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639A - 스크린 프레임 구성 및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레임 구성 및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639A
KR20160106639A KR1020167021220A KR20167021220A KR20160106639A KR 20160106639 A KR20160106639 A KR 20160106639A KR 1020167021220 A KR1020167021220 A KR 1020167021220A KR 20167021220 A KR20167021220 A KR 20167021220A KR 20160106639 A KR20160106639 A KR 2016010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parts
horizont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노 배일러
Original Assignee
노보마틱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보마틱 아게 filed Critical 노보마틱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10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장치 하우징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가진 장치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바람직하게는 자동 게임 및/또는 오락 장치가 개시된다. 하우징의 도어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위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의 다리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둘러싸고 프레임 개구를 한정한다. 프레임은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이 상이한 수의 프레임 개구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프레임 개구를 갖는 상이한 구성의 복수의 프레임 파트로 가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레임 구성 및 스크린 장치{SCREEN FRAME CONFIGURATION AND SCREEN DEVICE}
본 발명은, 장치 하우징을 개폐하기 위한 하우징 도어 또는 하우징 도어 구성을 가진 장치 하우징을 구비하되, 하우징 도어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위한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다리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둘러싸며 프레임 개구를 한정하는, 바람직하게는 슬롯 머신 및/또는 오락 기계 형태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 장치는, 예를 들어 카지노와 게임장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특히 플로어 스탠딩(floor standing) 장치 또는 소위 독립형 장치 형태의 단말기로 설계될 수 있는 슬롯 머신 및/또는 오락 기계 또는 도박 기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원칙적으로 벽걸이형 장치 또는 테이블 거치형 장치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현금 인출기, 티켓 판매기 등과 같은 다른 사용 목적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장치는, 정보 표시 및/또는,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 형태로 설계된 경우 제어나 입력 신호 수신을 위해, 장치 앞에 앉아있거나 서있는 사용자를 위해 적절한 높이에 맞춰진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외에, 입력 버튼, 입력 레버 등이 있는 조작판, 카드 리더 및 가능한 한 현금 입출 구성요소도, 예를 들어 스크린 밑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장치 하우징 내부의 해당 기능적 하위조립품에 연결되고/되거나 그 자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 하우징은, 예를 들어 스크린을 활성화하고/하거나 게임을 제어할 수 있는, 예컨대 특히 제어 유닛 또는 컴퓨터 유닛을 수용할 수 있다.
표시될 정보 및 스크린 장치의 기능에 따라, 예를 들어 하나의 스크린에 실제 게임 내용을 표시하고 또 다른 스크린에 추가 정보, 예컨대 게임 규칙, 가능성 있는 상금 등을 표시하도록 둘 이상의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 여기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추가 스크린은 많은 게임을 동시에, 예를 들어 메인 게임과 보너스 게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전술한 방식으로 복수의 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들은, 공통 평면에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되거나, 장치의 깊이 방향, 즉 스크린을 바라보는 축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가능한 한 오프셋을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특히, 서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은, 각 스크린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축들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가능한 한 사용자의 시선에 수직인 정렬을 이루도록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를 간혹 슬랜트탑(slant top) 장치라고 한다. 이런 식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된 스크린 외에 또는 그 대신에, 복수의 스크린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에 따라 스크린들을 평행한 상태로 또는 스크린들이 또한 둔각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슬롯 머신 및/또는 오락 기계 형태의 상기 유형의 스크린 장치는, 예를 들어 EP 16 71 284 B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유형의 종래 스크린 장치의 단점은, 장치의 변환 또는 개조 시, 예를 들어 슬롯 머신의 업그레이드와 관련하여 추가 스크린에 메인 게임 외에 보너스 게임을 또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 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 도어와 함께 전체 장치 하우징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흔하다는 것이다. 종래에 사용된 하우징은 폐기되어야 하거나, 기껏해야 재활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신규 장치 제조의 맥락에서, 상이한 크기 또는 상이한 수의 스크린을 사용하는 상이한 유형의 장치에 적합한 다수의 하우징 유형을 비축해 두어야 하는 것도 힘든 일이거나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스크린 장치, 및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고 유리한 방식으로 종래 기술을 진전시키는 언급한 유형의 개선된 하우징 도어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변환되고 개조될 수 있으며, 개수 및 스크린 형식이 장치의 각 유형 및 그 기능에 맞게 곧바로 조정될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제작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서 청구된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도어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종속항의 요지를 구성한다.
