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705A -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705A
KR20160107705A KR1020150030819A KR20150030819A KR20160107705A KR 20160107705 A KR20160107705 A KR 20160107705A KR 1020150030819 A KR1020150030819 A KR 1020150030819A KR 20150030819 A KR20150030819 A KR 20150030819A KR 20160107705 A KR20160107705 A KR 2016010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neutralizing agent
acid
mousse
volc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102B1 (ko
Inventor
전혜령
정해진
신진섭
안순애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3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102B1/ko
Priority to US15/555,840 priority patent/US20180036217A1/en
Priority to PCT/KR2016/001876 priority patent/WO2016140467A1/ko
Priority to CN201680019171.6A priority patent/CN107427432B/zh
Priority to TW105106219A priority patent/TWI694840B/zh
Publication of KR2016010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화산석 송이(Scoria)와 중화제를 포함하며, 토출시 부풀어 오르고 쉽게 흘러 내리지 않는 형성능이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적다.

Description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Mousse Form Comprising The Scoria}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피부에 도포되어 미용(美容)에 이바지하는 화장품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산석 송이는 학명이 스코리아(Scoria)이고, 화산활동에 의해 점토가 고열에 불타 만들어진 화산석으로서 천연 세라믹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발견되고, 제주도 방언으로는 송이라고 한다. 화산석 송이의 물성은 pH 7.2 ~ 7.8 정도의 약알카리성이며 다공질로서 일반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미네랄 성분에 따라 적갈색, 황갈색, 흑색, 회색 등의 색을 띄고 있다.
화산석 송이는 천연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여 자체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으므로, 항균력이 탁월하고 탈취성이 뛰어난 물리적 성질이 알려져 있다. 더하여, 본 출원인은 화산석 송이가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켜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해 핵 내로 들어가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고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피지선 내의 피지를 과분비시키는 5α-리덕테이즈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한국등록공보특허 제1415996호에서 밝힌 바 있다.
이외에도, 화산석 송이가 천연 미네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피부 보습, 모공 축소, 세척, 향균 등 다양한 미용 재료로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화산석 송이는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시 작은 입자로 분쇄되어 첨가된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중 거품 형태로 분사되어 피부에 넓게 펴 바를 수 있고, 사용감이 가벼운 느낌의 무스제형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화산석 송이의 경우 추진제를 포함한 저점도 액제 제형으로 만들었을 때, 안정화되지 못하고 침전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무스제형 개발에 문제가 되고 있다.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고르게 분사되어 토출될 수 있는 무스제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화산석 송이를 포함한 조성물을 우선 안정화시켜야 하고, 무스제형에 포함되는 지방산 등을 중화하는 기능으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아민계열 중화제의 문제점인 피부 자극 문제를 개선하여야 하며, 또한 이러한 중화제가 무스제형의 형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개선시킬 수 있어야 한다.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대한미국 공개특허 제10-2013-0001441호 공보)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의 고유한 성상 및 물성을 고려하여,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부 자극이 적고 무스제형의 형성능이 향상된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중화제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R1은 H, -CH3, -CH(CH3)2, -CH2CH(CH3)2, -CH(CH3)CH2CH3, -CH2OH, -CH(OH)CH3, -CH2COOH, -CH2CH2COOH, -(CH2)4NH2, -(CH2)3NH2,
Figure pat00002
, -CH2SH, -(CH2)2SCH3,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및
Figure pat00006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선택된다.]
상기 중화제는 아르기닌(Argin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세린(Serine), 트레오닌(Threon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라이신(Lysine), 오르니틴(Ornithine),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 히스티딘(Histid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록신(Tyrosine), 트립토판(Tryptophan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화제는 L-아르기닌(L-Arginine)이고,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4 ~ 3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물, 폴리올, 점증제, 지방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중 화산석 송이는 0.5 ~ 10 중량%, 중화제는 0.4 ~ 1중량%, 물은 70 ~ 90 중량%, 폴리올은 5 ~ 10 중량%, 점증제는 0.5 ~ 4 중량%, 지방산은 3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무스제형의 토출시 잘 부풀어 오르고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우수한 형성능을 나타낸다. 