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513A -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유니트 및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유니트 및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513A
KR20160108513A KR1020167022229A KR20167022229A KR20160108513A KR 20160108513 A KR20160108513 A KR 20160108513A KR 1020167022229 A KR1020167022229 A KR 1020167022229A KR 20167022229 A KR20167022229 A KR 20167022229A KR 20160108513 A KR20160108513 A KR 2016010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uri
air
nozzles
cluster
mix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팍 파화
바룬 파화
마이자 비르타
크리샨 쿠마르
Original Assignee
데시칸트 로터즈 인터내셔널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시칸트 로터즈 인터내셔널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시칸트 로터즈 인터내셔널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IN2015/00002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07550A2/en
Publication of KR2016010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1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in which secondary air is induced by injector action of the primar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2Induction nozzles without swir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들이 클러스터 구조의 형태로 마련되고 1차 기류가 2차 기류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급기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3개 이상의 노즐로 된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클러스터는 임의의 공기유도의 패턴에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유니트 및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제공하는 방법 {INDUCTION SUPPLY AIR TERMINAL UNIT WITH INCREASED AIR INDUCTION RATIO, METHOD OF PROVIDING INCREASED AIR INDUCTION RATIO}
본 발명은, 증가된 공기 유도율로 1차 기류가 2차 기류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급기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유도 급기 단말장치는 1차 급기실, 혼합실 및 적어도 한 개의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1차 급기실로부터의 1차 공기는 하나 이상의 노즐을 거쳐 혼합실로 급기된다. 2차 공기는, 그 2차 공기가 가열 또는 냉각되는 열교환기를 통하여 혼합실로 도입된다. 1차 급기는 2차 공기를 유도하고 이들 양자는 혼합실에서 혼합된다. 이 혼합된 공기는 공기조화된 (air-conditioned) 실내공간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은 장비의 용량과 타협하지 않고, 또는 에너지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또는 외부장치(1차 기류)의 요구 없이 1차 공기와 2차 공기 사이의 공기 유도율이 증가되는 유도 급기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실내공간에서의 공기 취급 솔루션은 종종 냉각, 또는 가열 또는 칠드빔 (chilled beam)을 통한 급기를 포함한다. 그러한 칠드빔에 있어서는, 급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일정량의 실내 공기가 유도 효과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 코일을 거침으로써 가열 또는 냉각되어 혼합실로 흡인되고, 급기와 혼합되어 실내를 재순환하게 된다.
칠드빔은 냉방, 난방 또는 환기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기 처리 시스템의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바와 같이, 냉각빔 또는 가열빔 또는 칠드빔은 전체 냉방 또는 난방부하를 처리하는 공기취급 유니트를 필요로 하기보다는 칠드빔에 냉수 또는 열수를 공급하는 것과 같은 상이한 모드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용량이 충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정된 체적을 가진 공간에 대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칠드빔은 채택되는 대류 과정의 성격에 따라서 수동형 또는 능동형으로 될 수 있다. 수동형 칠드빔은 공기 처리장치가 천정에 수납되거나 매달려 있는 상자 내에 마련되는 자연 대류과정을 채택한다. 능동형 칠드빔에 있어서는, 공기의 자연 대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작은 공기노즐을 통해 통풍실 (plenum) 또는 급기실이라고도 불리우는 가압실 내로 환기용 공기가 도입된다.
어떤 칠드빔 시스템에서건 중요한 고려사항은 실내 공기의 습도함량이 반드시 이슬점 조건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칠드빔 또는 물 파이프 표면 내에서의 응축을 피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이슬점 조건은, 전형적으로 칠드빔의 표면에서의 가장 차가운 온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내부의 잠재적인 부하는, 1차 공기가 충분히 건조하고 또한 높은 체적으로 존재할 때에만 환기를 통하여 제거된다. 전통적인 제습기술은 습기의 제거가 이들 기술에 있어서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원하는 레벨로 실내공기의 습도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규정된 최소로 요구되는 환기율을 필요로 하였다. 공기 취급 유니트 내에서의 제습 기술의 개선점은 공기의 더 많은 제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였으며, 그에 의하여 최소 요구 환기율을 더욱 더 낮추거나 또는 암호 또는 설계에 의하여 강제될 수 있다.
