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716A - 인덱스매칭 필름 - Google Patents

인덱스매칭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716A
KR20160108716A KR1020150031149A KR20150031149A KR20160108716A KR 20160108716 A KR20160108716 A KR 20160108716A KR 1020150031149 A KR1020150031149 A KR 1020150031149A KR 20150031149 A KR20150031149 A KR 20150031149A KR 20160108716 A KR20160108716 A KR 20160108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dex matching
matching film
coating layer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916B1 (ko
Inventor
공진연
홍주희
조홍관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03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9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5/00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e.g. polystyrene

Abstract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1㎛ 내지 20㎛의 평균 직경을 갖는 소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덱스매칭 필름{AN INDEX MATCHING FILM}
인덱스매칭 필름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차량용 네비게이션, 현금 인출기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정보를 입력, 조작,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투명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고, 통상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TO) 필름 등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ITO 필름을 대체하여 도전성 필름의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소재로서, 은나노 와이어, 그래핀(grapheme), 탄소나노튜브(CNT), 구리나노와이어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은나노 와이어 등에 의해 형성된 전극 패턴은 너비나 폭이 상대적으로 크고, 그에 따라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전극의 패턴이 육안으로 보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방해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게다가, 통상 도전성 필름은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또는 복수 장의 필름이 적층되어 유통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유통 과정에서 투명 도전성 필름이 서로 달라붙게 되어, 이를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적용하기 위해 펼치는 경우 투명 도전성 필름의 성능이 손상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수한 시인성 및 우수한 블로킹방지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약 1㎛ 내지 약 20㎛의 평균 직경을 갖는 소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상기 소광성 입자를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가 이산화규소; 왁스;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두께가 약 1㎛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이 상기 소광성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평균 높이가 약 5nm 내지 약 100nm일 수 있다.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은 광투과율이 약 85% 내지 약 9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은 헤이즈가 약 0.1%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용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거나, 또는 열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 carbonate), PMMA(Polymethylmet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ES(Polyethersulfone),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은 우수한 시인성 및 우수한 블로킹방지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덱스매칭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덱스매칭 필름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은 평균 직경이 약 1㎛ 내지 약 20㎛인 소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광성 입자의 평균 직경은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최근 ITO 필름을 대체하여 도전성 필름의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소재로서, 은나노 와이어, 그래핀(grapheme), 탄소나노튜브(CNT), 구리나노와이어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은나노 와이어 등에 의해 형성된 전극 패턴은 너비나 폭이 상대적으로 크고, 그에 따라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전극의 패턴이 육안으로 보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방해하여 시인성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게다가, 투명 도전성 필름은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또는 복수 장의 필름이 적층되어 유통되고 있는데 그로 인해 투명 도전성 필름이 서로 달라붙게 되고 이를 터치 스크린 패널 등에 적용하기 위해 펼치거나 서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투명 도전성 필름의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은 평균 직경이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20㎛인 소광성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광학 물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전극 패턴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소광성 입자에 의해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또는 복수 장의 필름이 적층될 때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부착 정도를 약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를 펼치거나 서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우수한 블로킹방지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광성 입자의 평균 직경이 약 1㎛ 미만인 경우 전극 패턴을 충분히 가리지 못하여 소비자에게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고 또한 블로킹방지성이 낮아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을 펼치거나, 떼어내는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 20㎛ 초과인 경우 헤이즈가 너무 증가하여 인덱스매칭성, 즉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소광성(消光性) 입자란 예를 들어, 코팅층의 표면에 돌출부 및 이들이 모여 형성된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여러 방향으로 굴절시켜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반사광을 감소시키는 성능을 발휘하는 입자상의 화합물을 의미하고, 복수 개의 미립자가 서로 뭉쳐서 형성된 하나의 클러스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가 실리카 입자; 왁스;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예를 들어, 멜라민계 왁스, (메타)아크릴계 왁스, 아크릴-스티렌계 공중합체 왁스, 폴리카보네이트계 왁스,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스티렌계 왁스 및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는 예를 들어, 모노아조계 안료(monoazo based pigment), 디아조계 안료(diazo based pigment),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페릴렌계, 니트로소계 안료(nitroso based pigment), 카르바졸 디옥산진계 안료(carbazole dioxazine based pigment), 카본 블랙(carbon black), 그래핀, 카본나노튜브(CNT), 이산화티탄 등일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아크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은 아크릴계 화합물; 및 평균 직경이 약 1㎛ 내지 약 100㎛인 소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클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상기 소광성 입자를 예를 들어,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광투과율 및 헤이즈를 적절히 조절하여 시인성을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 상에 돌출부를 적절히 형성하여 롤 형태로 권취하거나 복수 장을 적층하는 경우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블로킹방지성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이 