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167A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167A
KR20160109167A KR1020150033118A KR20150033118A KR20160109167A KR 20160109167 A KR20160109167 A KR 20160109167A KR 1020150033118 A KR1020150033118 A KR 1020150033118A KR 20150033118 A KR20150033118 A KR 20150033118A KR 20160109167 A KR20160109167 A KR 2016010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ank
heat exchanger
tube
cooling
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312B1 (ko
Inventor
조위삼
송준영
임홍영
정현희
이선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312B1/ko
Priority to US15/521,641 priority patent/US10448545B2/en
Priority to DE112016000129.0T priority patent/DE112016000129B4/de
Priority to CN201680002912.XA priority patent/CN106716044B/zh
Priority to PCT/KR2016/001159 priority patent/WO2016144007A1/ko
Publication of KR2016010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167A/ko
Priority to US16/554,732 priority patent/US1081898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 대책의 일환으로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전지 차량, 전기 차량 등의 발전이 더욱 더 주목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은 일반적으로, 구동용 배터리(예를 들면, 300V의 전압)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모터에 원하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PCU(파워제어유닛)가 함께 장착된다.
PCU는 인버터, 평활 콘덴서 및 컨버터 등의 전기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소자들은 전력(electricity)의 공급 되면서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냉각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2001-245478호(공개일 2001.09.07, 명칭 : 인버터의 냉각 장치)에는 IGBT 등의 반도체 소자와 다이오드를 내장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되는 인버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8-294283호(공개일 2008.12.04, 명칭 : 반도체 장치)에는 반도체 소자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히트싱크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단면 냉각방식의 경우, 냉각성능에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양면 냉각방식인데, 양면 냉각방식은 열교환기 사이 공간에 소자가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전기소자 삽입 간격이 전기소자 높이보다 높아야 하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 증대를 위해서는 소자와 열교환기가 잘 압착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것이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면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는 전기소자(10)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탱크(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열교환기는 브레이징 결합되어 전기소자의 삽입 공간이 고정된 이후, 전기소자를 삽입해야 하므로 전기소자의 삽입 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전기소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튜브 사이 간격을 넓게 하면, 소자와 튜브가 압착되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하며, 소자와 열교환기의 압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특허 1 : 일본공개특허 제2001-245478호(공개일 2001.09.07, 명칭 : 인버터의 냉각 장치) 선행특허 2 : 일본공개특허 제2008-294283호(공개일 2008.12.04, 명칭 : 반도체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소자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과 접하도록 일부 영역이 벤딩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소자와 쉽게 압착될 수 있고,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냉각성능 및 조립성이 향상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전기소자(2)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전기소자(2)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과 접하도록 일정 지점에서 벤딩(bending)되고,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100);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헤더탱크(210); 및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튜브가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헤더탱크의 중심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헤더탱크(220); 상기 제1헤더탱크(21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10); 및 상기 제2헤더탱크(22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가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헤더탱크(2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또는 제2헤더탱크(220)에 연결되는 측의 단면과, 타측 단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기 튜브(100)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100)는 상기 전기소자(2)가 안착되는 지점의 상기 튜브(100) 사이 간격보다 벤딩되는 지점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와, 전기소자(2)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2)는 높이방향으로 양측면이 상기 튜브(100)와 접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2열인 경우, 이웃한 상기 튜브(10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가 배치되며, 외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전원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100)는 이웃한 상기 튜브(100)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갭(gap)을 포함하되, 상기 갭이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자고정부(21)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100)의 너비(Tw)는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Cw)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집적회로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전기소자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과 접하도록 일부 영역이 벤딩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전기소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기소자와 쉽게 압착될 수 있어 냉각성능 및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양면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에서 전기소자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튜브 사이 간격을 넓게 하면 전기소자와 튜브가 압착되기가 어렵고, 반대로 전기소자와 튜브가 압착되도록 하기 위해 튜브 사이 간격을 좁게 하면 전기소자가 삽입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소자를 좁은 틈새로 끼워 넣는 공정 없이 일정 각도로 벤딩된 튜브 사이 공간에 전기소자가 배치되도록 한 다음, 튜브 및 전기소자가 서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성능과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가 튜브가 벤딩된 상태에서 높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소자의 높이가 낮더라도 튜브가 전기소자를 압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두께가 약 4~5mm정도인 얇은 전기소자의 양면에 접하도록 튜브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튜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입ㆍ출구파이프를 동일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어, 유로구성이 간단해지며, 차량 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어 주변 부품 배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소자 냉각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서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3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서 입구파이프를 전단(b) 및 후단(a)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의 열교환매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접하여 형성되는 양면 냉각 방식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에 관한 것으로, 크게, 튜브(100),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소자는 IGBT 등의 반도체 소자와 다이오드를 내장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되는 자동차용 인버터, 모터구동 인버터, 에어컨 인버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냉각하기 위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튜브(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100) 내부에 유동되는 열교환매체는 에틸렌 글리콜계의 부동액이 혼입되는 물이나, 물, 암모니아 등의 자연냉매 또는 R134a 등의 Fron계 냉매, 알코올계 냉매, 아세톤 등의 케톤계 등의 냉매일 수 있다.
