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462A - 단자 위치 보증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위치 보증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462A
KR20160108462A KR1020167021916A KR20167021916A KR20160108462A KR 20160108462 A KR20160108462 A KR 20160108462A KR 1020167021916 A KR1020167021916 A KR 1020167021916A KR 20167021916 A KR20167021916 A KR 20167021916A KR 20160108462 A KR20160108462 A KR 2016010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uffer
housing
terminals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757B1 (ko
Inventor
커트 알란 랜돌프
제프리 리차드 루스
리차드 벤자민 예멘이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0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Abstract

전기 커넥터(102)는, 하우징(108), 단자들(204), 및 스터퍼(202)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후면(112)으로부터 전면(110)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228)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전면은 정합 커넥터(104)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단자들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탑재되고, 정합 단부(210)와 종단 단부(212) 사이에서 단자 축(208)을 따라 연장된다. 종단 단부는 단자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226)을 포함한다. 스터퍼는,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고,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이(274)를 포함한다. 하나의 단자가 단자 채널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이들이, 그 하나의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탭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하고, 그 단자를 단자 채널 내로 더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단자 위치 보증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본원 내용은 일반적으로 단자 위치 보증 장치(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전기 커넥터들은 멀티핀 접속용으로 설계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들은, 와이어에 종단되거나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정합 커넥터들에 정합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핀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단자들을 와이어들에 결합한 후 단자들을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탑재함으로써 조립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사용 동안 단자가 캐비티로부터 우연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자가 캐비티의 길이 내의 지정된 위치에 일단 도달하면 체결되는 캐비티 내에는 및/또는 단자 상에는 보유지지(retention) 특징부가 존재한다. 때때로, 보유지지 특징부는, 보유지지 특징부가 고장난 것처럼 또는 보유지지 특징부와 적절히 체결하도록 단자가 캐비티 내로 충분히 삽입되지 않은 것처럼, 단자가 캐비티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전기 커넥터가 정합 커넥터에 정합되는 경우, 단자가 캐비티 내에서 적절히 보유지지되지 않으면, 대응하는 정합 접촉부가 대상 단자에 적절히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입되는 정합 접촉부는,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지게 하여 단자와 정합 접촉부 간의 적절한 전기적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각 하우징은 20개 이상의 단자를 유지할 수 있고, 심지어 누락된 단일 전기적 접속이라도, 커넥터 시스템 및 접속되는 장치 모두의 기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당업계의 전기 커넥터들은, 억제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단자들이 캐비티들 내에서 의도치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위치에 있지 않는 임의의 단자들을 지정된 위치를 향하여 각 캐비티들 내로 더 밀도록 및/또는 장벽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하우징의 후면에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단자들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절연 와이어들에 종단될 수 있어서, 특히 단자들이 다수의 열 및/또는 행으로 그룹화되는 경우 (예를 들어, 단자들의 후방 이동을 차단하도록 및/또는 밀도록) 단자들에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억제 장치는, 과밀한 절연 와이어들 때문에 단자들의 인접하는 행들 사이에 설치되지 못할 수도 있다. 게다가, 억제 장치가 설치되더라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단자의 임의의 특징부와 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연 와이어는, 장치가 와이어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 체결되어야 하는 단자의 소정의 부분을 지나 미끄러질 수 있도록 단자의 일부 부분들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단자 유형들(예를 들어, 핀 또는 소켓), 크기, 및 배향은, 캐비티 내에 단자를 보유지지하고 및/또는 밀도록 억제 장치가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부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억제 장치는, 리셉터클 단자의 루프와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지만, 그 루프를 통과하여 핀 단자와 또는 심지어 거꾸로 배향된 동일한 리셉터클 단자와 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정합 커넥터와의 성공적인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단자들이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들 내에 완전하게 설치되는 것을 보증하는 전기 커넥터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들, 및 스터퍼(stuffer)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전면은 정합 커넥터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단자들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탑재된다. 단자들은 정합 단부와 종단 단부 사이에서 단자 축을 따라 연장된다. 종단 단부는 단자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한다. 스터퍼는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된다. 스터퍼는,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이(teeth)를 포함한다. 단자들 중 하나의 단자가 단자 채널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이들이, 그 하나의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탭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하고, 그 단자를 단자 채널 내로 더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들, 및 스터퍼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전면은 정합 커넥터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단자들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탑재된다. 단자들은 정합 단부와 종단 단부 사이에서 단자 축을 따라 연장된다. 종단 단부는, 케이블의 단부에 종단되는 절연 크림프 배럴(insulation crimp barrel)을 포함한다. 