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653A -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 Google Patents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653A
KR20160111653A KR1020150036543A KR20150036543A KR20160111653A KR 20160111653 A KR20160111653 A KR 20160111653A KR 1020150036543 A KR1020150036543 A KR 1020150036543A KR 20150036543 A KR20150036543 A KR 20150036543A KR 20160111653 A KR20160111653 A KR 20160111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pipe
hole
inspection wind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163B1 (ko
Inventor
백승철
최재철
김기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1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18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maintaining safe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분사펌프에서 연장된 유로와 엔진 실린더의 유로의 접속지점을 감시하기 위한 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로접속 지점의 확인 및 엔진 실린더 내부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은 연료분사펌프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기 위해 유로 파이프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와, 연료분사펌프에서 연장되어 제1홀에 삽입되는 제1유로 파이프와, 제1유로 파이프와 연통되며 실린더 헤드의 내부로 형성된 제2홀에 삽입되는 제2유로 파이프와, 제1유로 파이프와 제2유로 파이프가 접속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점검창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INSPECTION WINDOW FOR FUEL OIL LINE CONTACT POINT}
본 발명은 연료분사펌프에서 연장된 유로와 엔진 실린더의 유로와의 접속지점을 감시하기 위한 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로접속 지점의 확인 및 엔진 실린더 내부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선박의 엔진에는 연료분사펌프가 장착되어 연료를 고압으로 가압한 후에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고압의 연료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실린더 헤드의 측부에 연료분사펌프가 위치하며, 연료는 연료분사펌프의 딜리버리 밸브에서 배출되어 파이프 즉 유로를 통해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유로로 주입된 후 실린더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연료분사펌프가 실린더 헤드의 측부에 장착됨에 따라 연료를 실린더 블록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연료분사펌프에서 연장된 유로와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유로가 접하는 접속지점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공급라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료공급라인의 접속지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실린더 헤드(10)의 측부에는 인젝터(도면에 미도시)로 연장된 제1홀(21)이 형성되며, 제1홀(21)에는 제1유로 파이프(31)가 삽입된다.
또한, 연료분사펌프(40)에서 연장된 제2유로 파이프(32)가 제1유로 파이프(31)와 접속되도록 실린더 헤드(10)의 측부에는 제1홀(21)과 연통하는 제2홀(22)이 형성되며, 제2홀(22)에는 제2유로 파이프(32)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홀(21)에 제1유로 파이프(31)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1홀(21)의 중심선과 동일 선상에 개방부(11)가 형성되며, 개방부(11)에는 플러그(15)가 체결되어 개방부(11)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로 구조 상, 제1홀(21)에 삽입된 제1유로 파이프(31)의 유로(31R)와 제2홀(22)에 삽입된 제2유로 파이프(32)의 유로(32R)가 접하는 접속부(C)가 형성되는데, 접속부(C)의 접속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았을 경우 유로(31R, 32R)를 통해 고압으로 이송되는 연료에 의해 점차 정렬이 틀어지게 되며 그에 따른 연료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접속부(C)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플러그(15)를 해체하여 개방부(11)를 개방한 후 노출된 제2유로 파이프(32)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접속부(C)의 접속 상태를 추정하게 된다.
그 이유는 개방부(11)의 안쪽에 제2유로 파이프(32)가 위치하여 접속부(C)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2유로 파이프(32)의 위치를 통해 접속부(C)의 접속 상태를 추정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한편, 제1유로 파이프(31)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종래에는 제2유로 파이프(32)를 해체 한 후 플러그(15)를 해체하여 개방부(11)를 개방하고, 개방부(11)를 통해 제1유로 파이프(31)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제1유로 파이프(31)를 인출하여 분해하였다.
이 경우 좁은 개방부(11)의 내부로 인출 공구를 삽입하여야 하며 인출 공구에 체결된 제1유로 파이프(31)를 당겨 인출하여야 함에 따라 개방부(11)의 직경을 제1유로 파이프(31)의 외경보다 크게 확장하여야 하며, 제1유로 파이프(31)를 인출함에 있어 어려움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2500호(등록일; 2012.12.10)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연료분사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압 연료가 인젝터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 파이프들의 접속부를 감시하며, 특히 유로 파이프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은 연료분사펌프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기 위해 유로 파이프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와, 연료분사펌프에서 연장되어 제1홀에 삽입되는 제1유로 파이프와, 제1유로 파이프와 연통되며 실린더 헤드의 내부로 형성된 제2홀에 삽입되는 제2유로 파이프와, 제1유로 파이프와 제2유로 파이프가 접속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점검창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홀의 깊이는 제2유로 파이프가 삽입되는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제1유로 파이프와 제2유로 파이프가 상태에서 제2유로 파이프의 끝단 외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에 대응하여 감시창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검창에 형성된 탭에 마개가 체결되며, 마개를 해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유로 파이프에 접속된 제1유로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는 돌기들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로 파이프의 끝단과 대응하는 제1홀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홀에 삽입된 제1유로 파이프를 실린더 헤드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제1홀과 대응하는 개방부가 실린더 헤드의 외측에 형성되고, 개방부에는 플러그가 삽입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은 인젝터로 연장된 제1유로 파이프와 연료분사펌프에서 연장된 제2유로 파이프의 접속 지점을 감시할 수 있도록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어 접속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접속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측하여 부품의 노후 정도 및 교체 시기를 확인하고 적시에 정비 또는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은 제1유로 파이프를 인출함에 있어서 인출 공구를 점검창으로 삽입시켜 제1유로 파이프를 지렛대 원리로 인출하여 개방부를 통해 빼냄으로써, 제1유로 파이프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공급라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료공급라인의 접속지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창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검창을 개방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유로 파이프와 제2유로 파이프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개방된 점검창을 통해 제1유로 파이프를 인출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창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검창을 개방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유로 파이프와 제2유로 파이프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개방된 점검창을 통해 제1유로 파이프를 인출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10)의 측부에는 연료분사펌프(140)가 위치하며, 연료분사펌프(140)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기 위한 제1유로 파이프(131)가 삽입되는 제1홀(121)과 연료분사펌프(140)에서 연장된 제2유로 파이프(132)가 삽입되는 제2홀(122)이 형성되며, 제1홀(121)과 제2홀(122)은 직교한다.