상기 튜브(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이 압출된 방식으로 제조된 튜브(100)일 수도 있고, 접어서 제조되거나, welded 방식으로 제조된 튜브(100)일 수도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헤더탱크(210)는 상기 튜브(100)가 벤딩되기 전,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며, 입구파이프(310)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더탱크(220)는 상기 튜브(100)가 벤딩되기 전, 길이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며, 출구파이프(320)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가 벤딩되기 전, 상기 튜브(100)의 양단에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의 상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전기소자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과 상기 튜브(100)가 접하도록, 상기 튜브(100)가 일정 지점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의 양단에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가 브레이징 결합된 상태에서 벤딩되며, 특히,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가 높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전자소자가 매우 얇더라도 상기 튜브(10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기 튜브(100)가 벤딩되더라도,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가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가 아니라, 엇갈려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상기 튜브(100)의 소자삽입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상기 튜브(100)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완전히 벤딩된 상태인 최종 형상에서 상기 튜브(100) 사이의 간격이 전기소자의 높이와 일치하게 되는데, 도 3과 같이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전자소자의 높이가 매우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기 튜브(100)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헤더탱크(220) 및 제2헤더탱크(220)의 중심으로부터 내측으로 편심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전기소자와 조립 시, 벤딩된 상기 튜브(100) 사이에 전기소자가 삽입된 형태를 갖는데, 상기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상기 튜브(100)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완전히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100) 사이 거리는 불과 4~5mm정도이다.
벤딩된 상기 튜브(100) 사이 거리를 4~5mm정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벤딩되는 지점에 가해지는 피로도가 상당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튜브(100)는 상기 전기소자가 안착되는 지점의 상기 튜브(100) 사이 간격보다 벤딩되는 지점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부(110)는 벤딩되는 지점에 형성되며, 단면이 일측 일부영역이 개구된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높이보다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중심부에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가 배치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튜브(100)가 벤딩되어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가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할 때, 서로 간섭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가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헤더탱크(2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열교환매체의 적절한 분배를 위해 입ㆍ출구파이프(310, 320)의 형상과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2열 튜브로 형성되는 경우, 가급적 입구파이프(310)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의 중심에 배치되어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두 개의 튜브(100)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높이보다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좀 더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또는 제2헤더탱크(220)에 연결되는 측의 단면과, 타측 단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타측 단면의 직경이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PCU(power control unit) 또는 HPCU(hybrid power control unit) 내에 장착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패키지 향상을 위해 헤더탱크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의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는 자동차의 냉각유체를 이용하게 되므로 공용 직경을 갖게 되는데, 헤더탱크의 크기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의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또는 제2헤더탱크(220)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의 직경보다, 타측 단부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의 전단은 공용 직경을 갖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은 가로방향 직경(W1)이 세로방향 직경(W2)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단의 공용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7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에서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헤더탱크(210)와 연통 형성되는 입구파이프(310)를 통해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제1헤더탱크(210)를 지나 상기 전기소자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된 상기 튜브(100)를 따라 유동된다.
다음, 열교환매체는 상기 전기소자(2)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된 상기 튜브(100)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제2헤더탱크(220)를 거쳐 출구파이프(320)로 배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의 튜브(100)와 전기소자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이 접하도록 조립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1열인 경우, 상기 튜브(100)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전기소자(2)의 커넥터(22)가 배치되고, 상기 튜브(100)의 너비방향으로 타측에 상기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가 배치되도록 상기 튜브(100) 사이에 상기 전기소자(2)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전원부 또는 기판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2열인 경우, 이웃한 상기 튜브(10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의 소자고정부(21)가 배치되며, 외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의 커넥터(22)가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인 모듈 조립 시 전원부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 사이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갭(gap)을 포함하되, 상기 갭이 상기 전기소자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자고정부(21)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됨으로써, 이웃하여 배치된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끼리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가 상기 전기소자의 너비방향으로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핀을 덮지 않도록 상기 튜브(100)의 너비(Tw)는 상기 전기소자의 너비(Cw)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가 조립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벤딩된 상기 튜브(100)가 대략 5~10도 정도 각도를 이루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소자가 상기 튜브(100)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 후, 이격된 간격을 눌러, 상기 전기소자 윗면과 상기 튜브(100)가 압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소자는 상ㆍ하측면이 모두 상기 튜브(100)와 밀착될 수 있으며, 좁은 틈사이로 전기소자를 어렵게 끼워 넣는 공정 없이도, 상기 열교환기에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전기소자의 양측면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튜브(100)가 서로 접촉할 수 있어 집적회로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2 : 전기소자
21 : 소자고정부 22 : 전원부
3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100 : 튜브
110 : 라운드부
210 : 제1헤더탱크 220 : 제2헤더탱크
310 : 입구파이프 320 : 출구파이프

Claims (10)

  1. 전기소자(2)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전기소자(2)의 높이방향으로 양측면과 접하도록 일정 지점에서 벤딩(bending)되고,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100);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헤더탱크(210); 및
    상기 튜브(100)의 길이방향으로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튜브가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헤더탱크의 중심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헤더탱크(220);
    상기 제1헤더탱크(21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10); 및
    상기 제2헤더탱크(22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가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헤더탱크(2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또는 제2헤더탱크(220)에 연결되는 일측 단면의 가로방향 직경(W1)이 세로방향 직경(W2)보다 크게 형성되며,
    타측 단면이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높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기 튜브(100)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헤더탱크(210) 및 제2헤더탱크(22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0)는
    상기 전기소자(2)가 안착되는 지점의 상기 튜브(100) 사이 간격보다 벤딩되는 지점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지점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라운드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상기 튜브(100)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의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와, 전기소자(2)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2)는
    높이방향으로 양측면이 상기 튜브(100)와 접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3)는
    상기 튜브(100)가 2열인 경우,
    이웃한 상기 튜브(10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소자고정부(21)가 배치되며, 외측 공간에 상기 전기소자(2)의 전원부(2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1)는
    이웃한 상기 튜브(100)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갭(gap)을 포함하되, 상기 갭이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자고정부(21)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0)의 너비(Tw)는
    상기 전기소자(2)의 너비(Cw)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조립체.
