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68A - 습도 센서 - Google Patents

습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68A
KR20160108168A KR1020160024452A KR20160024452A KR20160108168A KR 20160108168 A KR20160108168 A KR 20160108168A KR 1020160024452 A KR1020160024452 A KR 1020160024452A KR 20160024452 A KR20160024452 A KR 20160024452A KR 20160108168 A KR20160108168 A KR 20160108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wiring
insulating film
humid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로 후타츠기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027/22
    • G01N2027/22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반도체 제조 공정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면적당의 용량을 크게 하고, 또한 감습막의 밀착성이나 매립성을 개선하는 습도 센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과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을 서로 전후좌우 네방향에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금속 배선을 통하여 제 1 전극은 다른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은 다른 제 2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본 발명은 습도 센서, 특히 용량식 습도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량식 습도 센서로는, 반도체 기판 위에 용량 측정용 전극이 배치되고, 그 위를 감습 (感濕) 막이 덮고 있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감습막은 습도에 따라 유전율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극간의 용량 변화로부터 습도의 변화를 검출한다. 도 9 에 그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기판 (1) 위에 절연막 (2) 이 성막되고, 그 위에 복수로 이루어지는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극 표면은 얇은 보호막 (4) 으로 덮여 있고, 그 위를 두꺼운 감습막 (5) 이 덮은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서 알려져 있는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의 배치 패턴을 도 10 에 나타낸다.
(a) 는 2 개의 전극 (3a, 3b) 을 빗살상으로 배치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b) 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전극 (3a) 을 아일랜드상으로 배열하고, 다른 일방의 전극 (3b) 은 아일랜드상의 전극 (3a) 을 둘러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아일랜드상 전극 (3a) 끼리는 하층 배선 (6a)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c) 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원주상의 전극 (3a, 3b) 을 정삼각 격자상으로 배열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원주상의 전극 (3a, 3b) 은 하층 배선 (6a, 6b)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165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26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67445호
도 10(a) 의 빗살 배선 구조는, 면적당의 용량이 크고, 또한 1 층 배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지만, 특정 방향으로 치우친 레이아웃이기 때문에, 특정 방향의 스트레스에 대해 감습막이 박리되기 쉬워지는 것이 염려된다. 또, 한정된 면적 내에서 원하는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을 두껍게 하고 또한 전극 간격을 좁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와 같은 상황에서는, 감습막을 매립할 때 보이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매립성의 약점이 있다.
도 10(b) 의 구조는, 4 회 대칭성을 갖는 전극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방향에 대한 감습막의 박리의 염려는 개선되지만, 보이드가 발생하기 용이한 것은 빗살 배선 구조와 동일한 정도이다. 또 (a) 의 빗살 배선 구조에 비해, 면적당의 용량은 작아진다.
도 10(c) 의 구조는, 전극의 배치가 6 회 대칭성을 갖기 때문에, 특정 방향에 대한 박리의 염려는 개선된다. 또 (a), (b) 에 비해, 전극 (3a, 3b) 에 의한 감습막이 끼워지는 방법이 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감습막의 매립성도 개선된다. 그러나 (c) 는 원주상의 전극을 최밀충전으로 배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빗살 배선에 비해 면적당의 용량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또 원주상의 전극 (3a, 3b) 의 제조 방법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 통상적인 반도체 제조 공정과 정합되지 않는 전용 공정이 되면,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동일한 반도체 칩 위에 신호 처리 회로와 습도 센서를 구축하는 경우,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신호 처리 회로의 배선 제조 공정에서, 습도 센서의 전극 (3a, 3b) 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반도체 제조 공정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면적당의 용량을 크게 하고, 또한 감습막의 밀착성이나 매립성이 개선된 습도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대책으로서, 본 발명은 습도 센서의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을 아일랜드상으로 하고, 일방의 전극 (3a) (혹은 3b) 의 전후좌우 네방향에 타방의 전극 (3b) (혹은 3a) 이 인접하도록 배치하였다. 전극 (3a) 끼리 (혹은 전극 (3b) 끼리) 는, 비아 및 하층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적인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습도 센서의 용량 측정용 전극을 형성할 수 있고, 용량 측정용 전극에 의한 감습막이 끼워지는 방법이 종래 기술의 빗살 배선 구조 등에 비해 완화되기 때문에, 감습막의 매립성도 개선된다. 또 특정 방향으로 치우친 레이아웃은 아니기 때문에 감습막의 박리의 염려도 개선된다. 또한 면적당의 용량은, 종래 기술의 원주상 전극을 정삼각 격자상으로 배열한 것에 비해서도 크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습도 센서에 있어서의 용량 측정용 전극의 배치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이다. (a) 는 평면도, (b) 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전극 배치에 있어서의 전기력선과 등전위선의 수치 계산 결과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습도 센서의 용량 측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습도 센서의 용량 측정용 전극의 배치 패턴이다.