따라서, 스크린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개구를 가진 하우징 도어 또는 하우징 도어 구성이 별개의 상호 호환 가능한 프레임 파트들을 가진 모듈형 구조 시스템으로부터 조립되는 것이 제안되며, 이에 따라 동일한 프레임 파트들을 서로 다르게 배치하고/하거나 서로 다른 프레임 파트들을 사용하여 하우징 도어 또는 스크린을 둘러싸는 프레임이 용이하게 재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것처럼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보다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프레임 파트로부터 가변적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도어의 프레임은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이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프레임 개구를 갖는 상이한 구성의 가변적 방식으로, 복수의 프레임 파트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추가 프레임 파트들 및/또는 비교적 긴 프레임 파트들을 사용하여 비교적 큰 프레임 개구 및/또는 복수의 프레임 개구를 가진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반대로, 프레임 파트들을 제거함으로써 더 작은 스크린을 위한 더 작은 프레임 개구 및/또는 더 적은 수의 스크린을 위한 더 적은 수의 프레임 개구가 구성될 수 있고, 프레임은 더 적은 수의 프레임 파트들 및/또는 더 짧은 프레임 파트들로부터 구성된다. 여기에서, 개별 프레임 파트들이 여러 번, 즉 상이한 프레임 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적은 수의 프레임 파트들로만 이루어진 조립 키트를 사용하여 많은 수의 프레임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프레임 파트들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나사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래치 연결과 같은 형태에 꼭 맞는 분리 가능한 연결에 의해,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프레임은 나중에 재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파트들은 설치 후에 새로운 프레임 구성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파트들은, 새로운 파트의 제조 시, 즉 새로운 장치의 하우징 도어 제조 시 제조 관점에서 유리한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장치를 개조하고 프레임 파트들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리 가능한 연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 파트들은 전체 프레임 다리 또는 개별 프레임 다리의 일부만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개별 프레임 파트들이 복수의 프레임 다리 또는 복수의 프레임 다리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측면 다리의 일부와 수평 다리의 일부를 둘 다 형성하는 모서리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프레임 파트는, 그 단부에, 상호 호환 가능한 연결 수단을 가지며, 이에 의해 특정 프레임 파트가 여러 다른 프레임 파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호환 가능한 연결 수단은 특정 프레임 파트에 여러 프레임 파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결 수단은 단부에서 서로 대응하는 배치 패턴으로, 예를 들어 동일한 반복 나사 구멍 및/또는 나사형 구멍 배치 형태, 프레임 파트의 래치 연결을 위한 소켓 핀 패턴 또는 래치 텅(tongue)과 리세스의 대응하는 반복 패턴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파트는 유리하게, 그 양단부에, 각각 연결 수단의 동일한 배치 패턴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단부에, 서로로부터 그리고 단부 윤곽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두 개의 나사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두 개의 나사 구멍을 가진 제1 배치 패턴이 프레임 파트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세 개의 나사 구멍을 가진 제2 배치 패턴이 제2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이 두 배치 패턴이 복수의 또는 모든 프레임 파트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유리하게,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 수단, 예컨대 나사 구멍이 접합면 및/또는 연결 윤곽선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이에 의해 각 프레임 파트가 다음 프레임 파트 및/또는 그곳의 연결 윤곽선 또는 접합면에 정확하게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 파트의 단부에서 연결 윤곽선에 대해 정해진 일정한 배치 패턴으로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서로 연결될 상이한 프레임들의 단부 및 연결된 상태에서 인접한 프레임 파트들은 서로 중첩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중첩부는, 예를 들어 나사 구멍 또는 나사형 구멍, 소켓 핀 리세스 또는 래치 텅 및 리세스의 형태의 정렬된 연결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개에서,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다리 및/또는 측면 다리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 다리는, 각각의 경우,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상이한 수의 측면 파트들 및/또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상이한 수의 수평 파트들로부터 구성될 수 있으므로,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길이의 측면 파트들에 의해 상이한 길이의 측면 다리를 구성하고/하거나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길이의 수평 파트들에 의해 상이한 길이의 수평 연결 다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맥락 내에서, 상기 측면 다리는 스크린의 좌우에 배치된 수직 측면 다리를 나타낼 수 있고/있거나 수직 상태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수평 다리는 수평으로 배향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근본적으로 측면 다리와 수평 다리의 직각 구성을 형성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측면 다리가 수평 프레임 다리를 나타내고 수평 다리가 수직 프레임 다리인 것과 같이 용어가 반대로 이해될 수도 있다.