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613A -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613A
KR20160107613A KR1020150030583A KR20150030583A KR20160107613A KR 20160107613 A KR20160107613 A KR 20160107613A KR 1020150030583 A KR1020150030583 A KR 1020150030583A KR 20150030583 A KR20150030583 A KR 20150030583A KR 20160107613 A KR20160107613 A KR 2016010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water
spring water
empt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553B1 (ko
Inventor
신용성
Original Assignee
(주)현대 와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 와코텍 filed Critical (주)현대 와코텍
Priority to KR102015003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5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통 세척 및 생수 충진 과정이 자동화되도록 하되, 장치를 소형화하여 소자본으로도 생수 제조 업체 설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거점마다 생수 제조 업체가 용이하게 설립되어 생수 유통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에 과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구름수단이 설치된 본체;상기 본체의 입구 후방에 마련된 세척실;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을 잡아 상기 세척실로 뒤집어 반전시키는 반전부;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름수단을 향해 승강되는 승강부;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구름수단을 따라 이동된 빈 생수통에 생수를 충진하는 충진노즐;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생수통 마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를 따라 생수통 마개가 자유 낙하되도록 슬라이드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부와, 경사부를 따라 낙하된 생수통 마개가 빈생수통의 주둥이에 대응되도록 한 토출구를 포함하는 마개 공급부;상기 구름수단의 끝에 설치되어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을 출구밖으로 밀어내는 푸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A portable small automatic water filling apparatus with wash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통 세척 및 생수 충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 산업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수질의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각종 공장으로부터 산업폐수나 가정의 생활하수로부터 오염된 물들은 하천으로 방류되거나 수 처리시설로 모아서 처리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으나 이들 모두를 온전하게 정화 처리할 수 없는 것이어서 하천과 지하수의 오염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으로 인하여 지하수를 막론하고 곧바로 취음할 수 있는 물이 고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체는 80% 이상이 물로 구성되어 있어서,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여야 하는데, 오염되지 않고 미네랄이 풍부한 깨끗한 물을 장기적으로 마신다는 것은 곧 인체의 건강을 좌우하는 지름길이 되는 것이다.
심지어 각 가정에서 매일 섭취하는 수돗물 역시 낡은 수도관 등으로 인하여 매우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어서 각 가정에서는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돗물을 끓여서 먹고 있는 실정으로 수돗물 속에 정화 처리한 약품냄새와 수도관의 부식이나 오염 등으로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는 건강을 중요시하는 사회분위기가 성숙되면서 깨끗하면서도 건강한 물을 찾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수돗물보다는 정수물, 자연수 등과 같은 기능성 생수에 대한 선호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는 용량에 따라 다양한 곳에서 음용 되고 있으며, 회사 및 음식점, 관공서에서는 물론 가정에서도 사용하는 곳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생수는 정수된 물에 비해 미네랄 등의 몸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양한 용기가 제공되므로 휴대 및 사용의 편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생수는 자동화된 대형 생수공장에서 자동으로 충진 및 포장이 이루어진 후 각 대리점 및 지역본부로 운송된 후 사용처에 배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소비된 빈 생수통은 다시, 배달업자 및 재활용업체로부터 수거된 후 대형 생수공장으로 보내져 세척된 후 새로운 생수가 충진되어 다시 유통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생수 유통 시스템은 대형 생수공장을 통해 생수제조가 이루어지고 각 지역 거점을 통해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는바, 이는 유통비용을 증가시켜 생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의 대형 생수공장에서만 생수제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생수공장을 운영하기 위한 자본의 제약이 심해 소자본으로는 생수제조업체 창업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32913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수통 세척 및 생수 충진에 이르기까지 라인을 자동화하되, 구성을 간소화하고 장비 전체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함으로써 생수제조 및 유통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구름수단이 설치된 본체;상기 본체의 입구 후방에 마련된 세척실;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을 잡아 상기 세척실로 뒤집어 반전시키는 반전부;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름수단을 향해 승강되는 승강부;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구름수단을 따라 이동된 빈 생수통에 생수를 충진하는 충진노즐;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생수통 마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를 따라 생수통 마개가 자유 낙하되도록 슬라이드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부와, 경사부를 따라 낙하된 생수통 마개가 빈생수통의 주둥이에 대응되도록 한 토출구를 포함하는 마개 공급부;상기 구름수단의 끝에 