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853A -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 Google Patents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853A
KR20160108853A KR1020150032167A KR20150032167A KR20160108853A KR 20160108853 A KR20160108853 A KR 20160108853A KR 1020150032167 A KR1020150032167 A KR 1020150032167A KR 20150032167 A KR20150032167 A KR 20150032167A KR 20160108853 A KR20160108853 A KR 2016010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rench
cooling water
cas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제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15003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8853A/ko
Publication of KR2016010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4Distributing or accumulator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 F28F25/12Ducts; Guide vanes, e.g. for carrying currents to distinct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의 일 양태는,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상면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보조 흡기구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고,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급수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열교환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에서 건식 열교환된 냉각수의 습식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주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열교환부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충진재; 상기 충진재에서 공기와 습식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여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트랜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CROSS-FLOW TYPE COOLING TOWER WITH PLUME ABATMENT FUNCTION}
본 발명은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은, 냉각수, 예를 들면, 공조 장치 또는 냉동기, 즉 냉동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응축에 사용된 냉각수를 공기와 접촉시켜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기 위하여 공기 중으로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다수개의 필러, 상기 필러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장치, 및 상기 필러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냉각수와 접촉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냉각탑은, 공기와 냉각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서 직교류형과 대향류형으로 구분된다. 직교류형 냉각탑에서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와 냉각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향류형 냉각탑에서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와 냉각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8641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교류형 냉각탑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양측면에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기구가 형성되고, 케이싱의 상면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고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충진재가 각각 설치되고, 충진재의 상방에 냉각수가 저수되는 급수조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배기구에 인접되도록 송풍팬이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팬이 동작하면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충진재를 통과한 후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급수조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는 충진재를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공기와 열교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냉각수와 접촉하여 상대 습도가 증가되어 포화습도에 도달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는 백연(白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8641호(발명의 명칭: 직교류형 냉각탑)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의 일 양태는,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상면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고,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급수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열교환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에서 건식 열교환된 냉각수의 습식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주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열교환부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충진재; 상기 충진재에서 공기와 습식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여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트랜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급수부, 열교환부 및 충진재는, 상기 배기구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트랜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구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 내부에 위치되는 범위에서 상기 열교환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2 미만의 값으로 길이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트랜치에는, 상기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 개구; 상기 트랜치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 개구; 및 상기 트랜치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트랜치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 개구; 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는 상기 제1흡입 개구가 형성되는 상기 트랜치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제2흡입 개구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제1흡입 개구가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흡입 개구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의 저면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트랜치는, 상부 트랜치; 및 상기 상부 트랜치에 대하여 하방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랜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하부 트랜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제1트랜치; 및 상기 열교환부 중 다른 하나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트랜치와 각각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위치되는 제2트랜치; 를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트랜치의 길이는 상기 열교환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2 초과의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교환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및 상기 상부 헤더 및 하부 헤더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헤더가 공급받은 냉각수가 상기 튜브로 분배되어 전달된 후 상기 튜브를 유동하면서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건식 열교환된 후 상기 하부 헤더를 통하여 상기 급수부로 전달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하부 헤더에서 전달된 냉각수가 저수되는 급수조; 및 상기 급수조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충진재로 분사하는 노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기 위하여 상기 튜브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열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양측면에 주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 흡기구의 상방에 해당하는 양측면에 보조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 상기 보조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열교환부; 상기 주 흡기구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열교환부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충진재; 상기 충진재의 하방에 위치되는 집수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구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적어도 한쌍의 트랜치; 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냉각수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건식 열교환한 후 상기 충진재에서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습식 열교환한 후 상기 집수부에 집수되고,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트랜치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상기 트랜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흡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트랜치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트랜치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된 