절연 크림프 배럴은 단자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갖는다. 스터퍼는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된다. 스터퍼는, 케이블과 단자 채널의 내벽 사이에서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이를 포함한다. 단자들 중 하나의 단자가 단자 채널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이가, 절연 크림프 배럴 상의 그 적어도 하나의 탭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하고, 그 단자를 단자 채널 내로 더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들, 및 두 개의 스터퍼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전면은 정합 커넥터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단자 채널들은, 하우징의 최상부에 근접해 있는 제1 행 및 하우징의 최하부에 근접해 있는 제2 행에서 정렬된다. 단자들은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탑재된다. 단자들은 정합 단부와 종단 단부 사이에서 단자 축을 따라 연장된다. 단자들의 종단 단부들은 대응하는 케이블들의 단부들에 종단된다. 각 종단 단부는 단자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한다. 제1 스터퍼는, 제1 행에 있는 대응하는 단자들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들 위에서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된다. 제2 스터퍼는, 제2 행에 있는 대응하는 단자들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들 아래에서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된다. 제1 스터퍼는 단자들 뒤의 제1 행의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이를 포함한다. 제2 스터퍼는 단자들 뒤의 제2 행의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이를 포함한다. 단자들 중 하나의 단자가 단자 채널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경우, 제1 스터퍼 또는 제2 스터퍼의 대응하는 이가, 그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탭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하고, 그 단자를 단자 채널 내로 더 이동시킨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전기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전기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전기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본원에서 설명하는 본원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커넥터 하우징 내의 정확한 단자 위치를 보증하는 개선된 특징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은 정합 커넥터(10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102)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2)는 정합 축(106)을 따라 정합 커넥터(104)와 정합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102)는, 와이어 간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도록 정합 커넥터(104)가 플러그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전기 커넥터(102)가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고, 정합 커넥터(104)가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대체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102) 또는 정합 커넥터(104)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의 기판에 장착되는 헤더 커넥터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2)는 전면(110)과 후면(112)이 있는 하우징(108)을 구비한다. 하우징(108)의 전면(110)은 정합 커넥터(104)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8)은, 정합 커넥터(104)의 대응하는 개구들(116) 내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8)은, 또한, 하우징(108)을 정합 커넥터(104)에 결합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 특징부들(1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특징부들(118)은 하나 이상의 래치, 래치 수용 홈 또는 연장부, 볼트,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2)의 하우징(108)은 복수의 전도체(120)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8)은, 2개 내지 24개의 전도체(1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8)은, 예시한 실시예에서, 16개의 전도체들(120)을 포함한다. 전도체들(120)은, 정합 커넥터(104)의 대응하는 정합 전도체들(122)에 물리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면(110)에서의 하우징(108)은, 전도체들(120, 122)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110)은, 정합 전도체들(122)을 하우징(108) 내로 유도하는 챔퍼형 리드인(chamfered lead-in) 채널들(도시하지 않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들(120)은 하우징(108)의 후면(112)으로부터 전기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도체들(120)은 와이어 하니스에서 함께 묶어질 수 있다. 정합 전도체들(122)도 전기 부품을 향하여 연장되며, 복수의 전도체(120, 122)는, 적어도 두 개의 전기 부품들 간에 전력,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2)의 단일 전도체(120)가 정합 커넥터(104)의 대응하는 정합 전도체(122)와 정확하게 체결하지 못하면, 그러한 두 개의 전도체들(120, 122) 간의 신호 경로가 손상될 수 있다. 게다가, 파손된 신호 경로는, 커넥터들(102, 104)의 서로 다른 각 전도체들(120, 122)을 따른 다른 신호 경로들을 방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전체 커넥터 시스템(100)의 활용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전기 커넥터(102)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102)는, 하우징(108), 전도체들(120) 중 하나 이상의 전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터퍼(202)를 포함한다. 전도체(120)는 케이블(206)에 종단되는 단자(20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04)는 정합 단부(210)와 종단 단부(212) 사이에서 단자 축(208)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단자(204)는, 금속(예를 들어, 구리, 은, 알루미늄 등), 흑연, 도전성 폴리머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자(204)는, 프레스 또는 유사한 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의 얇은 시트를 스탬핑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정합 단부(210)는, 정합 전도체(122)(도 2에 도시함) 정합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정합 단부(210)는, 정합 접촉부의 소켓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핀(214)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정합 단부(210)는 정합 접촉부의 핀을 수용하는 소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는 케이블(206)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종단 단부(212)는, 크림핑, 솔더링, 절연 변위 등에 의해 케이블(206)의 단부(216)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206)은 절연 재킷(220) 내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218)일 수 있다. 