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개구가 상이한 스크린 형식 및/또는 상이한 수의 스크린에 맞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측면 파트가 유리하게는 각각의 경우 선택적으로 또 다른 측면 파트 또는 수평 연결 파트에 연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에 따라 관련된 측면 다리를 연장하기 위해, 또는 수평 연결 파트가 연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는 단 하나의 측면 파트로 이루어질 사용을 위해 프레임 개구의 대응하는 가로 방향 한정을 제공하기 위해, 2, 3, 4 이상의 측면 파트가 서로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 파트 또는 수평 연결 파트, 특히 수평 말단 파트를 추가하기 위한 선택적 기능은, 각 측면 파트가 상이한 스크린 형식 및 상이한 수의 스크린을 위해 가변적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프레임 파트 및 프레임 파트에 제공된 연결 수단은, 측면 파트가 또 다른 측면 파트와 함께 선택적으로 수평 말단 파트 또는 중간의 수평 파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 파트들, 즉 두 개의 측면 다리 형성 측면 파트 및 그 파트들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의 수평 파트를 연장하는 프레임 연결 지점을 형성한다. 측면 수평 다리 또는 두 개의 상호 연결 가능한 측면 파트에 이러한 중간의 수평 파트를 추가하거나 연결하는 기능은 상이한 수의 스크린 개구 또는 프레임 개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중간의 수평 파트에 의해, 측면 다리 및 수평 말단 다리로 둘러싸인 프레임 개구 또는 3차원 영역은 복수의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프레임 개구로 분할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상기 중간의 수평 파트는 동시에, 측면 다리의 두 개의 인접한 측면 파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중간의 수평 파트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두 개의 측면 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측면 파트는 중간의 수평 파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의 수평 파트와 달리, 수평 말단 파트는 하나의 측면 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만을 필요로 한다.
상기 측면 파트 형태 및/또는 상기 수평 파트 형태의 상기 프레임 파트는 원칙적으로, 직선 진행 또는 직선 세로축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프레임의 직선 측면 다리 또는 직선 수평 다리를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평면 윤곽을 가지며, 복수의 스크린이 제공되는 경우, 모든 스크린은 서로 평행하고/하거나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적인 유리한 전개에서, 측면 파트 및/또는 수평 파트는, 아치형으로 만곡되고/되거나 다각형 방식으로 각을 이룬 프레임 측면 다리 및/또는 수평 다리를 형성하도록, 아치형으로 만곡되고/되거나 다각형 방식으로 각을 이룬 윤곽을 갖거나, 이에 따라 아치형으로 만곡되고/되거나 다각형 방식으로 각을 이룬 세로축을 가질 수도 있다. 세로축의 만곡되거나 각진 진행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측면 파트 및/또는 수평 파트는 그 단부 및/또는 그 연결 윤곽선 및/또는 연결 수단의 영역에서 두 개의 각각 인접한 측면 파트 및/또는 두 개의 각각 인접한 수평 파트가 둔각으로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므로, 측면 파트들 사이 및/또는 수평 파트들 사이에서 둔각으로 각을 이룬 계면 또는 연결 지점은 수평 다리 또는 측면 다리가 이에 따라 다각형 방식으로 각을 이루게 한다.
특히, 측면 다리 및/또는 수평 다리의 이러한 아치형으로 만곡되거나 각진 세로축 진행에 의해, 서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 및/또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은, 특히 스크린들이 각각의 경우 장치 사용자의 눈에 대해 배향되어 사용자의 시선이 가능한 한 스크린에 수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위치하고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은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프레임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지고 서로 상하로 또는 좌우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을 둘러쌀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장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 또는 하우징 도어는, 개방될 때,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전개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하우징 도어, 특히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수도 있으므로, 하우징 도어가 개방될 때, 스크린은 프레임과 함께 분리된다. 이는 유리하게, 하우징 도어가 개방될 때, 각 스크린의 후면 및 스크린 뒤 장치 하우징에 위치한 구조용 부품에 접근 가능해지는 것과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전술한 하우징 도어의 모듈형 프레임 구조의 경우, 조립된 다중 파트 프레임이 결과적으로 불안정해지거나 과적되지 않으면서, 비교적 무거운 스크린이 하우징 도어 또는 프레임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에 스크린 또는 스크린들을 체결하면, 특히 스크린이 복수의 프레임 파트 및/또는 프레임 다리에 체결되는 경우, 모듈형 프레임 구조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부여한다. 그 결과, 스크린은 프레임 지지 또는 프레임 안정화 기능을 갖는다.