KR1020150033118A 2015-03-10 2015-03-10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17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18A KR102173312B1 (ko) 2015-03-10 2015-03-10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US15/521,641 US10448545B2 (en) 2015-03-10 2016-02-03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al element
DE112016000129.0T DE112016000129B4 (de) 2015-03-10 2016-02-03 Wärmetauscher zum Kühlen eines elektrischen Elements, sowie Wärmetauscheranordnung und Kühlmodul
CN201680002912.XA CN106716044B (zh) 2015-03-10 2016-02-03 用于冷却电气元件的热交换器
PCT/KR2016/001159 WO2016144007A1 (ko) 2015-03-10 2016-02-03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US16/554,732 US10818985B2 (en) 2015-03-10 2019-08-29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al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18A KR102173312B1 (ko) 2015-03-10 2015-03-10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67A true KR20160109167A (ko) 2016-09-21
KR102173312B1 KR102173312B1 (ko) 2020-11-04

Family

ID=5708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118A KR102173312B1 (ko) 2015-03-10 2015-03-10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3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183A (ko) * 2017-05-31 2018-12-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튜브 제조방법
KR20190080252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고산 친환경 차량의 전력반도체 냉각용 열교환기
KR102001205B1 (ko) 2018-01-15 2019-07-18 주식회사 고산 친환경 차량의 전력반도체 냉각용 열교환기
CN113793971A (zh) * 2021-08-29 2021-12-14 西北工业大学 一种用于水下航行器的高导热锂电池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478A (ja) 1999-09-21 2001-09-07 Toyota Motor Corp インバータの冷却装置
KR100471593B1 (ko) * 2002-03-21 2005-03-09 김등진 열교환장치
JP2008271770A (ja) * 2007-03-27 2008-11-06 Denso Corp 冷却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2008294283A (ja) 2007-05-25 2008-12-04 Showa Denko Kk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478A (ja) 1999-09-21 2001-09-07 Toyota Motor Corp インバータの冷却装置
KR100471593B1 (ko) * 2002-03-21 2005-03-09 김등진 열교환장치
JP2008271770A (ja) * 2007-03-27 2008-11-06 Denso Corp 冷却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2008294283A (ja) 2007-05-25 2008-12-04 Showa Denko Kk 半導体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183A (ko) * 2017-05-31 2018-12-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튜브 제조방법
KR20190080252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고산 친환경 차량의 전력반도체 냉각용 열교환기
KR102001205B1 (ko) 2018-01-15 2019-07-18 주식회사 고산 친환경 차량의 전력반도체 냉각용 열교환기
CN113793971A (zh) * 2021-08-29 2021-12-14 西北工业大学 一种用于水下航行器的高导热锂电池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312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985B2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al element
KR102173362B1 (ko) 전기소자 쿨링모듈
US9807915B2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KR102351954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N108141989B (zh) 用于冷却电气装置的热交换器
CN108990368B (zh) 电气元件冷却模块
KR102173312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US20170301610A1 (en) Coole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oler module
JP5285489B2 (ja) 組電池装置
KR102264504B1 (ko) 전기소자 쿨링모듈
KR102173395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161487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N110945977B (zh) 用于冷却电气装置的热交换器
KR101988992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JP2008221951A (ja) 自動車用電子部品の冷却装置
US9991571B2 (en) Battery module with flanges in fluidic communication
KR20150133004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1988985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089628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N105074376A (zh) 用于热传递液体和制冷剂之间的换热的热交换器,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热交换器
JP2006294920A (ja) 積層型冷却器
KR102356681B1 (ko) 직접냉각유로를 갖는 전력반도체 냉각 장치
KR20190131223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6806B1 (ko) 유체 가열 히터
KR20180131119A (ko) 전기소자 쿨링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