단자(204)처럼, 와이어(들)(218)도 구리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재킷(220)은, 고무, 플라스틱,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비도전성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는 케이블(206)의 단부(216)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종단 단부(212)는, 절연 재킷(220)으로부터 나오는 단부(216)에서 재킷(220)에 크림핑되는 절연 크림프 배럴(222) 및 와이어(들)(218)의 일부에 크림핑되는 와이어 크림프 배럴(224)을 포함한다. 절연 크림프 배럴(222)은 케이블(206)의 재킷(220)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들)(218)를 와이어 크림프 배럴(224)에 크림핑함으로써, 단자(204)를 케이블(20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절연 크림프 배럴(222)을 재킷(220) 주위로 크림핑함으로써, 단자(204)를 케이블(206)에 물리적으로 결합하며, 이때, 단자(204)와 케이블(206) 간의 푸시풀 힘은, 와이어 크림프 배럴(224)의 와이어(들)(218) 상의 응력을 완화하도록 절연 크림프 배럴(222)에 의해 흡수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는, 단자 축(208)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226)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탭(226)은 단자(204)에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204)가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탭(226)은 단자 축(208)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종단 단부(212)는, 주위에, 구체적으로, 종단 단부(212)의 경계 주위에 분산된 다수의 탭(226)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탭들(226)은 경계를 따라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종단 단부(212)는, 종단 단부(212)에서 절연 크림프 배럴(222)의 원주 주위로 균등하게 분산된 네 개의 탭(226)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종단 단부(212)는 네 개보다 많거나 적은 탭(226)을 가질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종단 단부(212)는, 전체 경계 주위와 같이 적어도 종단 단부(212)의 경계의 대부분의 주위로 연장되는 단일 탭(226)만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탭(226)은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의 최후방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탭은, 종단 단부(212)의 최후방 부분인 절연 크림프 배럴(2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8)은, 단자들(204)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단자 채널(228)을 포함한다. 단자 채널들(228)은 하우징(108)의 후면(112)으로부터 전면(110)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자 채널들(228)은, 단자 채널 축(230)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하우징(108)의 후면(112)과 전면(110) 사이에 배향될 수 있다. 인접하는 단자 채널들(228)은 리브들(ribs; 232)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채널들(228) 내에서, 리브들(232)은 내벽들(234)을 정의한다. 단자 채널들(228)은 행 및/또는 열로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108)은, 전면(110)과 후면(1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최상부(236), 최하부(238), 제1 측면(240), 및 (예를 들어, 제1 측면(240)의 반대측일 수 있는) 제2 측면(242)을 갖는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측면(240, 242)은 제1 및 제2 레지(244, 246)를 각각 포함한다. 레지들(244, 246)은 측면들(240, 24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레지들(244, 246)은, 각 측면들(240, 242)과 후면(112) 사이의 계면에서와 같이 하우징(108)의 후면(112)에 근접해 있다. 레지들(244, 246)은, 하우징(108)의 최상부(236)와 최하부(238) 간의 높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잇는다. 선택적으로, 하우징(108)은, 또한, 하우징(108)의 최상부(236)를 따라가는 최상부 레지(252) 및/또는 하우징(108)의 최하부(238)를 따라가는 최하부 레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레지들(244, 246)처럼, 최상부 및 최하부 레지들(252, 254)은, 후면(112)에 근접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제1 및 제2 측면들(240, 242) 사이에서 하우징(108)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자 채널들(228)은 제1 및 제2 측면들(240, 242) 사이에서 적어도 두 개의 행(248, 250)으로 배열된다. 제1 행(248)은 하우징(108)의 최상부(236)에 근접하고, 제2 행(250)은 최하부(238)에 근접한다. 행들(248, 250)의 각각은, 1개의 채널과 12개의 채널 사이 등의 하나 이상의 단자 채널(228)을 가질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행들(248, 250)의 각각은 8개의 채널(228)을 포함하고, 하우징(108)에서 총 16개를 포함한다.
스터퍼(202)는 제1 측면(256)과 제2 측면(258)을 갖는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202)는, 스터퍼가 하우징(108)에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들(256, 258)의 각각 상에 결합 기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터퍼(202)는, 제1 측면(256) 상에 제1 래치(260)를 그리고 제2 측면(258) 상에 제2 래치(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래치들(260, 262)은, 스터퍼(202)를 하우징(108)에 장착하게끔 하우징(108)의 제1 및 제2 측면 레지들(244, 246)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하우징(108)은 측면 래치들을 가질 수 있고, 스터퍼(202)는, 스터퍼(202)를 하우징(108)에 장착하도록 하우징(108)의 래치들에 결합되는 레지들 또는 기타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102)는 두 개의 스터퍼(202A, 202B)를 포함한다. 스터퍼들(202A, 202B)은 동일한 (예를 들어, 그렇지 않다면 상당히 유사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터퍼들(202A, 202B)은 동일한 형상을 제조하기 위해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퍼들(202A, 202B) 모두는 동일한 다이를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스터퍼들(202A, 202B)은, 고무, 플라스틱,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머 등의 비전도성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202B)는, 스터퍼(202A)와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축(272)을 따라 스터퍼(202A)로부터 180°로 회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터퍼들(202A, 202B)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공유되는 특징부들을 단일 스터퍼(202)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터퍼(202)는, 제1 및 제2 측면들(256, 258) 사이에서 스터퍼(202)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단부(264)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기구가 제1 단부(264)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퍼(202)는 제1 단부(264)를 따라 위치하는 제3 래치(266)를 가질 수 있다. 제3 래치(266)는, 하우징(108)에 대한 스터퍼(202)의 배치와 배향에 따라, 최상부 레지(252) 및/또는 최하부 레지(254)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202)는, 또한, 제3 래치(266)로부터 이격된, 제1 단부(264)를 따라가는 제4 래치(268)를 포함한다.