하우징 도어 또는 프레임과 스크린 사이에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장치 표면 및 명확하게 정의된 마감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유리하게는 프레임의 후면에 체결되고, 프레임은 스크린의 정면 주변부 스트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어서, 스크린의 정면에서 볼 때, 프레임은, 외판 방식으로, 스크린의 바람직하게는 좁은 주변부 스트립을 감춘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스크린과 주변 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제공하여, 그 경우에 내측 프레임 윤곽과 외측 스크린 윤곽 사이에 틈이 남아있게 하거나, 프레임을 스크린의 외측 치수에 정확히 맞출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프레임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스크린 주위에 측면 결합되고 스크린에 연결될 수 있는 고정 지지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대는 동시에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며, 그 사이에서 스크린은 후면으로부터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형 볼트와 같은 수평 볼트를 사용하여, 스크린이 상기 고정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 파트와 각 스크린 사이에 강성의, 바람직하게는 형태에 꼭 맞는, 연결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스크린이 가능한 한 체결된 하우징 도어는, 예를 들어 적합한 (도어)경첩에 의해, 도어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도록 기본 하우징 구조에 장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상기 도어 피벗축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도어 상단부 영역에서,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이 체결된 하우징 도어는 상방으로 피벗 개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수직 도어 피벗축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하우징 도어는 캐비닛 도어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 도어의 하단부에 수평 도어 피벗축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하우징 도어는 책상 덮개 방식으로 하방으로 돌려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걸윙(gullwing) 도어 방식의 상방 피벗 개방은, 예를 들어 피벗 개방된 하우징 도어가 설비자의 작업 영역에서 벗어나므로 설비자의, 하우징 내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바람직한 예시적 구현예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지고 서로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스크린에 대해 피벗 개방식 하우징 도어가 구성된, 본 발명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른 슬롯 머신 형태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하나의 스크린만 제공되거나 하나의 스크린에 대해서만 하우징 도어가 구성된, 도 1과 유사한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장치가,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진 세 개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하우징 도어는 상기 방식으로 배치된 세 개의 이러한 스크린을 위한 테두리 또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된, 도 1 및 도 2와 유사한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장치 하우징의 상단부 및 스크린이 체결된 하우징 도어를 나타내는, 도 1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하우징 도어는 장치 하우징에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방으로 피벗 개방되었고, 도 4a는 두 개의 스크린이 장착된 전체 하우징 도어를 나타내며, 도 4b는 기본 하우징 구조와 하우징 도어의 피벗 베어링 연결을 나타낸다.
도 5는, 프레임에 체결된 두 개의 스크린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프레임으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 분해도의 방식으로 도시한, 하우징 도어 형성 프레임 및 그 프레임 파트들에 대한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및 프레임에 체결된 스크린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스크린이 도시되지 않은 앞의 두 도면의 프레임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내며, 프레임 파트들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7과 유사한 스크린용 프레임에 대한 개략적 배면 사시도를 나타내며, 프레임은 도 3에 따른 장치 구성의 경우와 같이, 서로 상하로 배치된 세 개의 스크린에 대한 상이하거나 변환된 구성으로 구성되고 세 개의 프레임 개구를 정의한다.
도 9는, 분해도로 도시된 파트들이 분리된 상태인, 프레임의 수평 말단 파트와 프레임의 측면 파트 간의 연결 영역에 대한 상세한 형태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도 8에서 A로 표시한 부분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인 두 개의 측면 파트와 두 측면 파트를 연결하는 중간의 수평 파트 간의 연결 영역에 대한 상세한 형태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장치(1)는 플로어 스탠딩 장치, 특히 단독 독립형 장치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반부에 하나 이상의 스크린(3)이 제공된 전체적으로 긴 수직의 - 대체로 - 입방형의 기본 장치 구조(2)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진 두 개의 스크린이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하나의 스크린일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되거나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세 개 이상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스크린 장치(1)는 장치 하우징(4)을 포함하며, 그 정면에 상기 스크린(3)이 배치되고, 그 하우징 내부에 기능적 부품, 예컨대 컴퓨터 및 제어 수단, 냉각 장치, 현금 처리 및/또는 현금 보관 수단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조작자 측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장치 하우징(4)의 정면은 조작부(21)를 포함하며, 조작부(21)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밑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테이블 형태의 조작판 방식으로 설계되며, 조작부(21) 상에는 제어 및 조작 버튼 등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카드 리더, 현금 입금 및/또는 출금 수단 등이, 슬롯 머신에서 일반적인 기능적 하위조립품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장치 하우징(4)에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치 하우징(4)은 하부 하우징 블록 또는 하우징 베이스(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 블록 또는 하우징 베이스(5)는 상기 조작부를 포함하고, 하부 하우징 블록 또는 하우징 베이스(5) 위에 상기 스크린(3)이 배치된 상부 하우징 파트(6)가 위치할 수 있다.