아울러,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의 특성상 피부 자극이 적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본 발명에 따른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중화제로 L-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으로 분사 토출됨에 따라, 화산석 송이가 제형 안에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와 실시예의 무스제형 형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화산석 송이가 무스제형으로 토출된 후, 피부 표면의 미세먼지 제거능을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로 기술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 폴리올, 점증제,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산석 송이>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는 학명이 스코리아(Scoria)이며,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한 다공질의 현무암질 암괴를 말한다. 화산석 송이에는 화산회, 화산자갈, 화산암괴, 화산탄을 포함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생산되고 천연상태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92 ~ 93%, 탈취율이 97%인 성능을 가진 천연 소재로 알려져 있다.
제주도에서 산출된 화산석 송이의 물리적 성질은 융점이 1,120 ~ 1,210℃이고, 흡수율은 질량 대비 17.7 ~ 32.5%를 가진다. 또한, 화산석 송이는 함유된 미네랄의 함량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띠는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화산석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화산석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띄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화산석 송이는 적갈색을 띈다. 이외에도, 화산석 송이는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륨, 산화나트륨과 같은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화산석 송이를 채집,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한 다음, 분말을 1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
본 발명의 폴리올은 다가 알코올을 가리키며, 예컨대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솔비톨(Sorbitol)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이 혼합된 폴리올을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용 폴리올 성분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점증제>
본 발명의 점증제는 물에 분산시켰을 때 물의 극성에 의하여 유동성이 증가되거나 재배열을 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Bentonite),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산탄검, 카보머(Carbomer), 세피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부터 적어도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무기점증제인 벤토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벤토나이트는 에멀젼의 점도를 증가시켜주는 점도 조절제(viscosity adjuster)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크림, 로션, 메이크업 조성물 등의 화장품 제조시 유화물의 점도를 높이고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서로 섞이지 않는 상(phase)인 유상과 수상의 경계면(phase interface)에서 격자 구조를 구성하고, 안정화시켜 분산 안정제로서의 기능을 하며, 계면활성제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고분자 물질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다공성으로 여분의 피지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여드름성 피부나 유분이 많은 피부에 도포하면 유분 흡수작용을 하여 피부에서의 번들거림을 막아줄 수 있으며, 또한 유분을 흡착하는 성능이 있으므로 부득이 유분을 많이 써야 하는 제품에 사용되어 유분 느낌을 다소 감소시키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지방산>
본 발명의 지방산은 화장료에 사용되는 불포화 지방산, 포화지방산을 포함한다. 예컨대, 팔미틴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라우릭 산(Lau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헵타노익산(Heptan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운데카노익산(Undecanoic Acid), 트리데카노익산(Tridecanoic Acid), 펜타데카노익산(Pentadecanoic Acid), 아라킨산(Arachidic Acid), 베헤틱산(Behen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이소스테아린산(Isostearic acid), 올레 산(Oleic acid), 리놀레 산(Linoleic acid), 리놀렌 산(Linolenic acid)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화제>
본 발명의 중화제는 지방산을 아미노기로 중화시키면서도, 피부 자극이 적고 무스제형의 형성능을 높인다. 상기 중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R1은 H, -CH3, -CH(CH3)2, -CH2CH(CH3)2, -CH(CH3)CH2CH3, -CH2OH, -CH(OH)CH3, -CH2COOH, -CH2CH2COOH, -(CH2)4NH2, -(CH2)3NH2,
Figure pat00008
, -CH2SH, -(CH2)2SCH3,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선택된다.]
상기 중화제는 2개의 탄소를 가지며, 아미노기(-NH2) 및 R1이 치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함유되는 중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로메타민(Tromethamine)과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과 같은 1차, 3차 아민 혹은 2차 아민보다 피부 자극성이 없으며, 무스제형에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하기 화학식 1에 치환되는 R1을 예시하여, 상기 중화제에 포함될 수 있는 화합물을 표 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중화제 화학식 R 1


L-아르기닌(Arginine)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글리신(Glycine)
Figure pat00016

