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83A -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 Google Patents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83A
KR20160109283A KR1020150033395A KR20150033395A KR20160109283A KR 20160109283 A KR20160109283 A KR 20160109283A KR 1020150033395 A KR1020150033395 A KR 1020150033395A KR 20150033395 A KR20150033395 A KR 20150033395A KR 20160109283 A KR20160109283 A KR 2016010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treatment
soft tissue
suction
teet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수
Original Assignee
권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수 filed Critical 권혁수
Publication of KR2016010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는, 상악지지부(10)와 하악지지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측과 앞측은 개방되고, 뒤측은 연결부(30)에 의해 막히는 형상을 하는 개구기몸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개구기몸체(100)는 막혀있는 뒤측이 구강의 뒤쪽을 향하고, 개방되어 있는 앞측이 구강의 앞쪽을 향하도록 구치부에 설치되며, 피시술자가 개구기몸체(100)를 물었을 때에 치아가 상악지지부(10)나 하악지지부(20)를 통하여 개구기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악지지부(10) 및 하악지지부(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치아수용부(50)가 관통 형성됨으로써, 개구기몸체(100)의 개방된 좌우측 및 앞측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핸드피스(70)를 개구기몸체(100)의 내부로 인입시켜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개구기몸체(100)의 내부에 노출되는 치아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치료용 개구기{Mouth opening tool for dental treatment which can protect the soft tissue}
본 발명은 치과치료용 개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순히 구강을 벌리는 데에 그치지 않고 보조원 없이도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 나아가 타액 등의 흡입 제거도 보조원의 도움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를 위해서 핸드피스에 부착된 절삭기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치아를 삭제 하는 경우 보조원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환자는 치료가 이루어지는 동안 입을 벌린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들며, 보조원도 주변 조직을 다치지 않도록 격리시키면서 타액, 핸드피스에서 나오는 물, 및 치아 치료 시에 나오는 부산물 등(이하 '타액 등' 이라 함)을 적절히 제거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든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치과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구강을 벌리는 개구기가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8774호(2010.05.18.공고)에는 개구기를 환자의 입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된 개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63054호(2014.02.14.공고)에는 구강 내 타액을 흡입하는 흡입튜브의 고정 기능을 갖는 개구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개구기를 사용하더라도, 개구기가 설치된 부위의 치아가 개구기에 의하여 막히게 되므로 이 부분의 치아에 대해서는 시술이 불가능하고, 개구기가 설치된 근방의 치아에 대해서만 시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 경우 개구기 설치 근방의 치아를 치료함에 있어서 뺨이나 혀 등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는 데에 개구기가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시술자는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료하기 위하여 과도한 집중력을 발휘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연조직을 다치지 않게 격리시면서 타액 등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여전히 보조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8774호(2010.05.18.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63054호(2014.02.14.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순히 구강을 벌리는 데에 그치지 않고, 보조원 없이도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손쉽게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 나아가 타액 등의 흡입 제거도 보조원의 도움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는,
상악지지부와 하악지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측과 앞측은 개방되고, 뒤측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막히는 형상을 하는 개구기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기몸체는 막혀있는 뒤측이 구강의 뒤쪽을 향하고, 개방되어 있는 앞측이 구강의 앞쪽을 향하도록 구치부에 설치되며,
피시술자가 상기 개구기몸체를 물었을 때에 치아가 상기 상악지지부나 하악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악지지부 및 하악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치아수용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아수용부의 앞쪽과 뒤쪽 둘레는 치열 상에 얹혀서 상기 개구기몸체가 더 이상 깊숙이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를 이루고, 상기 치아수용부의 양측 둘레는 치아의 옆쪽에 위치하여 혀나 뺨과 같은 연조직이 치아 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연조직 격리부를 이룸으로써,