스터퍼(202)는, 또한, 제1 단부(264)의 반대측인 제2 단부(27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202)는 제2 단부(270) 상에 어떠한 결합 기구(예를 들어, 래치, 후크 등)도 갖지 않는다. 스터퍼(202)는 복수의 이(274)를 갖는다. 이들(274)은 제1 및 제2 측면들(256, 258) 간의 길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이들(274)은 슬롯들(276)에 의해 분리된다. 슬롯들(276)은, (예를 들어, 스터퍼(202)의 전면(278)과 후면(280) 사이에서) 스터퍼(202)의 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스터퍼(202)의 전면(278)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274)은 스터퍼(202)의 길이에 걸쳐 단일 행으로 정렬된다. 동일한 이들(274)이 스터퍼(202)의 제1 단부(264)와 제2 단부(270) 모두의 표면들 상에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두 개의 표면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이들(274)은, 제1 단부(264)를 따라 평평한 평면(284)을 갖지만 제2 단부(270)를 따라서는 컵형(cupped) 표면(286)을 갖는다. 컵형 표면(286)은, 각 이(274)의 길이에 걸쳐 오목한 단면이 있는 스쿠프 또는 활이 아래로 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컵형 표면(28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2)가 조립되는 경우 전도체(120)의 케이블(206)을 수용하도록(예를 들어, 이러한 케이블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스터퍼(202)는 이들(274)의 후방에 위치하는 선반(282)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282)은, 스터퍼(202)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며, 전기 커넥터(102)의 조립 및/또는 분해 동안 스터퍼(202) 취급시 사용자가 유지할 수 있는 부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전기 커넥터(102)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전기 커넥터(102)의 조립을 도시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2)는, 제1 전도체(120A)와 제1 스터퍼(202A)가 하우징(108)에 조립된 한편 제2 전도체(120B)와 제2 스터퍼(202B)가 하우징(108)에 조립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처럼,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두 개의 전도체들(120A, 102B)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하우징(108)은 더 많은 전도체들(120)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도체들(120)의 단자들(204)은 하우징(108)의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228) 내에 탑재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각 단자 채널(228)은 최대 하나의 단자(204)를 수용할 수 있다. 단자(204B)는 단자 채널(228B) 내로 탑재될 준비가 되어 있다. 단자(204B)는, 도 3에서, 정합 단부(210)에서 소켓(302)을 갖는 소켓 단자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단자들(204) 중 적어도 일부는 (도 2에 도시한) 핀(214)을 갖는 핀형 단자들일 수 있다. 단자들(204)은 하우징(108)의 후면(112)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228) 내로 탑재된다. 단자들은, 단자 채널들(228)의 후방 개구(304)를 통해 수용되며, 완전히 탑재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하우징(108)의 전면(110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완전히 탑재된 위치에서, 단자(204)는, (도 1에 도시한) 정합 커넥터(104)의 대응하는 정합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와 체결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에 있다. 전도체(102B)의 단자(204B)는, 단자 채널(228B) 내에 탑재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완전히 탑재된 위치에 있지 않다. 그러나, 전도체(120A)의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대응하는 단자 채널(228A) 내에 완전히 탑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자들(204)이 단자 채널들(2280 내에 탑재되는 경우, 단자(204)의 전체 길이가 후방 개구(304)를 벗어나 단자 채널(228)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탭(226)은 후방 개구(304)를 통해 단자 채널(228) 내로 수용된다.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에 종단된 케이블(206)은, 단자 채널(228)의 내부로부터 후방으로 후방 개구(304)를 가로질러 하우징(108)의 후면(112) 밖으로 연장된다.
스터퍼(202)는 하우징(108)의 후면(1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터퍼(202A)는 하우징(108)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한편, 제2 스터퍼(202B)는 하우징(108)에 결합될 준비가 되어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터퍼(202A)는 하우징(108)의 최상부(236)에 근접하여 결합되고, 제2 스터퍼(202B)는 최하부(238)에 근접하여 결합될 준비가 되어 있다. 제1 스터퍼(202A)의 제1 및 제2 래치들(260, 262)은 제1 및 제2 측면 레지들(244, 246)에 각각 결합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래치들(266, 268)은 각각 스터퍼(202A)의 길이를 따라 추가 결합 지지를 제공하도록 최상부 레지(252)에 결합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각 행에 있는 단자 채널들의 양이 비교적 적은(예를 들어, 6개 이하인) 전기 커넥터를 위해, 스터퍼는, 스터퍼의 더욱 짧은 길이 때문에 두 개의 측면 래치들 사이에 어떠한 래치 또는 기타 결합 기구도 가질 필요가 없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터퍼(202B)가 최하부(238)에 근접하여 하우징(108)에 결합되는 경우, 제1 및 제2 스터퍼(202A, 202B)는, (예를 들어, 단자 행들(248, 250) 중 적어도 하나에 평행하거나 그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행 축(306)을 가로질러 서로 미러링하도록 배향된다. 예를 들어, 제2 스터퍼(202B)는, 제2 스터퍼의 제1 래치(260)가 하우징(108)의 제2 측면 레지(246)에 결합하고 제2 래치(262)가 제2 측면 레지(246)의 반대측인 제1 측면 레지(244)에 결합하도록 제1 스터퍼(202A)에 대하여 뒤집혀 있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스터퍼(202B)의 제3 및 제4 래치들(266, 268)은 하우징(108)의 최하부 레지(254)에 결합된다.