설치되어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을 출구밖으로 밀어내는 푸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생수 제조에 대한 자동화 시설이 소형화됨으로써, 각 거점에서 소자본으로도 생수제조 공장을 설립할 수 있으므로 유통비용 및 생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생수가 많이 소비되는 호텔이나 콘도 등의 대형 숙박시설 및 학교에 직접 설치되어 생수 공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의 세척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의 반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의 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의 방향전환부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는 생수 제조를 위한 시설을 소형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소자본으로도 생수 제조 공장을 설립할 수 있으므로, 각 거점에서 생수 제조 공장을 소규모로 직접 운영할 수 있어 생수 원가 절감 및 소자본 창업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는 정수장비 및 차량 등에 탑재되어 이동이 가능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설치 장소에 제한을 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세척실(200)과, 반전부(300)와, 승강부(400)와, 충진노즐(500)과, 마개 공급부(600)와, 마개 압착부(700)와, 푸싱부(800)와, 방향전환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금속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0)의 일측에는 빈생수통(B)이 본체(100) 내부로 투입되는 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본체(100)의 타측에는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WB)이 본체(100)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입구 및 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되며, 적어도 출구 측의 도어는 센싱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푸싱부(800)에 의해 생수통(WB)이 본체(100) 밖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출구 측 도어가 닫혀있다면 생수통(WB)이 도어에 막혀 장비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체(100)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구름수단(110)이 설치된다.
즉, 구름수단(110)은 빈생수통(B)이 충진된 후, 마개가 패킹되어 본체(100)의 출구 측에 이르기까지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름수단(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111)로 구성되되, 출구측에는 자유 구름되는 복수의 롤러(11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콘베이어(111)의 양측에는 빈생수통(B)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몸체 가이드부(12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몸체 가이드부(120)는 콘베이어(111)를 따라 빈생수통(B)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방향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충진노즐(500) 및 마개 공급부(600)의 토출구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0)의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입구 및 출구로 안내되는 콘베이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콘베이어를 통해 빈생수통(B)은 입구로 자동 운반되고, 생수가 채워진 생수통(WB)은 콘베이어를 통해 출구 밖으로 자동 토출되어 생수 제조 공정의 완전 자동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세척실(200)은 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B)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의 후방에 마련된다.
세척실(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측을 향해 개구되며 빈생수통(B)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세척실(200)은 도어(210)와, 세척 노즐(220)과, 지지패널(230)과, 압착바(240)와, 분사부(250)를 포함한다.
도어(210)는 세척실(200)에서 생수통(B)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안 세척수가 세척실(200)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후술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세척 노즐(220)은 빈생수통(B)의 내부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며, 세척실(2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세척 노즐(220)은 세척실(200)의 하부에서 상방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세척실(200)에서 뒤집힌 빈생수통(B)의 내부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패널(230)은 세척실(200) 내로 뒤집혀 배치되는 빈생수통(B)의 주둥이를 지지하여 빈생수통(B)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세척 노즐(220)의 상방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패널(230)은 세척실(200) 내에서 승강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수통의 사이즈(용량)에 따라 지지패널(23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함인데, 사이즈가 비교적 큰 5갤런 생수통의 경우에는 지지패널(230)이 세척실(200)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3갤런 생수통의 경우에는 지지패널(230)이 세척실(20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세척실(200)로의 빈생수통(B)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패널(2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B)의 주둥이가 위치될 수 있는 지지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착바(240)는 지지패널(230)에 뒤집혀 배치된 빈생수통(B)의 저면을 압착하는 역할을 하며, 세척실(200)의 상부에서 세척실(200) 공간을 향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즉, 압착바(240)는 지지패널(230)과 함께 세척실(200)에 뒤집혀 있는 빈생수통(B)을 지지함으로써 생수통(B)이 세척되는 동안 수압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바(240)는 승강봉(241)과, 누름부(242)와, 완충스프링(243)을 포함한다.
