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713A -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 Google Patents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713A
KR20160111713A KR1020150036739A KR20150036739A KR20160111713A KR 20160111713 A KR20160111713 A KR 20160111713A KR 1020150036739 A KR1020150036739 A KR 1020150036739A KR 20150036739 A KR20150036739 A KR 20150036739A KR 20160111713 A KR20160111713 A KR 2016011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bag
pane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은
Original Assignee
박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은 filed Critical 박정은
Priority to KR102015003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1713A/ko
Publication of KR2016011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단열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을 간격을 두고 내장하고, 소화약제백은 비닐백과 같은 백본체의 내부에 소화약제가 채워져 있으며, 이들 인접한 소화약제백들은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단열재패널이 타면서 패널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소화약제백의 백본체가 연소하게 되면 백본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가 불길에 의해 날리면서 주변의 불길을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패널본체(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을 사방으로 간격을 두고 내장 설치하되, 이 소화약제백(4)은 합성수지시트로 밀봉되게 형성되는 백본체(5)의 내부에 소화약제(7)가 채워지며, 이 백본체(5)의 외부 사방에는 인접한 소화약제백(4)을 와이어(8)로 연결할 와이어걸이부(6)를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소화약제백(4) 들은 서로가 금속으로 된 와이어(8)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Extinguishing agentisbuilt-in insulationpanels}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단열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을 간격을 두고 내장하고, 소화약제백은 비닐백과 같은 백본체의 내부에 소화약제가 채워져 있으며, 이들 인접한 소화약제백들은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단열재패널이 타면서 패널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소화약제백의 백본체가 연소하게 되면 백본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가 불길에 의해 날리면서 주변의 불길을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단열재는 가볍고 저렴하며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위와 같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소재로 제조한 단열재(이하, 합성수지단열재라고 칭함)는 열에 약하여 불에 잘 타며 연소과정에서 유독가스를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단열재는 조그만 불씨에도 쉽게 불에 타기 때문에 합성수지단열재에 불이 붙으면, 그 합성수지단열재가 불쏘시개 역할을 하여 불이 계속 번져나가게 되는 매우 위험한 문제를 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단열재는 건축물의 벽체나 샌드위치패널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충전되어 있으므로 벽체나 샌드위치패널의 외부면에 설치된 철판이 합성수지단열재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벽체나 샌드위치패널의 철판 내부에 설치된 합성수지단열재가 연소하는 경우에 소화기로서 소화제(消火劑:소화수나 소화약제)를 뿌려도 벽체나 철판에 막혀서 벽체나 철판의 내부로 소화제가 접근하기 못하므로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단열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을 간격을 두고 내장하고, 소화약제백은 비닐백과 같은 백본체의 내부에 소화약제가 채워져 있으며, 이들 인접한 소화약제백 들은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단열재패널이 타면서 패널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소화약제백의 백본체가 연소하게 되면, 백본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에 의해 불이 꺼지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패널본체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소화약제백을 사방으로 간격을 두고 내장 설치하되, 이 소화약제백은 합성수지시트로 밀봉되게 형성되는 백본체의 내부에 소화약제가 채워지며, 이 백본체의 외부 사방에는 인접한 소화약제백을 와이어로 연결할 와이어걸이부를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소화약제백 들은 서로가 금속으로 된 와이어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단열재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을 간격을 두고 내장하고, 소화약제백은 비닐백과 같은 백본체의 내부에 소화약제가 채워져 있으며, 이들 인접한 소화약제백 들은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단열재패널이 타면서 패널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소화약제백의 백본체가 연소하게 되면 백본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에 의해 불이 꺼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단열재패널의 내부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들이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단열재패널의 