은 상기 상부챔버(23)로 연장됨으로, 상기 폐수는 상부챔버(23)로 공급된 후, 상기 필터부재(30)의 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연장관(50)을 통해 상기 펌프본체(60)로 배출됨으로,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재(30)에 걸러져서 제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폐수만이 상기 연장관(50)과 펌프본체(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진동감지센서(70)는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본체(6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3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30)가 막히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펌프본체(60)가 구동되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폐수가 필터하우징(20)의 필터부재(3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연장관(50)과 펌프하우징(61) 및 배수관(63)을 통해 배출됨으로, 상기 필터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데, 상기 필터부재(30)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30)가 막힐 경우, 상기 폐수가 필터부재(30)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저항이 급격히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펌프본체(60)에 부하가 가해져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본체(60)에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필터부재(3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된 것을 의미하게 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7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패널(10)에 전달되는 펌프본체(60)의 진동을 감시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30)가 막힐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80)은 경광등과 스피커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진동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감지센서(70)에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필터부재(30)가 이물질에 의해 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광등과 스피커를 통해 경광과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형 원심펌프는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필터부재(30)가 구비된 필터하우징(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흡입관(40)과, 상기 필터하우징(20)의 하측 둘레부에서 연장된 연장관(50)과, 상기 연장관(50)에 연결된 펌프본체(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40)을 통해 흡입된 폐수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3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게 되며,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30)의 상면에 걸려 제거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덮개(22)를 열고 상기 필터부재(30)를 꺼내어 세척할 수 있어서, 필터부재(30)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펌프본체(60)는 상기 지지패널(10)에 고정됨으로,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가 일체로 연결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5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배수공(52a)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52a)에는 배수공(52a)을 개폐하는 개폐수단(90)이 구비됨으로, 작업자가 상기 개폐수단(90)을 조작하여 상기 배수공(52a)을 개방하면,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과,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 내부의 폐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본체(60)가 구동되지 않을 때는,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과,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의 내부에 남은 폐수를 모두 배출함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과,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에 스케일이 끼거나, 겨울철에 폐수가 얼어서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과,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30)는 상기 연장관(50)이 결합되는 결합공(31a)과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속판형태의 필터패널(31)과, 상기 필터패널(31)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손잡이(32)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패널(31)의 둘레면이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관(50)은 상기 결합공(31a)을 통해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하우징(2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상기 필터하우징(20)과 연장관(5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40)은 상기 필터하우징(20)에 고정된 상부흡입관(41)과, 상기 상부흡입관(41)의 하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흡입관(42)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저수조의 깊이에 따라 상기 흡입관(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널(10)에는 상기 펌프본체(6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70)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70)에는 경보수단(80)이 연결되어, 상기 펌프본체(60)의 구동시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면,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30)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80)이 경보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30)가 막히면 이를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서, 필터부재(3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상기 펌프본체(60)가 구동되어 펌프본체(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입형 원심펌프는 저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폐수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감지센서(70)는 상기 지지패널(1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진동감지센서(70)는 지지패널(10) 이외에, 상기 펌프본체(60)나 필터하우징(20)을 비롯하여 상기 펌프본체(6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곳은 어디에라도 구비될 수 있다.
10. 지지패널 20. 필터하우징
30. 필터부재 40. 흡입관
50. 연장관 60. 펌프본체
70. 진동감지센서 80. 경보수단

Claims (6)

  1.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필터부재(30)가 구비된 필터하우징(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상기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흡입관(40)과,
    상기 필터하우징(20)의 하측 둘레부에서 연장된 연장관(50)과,
    상기 연장관(50)에 연결된 펌프본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펌프본체(60)가 고정되는 지지패널(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50)의 중간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배수공(52a)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52a)에는 배수공(52a)을 개폐하는 개폐수단(90)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수단(90)을 이용하여 배수공(52a)을 개방하면, 상기 필터하우징(20)과 흡입관(40)과, 연장관(50) 및 펌프본체(6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30)는
    상기 연장관(50)이 결합되는 결합공(31a)과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필터패널(31)과,
    상기 필터패널(31)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손잡이(32)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패널(31)의 둘레면이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관(50)은 상기 결합공(31a)을 통해 필터부재(3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40)은
    상기 필터하우징(20)에 고정된 상부흡입관(41)과,
    상기 상부흡입관(41)의 하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흡입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흡입관(42)을 승강시켜 흡입관(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20)이나 펌프본체(60) 또는 지지패널(10)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본체(6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70)와,
    상기 진동감지센서(70)에 연결된 경보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원심펌프.
KR1020150037715A 2015-03-18 2015-03-18 입형 원심펌프 KR10173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715A KR101736730B1 (ko) 2015-03-18 2015-03-18 입형 원심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715A KR101736730B1 (ko) 2015-03-18 2015-03-18 입형 원심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12A true KR20160112312A (ko) 2016-09-28
KR101736730B1 KR101736730B1 (ko) 2017-05-29

Family

ID=5710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715A KR101736730B1 (ko) 2015-03-18 2015-03-18 입형 원심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7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56B1 (ko) 2010-10-13 2011-03-04 소진호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101062207B1 (ko) 2011-04-19 2011-09-05 한국그런포스펌프(주) 입형 다단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46Y1 (ko) * 2003-07-21 2003-10-10 강태선 로스터용 후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56B1 (ko) 2010-10-13 2011-03-04 소진호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101062207B1 (ko) 2011-04-19 2011-09-05 한국그런포스펌프(주) 입형 다단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730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898B2 (en) Site drainer
US5804072A (en) Water filter with strainer scraping means
EP2009408A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a tank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20120131086A (ko) 불순물 함유 액체 처리 장치
US20130319539A1 (en)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a lift station water level sensor
KR101207149B1 (ko)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 필터링장치
CN110916570A (zh) 过滤设备和具有其的清洁机器人
KR101736730B1 (ko) 입형 원심펌프
KR200469983Y1 (ko) 배관용 진공 청소장치
JP5608585B2 (ja) 汚水用ポンプ装置及び予旋回槽
KR101574751B1 (ko)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
JP2018054205A (ja) レンジフード
KR100808668B1 (ko) 어항 청소기
KR100657799B1 (ko) 초음파발생기가 장착된 수처리용 여과조
TWI576185B (zh) 放電加工機之過濾器
KR20160093208A (ko) 스컴 보호형 플로우트를 구비하는 수위계
KR20170021041A (ko) 진공펌프용 화학물질 포집장치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RU18967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плавающих вещест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жидкостей в резервуарах
JP3066639B2 (ja) 清水の清浄度確認システム
KR101826887B1 (ko)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EP4032445B1 (en) Coffee machine drip tray
KR102574803B1 (ko)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KR200335202Y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RU2005117309A (ru) Установка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с барабанным или дисковым вакуум-фильтр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