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887B1 -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887B1
KR101826887B1 KR1020160106154A KR20160106154A KR101826887B1 KR 101826887 B1 KR101826887 B1 KR 101826887B1 KR 1020160106154 A KR1020160106154 A KR 1020160106154A KR 20160106154 A KR20160106154 A KR 20160106154A KR 101826887 B1 KR101826887 B1 KR 10182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sing
housing
water
pump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용
Original Assignee
김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용 filed Critical 김형용
Priority to KR1020160106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지의 바닥에 세워 사용할 수 있으며 흡입구를 펌프케이싱의 상부에 형성하고 펌프케이싱 주변으로 물을 분출하여 슬러지에 의해 흡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수중에 잠기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와,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인트부와, 조인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펌핑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펌프케이싱과, 펌프케이싱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부와,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펌프케이싱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흡입구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는 토출관과,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토출관으로 펌핑시키는 임펠러와, 배수지 바닥에 안착되어 상기 펌프케이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설치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vertical half sump pump of reverse suck type}
본 발명은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지의 바닥에 세워 사용할 수 있으며 흡입구를 펌프케이싱의 상부에 형성하고 펌프케이싱 주변으로 물을 분출하여 슬러지에 의해 흡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폐수처리장, 혹은 침수가 우려되는 지하실, 혹은 대량의 물을 담아두는 양어장 등과 같은 곳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펌프는 잠수형 수중펌프, 입형 배수펌프 등을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629호에는 수중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수중펌프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10), 모터(10)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30), 구동축(30)에 장착되는 임펠러(40), 임펠러(40)의 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흡입커버(70), 흡입커버(70)를 지지하는 케이싱(6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중펌프는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하부를 향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에 슬러지와 같은 퇴적물이 쌓이면 흡입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입형 배수펌프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22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입형 배수펌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12)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2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30)과, 상기 연장관(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20)에 연결된 구동축(40)과, 상기 연장관(3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된 구동모터(50)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0)은 물에 잠기고, 구동모터(50)는 물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종래의 입형 배수펌프는 배수지 바닥에 이격되어 수중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므로 별도의 베드플레이트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629호: 수중펌프 임펠라 흡입커버 간극 조정장치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2271호: 입형 원심펌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배수지의 바닥에 세워 사용할 수 있으며 흡입구를 펌프케이싱의 상부에 형성하고 펌프케이싱 주변으로 물을 분출하여 슬러지에 의해 흡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는 하부가 수중에 잠기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펌핑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펌프케이싱과; 상기 펌프케이싱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펌프케이싱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흡입구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는 토출관과;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토출관으로 펌핑시키는 임펠러와; 배수지 바닥에 안착되어 상기 펌프케이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설치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케이싱 주위의 바닥에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펌핑되는 물의 일부를 상기 배수지 바닥으로 분출시켜 슬러지를 수중에 부상시킨다.
상기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지 바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홀들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를 수면 밖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배수지의 바닥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어 시공 및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흡입구를 배수지 등의 바닥을 향하도록 펌프케이싱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펌프케이싱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배수지 바닥에 쌓인 슬러지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케이싱에 분출홀을 형성하여 배수지 바닥으로 펌핑되는 물의 일부를 분출시키므로 펌프케이싱 주변에 퇴적되어 있는 슬러지를 유동시켜 슬러지가 펌프케이싱 주변에 계속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수중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입형 배수펌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펌프는 하부가 수중에 잠기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15)와,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인트부(160)와, 조인트부(1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샤프트(115)를 회전시키는 모터(110)와,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펌핑공간이 마련된 펌프케이싱(130)과, 펌프케이싱(130)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115)의 하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스러스트지지부(135)와, 하우징(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05)와, 펌프케이싱(130)의 일측에 연결되는 토출관(140)과, 샤프트(115)에 결합되어 펌프케이싱(130)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120)와, 배수지 바닥(1)에 안착되어 펌프케이싱(130)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부(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배수펌프를 수중에 설치시 하우징(100)의 하부는 수중에 잠기고, 상부는 물 밖으로 노출된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소정의 외경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은 수심에 따라 도 2와 같이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00)의 하부 측면에는 흡입구(105)가 형성된다. 흡입구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중에 수직하게 설치된 하우징(100)의 측면에 흡입구(105)가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구(105)는 배수지 바닥(1)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배수지 바닥의 상부에서 측면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구(105)는 펌프케이싱(130)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배수지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로부터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흡입구(105)는 일정 간격으로 하우징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가 형성된다. 흡입구(105)를 통해 물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조인트부(160)가 설치된다. 조인트부(16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구조로 이루어진다. 조인트부(160)의 내부에는 샤프트(115)와 모터의 구동축(113)을 연결하는 커플링(165)이 설치된다.
조인트부(160)의 상부에 모터(110)가 설치된다. 모터(110)의 플랜지(117)가 조인트부의 플랜지(101)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모터(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10)의 구동축(113)은 커플링(165)에 의해 샤프트(115)와 연결되어 샤프트(115)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샤프트(115)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샤프트(115)의 상부는 모터(110)의 구동축(113)과 연결된다. 샤프트(115)의 하부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펌프케이싱(130)은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펌프케이싱(130)의 상부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다. 원형의 개구에 하우징(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펌프케이싱(130) 내부에 형성된 펌핑공간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조인트부(160)와 하우징(100), 펌프케이싱(130)은 스터드 볼트(101)에 의해 결합된다.
임펠러(120)는 펌프케이싱(130) 내부의 펌핑공간에 설치된다. 임펠러(120)는 샤프트(115)의 하부에 결합된다.
임펠러(120)는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펌프케이싱(13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흡입구(105)를 통해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토출관(140)으로 펌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토출관(140)은 펌프케이싱(130)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토출관(140)에는 연결관이 연결되고, 연결관은 물 밖으로 연장된다.
펌프케이싱(130)에는 샤프트(115)의 하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부(135)가 형성된다. 부시부(135)는 펌프케이싱(13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부시부(135)의 내측에는 베어링유닛이 설치되어 샤프트(115)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배수펌프를 배수지의 바닥(1)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펌프케이싱(130)에 바닥지지부(150)가 설치된다.
바닥지지부(150)는 배수지 바닥(1)에 안착되어 펌프케이싱(130)을 지지한다. 바닥지지부(150)는 펌프케이싱(1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닥지지부에 의해 본 발명의 배수펌프는 배수지 등의 바닥에 바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펌프케이싱(130) 주위의 바닥(1)에 슬러지(5)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은 임펠러(120)에 의해 토출관(140)으로 펌핑되는 물의 일부를 배수지 바닥(1)으로 분출시켜 바닥에 있는 슬러지(5)를 수중으로 부상시킨다.
도시된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은 일 예로 펌프케이싱(130)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홀들(133)로 구비된다. 분출홀(133)은 펌프케이싱(130)의 측면 또는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분출홀(133)은 배수지 바닥(1)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모터(110)가 작동하면 임펠러(120)는 펌프케이싱(130) 내부에서 회전하여 흡입구(105)를 통해 물을 펌핑공간으로 흡입하여 토출관(140)을 통해 물을 배출시킨다. 이와 함께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 중 일부는 임펠러(120)의 송출압력에 의해 분출홀들(133)을 통해 배수지 바닥(1)으로 분출된다. 분출홀들(133)을 통해 분출되는 물은 펌프케이싱(130) 주변에 퇴적되어 있는 슬러지(5)를 유동시키고, 이에 따라 슬러지는 수중으로 부상한다. 따라서 슬러지(5)가 펌프케이싱(130) 주변에 계속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배수펌프는 모터는 수면 밖으로 노출되고 펌프케이싱은 수중에 잠기는 반수중 상태로 배수지의 바닥에 세워서 사용하는 입형 배수펌프이다. 또한,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펌프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된 종래의 배수펌프와 달리 펌프케이싱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에 형성되어 배수지의 상부에서 물을 흡입하는 상부 흡입 방식의 배수펌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배수펌프는 하우징의 길이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모터
115: 샤프트 120: 임펠러
130: 펌프케이싱 140: 토출관
150: 바닥지지부