-H


알라닌(Alanine)
Figure pat00017


-CH3


발린(Valine)
Figure pat00018


-CH(CH3)2


루신(Leucine)
Figure pat00019


-CH2CH(CH3)2



이소루신(Isoleusine)
Figure pat00020



-CH(CH3)CH2CH3


세린(Serine)
Figure pat00021


-CH2OH



트레오닌(Threonine)
Figure pat00022



-CH(OH)CH3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Figure pat00023


-CH2COOH


글루탐산(Glutamic acid)
Figure pat00024


-(CH2)2COOH

라이신(Lysine)
Figure pat00025

-(CH2)4NH2


오르니틴(Ornithine)
Figure pat00026


-(CH2)3NH2


시스테인(Cysteine)
Figure pat00027



-CH2SH


메티오닌(Methionine)
Figure pat00028


-(CH2)2SCH3


히스티딘(Histidine)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티록신(Tyrosine)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트립토판(Tryptophane)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본 발명의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중화제로 L-아르기닌(L-Arginin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산의 함량에 따라 중화제의 함량은 변화될 수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중화제는 0.4 ~ 3 중량% 함유될 수 있다. L-아르기닌은 모든 생물체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으로서 피부 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피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콜라겐 생합성에 중요한 요소인 L-프롤린(L-Proline)을 형성하는 전구체이며 피부 상처치료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중화제는 화산석 송이를 안정화하고 물, 폴리올, 점증제, 지방산이 혼합된 조성물을 중화시킴과 동시에, 이들 무스제형의 형성능을 완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중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중 중화제로 자주 사용되는 1차, 2차, 또는 3차 아민에 비하여 피부 자극이 적다. 여기서, 무스제형의 형성능이라 함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이 용기 밖으로 토출되었을 때, 쉽게 흘러내리지 않고, 일정한 점도를 가지면서 피부 접촉부위의 상면으로 부풀어 오르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물, 폴리올, 점증제,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른 분산 상태와 무스제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화산석 송이 0.5 ~ 10 중량%, 중화제 0.4 ~ 1중량%, 물 70 ~ 90 중량%, 폴리올 5 ~ 10 중량%, 점증제 0.5 ~ 4 중량%, 지방산 3 ~ 10 중량%이다.
화산석 송이가 0.5 중량% 미만이면, 피부 보습, 모공 축소, 세척, 항균 등의 효능, 효과가 떨어지고, 10 중량% 이상이면 화산석 송이가 유분을 흡착하는 성질이 커져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가 0.5 중량% 미만이면, 중화제로 L-아르기닌을 사용하더라도 원하는 무스제형의 형성능이 발현되기 어렵고, 4 중량% 이상이면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무스제형처럼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오히려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에 국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중화제를 제외한 물, 폴리올, 점증제, 화산석 송이, 지방산의 종류와 중량%는 동일하게 설정하고, 중화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첨가함으로써 무스제형의 형성능과 피부자극 정도를 비교하였다.
하기 표 2와 같은 함량으로 비교예와 실시예를 각각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수치는 정제수의 중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낸 수치이다.
구분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 중량 %
정제수 100 100 100 81.4
폴리올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3:7의
비율로 혼합
10.00 10.00 10.00 8.14
점증제 벤토나이트 2.00 2.00 2.00 1.6
화산석 송이 분쇄된
화산석 송이
3.00 3.00 3.00 2.44
지방산 스테아린산과
팔미트산을 6:4의
비율로 혼합
7.00 7.00 7.00 5.7


