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93A -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93A
KR20160107493A KR1020150030290A KR20150030290A KR20160107493A KR 20160107493 A KR20160107493 A KR 20160107493A KR 1020150030290 A KR1020150030290 A KR 1020150030290A KR 20150030290 A KR20150030290 A KR 20150030290A KR 20160107493 A KR20160107493 A KR 2016010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ir
temperature change
measur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836B1 (ko
Inventor
성재용
유경하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8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12
    • F24F11/0034
    • F24F11/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24F2011/0026
    • F24F2011/006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인원에 최적화된 최소의 외기 도입량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은, 급기 장치; 배기 장치; 풍량 측정 장치; 재실인원 감지 장치; 제1 이산화탄소 센서;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 및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대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상기 제1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상기 풍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인원에 해당하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상기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활동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CO2의 예상값과 상기 외기 도입량을 재 연산한다.

Description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of using temperature change rate information}
본 발명은 오피스, 오피스텔, 호텔, 병원, 백화점, 영화관, 극장, 도서관, 콘서트홀, 체육관 등을 제어하는 빌딩 자동제어시스템 중 공조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자동제어스템은 빌딩이 대형화되고 고급화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각종 설비들, 즉 공조설비, 전기, 방재, 방범, 통신 설비 등을 중앙 통제 센터에서 감시하며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중, 공조 제어는, 덕트, 덕트를 여닫는 댐퍼, 덕트에 유속을 만드는 송풍팬, 그리고 송풍팬과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 공조설비를 이용하여 실내로 외부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의 오염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공조 제어는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빌딩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즉, 빌딩 관리자가 별도로 마련된 공조설비의 제어장치에 값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중앙 통제 센터에 제어신호를 보내 공조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빌딩 관리자는, 실내의 법정 CO2 기준(1,000ppm)를 맞추기 위해 실내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실내 허용 인원인 최대 인원을 기준으로 외기 도입량을 공조설비의 제어장치에 입력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는 허용하는 최대 인원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하의 인원이 일반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최대 인원을 기준으로 외기 도입량을 설정하는 것은 과도한 외부 공기의 도입으로 실내의 온도에 영향을 미쳐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절기(6, 7, 8월)의 경우, 실내 법정온도가 26℃인 반면 실제 실외온도가 대략 31.2℃이므로 만약 외기 도입량이 많게 되면 위 실내 법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공조시설의 일 구성인 에어컨의 가동 부하를 불필요하게 높여야 하고, 동절기(12, 1, 2월)의 경우 실내 법정온도가 20℃이지만 실제 실외온도가 대략 -12.4℃이므로 만약 외기 도입량이 많게 되면 위 실내 법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공조시설의 일 구성인 난방기의 가동 부하를 불필요하게 높여야 하므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내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인원에 최적화된 최소의 외기 도입량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제어하기 위해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으로, 상기 실내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 장치;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 장치; 상기 급기 장치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도입량을 측정하는 풍량 측정 장치; 상기 실내에 구비되어 재실인원을 감지하는 재실인원 감지 장치; 상기 배기 장치에 구비되어 CO2 값을 측정하는 제1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실내의 온도변화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 및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대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상기 제1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상기 풍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인원에 해당하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상기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활동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CO2의 예상값과 상기 외기 도입량을 재 연산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 인원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맞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부; 및 상기 제1 연산부에서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대한 CO2의 예상값을 연산하는 제2 연산부; 상기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이 기준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온도변화율이 상기 기준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외기 도입량과 상기 CO2의 예상값을 재 연산하는 제3 연산부; 상기 제3 연산부에서 연산된 CO2의 예상값과 상기 제1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을 각각 상기 법정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CO2의 예상값에 앞서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상기 풍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상기 제3 연산부에서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은 상기 실내에 구비되어 CO2 값을 측정하는 제2 이산화탄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제4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법정 기준값을 비교함에 있어 상기 제1 측정값을 대신해 상기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법정 기준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기 