장치 하우징(4), 특히 그 상부 하우징 파트(6)는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 또는 복수의 스크린(3a 및/또는 3b 및/또는 3c)이 체결된 하우징 도어(7)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 도어(7)가 개방될 때 스크린(3)은 기본 하우징 구조(6)와 함께 분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도어(7)는 유리하게, 도어 상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수평 방향의 도어 피벗축(8)을 중심으로 걸윙 도어 방식으로 상방으로 피벗 개방될 수 있으며, 도어가 상방으로 피벗된 개방 위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합한 파워 리프팅 수단 또는 차단 수단이, 예를 들어 가스 압력 실린더 등의 형태로 여기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도어(7)는, 하우징 도어(7)에 체결된 스크린(3)을 둘러싸며 각 스크린을 위한 별개의 프레임 개구(10)를 한정하는 프레임(9)을 형성하고, 이 경우 도 5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둔각으로 기울어진 두 개의 스크린(3a 및 3b)에 도 1에 따른 장치 구성에 따라 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해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진 두 개의 프레임 개구(10a 및 10b)를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 개구(10)는 프레임 개구(10)에 배치된 각 스크린(3)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개방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프레임 개구(10)는 개방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크린 표면이 직접 노출된다. 대안으로서, 프레임 개구(10)는 투명 덮개,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렉시글라스(Plexiglas)판(11)으로 덮일 수 있고, 그 뒤에 각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도어(7)의 프레임(9)은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프레임 파트로부터 가변적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9)은 선택적으로 개별 스크린(3a)에 대해, 두 개의 스크린(3a, 3b)에 대해, 또는 세 개의 스크린(3a, 3b, 3c)에 대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9)은, 예를 들어 하우징 도어(7)가 닫힌 때 수직 상태로 배향된 두 개의 대향 측면 다리(12) 및, 상기 측면 다리(12)를 서로 연결하고 특히 수평으로 배향된 수평 연결 다리(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측면 다리(12)는 서로 전후로 선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상이한 수의 측면 파트들(12a, 12b 및 12c, 도 8 참조)로부터 가변적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므로, 측면 파트의 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측면 다리(12)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측면 파트(12a, 12b 및 12c)는 직선 또는 약간 아치형으로 만곡된 진행을 갖고/갖거나 그 연결 지점에서 둔각으로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므로, 측면 파트들은 원하는 스크린 배치를 따르거나 이에 따라 원하는 스크린 배치를 미리 결정한다.
여기에서, 측면 파트들은 접합부에서 수평을 이루며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측면 파트는 직선 절단 연결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단부(14) 영역에서, 측면 파트(12a, 12b 및 12c)는, 연결 윤곽선, 특히 단부(14) 상의 연결 가장자리에 대해 소정의 동일한 패턴으로 배치된, 예를 들어 나사 구멍 또는 나사형 구멍 형태의, 연결 수단(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측면 파트는, 그 단부에, 수평 연결 다리(13)의 수평 파트 단부가 체결될 수 있는 두 개의 이격된 나사 구멍 또는 나사형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연결 다리(13)는, 수직 상태로 배향된 측면 다리(12)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프레임을 마감할 수 있는, 수평 말단 파트(16a 및 16b)를 포함하는 수평 파트(16)를 갖는다. 이 수평 말단 파트(16a 및 16b)는, 그 단부에, 연결부(17)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연결부는 측면 파트(12a, 12b 및 12c)의 세로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파트 및 수평 파트가 의도된 대로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여, 각 측면 파트(12a 또는 12b)의 일부, 특히 단부(14)를 덮는다. 수평 말단 파트(16a 및 16b) 단부(18)의 연결부(17)는, 배치 패턴이 측면 파트(12)의 연결 수단(17)의 배치 패턴에 대응하는 연결 수단을 가지므로, 수평 말단 파트(16a 및 16b) 상의 연결 수단은 측면 파트(12) 상의 연결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수평 말단 파트는, 측면 파트 및 수평 파트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여, 측면 파트의 해당 나사 구멍 또는 나사형 구멍과 정렬되는 나사 구멍 및/또는 나사형 구멍을 구비할 수도 있다(도 9 참조). 측면 다리(측면 파트) 및 수평 다리는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평 파트(16)는 중간의 수평 파트(16c 및 16d)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도 8 참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프레임(9), 즉 측면 다리(12) 및 수평 말단 파트(16a 및 16b)로 둘러싸인 프레임 개구는 복수의 별개의 프레임 개구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중간의 수평 파트(16c)는 유리하게, 수평 말단 파트(16a 및 16b)에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측면 다리(12)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의 수평 파트(16c 및 16d)는 동시에,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두 개의 측면 파트(12a와 12b, 또는 12b와 12c)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도 8 참조). 이를 위해, 중간의 수평 파트(16c 및 16d)는 그 단부(18) 영역에 연결부(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각 경우에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두 측면 파트의 단부(14)를 덮고 두 측면 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15)을 가진다. 중간의 수평 파트(16c 및 16d)의 연결부(17)는 특히, 두 개의 나사 구멍 및/또는 나사형 구멍 배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두 개의 측면 파트(12a와 12b, 또는 12b와 12c)의 단부에서 나사 구멍 및/또는 나사형 구멍과 정렬되는 구멍 패턴을 함께 가진다(도 10 참조). 측면 파트 및 수평 파트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형태에 꼭 맞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그리고 본질적으로, 모든 공간 방향에서 비틀림 강성이 달성되도록, 나사형 구멍 또는 단부(18) 또는 연결부(17)가 배치된다.