후 상기 트랜치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 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흡입 개구 및 배출 개구는, 상기 제2흡입 개구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상기 제1흡입 개구가 형성되는 상기 트랜치의 일단 및 이에 반대되는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충진재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트랜치의 저면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의 내부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에서는,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서로 혼합된 후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다수개의 트랜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혼합됨으로써,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상대 습도가 전체적으로 감소되어 백연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에서의 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1)은, 케이싱(100), 급수부(210), 송풍부(300), 열교환부(410), 충진재(500), 집수부(600) 및 트랜치(7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냉각탑(1)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210)는, 열교환 대상이 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부(300)는,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부(410)는 상기 급수부(210)에 의하여 급수되는 냉각수와 상기 송풍부(3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와의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충진재(500)는,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건식 열교환된 냉각수와 상기 송풍부(3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와의 습식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600)는 상기 충진재(50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곳이다. 또한 상기 트랜치(700)는,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여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100)은, 외관을 정의하는 것으로, 적어도 양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주 흡기구(110), 보조 흡기구(120) 및 배기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구(130)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흡기구(110)가,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보조 흡기구(120)는, 상기 주 흡기구(11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3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에는 팬 스택(140)이 구비된다. 상기 팬 스택(140)은,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팬 스택(140)은,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상하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10)는, 한쌍의 급수조(211) 및 노즐(223)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조(211)는 공기와 열교환될 냉각수가 저장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223)은 상기 급수조(211)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500)를 향하여 분사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부(210)가 상기 보조 흡기구(12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부(210)는,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projection, 射影)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송풍부(300)는, 송풍 팬(310) 및 송풍 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 팬(3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하고, 냉각수와 열교환한 공기가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송풍 팬(310)으로는, 예를 들면,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터(320)는 상기 송풍 팬(3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집수부(600)에는, 상기 충진재(500)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공기와 습식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된다. 상기 집수부(600)는, 상기 주 흡기구(11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410)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열교환부(410)는, 상기 급수부(2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부(410)는, 상기 급수부(210)와 유사하게,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410)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노즐(223)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와의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노즐(223)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410)를 매개로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41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와 상기 노즐(223)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충진재(500)는 상기 주 흡기구(11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충진재(500)는, 상기 열교환부(4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충진재(500)도, 상기 급수부(210) 및 열교환부(410)와 유사하게,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23)에서 분사되어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공기와 건식 열교환된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500)의 표면 또는 상기 충진재(500)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접촉되어 습식 열교환된다.
한편 상기 트랜치(700)는, 상기 열교환부(410)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120)의 반대편에 각각 위치되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랜치(710)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가, 상기 트랜치(7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 내부에 위치되는 범위에서 상기 열교환부(4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2 미만의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치(710)에는 제1흡입 개구(711), 다수개의 제2흡입 개구(712), 및 다수개의 배출 개구(7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 개구(711)는, 상기 열교환부(41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 개구(711)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2흡입 개구(712)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흡입 개구(712)는,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개구(713)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 개구(713)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즉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되어 배출되는 곳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는 상기 제1흡입 개구(711)가 형성되는 상기 트랜치(710)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출 개구(713)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치(710)가 상기 제1흡입 개구(711)가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된다. 즉, 상기 트랜치(710)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12)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배출 개구(71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된다. 이는,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의 단면적을 가변하여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12)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되어 상기 배출 개구(713)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에서의 공기와 냉각수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 모터(320)에 의하여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충진재(500)를 통과하고,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열교환부(41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팬(31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충진재(500)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10)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수부(210), 실질적으로 급수조(211)에 저장된 냉각수가 노즐(223)을 통하여 분사되면, 상기 열교환부(410)를 통과하면서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10)를 매개로 건식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공기와 건식 열교환된 냉각수는, 상기 충진재(5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습식 열교환된다. 