중화제
트로메타민
(Tromethamine)
0.65 0 0 -
트리에틸아민
(Triethylamine)
0 0.81 0 -
L-아르기닌 0 0 0.80 -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폴리올이 함유된 정제수와 지방산이 함유된 유상(Oil Phase)부를 표 2와 같은 함량으로 혼합한 뒤에 65℃ ~ 85℃로 온도를 가한다.
(2) 믹서를 사용하여 7,500rpm으로 교반하면서 유화시킨다.
(3) 점증제와 화산석 송이를 각각 첨가하고, 5,000rpm으로 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분산시킨다.
(4) 믹서의 회전속도를 3,000rpm으로 낮추고, 중화제를 서서히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30℃로 온도를 낮추어 실시예와 비교예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중화제는 다가 알코올기를 갖는 1차 아민인 트리에틸아민이고, 비교예 2의 중화제는 3차 아민인 트리에틸아민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화제로서 L-아르기닌이다. (4)에서는 최종 획득되는 비교예,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모두 동일한 중화율을 가질 때까지, 중화제를 서서히 투입한다.
<실험예 1- 무스제형 형성능>
도 1은 비교예와 실시예의 무스제형 형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체 피부 표면에 토출한 후, 형성능과 흘러내림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비교예 1은 중화제로 트리메타민을 사용한 경우로서 토출시 부풀어 오르는 형성능이 거의 없고, 도포 후 쉽게 흘러 내리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비교예 2는 중화제로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한 경우로서 토출시 부풀어 오르는 형성능이 비교예 1보다는 조금 향상된 것으로 보이나, 역시 도포 후 쉽게 흘러 내리는 것에는 비교예 1과 큰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화제로 L-아르기닌을 사용한 경우이고, 토출시 부풀어 오르는 형성능뿐만 아니라, 도포 후 피부 표면상에서 전혀 흘러 내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화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중화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무스제형의 형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자극 정도>
실험예 1의 형성능 관찰 후, 피부 표면에 균일하게 펴 발라 피부 자극 정도를 관능평가 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패널 대상자 10명에게 각각 사용하게 한 후, 자극을 느끼는 패널 대상자 수를 확인한 결과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피부 자극을 느낀
패널 대상자 수

3

6

없음
실험예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비교예 2가 비교예 1보다 형성능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는 있으나, 피부 자극이 강한 것을 실험예 2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형성능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을 느낀 패널 대상자가 전혀 없었다.
<실험예 3- 오염원 제거능>
도 2는 실시예의 화산석 송이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무스제형으로 토출 된 후, 고르게 분산되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본 실험에서는 피부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미세먼지 대신에 미세먼지와 유사한 입자크기를 갖고 있으나 피부에 무해한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피부에 도포하여 진행하였다. 도 2의 A는 미세먼지 입자와 같은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피부 표면에 도포한 이미지이다. 도 2의 B는 카본블랙을 피부에 도포한 후 화산석 송이를 포함한 무스 에어로졸을 피부에 도포하고 10분 방치한 후, 흐르는 물로 씻어낸 후의 피부 표면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무스제형으로 토출된 후, 조밀한 폼(Foam)을 유지함에 따라, 피부 표면에 쌓인 카본블랙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결과로부터 피부 오염원 중 하나인 미세먼지의 제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화산석 송이(Scoria)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중화제로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37

    [R1은 H, -CH3, -CH(CH3)2, -CH2CH(CH3)2, -CH(CH3)CH2CH3, -CH2OH, -CH(OH)CH3, -CH2COOH, -CH2CHCOOH, -(CH2)4NH2, -(CH2)3NH2,
    Figure pat00038
    , -CH2SH, -(CH2)2SCH3,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아르기닌(Argin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루신(Leucine), 이소루신(Isoleucine), 세린(Serine), 트레오닌(Threon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라이신(Lysine), 오르니틴(Ornithine),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 히스티딘(Histid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록신(Tyrosine), 트립토판(Tryptophane)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L-아르기닌(L-Arginine)이고,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4 ~ 3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석 송이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물, 폴리올, 점증제, 지방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석 송이는 0.5 ~ 10 중량%, 상기 중화제는 0.4 ~ 1중량%, 상기 물은 70 ~ 90 중량%, 상기 폴리올은 5 ~ 10 중량%, 상기 점증제는 0.5 ~ 4 중량%, 상기 지방산은 3 ~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점증제는 벤토나이트(Bentonite)이고,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릭산(Stea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30819A 2015-03-05 2015-03-05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6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819A KR102164102B1 (ko) 2015-03-05 2015-03-05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US15/555,840 US20180036217A1 (en) 2015-03-05 2016-02-25 Mousse-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coria
PCT/KR2016/001876 WO2016140467A1 (ko) 2015-03-05 2016-02-25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CN201680019171.6A CN107427432B (zh) 2015-03-05 2016-02-25 含有火山石渣的摩丝剂型化妆品组合物
TW105106219A TWI694840B (zh) 2015-03-05 2016-03-02 包含火山渣的慕斯形式的化妝品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819A KR102164102B1 (ko) 2015-03-05 2015-03-05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705A true KR20160107705A (ko) 2016-09-19
KR102164102B1 KR102164102B1 (ko) 2020-10-12