전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도어(7)를 형성하는 프레임(9)은 측면 파트(12)의 삽입 및 제거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9)은 선택적으로 하나의 스크린, 두 개의 스크린, 또는 세 개의 스크린, 또는 물론 더 많은 스크린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 연결 다리(16)는 서로 전후로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수평 파트로부터 대응하는 방식의 모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따라 복수의 스크린이 서로 좌우로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좌우로 배치된 스크린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스크린(3)은 유리하게, 후면으로부터 프레임(9)에 장착될 수 있고, 특히 프레임(9)의 후면으로부터 각 프레임 개구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은 각 스크린의 좁은 주변부 스트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 5 및 도 6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측면 다리(12)의 측면 파트(12a, 12b)에는, 프레임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하고 프레임(9)의 후면에 부착된 스크린 주위에 측면 결합되는 두 개의 고정 다리(20)가 제공,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다리(20)는, 예를 들어 수평 볼트 또는 수평 나사에 의해 스크린(3)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부착된 스크린(3a 및 3b)이 두 개의 인접한 고정 다리(20)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이에 따라 또한 하우징 도어 구성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 구현예에 따라, 연결 파트(연결 브라켓)(22)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수평 말단 파트(16a)는 스피커 배치(23)를 위한 두 개의 마운트를 추가로 가진다.
프레임 파트는 프로파일 스트립 형태로 설계될 수 있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른 어떤 재료로,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프레임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정면(즉, 조작자를 향해 있는 면)에 예를 들어 거울 같고/같거나 크롬 도금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GB LED 또는 OLED 스트립 형태의 조명 요소가 프레임 파트에 통합될 수도 있으며, LED 스트립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수평 파트(16)의 연결부(17) 및/또는 측면 파트(12)의 단부(14)가 해당 전기 연결 접점(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9)이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프레임 파트로부터 가변적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레임(9)이 선택적으로 개별 스크린(3a)에 대해, 두 개의 스크린(3a, 3b)에 대해, 또는 세 개의 스크린(3a, 3b, 3c)에 대해서도 구성될 수 있는, 스크린 프레임 구성 또는 스크린들을 위한 프레임 구성을, 유리한 구현예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을 위한 프레임(9)을 형성하고, 프레임(9)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을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이 보이는 프레임 개구(10)를 한정하는 프레임 다리(12, 13)를 포함하고, 프레임(9)은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9)이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프레임 개구(10a, 10b, 10c)를 갖는 상이한 구성의 가변적 방식으로, 복수의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16b, 16c; 16d)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프레임 구성의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서,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내지 16d)는, 그 단부(14; 18)에, 상호 호환 가능한 연결 수단(17)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 프레임 파트는 복수의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내지 16d) 중 다양한 다른 프레임 파트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 구성과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은 서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유닛 또는 모듈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프레임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고, 프레임은 스크린(3)의 정면 주변부 스트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거나 그 주위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구성은 단독형 모듈 또는 요소 형태로 또는 벽에 고정될 수 있는 모듈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프레임 구성은 유리하게, 스크린 장치의 하우징을 위한 하우징 도어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Claims (18)

  1. 스크린 장치의 하우징(4)을 개폐하기 위한 하우징 도어 구성(7)으로서, 하우징 도어 구성(7)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을 위한 프레임(9)을 형성하고, 프레임(9)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이 보이는 프레임 개구(10)를 한정하는 프레임 다리(12, 13)를 포함하되, 프레임(9)은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9)이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프레임 개구(10a, 10b, 10c)를 갖는 상이한 구성의 가변적 방식으로, 복수의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16b, 16c; 16d)로부터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도어 구성(7).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내지 16d)는, 그 단부(14; 18)에, 상호 호환 가능한 연결 수단(17)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각 프레임 파트가 복수의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내지 16d) 중 다른 프레임 파트들에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 도어 구성.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17)은 서로 대응하는 배치 패턴으로 단부(14; 18)에 위치하는, 하우징 도어 구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는 상이한 수의 측면 파트들(12a, 12b, 12c) 및/또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는 상이한 수의 수평 파트들(16a, 16b, 16c, 16d)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측면 다리(12) 및/또는 측면 다리(12)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 다리(13)가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길이의 측면 파트들(12a, 12b, 12c)에 의해 상이한 길이의 측면 다리(12)를 구성하고/하거나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길이의 수평 파트들에 의해 상이한 길이의 수평 연결 다리(13)를 구성할 수 있는, 하우징 도어 구성.