또한 상기 충진재(500)에서 습식 열교환된 냉각수는, 집수부(600)에 집수된 후 외부의 저수조(미도시)로 전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트랜치(710)를 통과하면서 서로 혼합된 상태로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냉각수와의 건식 열교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의 건조한 상태의 공기가, 냉각수와의 습식 열교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다습한 상태의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백연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부(41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는, 제1흡입 개구(711)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충진재(500)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제2흡입 개구(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서로 혼합된 후 배출 개구(713)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는 상기 제1흡입 개구(711)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고, 상기 배출 개구(713)는 상기 제1흡입 개구(71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흡입 개구(712)와 배출 개구(713)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흡입 개구(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제1흡입 개구(7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충분하게 혼합된 후 상기 배출 개구(713)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흡입 개구(711)가 형성되는 상기 트랜치(710)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단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점차적으로 증가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2)에서는, 트랜치(710)가 가이드부(7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715)는,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제2흡입 개구(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715)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저면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7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되어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3)은, 상부 트랜치(720) 및 하부 트랜치(7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트랜치(720) 및 하부 트랜치(730)가 상하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랜치(720)에 비하여 상기 하부 트랜치(730)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트랜치(720) 및 하부 트랜치(730)의 내부에서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각각 혼합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백연 현상의 저감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랜치(720) 및 하부 트랜치(730)에 각각 형성되는 제1흡입 개구(721)(731), 제2흡입 개구(722)(732) 및 배출 개구(723)(7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대동소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4)은 다수개의 제1 및 제2트랜치(740)(7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트랜치(740)는, 열교환부(410) 중 어느 하나, 즉 도면상 좌측의 열교환부(410)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트랜치(750)는 상기 열교환부(410) 중 다른 하나, 즉 도면상 우측의 열교환부(410)에서 도면상 좌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트랜치(750)는, 각각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랜치(750)의 길이는 상기 열교환부(4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2 초과의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트랜치(750)의 내부에서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열교환부(410)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트랜치(740)(75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대동소이하게, 제1흡입 개구(741)(751), 제2흡입 개구(742)(752) 및 배출 개구(743)(753)가 각각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5)에서는, 트랜치(760)가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치(760)의 일단부에는 제1흡입 개구(761)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치(760)의 저면에는 제2흡입 개구(762)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치(760)의 타단부에는 배출 개구(763)가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 개구(761)는, 열교환부(41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60)의 길이 방향의 일단이 개방되어 정의된다. 상기 제1흡입 개구(761)는,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2흡입 개구(762)는, 상기 트랜치(760)의 저면이 개방되어 정의된다. 상기 제2흡입 개구(762)는,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어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개구(763)는, 상기 제1흡입 개구(761)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타단이 개방되어 정의된다. 상기 배출 개구(763)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61)(76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즉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되어 배출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6)에서는, 열교환부(420)가, 상부 헤더(421), 하부 헤더(422) 및 다수개의 튜브(42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헤더(421) 및 하부 헤더(422)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헤더(421)는 냉각수를 공급받아서 상기 튜브(423)로 분배하여 전달하며, 상기 하부 헤더(422)는 상기 튜브(423)를 유동한 냉각수를 급수부(2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423)는, 상기 상부 헤더(421) 및 하부 헤더(42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튜브(423)는 상기 상부 헤더(421)로부터 냉각수를 전달받고, 상기 튜브(42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는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건식 열교환한 후 상기 하부 헤더(422)로 전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부(220)가, 급수조(221) 및 노즐(223)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조(221)는, 충진재(500)의 상방, 실질적으로는 상기 열교환부(420) 및 충진재(500)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조(221)에는, 상기 하부 헤더(422)에서 전달된 냉각수가 저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23)은, 상기 급수조(221)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충진재(500)를 향하여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7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7)에서는, 열교환부(420)가 다수개의 방열핀(4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열핀(425)은, 상기 열교환부(420), 즉 튜브(42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열교환부(420)에서의 냉각수와 공기의 건식 열교환 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핀(425)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423)가 상기 방열핀(425)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냉각탑 100: 케이싱
110: 주 흡기구 120: 보조 흡기구
130: 배기구 140: 팬 스택
210: 급수부 211: 급수조
213: 노즐 310: 송풍 팬
320: 송풍 모터 410: 열교환부
500: 충진재 600: 집수부
710: 트랜치 711: 제1흡입 개구
712: 제2흡입 개구 713: 배출 개구

Claims (17)

  1.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30)가 상면에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고,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210)(220);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300);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급수부(210)(220)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흡기구(12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열교환부(410)(420);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10)(420)에서 건식 열교환된 냉각수의 습식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주 흡기구(11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열교환부(410)(4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충진재(500);
    상기 충진재(500)에서 공기와 습식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600); 및
    상기 열교환부(410)(420)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1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여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쌍의 트랜치(710)(720)(730)(740)(750); 를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210), 열교환부(410)(420) 및 충진재(500)는,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트랜치(710)(720)(7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 내부에 위치되는 범위에서 상기 열교환부(4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2 미만의 값으로 길이가 설정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710)(720)(730)(740)(750)에는,