승강봉(241)은 세척실(200) 외부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며, 누름부(242)는 원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누름부(242)는 평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완충 스프링(243)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빈생수통(B)의 저면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완충스프링(243)으로 하여금 압착력을 완충시켜 생수통(B)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분사부(250)는 세척실(200)에 배치된 빈생수통(B)의 외부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며, 세척실(200)의 내측면에 복수로 설치된다.
즉, 세척 노즐(220)은 빈생수통(B)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분사부(250)는 빈생수통(B)의 외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빈생수통(B)을 세척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반전부(300)는 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B)을 잡아 세척실(200)로 반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세척실(200) 전방에 설치된다.
반전부(300)는 세척실(200)과 본체(100)의 콘베이어(111)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실(200)과 콘베이어(111) 사이를 번갈아가며 회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와, 구동모터(320)와, 파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에는 반전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며, 구동모터(3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척실(200)과 콘베이어(111) 사이를 오간다.
그리고, 파지부(330)는 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B)을 파지하며, 몸체(3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파지부(330)는 생수통(B)의 둘레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 작용에 의해 벌어졌다 오므라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충진노즐(500)과 마개 공급부(600)를 빈생수통(B)의 주둥이에 대응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체(100)의 상부에서 하방의 콘베이어(111)를 향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수통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생수통의 사이즈에 따라 생수통 주둥이의 높이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승강부(400)는 콘베어(111)를 향해 승강되면서 충진노즐(500)과 마개 공급부(600)를 생수통의 주둥이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한편, 승강부(400)의 하부에는 주둥이 가이드부(41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주둥이 가이드부(410)는 콘베이어(111)를 따라 이동되는 빈생수통(B)의 주둥이를 가이드 하여 후술하는 충진노즐(500) 및 마개 공급부(600)의 토출구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생수통의 주둥이 직경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충진노즐(500)은 빈생수통(B)에 생수를 충진하는 역할을 하며, 승강부(400)에 설치된다.
즉, 충진노즐(500)은 승강부(400)를 따라 승강되면서 빈생수통(B)의 주둥이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생수탱크 또는 정수시스템에 연결되어 생수를 빈생수통(B)의 내부에 주입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마개 공급부(600)는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WB)의 주둥이에 마개(600a)를 덮어씌우는 역할을 하며, 승강부(400)에 설치된다.
마개 공급부(600) 역시 승강부(400)를 따라 승강되면서 생수통(WB)의 주둥이 위치에 대응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마개(600a)가 연이어 공급될 수 있도록 관로를 형성한다.
마개 공급부(600)는 투입구(610)와, 경사부(620)와, 토출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입구(610)는 복수의 마개(600a)가 경사부(620) 내로 투입되는 개구부이며, 대응홈(611)을 형성한다.
대응홈(6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61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홈으로써, 마개(600a)의 돌출부(600b)가 대응되는 구성이다.
즉, 생수통의 마개(600a)는 생수통의 주둥이로부터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600b)가 형성되는데, 상기 대응홈(611)이 형성됨으로써 투입구(610)에 마개(600a)가 투입될 때 마개(600a)의 방향이 가이드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사부(620)는 복수의 마개(600a)들이 연이어 공급될 수 있도록 관로 즉, 슬라이드 공간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복수의 마개(600a)들이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되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경사부(620)의 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621)이 형성된다.
가이드공(621)은 상기한 마개(600a)의 돌출부(600b)가 배치되어 경사부(620)를 따라 자유 낙하시, 마개(600a)의 이동 방향이 변환되지 않고 투입구(610)에 투입된 방향 그대로 가이드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토출구(630)는 경사부(620)를 통해 낙하된 마개(600a)가 토출되는 구성이며, 토출구(630)의 위치는 주둥이 가이드(410)의 단부에 대응된다.