본 발명의 습도 센서에서는 용량 측정용 전극을 아일랜드상으로 하고, 도 1 과 같이, 외주부를 제외하고, 일방의 전극 (3a) (혹은 3b) 의 전후좌우 네방향에 타방의 전극 (3b) (혹은 3a) 이 인접하도록 배치한다. 이하, 이 전극 배치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상세히 서술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도 2 에 나타낸다. 도 2(a) 는 평면도로,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은 위에서 보면 한 변의 길이가 d 인 정방형을 하고 있고, 도 1 과 같이, 이웃하는 용량 측정용 전극 (3a 와 3b) 의 간격도 d 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전극은 비아 (8) 를 통하여 하층 배선 (6a, 6b) 에 연결되어 있어, 모든 전극 (3a) 과 모든 전극 (3b) 사이에 발생하는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습도를 검지할 수 있다. 하층 배선 (6a, 6b) 은 이웃하는 용량 측정용 전극 (3a 와 3b) 아래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용량 측정용 전극 (3a 와 3b) 에서는 상이한 위치에 비아 (8) 가 배치되어 있다.
도 2(b) 는, 도 2(a) 의 영역 (A1-A2) 의 단면도이다. 반도체 기판 (1) 위에 절연막 (2) 을 형성하고, 그 위에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을 형성하고 있다. 절연막 중에는 하층 배선 (6a, 6b) 이 있고, 전극 (3a) (혹은 3b) 은 배선 (6a) (혹은 6b) 에 비아 (8) 를 통하여 접속된다. 하층 배선 (6a, 6b), 비아 (8), 전극 (3a, 3b) 은, 통상적인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신호 처리 회로부는 다층 배선을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전극 (3a, 3b) 의 형성까지는 제조 공정의 추가는 필요없다. 전극 (3a, 3b) 위는 얇은 보호막으로 덮이고, 또한 그 위에는 두꺼운 감습막으로 덮여 있다. 보호막에는 예를 들어 두께 100 ㎚ 의 SiN 막 등이 사용된다. 감습막에는, 예를 들어 습도에 대해 유전율이 변화하는 유기 재료 등이 사용된다. 보호막과 감습막의 형성 공정은, 습도 센서를 위한 추가 공정이 된다.
도 1, 도 2 의 전극 배치에서 면적당의 용량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이차원 모델을 사용한 수치 계산에 의해 용량을 산출하였다. 도 3 은 이 전극 배치에서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기력선과 등전위선의 수치 계산 결과이다. 여러 가지 전극 배치에 있어서 동일한 수치 계산을 실시하고 용량을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계산에서는 각 구조의 도면 중에 나타낸 치수 (d) 를 동일한 값으로 하여 면적당의 용량을 구하였다. 표 1 에서는 각 구조와 빗살 배선 구조의 용량의 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면적당의 용량은 빗살 배선 (도 10a) 에 비해 1.28 배가 된다. 정삼각 격자 배열 (도 10c) 의 용량은 0.99 배이고, 최밀충전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빗살 배선과 용량은 변함없다. 이것으로부터, 전극 형상을 가능한 한 사각형으로 하고, 일방의 전극의 전후좌우 네방향에 타방의 전극이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면적당의 용량을 크게 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도 4 에 나타낸다.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의 배열은 실시예 1 과 동일하지만, 하층 배선 (6a, 6b) 의 레이아웃이 실시예 1 과 상이하다. 실시예 1 에서는 용량 측정용 전극의 바로 아래에 하층 배선이 2 개 레이아웃되어 있지만, 반도체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습도 센서를 제조하는 경우, 레이아웃 룰의 제약에 의해, 하층 배선의 선폭이나 간격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어, 실시예 1 과 같은 레이아웃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을 때, 실시예 2 와 같이 하층 배선 (6a, 6b) 을 45 도 기울임으로써, 배선폭과 배선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레이아웃 룰의 제약을 벗어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 을 도 5 에 나타낸다.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의 배열은 실시예 1, 2 와 동일하지만, 하층 배선의 레이아웃이 실시예 1, 2 와 달라, 2 층의 하층 배선을 사용하고 있다. 전극 (3a) 은 비아 (8) 를 통하여 하층 배선 (6a)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 (3b) 은 비아 (8), 하층 배선 (6b) (전극 (3b) 바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 도시 생략), (6b) 아래의 비아 (도시 생략) 를 통하여 제 2 하층 배선 (7)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 처리 회로가 3 층 이상의 배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 공정없이 실시예 3 의 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 를 도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3 에서는,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의 한 변의 길이와 전극간의 거리가 동일하였다. 