상기 개구기몸체의 개방된 좌우측 및 앞측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핸드피스를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인입시켜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에 노출되는 치아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아수용부를 통하여 치아의 옆 부분이나 잇몸까지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연조직 격리부는 치아의 저작면에서 잇몸 방향으로 물러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조직 격리부가 상기 개구기몸체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치아수용부가 상기 연결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치아수용부의 뒤쪽 둘레가 상기 연조직 격리부에 비하여 더 위로 올라가거나 밑으로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조직 격리부가 치아의 저작면에서 잇몸 방향으로 물러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악지지부의 연조직 격리부를 통과하여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핸드피스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악지지부의 연조직 격리부에 핸드피스 인입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기몸체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악지지부에 흡입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치아수용부는 상기 하악기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내 연조직이 치아 가까이에 위치하지 못하도록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개구기몸체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부는 앞뒤가 개방되는 관 형상의 흡입부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부 몸체의 앞단에는 흡입관이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뒷단은 타액, 물, 치료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 근방의 측면 둘레에 타액, 물, 부산물을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내 연조직이 상기 흡입구나 관통슬릿을 통하여 흡입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부 몸체의 밑에 패드나 반원통 형태의 흡입방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기몸체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악지지부나 연결부에 흡입관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치아수용부는 상기 하악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내 연조직이 치아 가까이에 위치하지 못하도록 상기 흡입관수용부는 상기 개구기몸체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관수용부에 흡입관을 밀어 넣어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수용부는 홀이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도록 구강을 좌우로 가로지르게 전치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개구기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기몸체는 혀가 전치부 치아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양측보다 위아래 폭이 더 넓어 좌측날개부, 중앙장벽부, 및 우측날개부로 구분되며, 상기 좌측날개부 및 우측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흡입관을 끼우기 위한 흡입관끼움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장벽부는 가운데 부분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더 구강 안쪽으로 물러나게 위치하도록 상기 중앙장벽부의 가운데 부분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뒤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이 벌어진 상태가 편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관끼움공을 통하여 구강 내로 삽입되는 흡입관이 구강 천정이나 혀 등과 같은 연조직에 직접 닿지 못하게 장애물 역할을 하도록, 상기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의 위단과 아랫단에 지지판이 눕혀진 형태로 구강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원 없이도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손쉽게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액 등의 흡입 제거도 보조원의 도움없이 할 수 있게 된다. 병원의 입장에서는 보조원의 최소화로 수입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치료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피시술자는 치료를 하는 동안 개구기를 물고 있기만 하면 되므로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 및 도 13은 흡입방지부(95)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1실시예는 구치부에 설치하기에 바람직한 개구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구기몸체(100)는 상악지지부(10)와 하악지지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측과 앞측은 개방되고, 뒤측은 연결부(30)에 의해 막히는 형상을 하며, 연결부(30)에 의해 막혀있는 뒤측이 구강의 뒤쪽을 향하고, 개방되어 있는 앞측이 구강의 앞쪽을 향하도록 구치부에 설치된다.
피시술자가 개구기몸체(100)를 물었을 때에 치아가 상악지지부(10)나 하악지지부(20)를 통하여 개구기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악지지부(10) 및 하악지지부(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치아수용부(50)가 관통 형성된다.
하악 치아를 치료코자 하는 경우에는 하악지지부(20)에 치아수용부(50)가 형성될 것이고, 상악 치아를 치료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악지지부(10)에 치아수용부(50)가 형성될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치아수용부(50)는 치아가 수용되어 개구기몸체(100)가 구치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데에도 기여하므로, 어느 쪽 치아를 치료하는가에 상관없이 상악지지부(10)와 하악지지부(20)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핸드피스(70)가 개구기몸체(100)의 개방된 좌우측 및 앞측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개구기몸체(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되므로, 핸드피스(70)가 움직이는데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개구기몸체(100)의 내부에 노출되는 치아에 대한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치아수용부(50)의 앞쪽과 뒤쪽 둘레는 치열 상에 얹혀 개구기몸체(100)가 더 이상 깊숙이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50a)를 이루고, 치아수용부(50)의 양측 둘레는 치아의 옆쪽에 위치하여 절삭기(71)를 통한 치아 절삭 등의 시술과정에서 혀나 뺨 등과 같은 구강 내 연조직이 치아 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연조직 격리부(50b)를 이룬다. 스토퍼부(50a)는 앞쪽 스토퍼부(51)와 뒤쪽 스토퍼부(52)로 구분되고, 연조직 격리부(50b)는 우측 격리부(53)와 좌측 격리부(54)로 구분된다.