능동형 칠드빔의 냉각용량은 열교환기를 통하여 순환하는 실내 공기 (2차 공기)의 양에 근거한다. 이러한 2차 공기 체적은 노즐의 유도율 및 1차 공기 체적에 의존한다. 1차 공기의 체적이 감소될 수 있을 때, 2차 공기의 체적 및, 냉각 용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도율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하의 테이블은 공기 유도율을 증가함에 있어서의 몇몇 시험/문제점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1
가장 낮은 1차 기류의 양으로 가장 높은 유도를 하는 것이 HVAC-시스템 에너지 이용의 관점에서 이익이다. 유도율은 가장 낮은 1차 유량 및 가장 짧은 유도길이에서 가장 높아야 한다.
현재의 제품들에 있어서, 유도율은 노즐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더 작은 노즐들은,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노즐들의 동일한 전체 면적과 비교할 때 더 긴 둘레길이 때문에 각각 더 높은 유도율을 가진다. 노즐이 커질 때, 배출 슬롯의 에어제트(airjet)의 지름도 커지고, 따라서 노즐들 사이의 최소 간격 또한 증가한다. 이는, 빔의 직선 길이당 노즐의 수를 제한한다. 작은 노즐을 가질 때, 최대의 1차 공기 체적은 가압실 압력에 근거하여 제한된다. 유도율을 증가시키려는 다른 개념은, 동일한 정면 면적으로 노즐의 둘레길이가 더 길게 되도록 노즐의 형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노즐을 원형으로 하는 대신 꽃모양과 같이 노즐의 형상을 만듦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세번째 방법은 혼합실 내에 벤츄리 (venturi)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2
이상과 같이, 여러 개의 방법들이 공기 유도율을 제고 또는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이들 솔루션 중의 몇몇은 급기의 통과를 유도하는 노즐 또는 구멍들을 변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 기술분야에 마련된 이들 솔루션들은, 1차 공기가 통과하고 나오는 노즐 또는 구멍들의 설계에 있어서의 변형을 포함하고, 이들 구멍들 뒤의 기류는 실내공기의 재순환에 대한 조건을 만들어서 혼합영역으로 이르게 하고, 여기에서 두 개의 기류가 실내로 흘러들어가기 전에 하나로 된다. 압력실로부터 나오는 기류는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구멍 또는 노즐의 수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의 장치는 통상 여러 개의 노즐을 가져서 2차 기류를 유도한다. 이들 노즐들은 구멍, 슬롯, 천공된 칼라 (collars), 원추형이거나 기타 어떠한 형상일 수 있다. 다중 노즐의 경우에, 이들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연장된 열(列)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 작은 노즐들은 더 큰 유도율을 가지지만, 어떠한 주어진 정상 실압(室壓)에서 더 적은 1차 기류의 유량을 가지게 된다. 노즐들의 크기는 어떠한 주어진 1차 공기 실압에서 요구되는 1차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유도 급기 단말장치는 다양한 1차 기류의 유량에서 사용되며, 따라서 임의의 급기 유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장치라도 조정가능한 정면 면적을 가지는 노즐, 또는 더 크거나 및/또는 더 작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솔루션에 대한 공통점은, 원하는 1차 기류의 유량 및 냉각/가열 용량에 맞추도록 1차 및 2차 공기 사이의 비율이 제어된다는 점이다. 공지의 솔루션의 예로서는, WO 98/09115 호에 개시되며, 여기에서는 유도급기 단말장치가 다수 개의 노즐 또는 배출 개구가 존재하는 1차 공기실을 포함한다.
