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415A - 부원료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부원료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415A
KR20160106415A KR1020150029304A KR20150029304A KR20160106415A KR 20160106415 A KR20160106415 A KR 20160106415A KR 1020150029304 A KR1020150029304 A KR 1020150029304A KR 20150029304 A KR20150029304 A KR 20150029304A KR 20160106415 A KR20160106415 A KR 2016010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guide rail
amount
charging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081B1 (ko
Inventor
류재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2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용강 상에 부원료를 보다 신속하게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용강이 수용된 레들 상부에 배치된 후드에 결합되어 용강 상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부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용탕 상부로 연장되고 내부로 부원료가 이송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을 후드에 대해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상기 부원료의 투입을 위하여 상기 이동부를 매개로 상기 투입관 하강시, 투입관이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부와 연계되는 구조의 부원료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원료 투입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SUB MATERIAL}
용강의 슬래그 제거 후 용강 상에 보온재 등의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은 전기로, 정련로, VOD 공정(vacuum oxygen decarburization process), 및 연주 공정 순으로 용강이 처리된다. 정련로 공정의 경우 용강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다음 공정인 VOD 공정에서는 미세한 온도 조절은 가능하나,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용강 온도를 높일 수 없다. 이에, 정련로에서 출강되는 용강은 후 공정에서 품질과 처리 시간을 고려해 적절한 온도로 출강될 필요가 있다.
정련로에서 출강된 용강은 후 공정인 VOD 공정에서 처리하기 전에 스키ald(skimming) 공정을 통해 용강 위에 떠 있는 슬래그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정련로에서 출강된 용강은 레들에 담겨 운반되며, 레들을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스키머(skimmer)를 이용해 용강 위에 떠 있는 슬래그를 제거한다.
슬래그 제거 작업 완료 후 용강은 VOD 공정으로 운반되는 데, VOD 작업 조건이나 연주 작업 조건에 따라 용강을 VOD 공정으로 빠르게 운반해 처리하지 못하면 슬래그가 제거된 용강의 온도가 내려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후 공정인 VOD 공정 작업시 용강 온도 저하에 의한 품질 결함과, 연주 작업시 주조 온도 이하로 용강 온도가 떨어져 주조를 못하고 다시 정련로로 용강을 되돌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슬래그 제거 작업 후 용강 상에 생석회 등의 보온재를 투입하여 용강의 온도 하락을 방지한다.
보온재 투입을 위해 종래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보온재가 담긴 포대를 래들 상부로 이동하여 투입하였으나, 이러한 종래 구조는 포대를 레들 상부에서 아래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용강의 열기에 의해 포대가 터져 생석회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생석회가 제대로 투입되지 못하며, 또한, 집진 후드가 없는 상태에서 생석회를 투입해야 하므로 분진 유출로 인해 작업장의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용강 상에 부원료를 보다 신속하게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된 부원료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후드를 통해 부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부원료 투입시 부원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부원료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한 정량의 부원료를 정확히 투입할 수 있도록 된 부원료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장치는, 용강이 수용된 레들 상부에 배치된 후드를 통과하면서 용강 상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부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용탕 상부로 연장되고 내부로 부원료가 이송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을 후드에 대해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는 상기 부원료의 용강 투입을 위하여, 상기 이동부를 매개로 상기 투입관 하강시 투입관이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부와 연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후드 상부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투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차,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대차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구동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감지센서와 하한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후드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부원료가 수용된 호퍼, 호퍼 하부의 출구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투입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투입관의 개방된 상단으로 부원료를 배출하는 배관, 및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드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관은 상단에 투입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깔때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호퍼의 출구에 설치되어 호퍼에서 배출되는 부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정량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배출부는 호퍼의 출구에 설치되어 부원료 배출량에 따라 회전하며 부원료를 이송하는 로터리밸브, 상기 로터리밸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센서, 및 상기 회전량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로터리밸브 회전에 따른 부원료 배출량을 연산하고 상기 슬라이드게이트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용강 상에 부원료를 보다 신속하게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어, 용강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들 상부에 후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부원료를 투입할 수 있어, 부원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업장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원하는 시점에 기계적으로 필요한 양 만큼의 부원료 투입이 가능하여, 표준화된 작업으로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고품질의 조업으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원료 투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원료 투입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원료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본 실시예의 부원료 투입장치는 제강공정에서 레들 상부에 부유하는 슬래그를 제거한 후 부원료로써 보온재를 투입하는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본 장치는 보온재 투입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부원료를 투입이 요구되는 모든 설비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원료 투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와 도 3은 상기 부원료 투입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투입장치는 제강 공정에서 레들(100)에 수용된 용강으로부터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설비(200)의 후드(110)에 결합되어, 레들(100)의 용강 상에 보온재를 투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후드(110)는 레들(100) 위쪽에 배치되어 슬래그 제거 과정에서 배출되는 흄이나 분진을 흡입하여 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투입장치는 상기 후드(110)에 설치되어 레들(100) 상에 후드(110)를 배치한 상태에서 필요시 레들(100)의 용강 상에 보온재를 투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투입장치는 상기 후드(110)에 결합되어 용강 상에 보온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0), 상기 투입부(10)로 보온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10)는 상기 후드(110)를 관통하여 용탕 상부로 연장되고 내부로 보온재가 이송되는 투입관(12)과, 상기 투입관(12)을 후드(110)에 대해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후드(110) 상부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 상기 투입관(12)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차(16), 및 상기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대차(16)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관(12)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관(12)의 하단은 후드(110)를 관통하여 레들(100)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드(110)에는 투입관(12)이 지나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관통구멍(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관(12)의 상단은 후드(110) 위쪽에 위치하여 필요시 공급부(50)로부터 보온재를 공급받는다. 