치아는 옆 부분이나 잇몸까지 개구기몸체(100)의 내부로 어느 정도 돌출되는 것이 치아 절삭 등의 시술에 있어서 편하므로, 연조직 격리부(50b)는 치아의 저작면에서 잇몸 방향으로 물러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악지지부(10)의 경우는 연조직 격리부(50b)가 스토퍼부(50a)에 비하여 더 위로 올라가도록 설치되고, 하악지지부(20)의 경우는 연조직 격리부(50b)가 스토퍼부(50a)에 비하여 더 밑으로 내려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러면 핸드피스(70)가 연조직 격리부(50b)의 방해를 받지 않고 개구기몸체 내에서 치아의 측면이나 잇몸부위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시술이 매우 편해진다.
연조직 격리부(50b)가 이렇게 치아 잇몸 쪽으로 물러나게 되면, 치아가 연조직 격리부(50b) 사이에 끼워져 개구기몸체(100)가 옆으로 빠지지 않게 되어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치아가 치아수용부(50)에 편하게 수용되어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입을 벌렸을 때의 구강의 기하학적 형태를 감안하면, 상악지지부(10)와 하악지지부(20)의 간격이 구강 안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피시술자가 개구기몸체(100)를 물고 있는 데에 더 편안한 감을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연조직 격리부(50b)가 치아 잇몸 쪽으로 물러나도록 하는 것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연조직 격리부(50b)가 개구기몸체(100)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하는 경우가 그것인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상악지지부(10)의 연조직 격리부(50b)가 개구기몸체(100)의 위쪽으로 볼록한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다른 예로는, 치아수용부(50)가 연결부(30)까지 연장되어 치아수용부(50)의 뒤쪽 스토퍼부(52)가 연조직 격리부(50b)에 비하여 더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하는 경우가 그것인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하악지지부(10)에 대한 치아수용부(50)의 뒤쪽 스토퍼부(52)가 연조직 격리부(50b)에 비하여 더 위로 올라간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또 다른 예로는, 앞쪽 스토퍼부(51)가 연조직 격리부(50b)와 단턱지게 형성되어 연조직 격리부(50b)에 비하여 더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그것인데, 실시예 1에서는 상악지지부(10)의 경우 앞쪽 스토퍼부(51)가 연조직 격리부(50b)에 비하여 더 내려가고, 하악지지부(20)의 경우 앞쪽 스토퍼부(51)가 연조직 격리부(50b)에 비하여 더 올라가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상악지지부(10)의 연조직 격리부(50b)를 통하여 개구기몸체(100) 내부로 핸드피스(7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악지지부(10)의 연조직 격리부(50b)에 핸드피스 인입부(60)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핸드피스(70)가 개구기몸체(100)의 개방된 좌우측 및 앞측 뿐만 아니라 핸드피스 인입부(60)를 통해서도 위에서 비스듬하게 개구기몸체(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방향으로 핸드피스(7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시술이 편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지지부(10)의 연조직 격리부(50b)가 옆으로 더 퍼지도록 날개부를 두어 이러한 날개부에 핸드피스 인입부(60)가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개구기몸체(100)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타액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흡입부(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혀와 뺨이 있는 양쪽 부위에서 이 역할을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흡입부(90)는 개구기몸체(100)의 좌우 양측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입부(90)는 치료가 이루어지는 치아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상악지지부(10)의 치아수용부(50)를 통하여 노출되는 치아를 치료하는 경우에는 상악지지부(10)의 좌우측에 흡입부(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악지지부(20)의 치아수용부(50)를 통하여 노출되는 치아를 치료하는 경우에는 하악지지부(20)의 좌우측에 흡입부(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타액 등은 주로 밑에 고일 것이므로 상악 치아를 치료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하악지지부(20)에 흡입부(9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흡입부(90)는 앞뒤가 개방되는 관 형상의 흡입부 몸체(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흡입부 몸체(91)의 앞단에는 흡입관(80)이 끼어지도록 끼움부(92)가 형성되고, 뒷단 구멍은 타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93)로서의 역할을 한다.