배출 구멍들(여기에서는 노즐)을 특징으로 하는 EP 1 188992 A2 는 상이한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도출되는 2개의 그룹(7,8)을 포함한다. 이는, 상호 동일한 간격을 두고 임의의 급기 유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조절 가능한 영역을 가지는 2개의 연장된 슬롯(13,16)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크기의 배출구멍을 특징으로 하는 WO 2011/040853 A1 은 상이한 그룹을 포함한다.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 각 그룹은 단 한 개의 능동적인 배출구멍만을 가지며, 여기에서 각 그룹 내의 능동적인 배출구멍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인접한 그룹 내의 능동적 구멍으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는 1차 기류의 유량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WO 96/28697 및 EP 0 813 672 B1 은 가리비 형상의 출구 가장자리를 가지는 노즐을 기술한다. 이는 노즐로부터의 잡음의 출력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며 1차 기류 및 2차 기류의 혼합을 개선함으로써 1차 기류가 2차 기류를 유도할 수 있는 비율을 증가시킨다. 이 예에 있어서, 바람직한 노즐 형상은 단면적 대(對) 둘레의 비율이 동일한 면적의 원에 대한 단면적 대 둘레의 비율과 같거나 또는 1.3배 큰 것이다.
더 작은 노즐들은 더 큰 유도율을 가지지만, 더 작은 정면 면적은 더 큰 노즐들과 같은 정도의 많은 1차공기를 공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유도되는 2차 기류의 유량은 더 적게 된다. 노즐 사이의 간격(d)을 에어 제트의 직경(h)보다 더 작은 값으로 감소시키면, 감소된 유도길이(l)를 초래하게 되며 따라서 2차 기류가 감소하게 된다.
더 높은 레벨의 2차 기류를 유도하는 다른 방법은 혼합실의 내부에 벤츄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벤츄리는 그의 목 (neck)의 크기가 에어제트의 지름의 크기와 같을 때 2차 기류를 증가시킨다. 또한 에어제트의 중앙선 (central line)의 속도가 더 높으면, 벤츄리의 효과가 더 나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류의 유량이 적을 때, 벤츄리의 최적 위치는 기류의 유량이 더 많을 때보다 노즐에 더 가깝게 있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요구에 근거하여, 이러한 유도 급기 단말장치는 상이한 기류의 유량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정가능한 벤츄리 위치를 가지게 된다.
한 예로서, EP 0 813 672 B1 은 그의 길이를 따라서 가변적인 직경의 원형 단면적을 가지는 고정된 벤츄리를 포함하는 혼합실을 가진 유도 급기 단말장치를 개시한다.
최적의 벤츄리의 위치 및 직경은 1차 공기의 체적 및 노즐 크기에 의존한다. 상이한 조합은 벤츄리 목에서 상이한 제트 크기를 부여하게 된다. 만약 제트 지름에 비교하여 목의 지름이 지나치게 작거나 또는 지나치게 크거나, 또는 노즐로부터 최적이 아닌 거리에 위치하고 있게 되면, 고정된 벤츄리를 가지는 경우에서와 같이, 유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거나 심지어 감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첫번째로 가압화된 통풍실 (plenum)로부터 혼합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면 면적에 비하여 더 많은 둘레 면적을 가지는 많은 작은 노즐들 (클러스터: cluster)을 가짐으로써 노즐 근처에서의 유도를 증가시킨다. 두번째로, 조절가능한 벤츄리는 그 벤츄리의 목이 최적으로 위치하도록 허용하므로 배출개구 근방에서의 유도를 더 증가시킨다. 이러한 조합은 최고의 유도율을 부여하며, 따라서 낮은 1차 공기의 체적으로 원하는 직선 미터당 냉각 용량을 보여하는 능동형 칠드빔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제1 기류가 제2 기류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들이 클러스터 구조의 형태로 마련되고, 각각 3개 이상의 노즐로 된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클러스터들은 필요한 공기 유도의 패턴에 따라서 소정의 패턴에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정가능한 벤츄리를 구비한 유도 급기 단말 장치로서, 간격 및 목 크기의 양자가 1차 공기의 체적 및 노즐 정면 면적에 근거하여 조정될 수 있는 유도급기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제1 기류가 제2 기류를 유도하는데 사용되고, 노즐들은 각각 3개 이상의 노즐로 된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구조의 형태로 마련되며, 벤츄리 장치는 2차 공기의 유량을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유도 급기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벤츄리는 고정된 벤츄리이거나 조정가능한 벤츄리이다.
본 장치 및 발명의 최신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도급기 단말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다.