상기 소광성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이 롤 상태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블로킹방지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평균 높이가 약 5nm 내지 약 100nm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높이를 가짐으로써 충분한 블로킹방지성을 구현하면서도 표면 헤이즈 값을 증가시키지 않고 적절한 수준으로 형성하여 우수한 광학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평균 높이란 상기 돌출부들의 높이를 평균한 값을 의미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된 지점에서 상기 하부면에 그은 수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용제; 기타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예를 들어,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 또는 상기 열개시제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광개시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 사이클로 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 벤조페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두께가 약 1㎛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외부의 자극, 스트레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용 조성물을 광경화 또는 열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고, 특별한 제한 없이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용 조성물은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용제; 기타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 상기 열개시제, 상기 용제 및 상기 기타 첨가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표면 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평균 직경이 약 1nm 내지 약 50nm인 실리카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우수한 표면 경도를 구현하면서도 헤이즈 값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 경도가 연필 경도 약 H 내지 약 4H일 수 있고, 상기 표면 경도는 ISO 15184의 조건에 따라 측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표면 경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표면 경도를 구현함과 동시에 롤 형태로 권취하거나 구부리는 경우 우수한 표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 경도가 약 4H 초과인 경우 롤 형태로 권취하거나 구부리게 되면,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성능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기재층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 carbonate), PMMA(Polymethylmet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ES(Polyethersulfone),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약 15㎛ 내지 약 30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은 광투과율이 약 85% 내지 약 95%일 수 있고, 상기 광투과율은 ISO14782의 조건에 따라 측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광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시인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광학 특성을 높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하부에 존재하는 ITO(Indium-Tin-Oxide, ITO) 전극을 은나노 와이어(Al-doped ZnO, AZO), 그래핀(grapheme), 탄소나노튜브(CNT), 구리나노와이어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전극 패턴이 비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은 헤이즈가 약 0.1% 내지 약 5.0%일 수 있고, 상기 헤이즈는 ISO 13468의 조건에 따라 측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헤이즈 값을 가짐으로써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시인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광학 특성을 높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의 하부에 존재하는 ITO(Indium-Tin-Oxide, ITO) 전극을 은나노 와이어(Al-doped ZnO, AZO), 그래핀(grapheme), 탄소나노튜브(CNT), 구리나노와이어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전극 패턴이 비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100㎛ 두께의 PET 필름의 일면에, 아크릴계 화합물, 평균 직경이 10~15nm인 실리카 입자(ranco社, optisol),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경화시켜 두께 8㎛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PET 필름의 다른 일면에는, 아크릴계 화합물, 평균 직경이 10㎛인 소광성 입자,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경화시켜 두께 2㎛의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 기재층 및 하드코팅층;이 적층된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광성 입자는 이산화규소 재질로 형성된 입자(evonik 社, Aerosil) 및 메타아크릴계 폴리머 계열(PMMA 폴리머 계열)의 왁스 재질로 형성된 입자 (BYK社, Ceraflour)를 포함하고,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는 평균 높이가 15nm이었다.
비교예 1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에 포함된 소광성 입자의 평균이 미만인 경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에 함유된 소광성 입자의 평균 직경이 0.8㎛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는 평균 높이가 4nm이었다.
비교예 2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에 포함된 소광성 입자의 평균이 초과인 경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에 함유된 소광성 입자의 평균 직경이 2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인덱스매칭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는 평균 높이가 500nm이었다.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인덱스매칭 필름에 대한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광 투과도)
측정 방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인덱스매칭 필름에 대하여 (ASTM D1003)에 따른 측정 방법에 의해 Haze meter (Nippon Denshoku, NDH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헤이즈)
측정 방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인덱스매칭 필름에 대하여 (ASTM D1003)에 따른 측정 방법에 의해 Haze meter (Nippon Denshoku, NDH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경도)
측정 방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인덱스매칭 필름의 하드코팅층에 대하여 ISO 15184에 따라, 미츠비시(Mitsubishi) 연필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Mitsubishi 6B~9H (17개), 750g 하중 기준.
(블로킹 방지성)
측정 방법: 상기 인덱스매칭 필름을 롤 상태로 권취하고, 48시간 동안 60℃에서, 방치한 후 다시 풀었을 때 하드코팅층 및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용이하게 떨어져 인덱스매칭 필름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표면 외관이 그대로 유지되어 블로킹 방지성이 우수한 경우를 “○”로 표시하고, 하드코팅층 및 블로킹층이 잘 떨어지지 않아 인덱스매칭 필름의 성능이 저하되고, 표면 외관이 손상되어 블로킹 방지성이 열등한 경우를 “Ⅹ”로 표시하였다.
광투과율(%) 헤이즈(%) 표면 경도 블로킹 방지성
실시예 1 90.88 4 3H
비교예 1 91.21 3 3H
비교예 2 87.25 35 3H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덱스매칭 필름은 광투과율이 우수하면서도 헤이즈가 적절하여 소비자에게 전극 패턴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인덱스매칭성, 시인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이와 동시에 블로킹 방지성이 우수하여 유통 과정을 겪은 이후에도 인덱스매칭 필름의 물성이 균일하게 구현될 것을 명확히 예측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에 따른 인덱스매칭 필름은 헤이즈가 적절하였으나, 블로킹 방지성이 현저히 낮아 유통 과정을 거쳐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표면이 손상되어 물성이 저하될 것을 명확히 예상할 수 있었고, 게다가 비교예 2에 따른 인덱스매칭 필름의 경우 헤이즈가 지나치게 높아 광학물성이 열등하고 인덱스매칭성, 시인성이 오히려 현저히 저하될 것을 명확히 예상할 수 있다.
100: 인덱스매칭 필름
110: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
120: 기재층
130: 하드코팅층