이때, 토출구(630)의 양측에는 텐션을 갖는 텐션부(63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텐션부(631)는 마개(600a)가 토출구(630)를 통해 낙하되지 않도록 임시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임의의 힘에 의해 양쪽으로 벌어지는 재질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부(620)의 내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6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622)은 마개(600a)와 경사부(620) 내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계수를 줄임으로써, 마개(600a)의 자유 낙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레일(622)은 경사부(620)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복수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마개 압착부(700)는 마개(600a)가 씌워진 생수통(WB)의 상기 마개(600a)를 상방에서 눌러 압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체(100)의 출구 측 상방에 설치된다.
마개 압착부(700)는 승강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수통 주둥이의 상부에 씌워진 마개(600a)의 상면을 누를 수 있는 압착편(710)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푸싱부(800)는 생수가 충진되고 마개(600a)가 밀봉된 생수통(WB)을 본체(100)의 출구 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며, 본체(100) 출구의 후방에 설치된다.
푸싱부(800)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실린더 동작에 의해 롤러(112)에 위치된 생수통(WB)을 출구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방향 전환부(900)는 롤러(112)에 위치된 생수통(WB)의 진행 방향을 출구 측으로 변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향 전환부(9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2)의 하부에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롤러(112)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감싸는 채널부(910)와, 채널부(910)의 양측에 설치된 이동바퀴(920)와, 실린더(930)를 포함한다.
채널부(910)는 실린더(930)에 의해 상승되어 롤러(112) 위에 위치된 생수통(WB)을 상방으로 분리시키며, 이동바퀴(920)는 롤러(112)의 구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르도록 설치되어 생수통(WB)의 구름 진행 방향을 출구 측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생수통(WB)의 진행 방향 전환시, 방향 전환을 위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장치 전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센서(S)는 생수 충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의 각 구성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수통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S)는 제1센서(S1)와, 제2센서(S2)와, 제3센서(S3)로 구성된다.
제1센서(S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111)와 세척실(200) 사이에 설치되어 입구를 통해 콘베이어(111)로 유입된 생수통(B)을 감지함으로써 세척실(200)에 위치되어 있던 반전부(300)를 작동시켜 상기 생수통(B)을 세척실(200)로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제2센서(S2)는 콘베이어(111)를 따라 이동되는 생수통(B)의 주둥이를 감지하여, 충진노즐(500)이 주둥이 입구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주둥이 가이드부(41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제2센서(S2)는 주둥이 가이드부(410)를 따라 이동되는 생수통(B)의 주둥이가 충진노즐(500)에 대응되면, 콘베이어(11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충진노즐(500)을 통해 빈생수통(B)의 내부로 생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제3센서(S3)는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WB)이 출구 밖으로 배출되기 위해 롤러(112)에 도착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마개 압착부(700) 및 푸싱부(80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체(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송풍팬(F)은 본체(100)의 내부 즉, 생수 충진이 이루어지고 생수통이 이동되는 공간에 바람을 송풍하여 본체(100) 내부에 양압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송풍팬(F)을 통해 본체(100) 내부에 양압이 발생됨으로써, 본체(100)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송풍팬(F)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F)에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는 송풍팬(F)에 의해 흡입되는 외기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필터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헤파(HEPA) 필터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장치의 동작은 PLC 프로그래밍된 컨트롤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데, 상기 자동제어와 관련된 내용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마개 공급부(600)의 투입구(610)를 통해 복수의 마개(600a)를 투입하며, 투입된 마개(600a)는 경사부(620)의 관로를 따라 자유 낙하되어 충진된다.
이때, 마개(600a)는 레일(622)에 접촉되어 하강되므로 경사부(620) 내측면과의 마찰계수가 줄어 원활한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마개(600a)의 돌출부(600b)는 대응홈(611) 및 가이드공(621)을 따라 가이드 되므로, 복수의 마개(600a) 방향성은 모두 동일하게 된다.