도 2는 상이한 노즐 간격을 가지는 경우로서 1차 기류 유량(4) 및 노즐(5) 크기와 형상이 모든 노즐에 있어서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서의 노즐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3은 노즐 (더 크고 더 작은 노즐)의 동작 원리 및, 무리를 이룬 노즐의 열, 이들의 유도율, 필요한 1차 기류의 유량 및 유도된 공기의 양을 나타낸다 (숫자들은 단순히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즉 복수 노즐 클러스터의 원리를 기술한다.
도 5는 복수 노즐 클러스터 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벤츄리를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벤츄리 목에서의 최적 속도(v)를 달성하기 위하여 1차 공기 체적(qv), 유도된 2차 공기 체적 및 노즐 정면 면적(A)에 근거한 조정가능한 벤츄리 목을 나타낸다.
도 8은 상이한 최적 형상 및 크기의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무리를 지어 벤츄리 목을 생성하는 조정가능한 벤츄리 구조를 나타낸다.
도 9a는 클러스터 노즐 구조만이 구비된 장치를 나타낸다.
도 9b는 고정된 벤츄리를 가지는 클러스터 노즐 구조의 조합이 마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c는 단일 노즐을 가진 조정가능한 벤츄리의 조합이 마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d는 조정가능한 벤츄리를 구비하는 클러스터 노즐 구조의 조합이 마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 구조는 하나의 연장된 열 내에 등간격으로 놓여지는 대신에 작은 노즐들의 클러스터 (cluster)를 포함한다. 클러스터들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수 노즐의 클러스터로부터의 에어제트는 길이(l1)의 다수 개의 에어제트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 복수의 에어제트들은 거리 l1 에서 단일의 에어제트로 수렴되어 길이(l2)의 단일 에어제트 영역으로 형성된다. 클러스터 내의 노즐 열들 사이의 간격(d1)은 노즐 클러스터 2개 사이의 간격(d2)보다 작다.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다수 노즐의 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 제트의 결과적인 유도율은, 함께 무리를 이룬 노즐들 전부와 동일한 정면 면적을 가지는 단일 노즐의 에어제트의 유도율과 비교할 때 더 크다.
클러스터는, 맞추어야 하는 필요한 정면 면적에 근거하여, 갯수가 3개로부터 시작하여 그 이상이 되는 노즐열을 가질 수 있다.
한 개의 클러스터 내의 복수 노즐 열의 정면 면적에 상당하는 정면 면적의 단일 노즐로부터의 1차 기류에 의하여 유도된 2차 기류는 복수 노즐의 하나의 클러스터로부터의 1차 기류의 동일 유량에 의하여 유도되는 2차 기류보다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은 1차 급기실(1)과, 공기조화된 실내공간 내로 개방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과, 적어도 한 개의 열교환기(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유도급기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로 1차 기류(4)를 공급하는 하나의 클러스터(5) 내에 복수개의 노즐의 열이 마련되어, 1차기류(4)가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된 2차 기류(6)를 유도하고 혼합실(2)로 안내하며, 혼합실(2) 내에서는 이 1차 기류(4) 및 2차 기류(6)가 혼합되고, 그에 의하여 혼합된 공기(7)는 유도율이 증가된 채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 내로 안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다수개의 노즐의 열은 3개 이상의 노즐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또는 가리비형 (scalloped)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금속시트 내의 개구 위로 고정된 원추형 노즐 또는 금속시트판 내의 구멍 또는 천공된 칼라 (colla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금속 (강철 또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의 클러스터로부터의 에어제트는 길이(l1)의 다수 개의 에어제트 영역을 형성하고 거리 l1 에서 하나의 에어제트로 수렴되어 길이(l2)의 단일 에어제트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의 열 사이의 간격(d1)은 어떠한 2개의 노즐 클러스터 사이의 간격(d2) 보다 작다.
공기 유도율이 조절가능한 벤츄리의 사용에 의하여 증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 노즐 또는 클러스터 내의 복수의 노즐들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과 관계없이, 벤츄리와 함께 조합되어 단일 노즐 또는 클러스터 내의 복수의 노즐과 함께 생성되는 에어제트의 결과적인 유도율이 노즐들만으로부터 야기되는 에어제트의 유도율과 비교할 때 더 크다.