제1 측정값을 대신해 상기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산부에서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CHM)은, "재실 인원수(인) X 1인당 필요환기량(CHM/인)"의 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고, 상기 1인당 필요환기량은 한국표준 KS F 2603 기준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Figure pat00001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CO2의 예상값은, "(성인 1인당 CO2 발생량 X 재실인원수) / 실내체적"의 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장치는, 상기 실내로 실외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급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 덕트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급기 댐퍼; 및 상기 급기 덕트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팬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 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덕트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 및 상기 배기 덕트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배기 덕트를 통해 안내되는 실내 공기를 상기 급기 덕트로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덕트; 및 상기 재순환 덕트에 구비되는 재순환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팬은 상기 급기 덕트 중 상기 재순환 덕트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내측을 향한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급기 댐퍼는 상기 급기 덕트 중 상기 재순환 덕트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외측을 향한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기팬은 상기 배기 덕트 중 상기 재순환 덕트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내측을 향한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배기 댐퍼는 상기 배기 덕트 중 상기 재순환 덕트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외측을 향한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풍량 측정 장치는 상기 급기 덕트 중 상기 재순환 덕트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외측을 향한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대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제1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급기 장치와 배기 장치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풍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인원에 해당하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급기 장치와 배기 장치를 제어하되,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가중치를 부가하고, 활동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CO2의 예상값과 상기 외기 도입량을 재 연산하여 적용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실내의 인원 정보에 최적화된 최소의 외기 도입량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와, 풍량 측정 장치(140)와,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와, 제1 이산화탄소 센서(160)와,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와, 그리고 제어 장치(190)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산화탄소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급기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장치로, 급기 덕트(111), 급기 댐퍼(112), 그리고 급기팬(113)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111)는 실내(10)로 실외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급기 댐퍼(112)는 급기 덕트(111)에 구비되어 급기 덕트(111)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고 급기팬(113)은 급기 덕트(111)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190)에 의해 실내(10)로 실외 공기의 유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급기팬(113)을 가동시키고 급기 댐퍼(112)의 개도량을 조절하면서 실외 공기를 급기 덕트(111)를 통해 실내(10)로 급기(給氣)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덕트(111)와 배기 덕트(121) 사이에 연통되어 배기 덕트(121)를 통해 안내되는 실내 공기를 급기 덕트(111)로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덕트(131)와 재순환 댐퍼(132)가 더 포함될 경우, 급기팬(113)은 급기 덕트(111) 중 재순환 덕트(131)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내측을 향한 후단부(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급기 댐퍼(112)는 급기 덕트(111) 중 재순환 덕트(131)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외측을 향한 선단부(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팬(113)이 재순환 덕트(131)의 연통부를 넘어서 급기 덕트(111)의 후단부에 구비되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재순환 덕트(131)로 누기(漏氣)되는 문제를 막을 수 있고, 급기 댐퍼(112)가 재순환 덕트(131)의 연통부보다 앞선 급기 덕트(111)의 전단부에 구비되므로 재순환 덕트(131)를 통해 재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배기 장치(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장치로, 배기 덕트(121), 배기 댐퍼(122), 그리고 배기팬(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121)는 실내(10)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배기 댐퍼(122)는 배기 덕트(121)에 구비되어 배기 덕트(121)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고 배기팬(123)은 배기 덕트(121)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190)에 의해 실외 공기의 유입과 동시에 실내 공기의 배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배기팬(123)을 가동시키고 배기 댐퍼(122)의 개도량을 조절하면서 실내 공기를 배기 덕트(121)를 통해 실외로 배기(排氣)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덕트(111)와 배기 덕트(121) 사이에 연통되어 배기 덕트(121)를 통해 안내되는 실내 공기를 급기 덕트(111)로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덕트(131)와 재순환 댐퍼(132)가 더 포함될 경우, 배기팬(123)은 배기 덕트(121) 중 재순환 덕트(131)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내측을 향한 선단부(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배기 댐퍼(122)는 배기 덕트(121) 중 재순환 덕트(131)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외측을 향한 후단부(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팬(123)이 재순환 덕트(131)의 연통부보다 앞선 배기 덕트(121)의 선단부에 구비되므로 배기 덕트(121)의 후단부에 구비될 경우 발생되는 문제인 재순환 덕트(131)를 통해 급기 덕트(111)의 공기가 함께 유입되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고, 배기 댐퍼(122)가 재순환 덕트(131)의 연통부를 넘어서 배기 덕트(121)의 후단부에 구비되므로 재순환 덕트(131)를 통해 재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풍량 측정 장치(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장치(110)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도입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덕트(111)와 배기 덕트(121) 사이에 연통되어 배기 덕트(121)를 통해 안내되는 실내 공기를 급기 덕트(111)로 재순환시키는 재순환 덕트(131)가 더 포함될 경우, 풍량 측정 장치(140)는 급기 덕트(111) 중 재순환 덕트(131)와 연통되는 부분 보다 실외측을 향한 선단부(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풍량 측정 장치(140)의 위치상 재순환 덕트(131)를 통해 재순환되는 풍량은 측정되지 않고 순수 외기 도입량만이 측정되므로, 순수 외기 도입량의 정밀도가 높아져 본 시스템(100)을 제어함에 있어 최소의 외기 유입의 조건을 본 시스템(100)에 부가할 수 있다.