이 때, 전체 면적에 대한 전극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메탈 점유율) 은 25 % 가 된다.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전극의 가공을 적정하게 실시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메탈 점유율이 필요하고, 25 % 에서는 메탈 점유율이 불충분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실시예 4 는 메탈 점유율을 올리기 위해 용량 측정용 전극의 한 변의 길이를 전극간의 거리의 2 배로 한 것이다. 이 때 메탈 점유율은 44 % 이고, 이 메탈 점유율이라면 전극 가공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면적당의 용량은 저하되지만,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살 배선과 동일한 정도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 를 도 7 에 나타낸다.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의 형상이 정방형은 아니고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에서도 면적당의 용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감습막의 박리의 염려나 매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 을 도 8 에 나타낸다. 용량 측정용 전극 (3a, 3b) 위에서 본 형상이 원으로 되어 있다. 큰 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전극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고, 그 사방에 다른 일방의 사각형 형상 전극이 인접하는 배치가 바람직하지만, 면적당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전극 사이즈와 전극 간격을 작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미세화를 진행시킨 것에 의해, 형상이 사각형은 아니고 원에 가까워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량은 정삼각 격자의 용량보다 약간이지만 크다. 이와 같이 전극 형상이 원형이 된 경우에도, 일방의 전극의 전후좌우 네방향에 타방의 전극이 인접하는 배치가, 용량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1 : 반도체 기판
2 : 절연막
3 : 용량 측정용 전극
4 : 보호막
5 : 감습막
6, 7 : 하층 배선
8 : 비아

Claims (8)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전후좌우 네방향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과 복수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과,
    상기 절연막 중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을 다른 제 1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절연막 중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을 다른 제 2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금속 배선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위에 배치된 감습막을 갖는, 습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아래에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 아래에도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이 상이한 배선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의 형상이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6. 제 4 항에 있어서,
    사각형의 변의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의 간격보다,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8.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전극과 복수의 제 2 전극으로서, 외주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 1 전극의 전후좌우 네방향에는 상기 제 2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전후좌우 네방향에는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막 중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제 1 배선과,
    상기 절연막 중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제 2 배선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위에 배치된 감습막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은, 한 변의 길이가 각각 d 인 정방형이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의 간격은 d 이고,
    배선폭이 d 이고 배선 간격이 d 인 빗살 배선 구조의 용량식 습도 센서보다 단위 면적당의 용량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센서.