도 6을 참조하면, 벤츄리(9)의 위치(x)는 벤츄리 목 내의 중앙선 속도(v) 및 에어제트의 지름(h)에 근거한다. 따라서, 노즐 내의 배출 속도(ve)가 낮아지면, 벤츄리의 목은 노즐 내에 더 높은 배출 속도(ve)일 때에 비교해서 노즐에 더 가깝게 있어야 한다. 이 배출 속도(ve)는 1차 기류 유량(4) 및 노즐의 정면 면적에 의존한다. 중앙선 속도(v)는 노즐 내의 배출 속도(ve) 및 2차 기류(6)에 의존한다. 동시에 벤츄리의 목 지름(y)은 동일한 위치(x)에서의 에어제트의 지름(h)과 동일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벤츄리(9)는 단독으로 또는 함께 벤츄리 목(9)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벤츄리(9a)의 중심부는 더 많은 혼합 기류(7)를 위한 기본적인 벤츄리 목(9)을 형성한다. 벤츄리(9)의 감소부(9b)는 최적으로 형성되어 이들 2개가 평행하게 설치될 때 벤츄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y4<y3), 목의 간격을 노즐(5)에 가깝게 이동한다 (x4<x3). 감소부(9b)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어서 중간 크기의 목 (y4<y5<y3)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혼합기류 제트(7)의 경로를 변경시킨다. 벤츄리의 중심부(9a) 및 감소부(9b)의 양자는 제거 및 재설치가 가능하다. 벤츄리의 중심부(9a) 및 감소부(9b)의 양자는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지거나, 속이 비거나 팽창되거나 또는 금속판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단독 노즐 또는 노즐 클러스터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벤츄리 장치의 사용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1차 급기실(1)과, 공기조화된 실내공간 내로 개방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과, 적어도 한 개의 열교환기(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고,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로 1차 기류(4)를 공급하는 하나의 클러스터(5) 내에 단독 또는 복수개의 노즐의 열이 마련되어, 1차기류(4)가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된 2차 기류(6)를 유도하고 혼합실(2)로 안내하며, 혼합실(2) 내에서는 이 1차 기류(4) 및 2차 기류(6)가 혼합되고, 그에 의하여 혼합된 공기(7)는 유도율이 증가된 채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 내로 안내되고, 조정가능한 벤츄리(9)가 마련되어 2차 기류의 유량(6)을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츄리(9)의 위치(x)는 벤츄리 목 내의 최적의 중앙선 속도(v)에 근거하며, 이는 1차 기류의 유량(4), 노즐의 정면 면적 및 2차 기류의 유량(6)에 근거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벤츄리의 목 지름(y)은 동일한 위치(x)에서의 에어 제트의 지름(h)과 동일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벤츄리(9)의 위치(x) 및/또는 벤츄리(9)의 목 지름(y)은 수작업으로 또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벤츄리(9)의 형상 및 방식은 변화될 수 있어서, 단단하거나, 팽창하거나, 또는 조정가능한 한쪽 끝단을 가지고 한 쪽 끝단은 고정된 굽은 금속/플라스틱 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공기 유도율에 있어서의 증가가 있음이 실험을 통하여 관찰되었다.