    상기 열교환부(41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 개구(711)(721)(731)(741)(751);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 개구(712)(722)(732)(742)(752); 및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21)(731)(741)(751)(712)(722)(732)(742)(75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 개구(713)(723)(733)(743)(753); 가 형성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 개구(712)(722)(732)(742)(752)는 상기 제1흡입 개구(711)(721)(731)(741)(751)가 형성되는 상기 트랜치(710)(720)(730)(740)(750)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출 개구(713)(723)(733)(743)(753)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722)(732)(742)(752)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720)(730)(740)(750)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710)(720)(730)(740)(750)는, 상기 제1흡입 개구(711)(721)(731)(741)(751)가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710)는,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2흡입 개구(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715)를 더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715)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저면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7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720)(730)는,
    상부 트랜치(720); 및
    상기 상부 트랜치(720)에 대하여 하방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랜치(7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하부 트랜치(730); 를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740)(750)는,
    상기 열교환부(410)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제1트랜치(740); 및
    상기 열교환부(410) 중 다른 하나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트랜치(740)와 각각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위치되는 제2트랜치(750); 를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트랜치(740)(750)의 길이는 상기 열교환부(41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2 초과의 값으로 설정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20)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헤더(421) 및 하부 헤더(422); 및
    상기 상부 헤더(421) 및 하부 헤더(422)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튜브(423);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헤더(421)가 공급받은 냉각수가 상기 튜브(423)로 분배되어 전달된 후 상기 튜브(423)를 유동하면서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건식 열교환된 후 상기 하부 헤더(422)를 통하여 상기 급수부(220)로 전달되며,
    상기 급수부(220)는,
    상기 하부 헤더(422)에서 전달된 냉각수가 저수되는 급수조(221); 및
    상기 급수조(221)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충진재(500)로 분사하는 노즐(223); 을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20)는,
    상기 튜브(42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기 위하여 상기 튜브(423)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방열핀(425)을 더 포함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3. 열교환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양측면에 주 흡기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주 흡기구(110)의 상방에 해당하는 양측면에 보조 흡기구(120)가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배기구(13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210);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300);
    상기 보조 흡기구(12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열교환부(410);
    상기 주 흡기구(11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열교환부(41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충진재(500);
    상기 충진재(500)의 하방에 위치되는 집수부(600);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구(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적어도 한쌍의 트랜치(710); 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210)에서 급수되는 냉각수는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건식 열교환한 후 상기 충진재(500)에서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습식 열교환한 후 상기 집수부(600)에 집수되고,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상기 트랜치(7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10)에서 냉각수와 건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부(41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흡입 개구(711)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 개구(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된 후 상기 트랜치(7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트랜치(7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 개구(713)를 통하여 배출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 개구(712) 및 배출 개구(713)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상기 제1흡입 개구(711)가 형성되는 상기 트랜치(710)의 일단 및 이에 반대되는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710)는, 상기 제1 및 제2흡입 개구(711)(712)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배출 개구(71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500)에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2흡입 개구(712)에 인접하는 상기 트랜치(710)의 저면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7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715)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제2흡입 개구(712)를 통하여 상기 트랜치(7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KR1020150032167A 2015-03-09 2015-03-09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KR20160108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167A KR20160108853A (ko) 2015-03-09 2015-03-09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167A KR20160108853A (ko) 2015-03-09 2015-03-09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853A true KR20160108853A (ko) 2016-09-21

Family

ID=5708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167A KR20160108853A (ko) 2015-03-09 2015-03-09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8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4470A (zh) * 2019-04-11 2019-07-05 湖南元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流闭式节水冷却塔
KR102262304B1 (ko) 2020-02-17 2021-06-08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41B1 (ko) 2012-02-21 2013-12-06 서호성 직교류형 냉각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41B1 (ko) 2012-02-21 2013-12-06 서호성 직교류형 냉각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4470A (zh) * 2019-04-11 2019-07-05 湖南元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流闭式节水冷却塔
KR102262304B1 (ko) 2020-02-17 2021-06-08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68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50345866A1 (en) Drying system and use of the drying system in laundry drying device
CN106337269B (zh) 烘干系统及衣物干燥装置
KR101451791B1 (ko) 간접증발식 액체 냉각 장치
JP6205576B2 (ja) 除湿装置
JPWO2020039513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6337272B2 (ja) 除湿装置
KR101483195B1 (ko) 냉각탑
KR101483200B1 (ko) 냉각탑
JP6646805B2 (ja) 除湿装置
KR20160108853A (ko)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JP2010281548A (ja) 空気調和機
CN107435228A (zh) 干衣机
KR101492456B1 (ko) 백연경감용 회전식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KR20160133733A (ko) 백연 저감 냉각탑
JP2007127374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1645960B1 (ko) 냉각탑 및 냉각 시스템
JP6349550B2 (ja) 除湿装置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1862556B1 (ko)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7509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CN104930596B (zh) 除湿装置
KR101815878B1 (ko) 백연 저감 기능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JP2002031425A (ja) 空冷吸収式冷凍装置
KR200315236Y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7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28

Effective date: 2017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