KR1020160024452A 2015-03-04 2016-02-29 습도 센서 KR20160108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2467 2015-03-04
JP2015042467A JP6535185B2 (ja) 2015-03-04 2015-03-04 湿度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68A true KR20160108168A (ko) 2016-09-19

Family

ID=5684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52A KR20160108168A (ko) 2015-03-04 2016-02-29 습도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1006B2 (ko)
JP (1) JP6535185B2 (ko)
KR (1) KR20160108168A (ko)
CN (1) CN105938117B (ko)
TW (1) TWI6724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6373B2 (en) 2017-12-13 2022-02-22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2319B2 (en) 2016-08-19 2021-01-12 Rohm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P3502680A4 (en) * 2016-09-30 2019-09-11 Minebea Mitsumi Inc. MOISTURE SENSOR
JP6770238B2 (ja) * 2017-03-31 2020-10-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湿度センサ
EP3401674B1 (en) 2017-05-09 2020-07-15 ams International AG Capacitive-type humidity sensor with superhydrophobic top surface and corresponding fabrication method
CN107271242B (zh) * 2017-07-13 2019-11-15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介电测试样品的制样方法和应用
CN209326840U (zh) 2018-12-27 2019-08-30 热敏碟公司 压力传感器及压力变送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539A (ja) 1999-12-08 2003-05-13 ゼンジリオ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容量型センサー
JP2007192622A (ja) 2006-01-18 2007-08-02 Seiko Instruments Inc 湿度センサおよびそれ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2014167445A (ja) 2013-02-28 2014-09-11 Sharp Corp 湿度センサおよび湿度セ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9343A (en) * 1981-12-03 1984-01-31 Leeds & Northrup Company Humidity sensing element
JP2546340B2 (ja) * 1988-06-28 1996-10-23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感湿素子およびその動作回路
JPH03206667A (ja) * 1990-01-09 1991-09-10 Seiko Instr Inc Mosトランジスタ
US7181966B2 (en) * 2004-09-08 2007-02-27 Nippon Soken, Inc. Physical quantity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566784B2 (ja) * 2005-02-24 2010-10-20 株式会社デンソー 湿度センサ装置
US8707781B2 (en) * 2008-09-11 2014-04-29 Nxp, B.V. Sensor has combined in-plane and parallel-plane configuration
AT11941U1 (de) * 2010-02-12 2011-07-15 Plansee Metall Gmbh Berührungssensoranordnung
JP5547296B2 (ja) * 2010-10-04 2014-07-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湿度検出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9176089B2 (en) * 2013-03-29 2015-11-03 Stmicroelectronics Pte Ltd. Integrated multi-sensor module
CN103698368B (zh) * 2013-12-19 2016-08-31 无锡康森斯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传感器件、传感器及湿度传感器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539A (ja) 1999-12-08 2003-05-13 ゼンジリオ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容量型センサー
JP2007192622A (ja) 2006-01-18 2007-08-02 Seiko Instruments Inc 湿度センサおよびそれ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2014167445A (ja) 2013-02-28 2014-09-11 Sharp Corp 湿度センサおよび湿度センサ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6373B2 (en) 2017-12-13 2022-02-22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8117B (zh) 2019-12-24
CN105938117A (zh) 2016-09-14
JP2016161486A (ja) 2016-09-05
US20160258894A1 (en) 2016-09-08
US10191006B2 (en) 2019-01-29
JP6535185B2 (ja) 2019-06-26
TWI672498B (zh) 2019-09-21
TW201704745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8168A (ko) 습도 센서
US9684417B2 (en) Touch-sensing electrode structure and touch-sensitive device
JP4945483B2 (ja) 表示パネル
US9239308B2 (en) Humidity detection sens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58805B2 (en) Touch screen panel
US9594041B2 (en) Capacitive humidity sensor
US10502702B2 (en) Capacitor type humidity sensor
TWI650237B (zh) 透明導電性積層體、觸控面板及顯示裝置
US20170031490A1 (en)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JP5104872B2 (ja) 容量素子及び半導体装置
US20120075215A1 (en) Single layer implemented two dimensional touchpad
EP3617859A1 (en) Capacitive hover touch sensor,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3196370U (ja) センサモジュール
KR20160032132A (ko) 표면 센서
CN114115613B (zh) 一种触控屏、触控定位方法及显示装置
US9947602B2 (en) IC structure integrity sensor having interdigitated conductive elements
TWM486811U (zh) 感應層電路結構
CN107300436B (zh) 触控显示装置及其压力传感器
TW201401475A (zh) 半導體結構
JP2018059713A (ja) 容量感知型湿度センサ
CN112639698A (zh) 触控结构及触控显示装置
RU2685559C1 (ru) Электроемкост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геометрического центра двумерной области (варианты)
JP2021047014A (ja) 湿度検知装置
CN104280614B (zh) 测量mos器件侧墙厚度相关参数的结构和方法
CN104752387A (zh) 触控集成电路的电路配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