어느 부분에 불이 붙어도 그 주변의 불이 꺼져서 불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는 효과가 있고, 넓은 면적을 가지는 단열재패널의 어느 일부분에 불이 붙어 타는 경우라도 서로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에 의해 각각의 소화약제백이 제자리를 고수하여 불길이 타측으로 번져나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패널은 건축물의 벽체 내부나 샌드위치패널의 철판 내부에 삽입된 경우인데도 불구하고, 건축물의 벽체 내부나 샌드위치패널의 철판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로 그 내부에서 소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재패널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소화약제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소화약제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상태의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패널(1)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단열재로 형성되는 패널본체(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을 사방으로 간격을 두고 내장 설치하되, 이들 인접한 소화약제백(4) 들은 서로가 금속으로 된 와이어(8)에 의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약제백(4)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 사방에 와이어걸이부(6)를 형성한 백본체(5)의 내부에 소화약제(7)가 채워 넣어지며, 백본체(5)는 비닐이나 또는 얇은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시트로서 밀봉되게 형성하여 백본체(5)의 내부에 채워진 소화약제(7)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백본체(5)를 에어캡(air cap) 형태로 내부에 소화약제(7)를 기체와 함께 팽팽하게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이는 패널본체(2)를 전후방으로 분할하고 분할되어 마주 접하는 내부면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이 삽입 안착될 삽입홈(3)을 형성하며, 그 삽입홈(3)에 각각의 와이어(8)에 서로가 연결된 소화약제백(4)을 삽입시킨 뒤에 전후로 분리된 패널본체(2)를 서로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전후로 분리된(도 5에서는 도면상 상하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 패널본체(2)의 사이에 삽입 안착되는 소화약제백(4)과 와이어(8)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패널(1)은 건축물의 벽체 내부 및 샌드위치패널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패널(1)을 벽체 내부 및 샌드위치패널의 철판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것이 설치된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한 화재의 불길에 의해 단열재패널(1)의 패널본체(2)가 타기 시작하면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패널본체(2)에 불이 붙으면서 녹아내리게 된다.
이렇게 패널본체(2)에 불이 붙어서 연소되면서 그 열기가 소화약제백(4)에 전달되게 되면, 소화약제백(4)을 구성하는 백본체(5)가 비닐이나 고무재와 같은 합성수지시트로 제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백본체(5)가 쉽게 타거나 녹으면서 백본체(5)가 터지게 되고, 그 내측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7)가 터진 구멍을 통하여 백본체(5)의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렇게 백본체(5)의 외부로 유출되는 소화약제(7)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일어나는 기류에 의해 미세한 분말이나 액상으로 된 소화약제(7)가 흩날리면서 주변으로 흩어지게 되고, 그렇게 흩어지는 소화약제(7)가 주변의 불길을 끄거나 그 불길이 부분적으로 약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화약제백(4)에서 불길이 약해지기는 했지만 남은 불길이 주변의 패널본체(2)를 태우면서 그 부근의 패널본체(2)를 포함한 또 다른 소화약제백(4)에 불길이나 열기가 전해지면, 그 소화약제백(4)의 백본체(5)가 다시 타면서 그 백본체(5)가 터지고 그렇게 터지는 백본체(5)에서 소화약제(7)가 다시 유출되면서 주변의 불을 다시 끄게 되어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단열재패널(1)에서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이 터지면서 불을 끄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패널(1)의 패널본체(2)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들이 철선과 같은 금속재의 와이어(8)로 각각 연결되어서 단열재패널(1)에 불이 거세게 붙으면서 연소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소화약제백(4)들은 와이어(8)에 의해 서로가 바둑판 모양으로 연결되어서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 들이 분리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터지면서 불을 끄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소화약제백(4)을 에어캡과 같은 형태로 백본체(5)의 내부에 소화약제(7)와 함께 기체를 팽팽하게 채워 넣은 경우에는 백본체(5)가 불길이나 열기에 의해 터지기 시작할 때, 백본체(5)의 내측에 어느 정도 압축되게 팽팽하게 채워진 기체와 함께 소화약제(7)가 더욱더 분산되면서 퍼져나가서 더욱 더 우수한 소화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패널(1)은 단열재패널(1)이 화재가 발생한 외부에 노출되어 있거나, 벽체나 샌드위치패널의 철판 내부에 있는 경우 모두 다 열기나 불길에 의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연소가 쉬운 패널본체(2)에 불이 붙으면서 소화약제백(4)을 터트리게 되고, 소화약제백(4)의 내측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7)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주변의 불씨를 끄게 되는 것이다.