흡입구(93)만 있으면 다양한 방향으로 타액 등을 흡입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흡입구(93) 근방의 측면 둘레에 타액 등을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슬릿(9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93)와 관통슬릿(94)을 통해서 타액 등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구강 내 연조직이 함께 빨려 들어가지 않게 막도록 흡입부 몸체(91)의 밑에 흡입방지부(95)가 패드 형태로 눕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흡입방지부(95)가 흡입구(93)보다 더 뒤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면 이러한 연조직 흡입방지 기능이 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강 내 연조직이 치아 가까이에 위치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부(90)는 개구기몸체(100)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에서는 흡입부(90)가 개구기몸체(100)의 옆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피시술자가 개구기몸체(100)를 물고 있기만 하면, 시술자가 보조원 없이도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손쉽게 치아 치료를 할 수 있고, 또한 타액 등의 흡입 제거를 함에 있어서도 보조원의 도움이 특별히 필요없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흡입방지부(95)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패드의 좌우측이 위로 올라가 반원통 형상을 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이렇게 반원통 형상을 하게 되면 좌우측으로부터 연조직이 흡입되어 딸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관통슬릿(94)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관통슬릿(94)이 없는 경우에는 특히 흡입방지부(95)가 흡입구(93)보다 더 뒤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치부에 설치하기에 바람직한 개구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5는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은 앞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개구기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둥그스름할 뿐 실질적으로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단지 흡입부(90) 대신에 흡입관수용부(90')가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흡입관수용부(90')는 개구기몸체(100)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하악지지부(20)나 연결부(30)에 설치되며, 흡입부(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개구기몸체(10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개구기몸체(100)에서 밖으로, 예컨대 옆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관수용부(90')는 흡입관(80)을 밀어 넣어 끼울 수 있도록 홀이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실시예 2에서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흡입관(8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흡입관수용부(90')는 개구기몸체(100)의 측 부위에 직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에서는 개구기몸체(100)의 좌우측 각각에 2개가 직렬로 설치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실시예 3]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달리 전치부에 설치하기에 바람직한 개구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8은 앞쪽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앞쪽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개구기몸체(200)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도록 구강을 좌우로 가로지르게 전치부에 설치되며 판 형상을 한다. 개구기몸체(200)는 좌측날개부(212), 중앙장벽부(210), 우측날개부(211)로 구분되며, 중앙장벽부(210)는 혀가 전치부 치아에 닿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좌측날개부(212) 및 우측날개부(211)보다 위아래로 폭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날개부(212) 및 우측날개부(21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흡입관(80)을 끼우기 위한 흡입관끼움공(29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와 같이 좌측날개부(212)와 우측날개부(211) 모두에 흡입관끼움공(290)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앙장벽부(210)는 가운데 부분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더 구강 안쪽으로 물러나게 위치하도록 중앙장벽부(210)의 가운데 부분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뒤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치부의 치아에 대하여 절삭 등의 시술을 할 때에, 전치부의 치아와 중앙장벽부(21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좌측날개부(212)와 우측날개부(211)의 윗단과 아랫단에는 구강이 벌어진 상태가 편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판(270)이 눕혀진 형태로 구강 안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270)은 구강 천정이나 혀 등과 같은 구강 연조직에 흡입관(80)이 직접 닿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좌측날개부(212)와 우측날개부(211)의 바깥쪽 끝단에는 위아래로 입걸림부(28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걸림부(280)가 입술 바깥쪽에 걸리고, 중앙장벽부(210)가 구강 안쪽에 위치하여 좌측날개부(212)와 우측날개부(211)가 치아에 물리도록 하면 개구기몸체(100)가 구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중앙장벽부(210)의 앞에 있는 전치부 치아를 절삭기(71) 등으로 시술하는 과정에서 혀가 중앙장벽부(210)에 걸려 치료 부위에 접근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강 내 연조직이 저절도 보호되는 상태에서 환자와 시술자 모두가 편하게 치료에 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입관(80)을 통하여 타액 등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구강 내 연조직이 흡입관(80)에 원하지 않게 따라 흡입되는 것도 지지판(270)에 의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치료용 개구기에 의하면, 보조원 없이도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손쉽게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액 등의 흡입 제거도 보조원의 도움없이 할 수 있게 된다.