스터퍼(202)의 이들(274)은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228)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스터퍼(202)가 하우징(108)의 후면(112)에 결합되는 경우, 단자 채널들(228)을 정의 및 분리하는 리브들(232)이 개별적인 이들(274) 사이의 슬롯들(276) 내에 수용되며, 각 이(274)는 단일 단자 채널(228) 내에 들어간다. 선택적으로, 단자 채널들(228)은, 스터퍼(202)와 하우징(108) 간의 쉬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이들(274)보다 적어도 약간 넓을 수 있다. 두 개의 스터퍼(202A, 202B)를 갖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터퍼(202A)는 제1 또는 최상부 행(248)을 따라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각 이들(도시하지 않음)이 제1 행(248)의 단자 채널들(228A) 내에 들어간다. 유사하게, 제2 스터퍼(202B)는 제2 또는 최하부 행(250)을 따라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각 이들(274B)이 제2 행(250)의 단자 채널들(228B)에 들어간다.
이들(274)은, 단자(204)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206)과 단자 채널(228)의 내벽 사이에서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22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내벽은, 최상부(236)에 인접하는 (도 4에 도시한) 최상부 내벽(410), 및/또는 하우징(108)의 최하부(238)에 인접하는 최하부 내벽(308)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스터퍼(202A)의 이들(274)은, 제1 전도체(120A)의 케이블(206)과, 최상부 내벽(410)이 하우징(108)의 최상부(236)에 인접하는 단자 채널들(228A)의 최상부 내벽(41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반면, 제2 스터퍼(202B)의 이들(274)은, 제2 전도체(120B)의 케이블(206)과, 최하부 내벽(308)이 하우징(108)의 최하부(238)에 인접하는 단자 채널들(228B)의 최하부 내벽(308)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들(274)의 컵형 표면(286)은 단자(204)의 종단 단부(212)로부터 연장되는 대응하는 케이블(206)을 수용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형 표면(286)은, 케이블(206)의 원주 주위에서 케이블(206)을 수용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컵형으로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타단부(264)를 따라가는 이들(274)의 (도 3에 도시한) 평면(284)은 최상부 및/또는 최하부 내벽(410, 308)의 평면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202)는 단자 위치 보증 장치일 수 있다. 스터퍼(202)는, 단자들(204)이 의도치 않게 완전 탑재 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및/또는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228)로부터 벗어나 후방으로 향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우징(108)의 후면(112)에 결합된다. 또한, 단자들(204) 중 하나가 대응하는 단자 채널(228) 내에 완전히 탑재되는 않는 경우, 스터퍼(202)는, 단자(204)를 완전 탑재 위치를 향하여 및/또는 완전 탑재 위치로 단자 채널(228) 내에서 더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이(274)는, 스터퍼(202)가 하우징(108)에 결합될 때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단자(204)의 탭들(226)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할 수 있고, 이(274)가 대응하는 단자 채널(228) 내로 이동함에 따라, 이(274)는 단자(204)를 (예를 들어, 탭(226)을 통해) 단자 채널(228) 내로 더 이동시킨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전기 커넥터(102)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전도체들(120A, 120B)이 각 단자 채널들(228A, 228B)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채널(228A)은 하우징(108)의 최상부(236)에 인접하는 한편, 채널(228B)은 최하부(238)에 인접한다. 최상부 전도체(120A)의 단자(204A)는, 단자(204A)가 완전 탑재 위치에 있도록 단자 채널(228A)에 완전히 탑재된다. 예를 들어, 완전 탑재 위치는, 채널(2280 내의 바이어싱된 보유지지 핑거(402)가 단자(204)의 홈(404)에 수용되는 경우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자(204)는, 단자(204)가 완전히 탑재되는 경우 채널(228)의 내벽의 홈에 수용되는 보유지지 핑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단자(204)는, 단자(204)의 전방 단부(406)가 하우징(108)의 전면(110)에 있는 억제 벽(408)과 접촉하는 경우 완전 탑재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퍼(202A)는, 최상부 래치(266)가 최상부 레지(252)와 완전히 체결되도록 하우징(108)의 후면(112)에 결합된다. 스터퍼(202A)의 대응하는 이들(274)은, 최상부 전도체(120A)의 케이블(206)과 단자 채널(228A)의 최상부 내벽(410) 사이에서 단자 채널(228A) 내에 수용된다. 이(274)는 단자(204A)의 하나 이상의 탭들(226) 뒤에(예를 들어, 후방에) 위치한다.