한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컨트롤부를 통해 생수통의 사이즈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세척실(200)의 지지패널(230) 및 승강부(400)는 생수통 사이즈에 맞게 위치가 가변된다.
또한, 송풍팬(F)이 동작됨에 따라, 본체(100) 내부에는 양압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빈생수통(B)을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빈생수통(B)은 콘베이어(미도시)를 통해 자동으로 유입될 수도 있으며, 운영자가 직접 본체(100)의 내부로 들여보낼 수도 있다.
이때, 제1센서(S1)는 빈생수통(B)을 감지하고, 컨트롤부로 하여금 세척실(200)에 있던 반전부(300)를 회전하여 빈생수통(B)을 파지하도록 한다.
이때, 반전부(300)의 파지부(330)는 실린더 작용에 의해 오므라지면서 빈생수통(B)의 외측면을 압착하고, 구동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몸체(3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빈생수통(B)은 뒤집힌 상태로 세척실(200)에 배치된다.
이때, 빈생수통(B)의 주둥이는 지지패널(230)의 지지공(231)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패널(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부에 의해 입력된 빈생수통(B)의 사이즈에 따라 승강되면서 세척실(200) 하부 또는 세척실(200) 상부에 위치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후, 세척실(200)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가 동작하여 뒤집힌 빈생수통(B)의 저면을 압착바(240)가 압착시킨다.
즉, 승강봉(241)이 하강되어 누름부(242)로 하여금 빈생수통(B)의 저면을 압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완충스프링(243)의 완충작용에 의해 빈생수통(B)이 파손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실(200)에 빈생수통(B)이 고정되면, 반전부(300)는 회전되어 본체(100) 측으로 위치된다.
이후, 세척실(200)의 도어(210)는 이동하여 세척실(200)을 폐쇄시킨다.
이후, 세척 노즐(220) 및 분사부(25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며, 상기 세척수는 빈생수통(B)의 내부 및 빈생수통(B)의 외부를 세척시킨다.
다음으로, 세척이 완료되면, 도어(210)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반전부(300)는 동작하여 세척실(200)의 빈생수통(B)을 콘베이어(111)에 원위치시킨다.
이때, 세척이 완료된 후에라도, 반전부(300)의 동작 시간은 약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 제어에 관한 문제인데, 상기와 같이 반전부(300) 동작에 대한 시간을 수 초간 지연시킴으로써 빈생수통(B) 내부의 잔수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세척이 완료된 빈생수통(B)이 콘베이어(111)에 원위치되면, 콘베이어(111)는 동작하여 상기 빈생수통(B)을 이동시킨다.
이때, 빈생수통(B)의 몸체는 몸체 가이드부(120)에 가이드 되고, 빈생수통(B)의 주둥이는 주둥이 가이드부(410)에 가이드 된다.
이때, 승강부(400) 역시 세척실(200)의 지지패널(230)과 마찬가지로 컨트롤부에 입력된 빈생수통(B) 사이즈에 따라 승강되어 빈생수통(B)의 주둥이 위치에 대응된다.
한편, 주둥이 가이드부(410)를 따라 이동되는 주둥이는 제2센서(S2)에 의해 감지되고, 콘베이어(111)는 멈추게 된다.
이때, 주둥이 위치는 승강부(400)에 설치된 충진노즐(500)에 대응되며, 충진노즐(500)을 통해 생수탱크 또는 정수시스템으로부터 빈생수통 내부로 생수가 주입된다.
이후, 생수 주입이 완료되면, 콘베이어(111)는 재동작 되고, 마개 공급부(600)의 토출구(630)를 향해 이동된다.
이때, 생수통(WB)은 마개 공급부(600)의 텐션부(631)에 걸려 있는 마개(600a)의 돌출부(600b)를 간섭하면서 진행하게 되므로, 생수통(WB)의 진행하는 힘에 의해 텐션부(631)는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마개(600a)는 낙하되어 주둥이의 개구부를 덮어씌우게 된다.