병원의 입장에서는 보조원의 최소화로 수입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피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치료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피시술자는 치료를 하는 동안 개구기를 물고 있기만 하면 되므로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100, 200: 개구기 몸체
10: 상악지지부 20: 하악지지부
30: 연결부 50: 치아수용부
50a: 스토퍼부 50b: 연조직 격리부
51: 앞쪽 스토퍼부 52: 뒤쪽 스토퍼부
53: 우측 격리부 54: 좌측 격리부
60: 핸드피스 인입부 70: 핸드피스
71: 절삭기 80: 흡입관
90: 흡입부 90': 흡입관수용부
91: 흡입부 몸체 92: 끼움부
93: 흡입구 94: 관통슬릿
95: 흡입방지부 210: 중앙장벽부
211: 우측날개부 212: 좌측날개부
270: 지지판 280: 입걸림부
290: 흡입관 끼움공

Claims (19)

  1. 상악지지부와 하악지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측과 앞측은 개방되고, 뒤측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막히는 형상을 하는 개구기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기몸체는 막혀있는 뒤측이 구강의 뒤쪽을 향하고, 개방되어 있는 앞측이 구강의 앞쪽을 향하도록 구치부에 설치되며,
    피시술자가 상기 개구기몸체를 물었을 때에 치아가 상기 상악지지부나 하악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악지지부 및 하악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치아수용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아수용부의 앞쪽과 뒤쪽 둘레는 치열 상에 얹혀서 상기 개구기몸체가 더 이상 깊숙이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를 이루고, 상기 치아수용부의 양측 둘레는 치아의 옆쪽에 위치하여 혀나 뺨과 같은 연조직이 치아 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연조직 격리부를 이룸으로써,
    상기 개구기몸체의 개방된 좌우측 및 앞측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핸드피스를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인입시켜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에 노출되는 치아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수용부를 통하여 치아의 옆 부분이나 잇몸까지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연조직 격리부가 치아의 저작면에서 잇몸 방향으로 물러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격리부가 상기 개구기몸체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조직 격리부가 치아의 저작면에서 잇몸 방향으로 물러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수용부가 상기 연결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치아수용부의 뒤쪽 둘레가 상기 연조직 격리부에 비하여 더 위로 올라가거나 밑으로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조직 격리부가 치아의 저작면에서 잇몸 방향으로 물러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지지부의 연조직 격리부를 통과하여 상기 개구기몸체의 내부로 핸드피스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악지지부의 연조직 격리부에 핸드피스 인입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기몸체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악지지부에 흡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수용부가 상기 하악기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8. 제6항에 있어서, 구강 내 연조직이 치아 가까이에 위치하지 못하도록 상기 흡입부가 상기 개구기몸체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앞뒤가 개방되는 관 형상의 흡입부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부 몸체의 앞단에는 흡입관이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뒷단은 타액, 물, 치료부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근방의 측면 둘레에 타액, 물, 부산물을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구강 내 연조직이 상기 흡입구나 관통슬릿을 통하여 흡입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부 몸체의 밑에 패드나 반원통 형태의 흡입방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방지부가 상기 흡입구보다 더 뒤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기몸체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악지지부나 연결부에 흡입관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수용부가 상기 하악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5. 제13항에 있어서, 구강 내 연조직이 치아 가까이에 위치하지 못하도록 상기 흡입관수용부가 상기 개구기몸체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수용부에 흡입관을 밀어 넣어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 수용부가 홀이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7. 