이(274)는, 예를 들어, 단자(204A)를 단자 채널(228A) 내로 더 이동시키기 위해 및/또는 채널(228A) 내에서의 단자(204A)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탭(들)(226)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상부 스터퍼(202A)의 이들(274)의 원단부들(414)은, (도 3에 도시한) 최상부 행(248)의 단자 채널들(228)에 있는 단자들(204)의 최상부(412) 상에 및/또는 그 최상부 근처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탭(226A)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상부 탭들(226A)은, 케이블(206)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선하도록 이들(274)이 컵핑되어 있으므로, 단자(204A)의 최상부 지점에 위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274)는 적어도 단자(204A)의 최상부(412) 근처에 있는 탭들(226)과 체결한다. 선택적으로, 단자(204A)는 채널(228A) 내에 완전 탑재되므로, 도 4에 도시한 이(274)는, 단자(204A)가 완전 탑재 위치로부터 벗어나 후방으로 향하고 탭(226A)이 정지형 스터퍼(202A)의 이(274)와 접촉하지 않는 한, 탭(226A)과 체결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스터퍼(202A)를 하우징(108)에 결합하기 전에 최상부 단자(204A)가 완전히 탑재되지 않으면, 대응하는 이(274)의 원단부(414)는, 단자(204A)를 완전 탑재 위치를 향하여 채널(228A) 내로 더 이동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탭(226A)과 체결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단자(204B)는 대응하는 채널(228B)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단자(204B)는 단자(204A)의 후방에 있으며, 전방 단부(406)는 억제 벽(408)에 근접하지 않으며, 보유지지 핑거(402)는 단자(204B)의 홈(404)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다. 현재 위치에서, 단자(204B)와 체결하는 정합 접촉부(도시하지 않음)는 단자(204B)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전기적 접속을 손상시키거나 잃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202B)는 결합 방향(416)으로 하우징(108)의 후면(112)에 결합된다. 스터퍼들(202)은, 모든 단자들(204)이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228) 내의 완전 탑재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보증하고 전기 커넥터(102)의 사용 동안 단자들(204)이 완전 탑재 위치에서 보유지지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구성된다. 하측 스터퍼(202B)가 방향(416)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268)는 하우징(108)의 최하부 레지(254)에 의해 편향된다. 또한, 스터퍼(202B)의 대응하는 이(274)는, 단자(204B) 뒤의 채널(228B)에 들어가고, 단자(204B)의 적어도 하나의 탭(226)과 체결한다. 예를 들어, 스터퍼(202B)의 이(274)는, 하측 제2 전도체(120B)의 케이블(206)과 단자 채널(228B)의 최하부 내벽(308) 사이에서 단자 채널(228B)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단자(204B)는 완전히 탑재되지 않았으므로, 이(274)의 원단부(414)는, 단자(204B)의 최하부(418) 상에 및/또는 그 최하부 근처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탭(226B)과 체결한다. 일반적으로, 스터퍼(202B)의 이들(274)은, 단자 채널들(228)의 (도 3에 도시한) 최하부 행(250)에 있는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임의의 단자들(204)의 하측 또는 최하부 탭들(226B)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 탭들(226B)은, 케이블(206)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선하도록 이들(274)이 컵핑되므로 단자(204B)의 최하부 지점에 위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274)는 적어도 단자(204B)의 최하부(418) 근처에 있는 탭들(226)과 체결한다. 스터퍼들(202)은, 스터퍼(202B)의 래치(268)가 최하부 레지(254)에 결합하는 경우, 이(274)가 탭(226B)을 단자(204B)가 채널(228B) 내의 완전 탑재 위치에 도달하는 방향(416)으로 충분히 멀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202)와 단자(204)는, 단자(204)가 단자 채널(228) 내에서 어떻게 회전되는지에 상관없이 대응하는 이(274)가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단자(204)의 적어도 하나의 탭(226)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들(204)의 하나 이상의 탭(226)은, 단자(204)의 최상부(412)로부터 또는 그 최상부 근처에서 및 단자(204)의 최하부(418)로부터 또는 그 최하부 근처에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274)가 단자(204)에 종단된 케이블(206)의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지에 상관없이 스터퍼(202)의 대응하는 이(274)가 탭(226)과 체결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들(226)과 채널들(228)의 내벽들(410, 308) 사이의 간극은, 이(274)가 탭들(226)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하지 않고 탭들(226)을 지나 연장될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예를 들어, 이(274)의 두께에 비해) 비교적 좁을 수 있다. 이러한 가상적인 경우에, 스터퍼(202)는, 단자가 대응하는 이(274)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단자 위치 보증을 제공하도록 기능하지 못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들(202A, 202B)은 전도체들(120)의 위와 아래에 각각 위치한다. 예를 들어, 최상부 스터퍼(202A)의 이들(274)은 전도체들(120A, 120B) 모두의 위에 있고, 최하부 스터퍼(202B)의 이들(274)은 전도체들(120A, 120B) 모두의 아래에 있다. 이러한 위치들은, 하우징(108)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206)로 인한 간섭 및/또는 어려움이 거의 없이, 스터퍼들(202)이 하우징(108)에 대하여 결합 및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터퍼들(202A, 202B) 중 어느 것도, 최상부 채널(228A)을 최하부 채널(228B)로부터 분리하는 중심 리브(420)를 따라 전도체들(120A, 120B) 사이에서 연장되지 않는다. 현장에서의 복수의 와이어 때문에, 단자 채널들의 두 개의 행 사이에 스터퍼를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며, 스터퍼를 나중에 제거하는 것도 어렵다. 전도체들(120)의 위와 아래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스터퍼(202A, 202B)는 단자 채널들의 두 개의 행 사이에 스터퍼를 끼우려는 문제를 피하게 한다.