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에 구비되어 재실 인원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로는 적외선 센서나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이산화탄소 센서(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장치(120) 중 배기 덕트(121)에 구비되어 배기 덕트(121)로 배기되는 공기의 CO2 값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2 이산화탄소 센서(1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에 구비되어 실내(10)의 CO2 값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어 장치(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대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제1 이산화탄소 센서(160)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1,000ppm)을 먼저 초과하면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풍량 측정 장치(140)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인원에 해당하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를 제어하되,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를 부가하고, 활동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CO2의 예상값과 상기 외기 도입량을 재 연산하여 적용한다. 따라서,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가 고장 등의 오작동으로 실내의 CO2 값이 법정 기준값을 초과하더라도 제1 이산화탄소 센서(160)를 통해 법정 기준값 이하로 실내의 CO2 값을 관리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재실인원의 활동량까지 감안하여 가중치(예를 들어, 1.2)와 감소치(예를 들어, 0.8)의 곱으로 재 연산된 CO2의 예상값과 외기 도입량을 시스템(100) 제어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100)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실내의 공기질의 급격한 변화(체육관에서 운동 시작/종료, 중노동의 작업, 갑작스러운 인원의 증가)의 경우에도 외기 도입량을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참고로,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커지면 실내의 온도변화율도 커진다고 볼 수 있어, 재실인원의 활동량은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온도변화율 기준치를 대략 10%, 20%, 30% 등으로 설정할 경우 측정되는 온도변화율이 기준치 +10%에 있을 때 보다 +20%에 있을 때 상대적으로 더 큰 가중치를 줄 수 있고 그 반대이면 상대적으로 더 큰 감소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산부(191), 제2 연산부(192), 제3 연산부(193), 비교부(195), 그리고 제어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산부(191)는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 인원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맞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을 연산하고, 제2 연산부(192)는 제1 연산부(191)에서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대한 CO2의 예상값을 연산하고, 제3 연산부(193)은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이 기준치(예를 들어, 20%)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예를 들어, 1.2)를 곱하고, 온도변화율이 기준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예를 들어, 0.8)를 곱하여, 상기 외기 도입량과 상기 CO2의 예상값을 재 연산하며, 비교부(195)는 제3 연산부(193)에서 연산된 CO2의 예상값과 제1 이산화탄소 센서(160)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을 각각 상기 법정 기준값(1,000ppm)과 비교하며, 그리고 제어부(196)는 CO2의 예상값에 앞서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풍량 측정 장치(140)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제3 연산부(193)에서 재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를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 장치(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센서(160)(170)에서 각각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제4 연산부(1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부(195)는 제1 측정값과 법정 기준값을 비교함에 있어 제1 측정값을 대신해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고, 제어부(196)는 제1 측정값과 법정 기준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제1 측정값을 대신해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산화탄소 센서(160)에서 측정되는 배기 덕트(121)의 CO2값과 제2 이산화탄소 센서(170)에서 측정되는 실내(10)의 CO2값의 평균값을 사용하게 되므로, 배기 덕트(121)의 CO2값 만을 법정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에 비해 본 시스템(100)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10)의 공기가 배기되거나 순환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실내(10)로 사람들이 들어올 경우 배기 덕트(121)에서 측정되는 CO2값은 실내(10)에서 측정되는 CO2값 보다 낮게 나타나고, 반대로 실내(10)의 사람들이 밖으로 나갈 경우 배기 덕트(121)에서 측정되는 CO2값은 실내(10)에서 측정되는 CO2값 보다 높게 나타나므로, 배기 덕트(121)에서 측정되는 CO2값 만을 법정 기준값과 비교하게 되면 실제와 괴리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이 본 시스템(100)에 대한 신뢰도룰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산부(191)에서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CHM)은, "재실 인원수(인) X 1인당 필요환기량(CHM/인)"의 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고, 상기 1인당 필요환기량은 한국표준 KS F 2603 기준에 따라 다음 표 1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제2 연산부(192)에서 연산되는 CO2의 예상값은, "(성인 1인당 CO2 발생량 X 재실인원수) / 실내체적"의 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 장치(19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 인원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맞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을 연산하고(S110),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대한 CO2의 예상값을 연산한다(S120).