Family

ID=5684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819A KR102164102B1 (ko) 2015-03-05 2015-03-05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36217A1 (ko)
KR (1) KR102164102B1 (ko)
CN (1) CN107427432B (ko)
TW (1) TWI694840B (ko)
WO (1) WO20161404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69A (ko) *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스형의 메이크업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471B1 (ko) * 2015-09-30 2023-11-06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424A (ko) * 2008-01-15 2009-07-20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441A (ko)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001A (ja) * 1988-06-27 1990-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化粧材
FR2837697B1 (fr) * 2002-03-28 2005-01-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moussante ; utilisations pour le nettoyage ou le demaquillage
ES2393761T3 (es) * 2006-07-14 2012-12-27 Stiefel Research Australia Pty Ltd Espuma farmacéutica de ácido graso
CA2685534A1 (en) * 2007-04-30 2008-11-06 Living Proof, Inc. U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in skin care
KR100893648B1 (ko) * 2007-12-21 2009-04-17 이정순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EP2381918A2 (en) * 2009-01-16 2011-11-02 Neocutis SA Calcium sequest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skin pigmentation disorders and conditions
US20110240050A1 (en) * 2010-04-01 2011-10-06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fatty acid, arginine, and a co-emulsifier
EP2394703B1 (de) * 2010-06-14 2015-12-23 Symrise AG Kühlmischungen mit verstärkter Kühlwirkung von 5-Methyl-2-(propan-2-yl)cyclohexyl-N-ethyloxamat
KR20120021766A (ko) * 2010-08-16 2012-03-09 전용진 아산지역 온천수를 이용한 피부보습용 액정형 크림
KR20120043254A (ko) * 2010-10-26 2012-05-04 주식회사 콧데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US8481093B2 (en) * 2010-12-17 2013-07-09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Lilium candidum extract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424A (ko) * 2008-01-15 2009-07-20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441A (ko)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69A (ko) *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스형의 메이크업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7432B (zh) 2021-04-06
WO2016140467A1 (ko) 2016-09-09
US20180036217A1 (en) 2018-02-08
TWI694840B (zh) 2020-06-01
KR102164102B1 (ko) 2020-10-12
CN107427432A (zh) 2017-12-01
TW201642829A (zh)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8611A (ko) 자가 발포 기능을 갖는 클렌징용 마스크시트형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ES2692820T3 (es) Producto cosmético de filtro solar
CN1253144C (zh) 基于脂肪醇和烷基多苷的乳化组合物
JP3894064B2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法
CN1328817A (zh) 固体油包水型乳剂化妆品组合物
DE102016225659A1 (de) Wasserfreie Deodorantzusammensetzungen mit Absorberkombination II
CN109195668A (zh) 微粒状有机uv吸收剂组合物
KR101489701B1 (ko) 재분산형 분말 분산 화장료
CN104257513A (zh) 化妆品、其制造方法、化妆品用组合物、含有所述化妆品用组合物的化妆品及其制造方法、以及工业用清洁剂
EP2832345B1 (en) Cosmetic composition
KR20160107705A (ko)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JPH10226615A (ja) アスパラギン酸フェニルアラニン環状ジペプタイド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961852B1 (ko)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JP6292230B2 (ja) ゲル化剤
EP3192493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containing same
KR20170122677A (ko) 폴리다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광 안정화용 조성물
KR101887048B1 (ko)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US2023003324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decontamination
JP6552270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4284964A (ja) 固形洗浄剤
JP7202787B2 (ja) 入浴剤組成物および香料の揮散持続方法
JP2003212750A (ja) ゲル組成物および乳化組成物
JPH08119853A (ja) 白濁入浴剤
JP2015000855A (ja) 粉末固型化粧料の製造方法及び粉末固型化粧料
CN111225656B (zh) 微尘阻隔用化妆料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