대체 실시예에서는, 개별적인 두 개의 스터퍼(202A, 202B)를 설치하는 것 대신에, 전기 커넥터가, 두 개의 스터퍼(202A, 202B)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비견할만한 단일 스터퍼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스터퍼(202A, 202B)는, 형성되는 단일 스터퍼가 (예를 들어, 일 측면에서 결합되면) "C" 형상 또는 (예를 들어, 양 측면에서 결합되면) 박스 형상으로 되도록 암(arm)에 의해 적어도 일 측면 상에서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암(들)은, 대체 스터퍼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 동안 스터퍼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체 단일 스터퍼가 C 형상 또는 완전히 폐쇄된 박스 형상이든, 대응하는 이는, (예를 들어, 행들 사이의 이격 문제점을 피하도록) 이들이 최상부 행에 있는 전도체들의 케이블들 위와 최하부 행에 있는 전도체들의 케이블들 아래의 대응하는 채널들에 들어가도록 여전히 구성될 수 있다.
위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이지 않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및/또는 그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체적인 상황 또는 물질을 본 발명의 교시에 맞추도록 많은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치수, 물질의 유형,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배향, 및 본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위치는, 일부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려는 것이며, 결코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많은 실시예들과 수정예들은 위 설명을 읽는 통상의 기술자에겐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를 이러한 청구항들이 속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는, "포함"(including) 및 "에서"(in which)라는 용어들이, "포함"(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 라는 평이한 균등 용어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라벨로서 사용될 뿐이며, 해당 대상에 대하여 수치 요건을 가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음에 따르는 청구항들의 한정 사항들은, 수단 플러스 기능 형식으로 기재되지 않으며, 이러한 청구항 한정 사항들이, 추가 구조 없이 기능이 전술되는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구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미국 특허법 35 U.S.C.§ 112 sixth paragraph에 기초하여 해석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102)로서,
    하우징(108)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112)으로부터 전면(110)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단자 채널(228)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정합 커넥터(104)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탑재되는 단자들(204)로서, 상기 단자들은 정합 단부(210)와 종단 단부(212) 사이에서 단자 축(208)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종단 단부는 상기 단자 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226)을 포함하는, 상기 단자들;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고, 대응하는 단자 채널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이(teeth; 274)를 포함하는 스터퍼(stuffer; 202)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들 중 하나의 단자가 상기 단자 채널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이가, 상기 하나의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탭 중 하나 이상과 체결하고 상기 단자를 상기 단자 채널 내로 더 이동시키는, 전기 커넥터(10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226)은 상기 종단 단부(212)의 최후면 부분에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10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단부(212)는 케이블(206)의 단부(216)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절연 크림프 배럴(222)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2).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204)은 상기 종단 단부(212)에서 복수의 탭(226)을 갖고, 상기 스터퍼(202)의 대응하는 이(274)는, 상기 단자 채널(228) 내에 완전히 탑재되지 않은 상기 하나의 단자의 탭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탭과 체결하는, 전기 커넥터(102).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202)는, 상기 스터퍼의 제1 측면(256) 상의 제1 래치(260) 및 상기 스터퍼의 반대쪽 제2 측면(258) 상의 제2 래치(2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래치는, 상기 하우징(108)의 제1 및 제2 측면(240, 242)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측면 레지(ledge; 244, 246)에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10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202)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256, 258) 사이에서 상기 스터퍼의 제1 단부(264)를 따라가는 제3 래치(266)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래치는 상기 하우징(108)의 최상부 레지(252) 또는 최하부 레지(254)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102).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채널들(228)은 제1 행(248)과 제2 행(250)으로 정렬되고, 상기 스터퍼(202)는, 각 이(274)가 상기 제1 행의 단자 채널들에 진입하도록 상기 하우징(108)에 결합된 제1 스터퍼(202A)를 정의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각 이가 상기 제2 행의 단자 채널들에 진입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2 스터퍼(202B)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248)은 상기 하우징(108)의 최상부(236)에 근접하고, 상기 제2 행(250)은 상기 하우징의 최하부(238)에 근접하고,
    상기 제1 스터퍼(202A)의 이들(274)은 상기 단자들(204)의 하나 이상의 최상부 탭들(226A) 뒤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터퍼(202B)의 이들은 상기 단자들의 하나 이상의 최하부 탭들(226B) 뒤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10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퍼(202A)는 상기 제1 행(248)의 대응하는 단자들(204)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들(206)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터퍼(202B)는 상기 제2 행(250)의 대응하는 단자들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들 아래에 위치하고, 이때,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제1 및 제2 스터퍼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102).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204)의 적어도 하나의 탭(226)은, 상기 스터퍼(202)의 대응하는 이(274)가 상기 단자 채널의 내벽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을 지나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단자 채널의 상기 내벽(234)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 사이에 간극을 두고서, 상기 단자 채널(228)의 후면 개구(304)를 통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102).