Claims (12)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 적층된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1㎛ 내지 20㎛의 평균 직경을 갖는 소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상기 소광성 입자를 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성 입자가 이산화규소; 왁스;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두께가 1㎛ 내지 20㎛인
    인덱스매칭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의 하부면이 상기 소광성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평균 높이가 5nm 내지 100nm인
    인덱스매칭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광투과율이 85% 내지 95%인
    인덱스매칭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0.1% 내지 5.0%인
    인덱스매칭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성 입자 함유 코팅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용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거나, 또는 열경화시켜 형성한
    인덱스매칭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 carbonate), PMMA(Polymethylmet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ES(Polyethersulfone),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덱스매칭 필름.

KR1020150031149A 2015-03-05 2015-03-05 인덱스매칭 필름 KR10198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149A KR101989916B1 (ko) 2015-03-05 2015-03-05 인덱스매칭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149A KR101989916B1 (ko) 2015-03-05 2015-03-05 인덱스매칭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716A true KR20160108716A (ko) 2016-09-20
KR101989916B1 KR101989916B1 (ko) 2019-06-18

Family

ID=5710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149A KR101989916B1 (ko) 2015-03-05 2015-03-05 인덱스매칭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88B1 (ko) * 2016-11-30 2018-06-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190A (ko) * 2005-03-23 2007-11-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메트)아크릴 기 함유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우레탄 첨가제및 하드코트
KR20100007500A (ko) * 2008-07-14 2010-01-22 주식회사 옴니켐 눈부심방지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190A (ko) * 2005-03-23 2007-11-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메트)아크릴 기 함유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우레탄 첨가제및 하드코트
KR20100007500A (ko) * 2008-07-14 2010-01-22 주식회사 옴니켐 눈부심방지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88B1 (ko) * 2016-11-30 2018-06-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916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0642B (zh) 導電膜組成物、使用該導電膜組成物製造之導電膜以及包含該膜之光學顯示裝置
KR101555411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그 용도
CN104571689B (zh) 中间基材膜和触控面板传感器
JP7006720B2 (ja) 光学積層体、画像表示装置又は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TWI556269B (zh) 透明導體、製備其的方法以及包括其的光學顯示器
CN107151471B (zh) 硬质涂膜及使用该硬质涂膜的图像显示装置
TW201100872A (en)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device
TW201829567A (zh) 硬塗膜及使用該硬塗膜之包括觸控感測器之可撓性顯示窗
TWI614660B (zh) 透明導電性薄膜及具有其之觸控面板以及顯示裝置
JP6445691B2 (ja) 光学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光学フィルム
KR20170043301A (ko)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11760898B2 (en) Hard coating film and window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US20190337273A1 (en) Transparent stack structure
KR20130056831A (ko)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20170129146A (ko) 반사 방지 필름, 해당 반사 방지 필름을 사용한 표시 장치, 및 반사 방지 필름의 선택 방법
CN104656974B (zh) 导电性膜、硬涂膜和触控面板传感器
KR101989916B1 (ko) 인덱스매칭 필름
KR20150024184A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 장치
JP6405883B2 (ja) 積層体、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08233371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20240011799A (ko) 하드 코트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629941B1 (ko) 터치 패널
TWI796288B (zh) 硬質塗膜及使用該硬質塗膜之影像顯示裝置
KR101942778B1 (ko)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2647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