그리고 제1홀(121)에 제1유로 파이프(131)를 삽입할 수 있도록 실린더 헤드(110)의 측면에 개방부(111)가 형성되며, 평상 시에는 개방부(111)를 플러그(115)로 폐쇄한다.
한편, 제2홀(122)은 제1홀(121)과의 직교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더 깊게 형성됨에 따라 제2홀(122)에 제2유로 파이프(132)를 삽입하였을 때에 제2유로 파이프(132)의 끝단 외측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25)에 대응하여 실린더 헤드(1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점검창(150)이 형성된다.
점검창(150)은 탭 가공되어 나사식 마개(151)로 폐쇄되며, 마개(151)를 해체하였을 경우 공간부(125)를 통해 제1유로 파이프(131)와 제2유로 파이프(132)의 접속부(C)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린더 헤드(110)의 인젝터로 연장된 제1홀(121)과 제2홀(122)은 동일 평면 상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홀(121)에는 제1유로 파이프(131)가 삽입되며, 제1유로 파이프(131)의 내부에는 연료가 유동하는 제1유로(131R)가 형성되고, 제1유로 파이프(131)의 끝단 외주면에는 돌기(131P)가 형성된다.
한편, 제1홀(121)의 입구는 제1유로 파이프(131)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확관부(121T)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홀(121)에 제1유로 파이프(131)를 삽입하였을 경우 제1유로 파이프(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1P)들은 제1홀(121)의 입구에 위치하며 확장된 직경의 확관부(121T)에 대응하여 돌기(131P)들이 위치한다.
제2홀(122)에는 제2유로 파이프(132)가 삽입된다. 제2유로 파이프(132)의 내부에는 제2유로(132R)가 형성되며, 제2유로(132R)의 끝단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제2홀(122)에 제2유로 파이프(132)를 삽입함에 있어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2유로(132R)의 끝단은 제1유로 파이프(131)의 제1유로(131R)와 접하여 연통된다.
이와 같이 제1유로(131R)와 제2유로(132R)가 연통된 접속부(C)는 실린더 헤드(110)에 형성된 점검창(150)에 의해 관찰된다.
동일 평면 상에서 수직하게 접속된 지점을 원활하게 확인하게 위해서, 제2홀(122)은 제2유로 파이프(132)의 삽입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제2유로 파이프(132)의 끝단 외측으로 공간부(125)가 형성되며, 공간부(125)에 대응하여 점검창(150)이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점검창(150)을 통해 공간부(125) 및 접속부(C)가 넓게 관측 가능하다. 만약 점검창(150)이 수직 상향으로 형성될 경우 관측이 용이치 않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질 경우 윤활유 또는 연료의 누수 시에 점검창을 통해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점검창(150)은 실린더 헤드(110)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을 형성하는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검창(150)에는 탭 가공되어 평상 시에는 탭 마개(151)가 나사체결되며, 접속부(C)의 감시를 위해서는 탭 마개(151)를 해체하여 점검창(150)을 개방한 후에 내부를 관측한다.
만약 제1유로 파이프(131)와 제2유로 파이프(132)의 정렬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점검창(150)을 통해 봉 등으로 밀어 넣어 제2유로 파이프(132)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정렬이 가능하다.
또한, 제1유로 파이프(131)의 교체가 필요할 시에 먼저, 제2유로 파이프(132)를 제2홀(122)에서 인출한다.
그리고 플러그(115)와 탭 마개(151)를 해체한 후 점검창(150)을 통해 인출도구(160)를 삽입한 후 제1유로 파이프(131)의 돌기(131P)에 인출도구(160)의 선단을 건다. 그리고 인출도구(160)의 후단을 실린더 헤드(110) 방향으로 밀 경우 돌기(131P)에 걸린 인출도구(160)의 선단이 제1홀(121)의 가장자리를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제1유로 파이프(131)를 제1홀(121)에서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은 제1유로 파이프(131)와 제2유로 파이프(132)의 접속부(C)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검창(150)을 통해 유로의 정렬이 가능하다.