  5. 제4항에 있어서, 측면 다리(12)는 수직 상태로 배향되고 수평 다리(13)는 수평으로 배향된, 하우징 도어 구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파트는, 단부(14)에 또 다른 측면 파트(12a; 12c) 또는 수평 연결 파트(16)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 파트(12b)를 포함하는, 하우징 도어 구성.
  7. 제6항에 있어서, 측면 파트(12b)는 또 다른 측면 파트(12a; 12c)와 함께 선택적으로 수평 말단 파트(16a, 16b) 또는 중간의 수평 파트(16c, 16d)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중간의 수평 파트(16c, 16d)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 두 개의 측면 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15)을 가지며, 상기 수평 말단 파트(16a, 16b)는 측면 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15)을 갖는, 하우징 도어 구성.
  8. 제7항에 있어서, 수평 연결 파트(16a, 16b) 및/또는 중간의 수평 파트(16c, 16d)의 연결 수단은 측면 파트(들)를 덮는, 하우징 도어 구성.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위치한 두 개의 측면 파트(12a, 12b; 12b, 12c)는 중간의 수평 파트(16c, 16d)에 의해 서로 대응하여 유지되는, 하우징 도어 구성.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측면 파트 및/또는 수평 연결 다리(13)로부터 조립된, 프레임(9)의 측면 다리(12)는, 아치형으로 만곡되고/되거나 다각형 방식으로 각을 이룬 세로축을 갖는, 하우징 도어 구성.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9)은 서로에 대하여 둔각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프레임 개구(10a, 10b, 10c)를 가지며, 서로에 대해 둔각으로 기울어지고 서로 상하로 또는 좌우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린(3a, 3b, 3c)을 둘러싸는, 하우징 도어 구성.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은 프레임(9)에 체결되고 하우징 도어 구성(7)과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하우징 도어 구성.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프레임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고, 프레임(9)은 스크린(3)의 정면 주변부 스트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거나 그 주위에 결합되는, 하우징 도어 구성.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9)은, 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 주위에 측면 결합되고 스크린(3)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지지대(20)를 갖는, 하우징 도어 구성.
  15. 기본 하우징 구조(6) 및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도어 구성(7)을 포함하되, 하우징 도어 구성(7)은 도어 피벗축(8)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도록 기본 하우징 구조(6)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피벗축(8)은 하우징 도어 구성(7)의 상단부에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치된, 스크린 장치(1).
  16. 제15항에 있어서, 스크린 장치는 슬롯 머신 및/또는 오락 및/또는 도박 기계의 형태로 설계된, 스크린 장치(1).
  17. 장치 하우징이 장치 하우징을 개폐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도어 구성(7)을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1)의 하우징(6).
  18. 프레임 구성이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을 위한 프레임(9)을 형성하되, 프레임(9)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을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3)이 보이는 프레임 개구(10)를 한정하는 프레임 다리(12, 13)를 포함하고, 프레임(9)은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9)이 상이한 수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프레임 개구(10a, 10b, 10c)를 갖는 상이한 구성의 가변적 방식으로, 복수의 프레임 파트(12a, 12b, 12c; 16a, 16b, 16c; 16d)로부터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용 프레임 구성.