이후, 생수통(WB)은 이동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2)에 위치되며, 제3센서(S3)에 의해 감지된다.
이후, 마개 압착부(700)의 압착편(710)은 하강하여 상기 마개(600a)를 눌러 주둥이에 압착시킴으로써 생수통(WB)의 마개 패킹이 완료된다.
이후, 방향전환부(900)의 실린더(930)가 동작하여 채널부(910)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WB)은 이동바퀴(920)에 안착되므로, 생수통(WB)의 구름 방향은 변환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채널부(910)가 상승됨과 동시에 출구 측의 도어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푸싱부(800)가 동작하여 생수통(WB)을 출구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생수 자동화 충진이 완료된다.
이때, 생수통(WB)은 출구 밖에 설치된 콘베이어(111)를 통해 이동되며, 정해진 위치에 도착되면 작업자에 의해 별도의 공간에 적재된다.
이로써, 빈생수통이 세척되고 생수가 자동 충진되어 배출되기까지의 자동화 과정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는 생수 충진 및 생수통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구성을 간소화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소자본으로 생수 공장 설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각 지역 거점마다 소형 생수 공장이 설립될 수 있으므로 생수 유통 비용을 절감하여 생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수 장비와 함께 차량 등의 운반수단을 통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을 덜 받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구름수단
111 : 콘베이어 112 : 롤러
120 : 몸체 가이드부 200 : 세척실
210 : 도어 220 : 세척 노즐
230 : 지지패널 231 : 지지공
240 : 압착바 241 : 승강봉
242 : 누름부 243 : 완충 스프링
250 : 분사부 300 : 반전부
310 : 본체 320 : 구동모터
330 : 파지부 400 : 승강부
410 : 주둥이 가이드부 500 : 충진노즐
600 : 마개 공급부 600a : 마개
600b : 돌출부 610 : 투입구
611 : 대응홈 620 : 경사부
621 : 가이드공 622 : 레일
630 : 토출구 631 : 텐션부
700 : 마개 압착부 710 : 압착편
800 : 푸싱부 900 : 방향 전환부
920 : 이동바퀴 930 : 실린더
B : 빈생수통 WB : 충진된 생수통
S1 : 제센서 S2 : 제센서
S3 : 제3센서 F : 송풍팬

Claims (9)

  1.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구름수단이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입구 후방에 마련된 세척실;
    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을 잡아 상기 세척실로 뒤집어 반전시키는 반전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름수단을 향해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구름수단을 따라 이동된 빈 생수통에 생수를 충진하는 충진노즐;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생수통 마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를 따라 생수통 마개가 자유 낙하되도록 슬라이드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부와, 경사부를 따라 낙하된 생수통 마개가 빈생수통의 주둥이에 대응되도록 한 토출구를 포함하는 마개 공급부;
    상기 구름수단의 끝에 설치되어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을 출구밖으로 밀어내는 푸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은,
    세척실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세척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뒤집힌 빈생수통의 주둥이를 통해 빈생수통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노즐;
    상기 세척 노즐의 상방에 설치되되 승강되며, 뒤집힌 빈생수통의 주둥이를 지지하는 지지패널;
    상기 세척실의 상부에서 세척실 공간을 향해 승강되며, 지지패널에 뒤집혀 지지된 빈생수통의 저면을 압착하는 압착바;
    상기 세척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빈생수통의 외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바는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봉과, 승강봉의 단부에 설치되어 빈생수통의 저면을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빈생수통에 전달되는 누름 압력이 완충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를 통해 유입된 빈생수통을 감지하여 반전부를 동작시키는 제1센서;