또한 인젝터로 연장된 제1유로 파이프(131)를 인출할 때에 인출도구(160)를 점검창(150)이 형성된 인출방향의 측부로 삽입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1유로 파이프(131)를 제1홀(121)에서 인출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10 : 실린더 헤드
111 : 개방부
115 : 플러그
121, 122 : 홀
125 : 공간부
131, 132 : 유로 파이프
140 : 연료분사펌프
150 : 점검창
151 : 마개
160 : 인출도구

Claims (6)

  1. 연료분사펌프(140)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기 위해 유로 파이프(131, 132)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홀(121, 122)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110)와,
    연료분사펌프(140)에서 연장되어 제1홀(121)에 삽입되는 제1유로 파이프(131)와,
    제1유로 파이프(131)와 연통되며 실린더 헤드(110)의 내부로 형성된 제2홀(122)에 삽입되는 제2유로 파이프(132)와,
    제1유로 파이프(131)와 제2유로 파이프(132)가 접속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점검창(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2. 제1항에 있어서,
    제2홀(122)의 깊이는 제2유로 파이프(132)가 삽입되는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제1유로 파이프(131)와 제2유로 파이프(132)가 상태에서 제2유로 파이프(132)의 끝단 외측에 공간부(125)가 형성되며, 공간부(125)에 대응하여 감시창(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검창(150)에 마개(151)가 체결되며, 마개(151)를 해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유로 파이프(132)에 접속된 제1유로 파이프(131)의 끝단 외주면에는 돌기(131P)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5. 제4항에 있어서,
    제1유로 파이프(131)의 끝단과 대응하는 제1홀(121)의 입구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관부(121T)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홀(121)에 삽입된 제1유로 파이프(131)를 실린더 헤드(1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제1홀(121)과 대응하는 개방부(111)가 실린더 헤드(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개방부(111)에는 플러그(115)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KR1020150036543A 2015-03-17 2015-03-17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KR10214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543A KR102142163B1 (ko) 2015-03-17 2015-03-17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543A KR102142163B1 (ko) 2015-03-17 2015-03-17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53A true KR20160111653A (ko) 2016-09-27
KR102142163B1 KR102142163B1 (ko) 2020-08-06

Family

ID=571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543A KR102142163B1 (ko) 2015-03-17 2015-03-17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1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68U (ko) * 1985-06-22 1987-01-10
JPH0560031A (ja) * 1991-08-30 1993-03-09 Krupp Mak Maschinenbau Gmbh 噴射システムを備えた内燃機関
JP2000110521A (ja) * 1998-10-06 2000-04-18 Kawasak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ロッカーアーム押圧装置
KR101212500B1 (ko) 2011-04-21 2012-12-14 박종국 내연기관 엔진의 플러싱 및 진단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68U (ko) * 1985-06-22 1987-01-10
JPH0560031A (ja) * 1991-08-30 1993-03-09 Krupp Mak Maschinenbau Gmbh 噴射システムを備えた内燃機関
JP2000110521A (ja) * 1998-10-06 2000-04-18 Kawasak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ロッカーアーム押圧装置
KR101212500B1 (ko) 2011-04-21 2012-12-14 박종국 내연기관 엔진의 플러싱 및 진단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163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5968B2 (en) Manifold including mounting plate for fluid end block of reciprocating pump assembly
MX2021010341A (es) Maquina de carbonatacion y recipiente de gas para una maquina de carbonatacion.
KR19990062382A (ko) 오접속방지 컨넥터
BR112013030608A2 (pt) ferramenta para penetrar uma formação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20170009900A1 (en) Relief valve
US20210053000A1 (en) Filter leak path prevention via interference pin
JP2018031271A (ja) ガソリン直噴レール
JP2016168984A (ja) 樹脂製給油口
KR20160111653A (ko) 연료 라인 접속지점용 점검창
KR1022313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용 팩커
JP2009068371A (ja) ポンプ
KR200394154Y1 (ko) 엔진오일 드레인장치
US9404442B2 (en) Fuel bowl for carbureto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10894271B2 (en) Sealant dispenser
KR101906327B1 (ko) 슬리브 일체형 연결구
US9862081B2 (en) Check valve rebuild tool
MX2023005054A (es) Aparato para la eliminacion de desechos de fondo de pozo que incluye una camara separadora modular.
KR101435765B1 (ko) 드릴 작업용 지그
JP6483821B2 (ja) 内燃機関、副室インサート及び燃料インジェクタ
KR100814466B1 (ko) 엘피엘아이 연료장치의 연료 리턴 소음 저감장치
KR20210008484A (ko) 관 이음매
CN205789865U (zh) 一种干刻设备的喷洒结构及其喷嘴连接块
JP5622910B1 (ja) 液体吐出ポンプ
KR20130065140A (ko)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