(a) 고정된 벤츄리를 가진 클러스터 노즐 구조
(b) 단일 노즐을 가진 조정가능한 벤츄리
(c) 노즐 클러스터를 가진 조정가능한 벤츄리
(d) 상기 조합들의 각각이 마련된 칠드빔
이 데이터는 다음의 테이블로 요약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Claims (31)

1차 급기실(1)과,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 내로 개방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과, 각각 상기 혼합실(2)과 접속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열교환기(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유도 급기 단말장치로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로 1차 기류(4)를 공급하여 2차 기류(6)가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고 혼합실(2)로 안내되도록 유도하는 클러스터(5) 형상으로 된, 1차 급기실(1)의 한쪽 표면에 다수 노즐의 열이 마련되며, 혼합실(2) 내에서는 이 1차 기류(4) 및 2차 기류(6)가 혼합되고, 그에 의하여 혼합된 공기(7)는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 내에 증가된 유도율로 안내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복수 개의 노즐열은 3개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및 가리비형의 노즐로부터 선택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금속시트 내의 구멍 또는 천공된 칼라 (collars)이거나 또는 금속시트내의 개구 상에 고정된 원추형 노즐을 포함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 노즐의 클러스터는 에어 제트를 통하여 길이(l1)인 복수의 에어 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영역은 길이 l1에서 단일 에어 제트로 수렴되어, 길이(l2)인 단일 에어 제트를 형성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클러스터 내의 노즐열 사이의 간격(d1)은 어떤 두 노즐 클러스터 사이의 간격(d2) 보다 작은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노즐 열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에어 제트 영역 내에 놓여지는 별도의 벤츄리 (venturi)가 부가적으로 마련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8 항에 있어서,
벤츄리는 고정된 벤츄리인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8 항에 있어서,
벤츄리는 조정가능한 벤츄리인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위치는 벤츄리 목 내의 최적의 중앙선 (central line) 속도의 함수이며, 그 속도는 1차 기류의 유량과, 노즐의 정면 면적 및 2차 기류에 의존적인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목 지름은 동일 위치에서의 에어제트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위치 및/또는 벤츄리의 목 지름은 수동으로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정가능한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는 단단하거나 또는 팽창가능한 벤츄리, 또는 한 쪽 끝단이 구부러진 금속/플라스틱 시트로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조정가능한 벤츄리로부터 선택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1차 급기실(1),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으로 개방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 적어도 한개의 열교환기(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유도 급기 단말장치로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로 1차 기류(4)를 공급하여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고 상기 혼합실(2)로 안내되도록 2차 기류(6)를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들이 상기 1차 급기실(1) 상에 마련되고, 혼합실(2) 내에서는 이 1차 기류(4) 및 2차 기류(6)가 혼합되고, 그에 의하여 혼합된 공기(7)는 증가된 유도율로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 내로 안내되며, 조정가능한 벤츄리(9)가 마련되어 2차 기류의 유량(6)을 증가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5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위치는 벤츄리 목 내의 최적의 중앙선 속도의 함수이며, 그 속도는 1차 기류의 유량과, 노즐의 정면 면적 및 2차 기류에 의존적인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목 지름은 동일 위치에서의 에어제트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위치 및/또는 벤츄리의 목 지름은 수동으로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정가능한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는 단단하거나 또는 팽창가능한 벤츄리, 또는 한 쪽 끝단이 구부러진 금속/플라스틱 시트로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조정가능한 벤츄리로부터 선택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들은 하나의 열 내의 노즐들의 클러스터로서 존재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1차 급기실(1),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으로 개방된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 적어도 한개의 열교환기(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으며, 적어도 한 개의 혼합실(2)로 1차 기류(4)를 공급하여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고 상기 혼합실(2)로 안내되도록 2차 기류(6)를 유도하도록, 클러스터(5)의 형상의 1차 급기실(1)의 한 쪽 표면상에 복수 노즐의 열이 마련되고, 혼합실(2) 내에서는 이 1차 기류(4) 및 2차 기류(6)가 혼합되고, 그에 의하여 혼합된 공기(7)는 공기조화된 실내공간(8) 내로 안내되며, 조정가능한 벤츄리(9)가 마련되어 2차 기류의 유량(6)을 증가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위치는 벤츄리 목 내의 최적의 중앙선 속도의 함수이며, 그 속도는 1차 기류의 유량과, 노즐의 정면 면적 및 2차 기류에 의존적인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목 지름은 동일 위치에서의 에어제트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의 위치 및/또는 벤츄리의 목 지름은 수동으로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정가능한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츄리는 단단하거나 또는 팽창가능한 벤츄리, 또는 한 쪽 끝단이 구부러진 금속/플라스틱 시트로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조정가능한 벤츄리로부터 선택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복수 개의 노즐의 열은 3개 이상의 수의 노즐들을 포함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및 가리비형의 노즐로부터 선택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금속시트 내의 구멍 또는 천공된 칼라이거나 또는 금속시트내의 개구 상에 고정된 원추형 노즐을 포함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스터 내의 노즐들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 노즐의 클러스터는 에어 제트를 통하여 길이(l1)인 복수의 에어 제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영역은 길이 l1에서 단일 에어 제트로 수렴되어, 길이(l2)인 단일 에어 제트를 형성하는 유도급기 단말장치.