    구름수단을 따라 이동된 빈생수통을 감지하여 빈생수통의 주둥이가 충진노즐에 대응되도록 구름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센서;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이 출구측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생수통이 출구밖으로 배출되도록 푸싱부 동작을 제어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하강하여 생수가 충진된 생수통의 마개를 생수통의 주둥이에 압착시키는 마개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 중, 출구 측의 구름수단에는 상기 구름수단보다 높게 상승되면서 구름방향을 출구 밖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수통 마개의 일측에는 생수통 마개의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 공급부의 투입구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대응홈이 형성되고, 경사부의 저면에는 생수통 마개가 낙하되는 과정에서 돌출부가 가이드 되도록 경사부의 저면을 따라 가이드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에는 생수통 마개의 낙하시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해, 경사부의 공간을 향해 돌출된 레일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본체의 내부 공간에 양압이 발생하도록 하여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송풍팬이 더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에는 헤파필터가 설치되어 송풍팬을 통해서도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KR1020150030583A 2015-03-04 2015-03-04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KR10178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83A KR101785553B1 (ko) 2015-03-04 2015-03-04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83A KR101785553B1 (ko) 2015-03-04 2015-03-04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13A true KR20160107613A (ko) 2016-09-19
KR101785553B1 KR101785553B1 (ko) 2017-10-17

Family

ID=5710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83A KR101785553B1 (ko) 2015-03-04 2015-03-04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813A (zh) * 2017-11-05 2018-03-16 安徽康乐机械科技有限公司 高效率开盖机
CN109987268A (zh) * 2019-05-10 2019-07-09 赖秋霞 一种用于物流的智能封箱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715B1 (ko) * 2019-07-23 2020-01-10 주식회사 토모 자동 생수 충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31Y1 (ko) 2003-06-09 2003-10-08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유체 자동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122Y1 (ko) * 2004-05-18 2004-08-05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회전식 유체 자동 포장장치
JP2012017137A (ja) * 2010-07-09 2012-01-26 Astech Engineering:Kk 容器処理装置
JP5998539B2 (ja) * 2012-03-12 2016-09-28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洗浄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31Y1 (ko) 2003-06-09 2003-10-08 주식회사 디마퓨어텍 유체 자동 포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813A (zh) * 2017-11-05 2018-03-16 安徽康乐机械科技有限公司 高效率开盖机
CN107804813B (zh) * 2017-11-05 2019-09-10 安徽康乐机械科技有限公司 高效率开盖机
CN109987268A (zh) * 2019-05-10 2019-07-09 赖秋霞 一种用于物流的智能封箱装置
CN109987268B (zh) * 2019-05-10 2019-12-13 赖秋霞 一种用于物流的智能封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553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359B1 (ko) 휴대폰 자동 세척장치
KR101785553B1 (ko) 이동식 생수 충진 자동화 소형장치
CN109867250B (zh) 一种桶装水全自动灌装系统
CN108903651B (zh) 人工智能无人水吧
WO2018144604A1 (en) Animal treadmill and waste disposal apparatus
CN207188404U (zh) 一种塑料瓶清洗装置
WO2008022068A3 (en) Apparatus for cleaning paint rollers
CN217260778U (zh) 一种防溅漏且可对瓶口进行清洁的饮料灌装装置
CN102874732B (zh) 一种饮料分取机饮料出口清洗装置
JP5877522B2 (ja)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EP3136920B1 (en) A device for cleaning hands
CN105411355B (zh) 自助榨汁机
CN112998520A (zh) 会议用多功能清洗泡茶一体机
CN203938464U (zh) 一种罐装瓶自动清理线
KR102064715B1 (ko) 자동 생수 충진 시스템
KR100837222B1 (ko) 컵 자동 세척기
WO2022144041A1 (zh) 一种用于皂液瓶的送料机构
CN211242871U (zh) 人工智能无人水吧
CN204683005U (zh) 酒柜
CN211538881U (zh) 一种试管清洗装置
CN204817385U (zh) 一种酒瓶清洗机
CN113148927A (zh) 一种无人全自动化现场灌装鲜啤的自助售卖机
CN206880544U (zh) 具有杀菌消毒功能的红外吸管机
US20170065145A1 (en) Automatic washer for receptacles
CN202181206U (zh) 一种饮料分取机饮料出口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