KR1020167021220A 2014-01-13 2015-01-08 스크린 프레임 구성 및 스크린 장치 KR20160106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9/2014 2014-01-13
ATA19/2014A AT515116B1 (de) 2014-01-13 2014-01-13 Bildschirmgerät
PCT/EP2015/050278 WO2015104348A1 (de) 2014-01-13 2015-01-08 Bildschirmrahmenkonfiguration und bildschirm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639A true KR20160106639A (ko) 2016-09-12

Family

ID=5234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220A KR20160106639A (ko) 2014-01-13 2015-01-08 스크린 프레임 구성 및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3095095A1 (ko)
KR (1) KR20160106639A (ko)
CN (1) CN105981078A (ko)
AP (1) AP2016009331A0 (ko)
AT (1) AT515116B1 (ko)
AU (2) AU2015205563A1 (ko)
BR (1) BR112016016082B1 (ko)
CA (1) CA2936451A1 (ko)
CL (1) CL2016001767A1 (ko)
HK (1) HK1224420A1 (ko)
MX (1) MX2016009089A (ko)
PH (1) PH12016501369B1 (ko)
RU (1) RU2677114C1 (ko)
SG (1) SG11201605641XA (ko)
UA (1) UA122052C2 (ko)
WO (1) WO2015104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0097B (zh) * 2019-12-11 2022-05-20 常德铭饰家木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高强稳定性的多功能衣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6172B2 (en) * 2002-01-07 2009-03-17 Igt Gaming device with biometric system
JP3608563B2 (ja) * 2002-06-28 2005-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遊技機システム
AU2003100844B4 (en) 2003-10-08 2004-05-27 Novomatic Ag Door frame for gaming machine
US7846026B2 (en) * 2003-12-15 2010-12-07 Spec International Gaming machine door with adjustable cross member
US8348759B2 (en) * 2004-09-16 2013-01-08 Bally Gaming,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 gaming machine
DE212004000009U1 (de) * 2004-09-30 2005-07-21 Novomatic Ag Türrahmen für einen Spielautomaten
US7862436B2 (en) * 2004-10-04 2011-01-04 Cole Kepro International, Llc Custom configurable gaming machine and gaming machine components
US8118663B2 (en) * 2004-10-04 2012-02-21 Cole Kepr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gaming machines as part of optimizing the number of gaming machines presenting particular games
US7985139B2 (en) * 2006-11-14 2011-07-26 Multimedia Games, Inc. Gaming machine cabinet with vertically operating doors
DE102007042632A1 (de) * 2007-09-07 2009-03-12 Novomatic Ag Elektronisches Spielgerät
US8641535B2 (en) * 2009-12-03 2014-02-04 Patent Rights Protection Group, Llc Gaming machine cabinet construction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P2016009331A0 (en) 2016-07-31
AT515116A4 (de) 2015-06-15
AU2015205563A1 (en) 2016-07-28
AU2019240601B2 (en) 2021-07-22
CA2936451A1 (en) 2015-07-16
AU2019240601A1 (en) 2019-10-17
MX2016009089A (es) 2016-10-13
RU2677114C1 (ru) 2019-01-15
WO2015104348A1 (de) 2015-07-16
UA122052C2 (uk) 2020-09-10
HK1224420A1 (zh) 2017-08-18
BR112016016082A2 (ko) 2017-08-08
PH12016501369A1 (en) 2016-08-15
PH12016501369B1 (en) 2016-08-15
CN105981078A (zh) 2016-09-28
AT515116B1 (de) 2015-06-15
CL2016001767A1 (es) 2017-01-20
SG11201605641XA (en) 2016-09-29
EP3095095A1 (de) 2016-11-23
BR112016016082B1 (pt)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2675A1 (en) Visual Display Unit
US8172688B2 (en) Modular gaming machine
USD481078S1 (en) Multi-panel video display unit gaming device
US8641535B2 (en) Gaming machine cabinet construction and method
USD525664S1 (en) Gaming machine door
US20060199647A1 (en) Dual hinge mounting arrangement
EP2012282A2 (en) Gaming machine
WO2005029226A3 (en) Slant-type gaming machine
US20110092283A1 (en) Game terminal
EP1864700B1 (en) Gaming machine
KR20070097029A (ko) 키 패드 보안장치
USD1013787S1 (en) Display screen device
KR20160106639A (ko) 스크린 프레임 구성 및 스크린 장치
KR20100102690A (ko) 슬라이딩 손잡이를 구비한 쇼핑 카트
JP2004222769A (ja) 遊技機用入賞装置
JP5346169B2 (ja) 遊技機
US7374491B1 (en) Gaming machine with space efficient configuration and multiple pin deck latch and intuitive ticket redemption system
USD513626S1 (en) Player tracking display vertical mount
EP1417992B1 (en) Gaming machine
KR200399589Y1 (ko) 회전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오락기 및 그에 이용되는디스플레이
JP4825769B2 (ja) 弾球遊技機
JP2005000538A (ja) 弾球遊技機の透明板保持枠
CN114937333A (zh) 商品数据处理装置
KR200382195Y1 (ko) 오락기용 전면 하부케이스
JP7269406B2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