Claims (4)

  1. 하부가 수중에 잠기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인트부와;
    상기 조인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며 수면 밖으로 노출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펌핑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펌프케이싱과;
    상기 펌프케이싱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펌프케이싱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흡입구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는 토출관과;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토출관으로 펌핑시키는 임펠러와;
    배수지 바닥에 안착되어 상기 펌프케이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설치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케이싱 주위의 바닥에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펌핑되는 물의 일부를 상기 배수지 바닥으로 분출시켜 슬러지를 수중에 부상시키고,
    상기 슬러지퇴적방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펌핑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지 바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홀들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06154A 2016-08-22 2016-08-22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KR10182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54A KR101826887B1 (ko) 2016-08-22 2016-08-22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154A KR101826887B1 (ko) 2016-08-22 2016-08-22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887B1 true KR101826887B1 (ko) 2018-02-07

Family

ID=6120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154A KR101826887B1 (ko) 2016-08-22 2016-08-22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8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61B1 (ko) * 2001-06-13 2004-07-01 이윤호 수중펌프
KR100871930B1 (ko) * 2007-07-11 2008-12-05 태극건설(주) 고압분사 슬러지 준설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61B1 (ko) * 2001-06-13 2004-07-01 이윤호 수중펌프
KR100871930B1 (ko) * 2007-07-11 2008-12-05 태극건설(주) 고압분사 슬러지 준설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7956A1 (en) Self-cleaning screen with check valve for use in shallow water pumping
KR101790957B1 (ko) 수중펌프의 슬러지 막힘 방지용 흡입커버 구조
KR101109518B1 (ko) 배수용 수중펌프
KR101405433B1 (ko) 양 흡입 수중펌프
KR101694847B1 (ko) 스프르트 펌프
KR101826887B1 (ko) 상부흡입식 입형 반수중 배수펌프
KR20200044472A (ko) 경사면이 형성된 날개를 구비한 스프르트 펌프
KR101970792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침전물 제거용 육상펌프
KR100731837B1 (ko) 해수 펌핑장치
KR100436419B1 (ko) 수중펌프
JP2017106374A (ja) ストレーナー装置
JP5081725B2 (ja) 水中ポンプ
KR100447505B1 (ko) 펌프
KR20190127353A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JP2005188490A (ja) サンドポンプ
JPH10184584A (ja) 水中ポンプ
JP2008232121A (ja) 遠心ポンプ
JP6683553B2 (ja) ポンプ設備
JP2020200817A (ja) 水中ポン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中ポンプシステム
KR200270380Y1 (ko) 수중펌프
JP3656096B2 (ja) 水中ポンプ用の予旋回槽
JP2019218918A (ja) 水底汚水吸引装置
CN209838700U (zh) 一种无轴封双吸液下泵
JP2007262922A (ja) 排水ポンプ
JP5508840B2 (ja) 水中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