이 후,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이 기준치(예를 들어, 20%)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예를 들어, 1.2)를 곱하고, 온도변화율이 기준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예를 들어, 0.8)를 곱하여, 상기 외기 도입량과 상기 CO2의 예상값을 재 연산한다(S130).
그리고 나서,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센서(160)(170)에서 각각 측정된 CO2값의 평균값을 연산한다(S140).
이 후, 상기 재 연산된 CO2의 예상값과 상기 연산된 CO2의 평균값을 각각 법정 기준값과 비교한다(S150).
상기 재 연산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상기 연산된 CO2의 평균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실외 공기를 도입시키고, 그 외에는 풍량 측정 장치(140)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상기 재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실외 공기를 도입시킨다(S160).
나아가, 급기 덕트(111)를 통해 실외 공기가 도입되는 동안, 배기 덕트(121)를 통해 실외 공기의 도입량과 동일한 량의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재순환 덕트(131)를 통해 실내 공기의 제1 량을 실내(10)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S170). 재순환시키는 이유는, 실내(10)의 공기에 유동성을 부가하여 자연과 같은 쾌적한 환경의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함이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재순환 덕트(131)에 설치되는 정화 필터(미도시)를 통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함이다.
실내(10)로 재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제1 량은 외기 도입량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재순환되는 제1 량이 외기 도입량보다 크게 되므로, 재순환을 통해 실내(10)의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면서도 최소의 외기의 도입으로 실내(10)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순환되는 제1 량은 외기 도입량의 대략 7/3일 수 있다. 즉, 급기 댐퍼(112), 배기 댐퍼(122), 그리고 재순환 댐퍼(132) 각각의 개도량 조절로, 외기 도입량과 배출량은 각각 30%로 하고 재순환되는 제1 량을 70%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대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센서(160)(170)에서 각각 측정된 CO2의 평균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그 CO2의 평균값이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풍량 측정 장치(140)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재실인원 감지 장치(150)에서 감지된 인원에 해당하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급기 장치(110)와 배기 장치(120)를 제어하되,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180)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를 부가하고, 활동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CO2의 예상값과 상기 외기 도입량을 재 연산하여 이를 적용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실내의 인원 정보에 최적화된 최소의 외기 도입량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의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실내 100: 자동제어시스템
110: 급기 장치 111: 급기 덕트
112: 급기 댐퍼 113: 급기팬
120: 배기 장치 121: 배기 덕트
122: 배기 댐퍼 123: 배기팬
131: 재순환 덕트 132: 재순환 댐퍼
140: 풍량 측정 장치 150: 재실인원 감지 장치
160: 제1 이산화탄소 센서 170: 제2 이산화탄소 센서
180: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 190: 제어 장치
191: 제1 연산부 192: 제2 연산부
193: 제3 연산부 194: 제4 연산부
195: 비교부 196: 제어부

Claims (4)

  1. 실내의 공기를 제어하기 위해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으로,
    상기 실내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 장치;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 장치;
    상기 급기 장치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도입량을 측정하는 풍량 측정 장치;
    상기 실내에 구비되어 재실인원을 감지하는 재실인원 감지 장치;
    상기 배기 장치에 구비되어 CO2 값을 측정하는 제1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실내의 온도변화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 및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대한 CO2의 예상값에 앞서 상기 제1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이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상기 풍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인원에 해당하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을 통해 상기 재실인원의 활동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활동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CO2의 예상값과 상기 외기 도입량을 재 연산하는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 인원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맞는 시간당 외기 도입량을 연산하는 제1 연산부; 및
    상기 제1 연산부에서 카운트된 재실 인원수에 대한 CO2의 예상값을 연산하는 제2 연산부;
    상기 온도변화율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변화율이 기준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가중치를 부가하고, 상기 온도변화율이 상기 기준치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재실인원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재실인원에 감소치를 부가하여, 상기 외기 도입량과 상기 CO2의 예상값을 재 연산하는 제3 연산부;
    상기 제3 연산부에서 연산된 CO2의 예상값과 상기 제1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CO2의 제1 측정값을 각각 상기 법정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CO2의 예상값에 앞서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을 먼저 초과하면 상기 제1 측정값이 상기 법정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고, 그 외에는 상기 풍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시간당 풍량이 상기 제3 연산부에서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과 일치하도록 상기 급기 장치와 상기 배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은 상기 실내에 구비되어 CO2 값을 측정하는 제2 이산화탄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제4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법정 기준값을 비교함에 있어 상기 제1 측정값을 대신해 상기 평균값을 사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법정 기준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기 제1 측정값을 대신해 상기 평균값을 사용하는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연산부에서 연산된 시간당 외기 도입량(CHM)은