1 : 단열재패널 2 : 패널본체
3 : 삽입홈 4 : 소화약제백
5 : 백본체 6 : 와이어걸이부
7 : 소화약제 8 : 와이어

Claims (3)

  1.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패널본체(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을 사방으로 간격을 두고 내장 설치하되, 이 소화약제백(4)은 합성수지시트로 밀봉되게 형성되는 백본체(5)의 내부에 소화약제(7)가 채워지며, 이 백본체(5)의 외부 사방에는 인접한 소화약제백(4)을 와이어(8)로 연결할 와이어걸이부(6)를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소화약제백(4) 들은 서로가 금속으로 된 와이어(8)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2)는 전후방으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되어 마주 접하는 내부면에 다수개의 소화약제백(4)이 삽입 안착될 삽입홈(3)을 형성하며, 그 삽입홈(3)에 각각의 와이어(8)에 의해 서로가 연결된 소화약제백(4)을 삽입시킨 뒤에 전후로 분리된 패널본체(2)를 서로 부착하여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백본체(5)는 에어캡 형태로 내부에 소화약제(7)와 함께 기체를 삽입시켜서 백본체(5)가 팽팽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KR1020150036739A 2015-03-17 2015-03-17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KR20160111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39A KR20160111713A (ko) 2015-03-17 2015-03-17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39A KR20160111713A (ko) 2015-03-17 2015-03-17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13A true KR20160111713A (ko) 2016-09-27

Family

ID=5710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739A KR20160111713A (ko) 2015-03-17 2015-03-17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17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2887A (zh) * 2020-11-26 2021-02-26 消之源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主动灭火新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163467A (zh) * 2022-12-27 2023-05-26 利辛县宝城建筑工业化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夹芯复合墙板防火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2887A (zh) * 2020-11-26 2021-02-26 消之源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主动灭火新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402887B (zh) * 2020-11-26 2021-12-10 消之源科技技术有限公司 一种主动灭火新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163467A (zh) * 2022-12-27 2023-05-26 利辛县宝城建筑工业化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夹芯复合墙板防火结构
CN116163467B (zh) * 2022-12-27 2024-04-09 利辛县宝城建筑工业化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夹芯复合墙板防火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KR101481321B1 (ko) 소화 기능이 구비된 샌드위치 패널
KR101899756B1 (ko) 자체 화재 진압 기능을 구비한 건축 패널
JP2011501976A (ja) 消火ボール2
KR20160111713A (ko) 소화약제가 내장된 단열재패널
CN204139362U (zh) 一种灭火板材
KR101719492B1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RU2603573C1 (ru) Огнетушитель порошковый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самосрабатывающий
JP2006271925A (ja) 自動消火装置内蔵建材板
JP2001037901A (ja) 消火器具
KR102042337B1 (ko) 층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직배관관통공 내화충전구조
JP5371056B2 (ja) 消火体験装置
GB2572810A (en) Fire-safety device and system
KR20170022370A (ko) 샌드위치 패널용 소화장치
RU184841U1 (ru) Автономное самосраба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366592B1 (ko) 소화성 단위 천정판
KR102222688B1 (ko) 투척용 소화탄
CN208726605U (zh) 提前预警的自动灭火装置
CN202740669U (zh) 一种自动爆破灭火器
JP2019216949A (ja) 消火方法
JP2004033384A (ja) 自動消火用室内装備品
US20160067533A1 (en) Fire Prevention Capsules and Method of Use
CN206228814U (zh) 带菱形锥孔的车载超细干粉灭火装置
JP3197603U (ja) 消火装置
WO2020014757A1 (pt) Esfera corta-fo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