제 21 항 내지 제 3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클러스터 내의 노즐열 사이의 간격(d1)은 어떤 두 노즐 클러스터 사이의 간격(d2) 보다 작은 유도급기 단말장치.
KR1020167022229A 2014-01-16 2015-01-15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유니트 및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제공하는 방법 KR20160108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25/DEL/2014 2014-01-16
IN126/DEL/2014 2014-01-16
IN14DE125 2014-01-16
IN14DE126 2014-01-16
PCT/IN2015/000021 WO2015107550A2 (en) 2014-01-16 2015-01-15 Induction supply air terminal unit with increased air induction ratio, method of providing increased air induction rat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513A true KR20160108513A (ko) 2016-09-19

Family

ID=5712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229A KR20160108513A (ko) 2014-01-16 2015-01-15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유니트 및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5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7124A (zh) * 2019-11-08 2020-03-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式冷梁装置及冷梁空调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00A (ja) * 1997-07-03 1999-01-26 Masuda Harmo:Kk 空気吹出口、及びこれを使用した空気循環装置
US6623353B1 (en) * 2002-05-07 2003-09-23 Air Handling Engineering Ltd. Venturi type air distribution system
EP2573475A2 (de) * 2011-09-21 2013-03-27 LTG Aktiengesellschaft Als Induktionsgerät ausgebildetes lufttechnisches Gerä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Gerä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00A (ja) * 1997-07-03 1999-01-26 Masuda Harmo:Kk 空気吹出口、及びこれを使用した空気循環装置
US6623353B1 (en) * 2002-05-07 2003-09-23 Air Handling Engineering Ltd. Venturi type air distribution system
EP2573475A2 (de) * 2011-09-21 2013-03-27 LTG Aktiengesellschaft Als Induktionsgerät ausgebildetes lufttechnisches Gerä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Gerä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7124A (zh) * 2019-11-08 2020-03-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式冷梁装置及冷梁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060B2 (en) Directional grate access floor panel
US9759444B2 (en) Arrangement for ventilating a room, in particular a laboratory room
SE0901265A1 (sv) Kylbaffel med VAV-funktion via reglerskena
US4271601A (en) Web dryer operating on the air float principle
JP5443825B2 (ja) エナメル線焼付装置
JP6903433B2 (ja) 空気誘導率の高い誘導供給空気ターミナルユニット、高い空気誘導率を提供する方法
KR20160108513A (ko)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가지는 유도급기 단말유니트 및 증가된 공기 유도율을 제공하는 방법
JP2008032261A (ja) 空調装置および通風ダクト
WO2008140312A2 (en) System for treating and distributing air in a greenhouse
JP2007017080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分岐ダクト
EP2169322B1 (en) Cross flow induction ceiling convector
US10458710B2 (en) Supply plenum for center-to-ends fiber oxidation oven
FI101826B (fi) Laitteisto tuloilman jakamiseksi ilmastoitaviin huonetiloihin
KR100214754B1 (ko) 송풍장치
JP4501397B2 (ja) 微細水滴発生装置
US20200208924A1 (en) Air condenser
CN111718109A (zh) 一种玻璃钢化炉分级静压风栅及玻璃钢化冷却方法
JPH04358501A (ja) 噴霧乾燥器用の空気流制御装置
JP3670825B2 (ja) 空調用吹出しグリル
EP3064851B1 (en) A system for supplying air to a room
CN108779924B (zh) 供应空气的装置
WO2018021968A1 (en) Outlet vent panel
KR200481973Y1 (ko) 소음저감 수단이 구비된 냉각탑
KR200422508Y1 (ko) 쾌적 냉난방을 위한 냉·온풍 온도 보정용 에어혼합유닛장치
HU185664B (hu) Befúvó szerkezet, valamint eljárás légtechnikai együttes terek kívánt paraméterekkel bíró légállapotának létrehozására és fenntartásá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