KR1020167021916A 2014-01-14 2014-12-11 단자 위치 보증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KR102222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55,180 US9147957B2 (en) 2014-01-14 2014-01-14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14/155,180 2014-01-14
PCT/US2014/069696 WO2015108635A1 (en) 2014-01-14 2014-12-11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462A true KR20160108462A (ko) 2016-09-19
KR102222757B1 KR102222757B1 (ko) 2021-03-08

Family

ID=5227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916A KR102222757B1 (ko) 2014-01-14 2014-12-11 단자 위치 보증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47957B2 (ko)
EP (1) EP3095160B1 (ko)
KR (1) KR102222757B1 (ko)
CN (1) CN105917531B (ko)
RU (1) RU2667090C2 (ko)
WO (1) WO20151086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6376A1 (en) * 2017-02-23 2018-08-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2706B (zh) * 2014-02-28 2017-02-22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US9912092B2 (en) 2016-01-29 2018-03-0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rgonomi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9647378B1 (en) * 2016-05-10 2017-05-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10446969B2 (en) * 2017-12-01 2019-10-15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CN110212334B (zh) * 2018-02-28 2021-01-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连接器壳体组件及连接器插针
CN110247232A (zh) * 2018-03-09 2019-09-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
EP3790122A1 (en) 2019-09-06 2021-03-10 ODU GmbH & Co KG. Multi-lock counter connector
US20220360013A1 (en) * 2020-05-06 2022-11-10 Sung-Yu Chen Insulating housing and wire-end connector
JP7414635B2 (ja) * 2020-05-07 2024-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D980801S1 (en) * 2020-05-22 2023-03-14 Samtec, Inc. Electrical connector
DE102020210760A1 (de) * 2020-08-25 2022-03-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er mit einem Lagesicherungselement mit einer Kontaktaufnahme
CN112886307B (zh) * 2021-02-03 2022-08-16 东莞市显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脱落连接器胶壳的端子组件
TWI831177B (zh) * 2021-07-26 2024-02-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684U (ja) * 1981-07-23 1983-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270375U (ko) * 1988-11-17 1990-05-29
KR20090102963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7141A (en) * 1973-05-23 1977-04-12 Bury Allen J Connectors with primary and secondary lock structure
DE8211844U1 (de) * 1982-04-23 1982-10-07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Zusatzverriegelung in einem Verbindergehäuse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er
US4655525A (en) * 1985-07-03 1987-04-07 Amp Incorporated Means for retaining terminals in a connector
US4787864A (en) 1987-03-25 1988-11-29 Amp Incorporated Terminal stabilization and reten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4984998A (en) 1989-12-15 1991-01-15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JP2574771Y2 (ja) 1992-10-07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IT1273125B (it) 1994-04-12 1997-07-04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JP3216779B2 (ja) 1995-02-23 2001-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金具の不完全挿入矯正方法及び矯正用治具
JP3837983B2 (ja) * 1999-11-30 2006-10-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350159B1 (en) * 2000-09-19 2002-0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Arrangement for preventing mismating of connector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terminals
US7530836B2 (en) * 2007-04-30 2009-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p for telecommunications cross connect block
JP5329100B2 (ja) * 2008-01-23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が挿入されたコネクタ
US7833068B2 (en) * 2009-01-14 2010-11-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for a transceive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684U (ja) * 1981-07-23 1983-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270375U (ko) * 1988-11-17 1990-05-29
KR20090102963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6376A1 (en) * 2017-02-23 2018-08-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32579A3 (ko) 2018-07-12
US20150200484A1 (en) 2015-07-16
KR102222757B1 (ko) 2021-03-08
US9147957B2 (en) 2015-09-29
RU2667090C2 (ru) 2018-09-14
CN105917531A (zh) 2016-08-31
CN105917531B (zh) 2019-04-23
RU2016132579A (ru) 2018-02-20
EP3095160A1 (en) 2016-11-23
WO2015108635A1 (en) 2015-07-23
EP3095160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757B1 (ko) 단자 위치 보증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US10109937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5798158B2 (ja) 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
US6231392B1 (en) Cable interconnection
JP2018120862A (ja) 端子金具
US7077708B1 (en) Connector assembly
CN107069262B (zh) 电连接器
EP3207595A1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EP2240980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4067695A5 (ko)
CN110326169B (zh) 阴阳同体销和插座连接器
US9166343B1 (en) Mezzanine receptacle connector
JP7479873B2 (ja) 複数のラッチを有する端子位置保証部材
TW202118157A (zh) 具有低高度之線對板連接器
US10297966B1 (en) Mating adapt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401553B2 (en) Connector device
US9551483B1 (en) Multiple cable disconnect
US9293845B2 (en) Mezzanine receptacle connector
US686354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structure
EP3408896B1 (en) Ergonomi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CN114122773A (zh) 用于功率连接器组件的插入式线连接器
EP2947719A1 (en) Wire lug connector
KR101292571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US20230198187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