입이 다물어지지 않도록 구강을 좌우로 가로지르게 전치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개구기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기몸체는 혀가 전치부 치아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양측보다 위아래 폭이 더 넓어 좌측날개부, 중앙장벽부, 및 우측날개부로 구분되며, 상기 좌측날개부 및 우측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흡입관을 끼우기 위한 흡입관끼움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벽부는 가운데 부분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더 구강 안쪽으로 물러나게 위치하도록 상기 중앙장벽부의 가운데 부분이 좌우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뒤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19. 제17항에 있어서, 구강이 벌어진 상태가 편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관끼움공을 통하여 구강 내로 삽입되는 흡입관이 구강 천정이나 혀 등과 같은 연조직에 직접 닿지 못하게 장애물 역할을 하도록, 상기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의 위단과 아랫단에 지지판이 눕혀진 형태로 구강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KR1020150033395A 2015-03-09 2015-03-10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KR20160109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2809 2015-03-09
KR1020150032809 2015-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83A true KR20160109283A (ko) 2016-09-21

Family

ID=5708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95A KR20160109283A (ko) 2015-03-09 2015-03-10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2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9991A (zh) * 2018-11-29 2019-02-19 张丽 一种口腔科用口腔固定装置
CN110559092A (zh) * 2019-10-14 2019-12-13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牙齿喷砂防护罩
CN113180870A (zh) * 2021-04-30 2021-07-30 青岛市口腔医院 一种儿科口腔护理开口器
CN113520288A (zh) * 2021-06-25 2021-10-22 杭州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数字化口腔智能辅助诊疗系统及其诊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74B1 (ko) 2001-12-13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 구동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KR101363054B1 (ko) 2012-06-20 2014-02-14 김창원 치과치료용 개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74B1 (ko) 2001-12-13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 구동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KR101363054B1 (ko) 2012-06-20 2014-02-14 김창원 치과치료용 개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9991A (zh) * 2018-11-29 2019-02-19 张丽 一种口腔科用口腔固定装置
CN110559092A (zh) * 2019-10-14 2019-12-13 上海市东方医院(同济大学附属东方医院) 牙齿喷砂防护罩
CN113180870A (zh) * 2021-04-30 2021-07-30 青岛市口腔医院 一种儿科口腔护理开口器
CN113520288A (zh) * 2021-06-25 2021-10-22 杭州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数字化口腔智能辅助诊疗系统及其诊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6029B2 (en) Anatomical tongue guards and bite block systems incorporating anatomical tongue guards
US6244866B1 (en) Tongue suppressing bite block
US9636197B2 (en) Apparatus for user having teeth
DE69934710T2 (de) Gerät zur beleuchtung der mundhöhle
US6655960B2 (en) Tongue suppressing bite block adaptable to varying mouth and tongue sizes
US6652276B2 (en) Customizable dental bite blocks and methods for forming customized dental bite blocks
US11103334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KR20160109283A (ko) 구강 내 연조직을 보호하면서 치아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치료용 개구기
JP2012505702A (ja) 唾液吸引機能を有する舌保護用ティップス、バイトブロックおよび口腔照明器
CA2733175A1 (en) Dental isolation block
US20100291503A1 (en) Tongue block
CA1317132C (en) Dental cortical plate perforator
CN114376745B (zh) 一种拔智齿口腔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00658B1 (ko)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RU142538U1 (ru) Держатель сменного гибк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слюноотсоса
JP3594867B2 (ja) 破折片除去用歯科器具
JP2617881B2 (ja) 歯科治療用開口器
US20040101804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CN220001994U (zh) 一种用于保护阻生智齿邻近软组织的牵拉装置
CA2911714C (en) Apparatus for user having teeth
KR20200061662A (ko) 구강 재활 치료 도구
CN215130615U (zh) 一种吸唾管固定器
US4781587A (en) Dental treatment device
JPH07289570A (ja) デンタルミラーつきバキュームチップ
CN211750205U (zh) 多功能洁牙套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