    "재실 인원수(인) X 1인당 필요환기량(CHM/인)"의 식에 의해 연산되고,
    상기 1인당 필요 환기량은 한국표준 KS F 2603 기준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Figure pat00003

    제공되는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KR1020150030290A 2015-03-04 2015-03-04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KR10171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90A KR101717836B1 (ko) 2015-03-04 2015-03-04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90A KR101717836B1 (ko) 2015-03-04 2015-03-04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93A true KR20160107493A (ko) 2016-09-19
KR101717836B1 KR101717836B1 (ko) 2017-03-17

Family

ID=5710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90A KR101717836B1 (ko) 2015-03-04 2015-03-04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8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4434A (zh) * 2016-12-07 2017-03-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空气质量监测方法、系统及其设备
CN107062535A (zh) * 2017-03-28 2017-08-18 深圳达实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院手术室的温湿度独立控制方法及装置
CN107192083A (zh) * 2017-04-13 2017-09-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控制方法
CN112114087A (zh) * 2019-06-21 2020-12-22 苏州五蕴明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领域温室气体排放动态平衡控制方法
LV15774A (lv) * 2023-03-07 2023-09-20 Biznesa Augstskola Turība, Sia Automatizēta mikroklimata kontroles sistēma
KR102630141B1 (ko) * 2022-09-07 2024-01-29 김규현 환기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32B1 (ko) * 2021-02-17 2021-08-26 엠넥스텍 주식회사 비대면 및 개인화를 위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7133B1 (ko) * 2022-07-12 2024-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인원의 변경을 반영하는 환기 제어시스템 및 환기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787A (ja) * 1993-11-17 1995-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ゆらぎ空気調和装置
JP2808038B2 (ja) * 1990-09-11 199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活動量センシングによる空気調和装置
KR20120003023U (ko)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케이티 흡배기 공조 자동화 시스템
KR101495481B1 (ko) * 2014-11-25 2015-02-23 서전엔지니어링(주)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8038B2 (ja) * 1990-09-11 199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活動量センシングによる空気調和装置
JPH07139787A (ja) * 1993-11-17 1995-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ゆらぎ空気調和装置
KR20120003023U (ko)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케이티 흡배기 공조 자동화 시스템
KR101495481B1 (ko) * 2014-11-25 2015-02-23 서전엔지니어링(주)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4434A (zh) * 2016-12-07 2017-03-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空气质量监测方法、系统及其设备
CN106524434B (zh) * 2016-12-07 2019-11-2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空气质量监测方法、系统及其设备
CN107062535A (zh) * 2017-03-28 2017-08-18 深圳达实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院手术室的温湿度独立控制方法及装置
CN107192083A (zh) * 2017-04-13 2017-09-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控制方法
CN112114087A (zh) * 2019-06-21 2020-12-22 苏州五蕴明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领域温室气体排放动态平衡控制方法
KR102630141B1 (ko) * 2022-09-07 2024-01-29 김규현 환기 제어시스템
LV15774A (lv) * 2023-03-07 2023-09-20 Biznesa Augstskola Turība, Sia Automatizēta mikroklimata kontroles sistē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836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836B1 (ko)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KR101495481B1 (ko)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05824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4165496B2 (ja) 空調システム
US20120052791A1 (en) Heat recovery and demand ventiliation system
JP4981610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304421B1 (ko)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232B1 (ko) 제연시스템
KR101278245B1 (ko) 실내 공기 질 예측 제어 기능을 가지는 환기량 제어 시스템
KR20120044795A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1248637A (ja) 居住空間における付加価値実効性指標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070017270A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0304B1 (ko) 변풍량 시스템의 이산화탄소 통합 제어 방법
JP733029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519734B1 (ko) 실시간 재실 정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210341168A1 (en) Ventilator and ventilation control method
US20130030575A1 (en) Air Change Rate Measurement and Control
WO2023071176A1 (zh) 新风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1426733B1 (ko) 폐열 회수용 열교환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7500A (ko) 소음진동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KR20170101592A (ko) 재실인원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1186885B1 (ko) 에너지 절감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380150B (zh) 混风装置的控制方法及混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