상기 투입관(12)의 길이는 후드(110)의 크기나 레들(100)과의 거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투입관(12)은 후드(110)를 지나 레들(100)쪽으로 하강시 레들(100)의 용강 위로 충분히 내려올 수 있는 정도의 길이면 충분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입관(12)은 필요시에 상기 공급부(5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관(12)는 상기 보온재의 용강 투입을 위하여 상기 이동부를 매개로 하강되었을 때, 투입관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부와 연계되어 공급부로부터 보온재를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50)로부터 배출된 보온재가 상기 투입관(12) 상단으로 보다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관(12)의 상단에는 투입관(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깔때기(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단의 입구가 충분히 큰 깔때기(13)를 이용함으로써, 공급부(50)로부터 배출되는 보온재를 흘리지 않고 모두 투입관(12)으로 유도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4)은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후드(110)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연장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4)은 투입관(1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일면을 따라 대차(16)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나. 상기 대차(16)는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되도록 롤러가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투입관(12)은 대차(16)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대차(16)가 이동함에 따라 대차(16)에 설치된 투입관(12)이 후드(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16)는 투입관(12)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에, 대차(16)가 가이드레일(14) 상부로 이동되면 투입관(12)의 하단은 최대한 후드(110) 위쪽으로 이동하고, 대차(16)가 가이드레일(14) 하부로 이동할 때, 투입관(12) 하단은 최대한 레들(100)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대차(16)에 연결되는 와이어(20)와, 상기 가이드레일(14)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풀기 위한 구동드럼(18)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4) 상단에 지지플레이트(17)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7) 상에 구동드럼(18)과, 구동드럼(18)에 감겨지는 와이어(20)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래(19)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드럼(18)은 예를 들어,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20)가 감기거나 풀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드럼(18)에 연결된 와이어(20)는 도드래를 지나 아래쪽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대차(16)에 연결된다. 이에, 구동드럼(18)이 구동되면 와이어(20)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대차(16)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16)에 설치된 투입관(12)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투입관(12)의 하단이 후드(110)를 지나 레들(100)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들(100) 위에 후드(110)가 배치된 상태에서도 보온재의 투입이 가능하게된다. 후드가 레들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드(110)에 설치된 투입관(12)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후드(110)와의 간섭없이 필요시 투입관(12)을 통해 보온재를 용강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보온재 투입 과정에서 후드(110)를 통해 분진 등을 흡입 처리하여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1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감지센서(22)와 하한감지센서(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한감지센서(22)는 가이드레일(14) 상부에 설치되어 대차(16) 검출을 통해 투입관(12)의 상승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하한감지센서(24)는 가이드레일(14) 하부에 설치되어, 대차(16) 검출을 통해 투입관(12)의 하강 상태를 검출한다. 이에, 대차(16)의 상승 또는 하강 위치를 검출하여, 투입관(12)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한감지센서(22)와 하한감지센서(24)는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30)는 상한감지센서와 하한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구동드럼(18)의 정지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는 하한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투입관(12) 하강 상태가 검출되면 공급부(50)를 제어작동하여 투입관(12)으로 보온재를 투입한다.
상기 공급부(50)는 후드(110)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보온재가 수용된 호퍼(52)와, 호퍼(52) 하부의 출구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투입관(12)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투입관(12)의 개방된 상단으로 보온재를 배출하는 배관(54),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드게이트(56)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52)는 보온재로써 예를 들어 생석회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배관(54)을 통해 보온재를 배출하여 투입관(12) 상단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54)은 호퍼(52) 출구에서 투입관(12)의 상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관(54)의 하단은 상하로 이동되는 투입관(12)과 간섭되지 않으며, 투입관(12)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배관(54) 하단에서 배출되는 보온재가 투입관(12) 내부로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게이트(56)는 예를 들어, 밸브(58) 제어에 따라 유압이나 공압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구동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게이트(56)가 전후진되어 출구를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필요시 밸브(58)를 제어작동하여 슬라이드게이트(56)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50)는 호퍼(52)의 출구에 설치되어 호퍼(52)에서 배출되는 보온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정량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량배출부는 호퍼(52)의 출구에 설치되어 보온재 배출량에 따라 회전하며 보온재를 이송하는 로터리밸브(60), 상기 로터리밸브(6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센서(70), 상기 회전량 검출센서(70)의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로터리밸브(60) 회전에 따른 보온재 배출량을 연산하고 상기 슬라이드게이트(56)를 개폐하는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밸브(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2)에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플랩(64)이 설치된 구조로,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모터(66)의 구동에 따라 정속도로 회전하면서 상부에서 플랩들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정량의 보온재를 아래쪽 출구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밸브(60)의 회전량에 따라 출구로 배출되는 보온재의 배출량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상기 정량배출부는 로터리밸브(60)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투입관(12)으로 공급되는 보온재의 정확한 양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터리밸브(60) 회전량 검출을 위해 로터리밸브(60)의 회전축(62)에 날개 형태의 감지편(72)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편(72)에서 이격되어 로터리밸브(60)와 같이 회전되는 감지편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센서(7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량 검출센서(70)는 감지편(72)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는 컨트롤러(30)에 인가된다. 컨트롤러(30)는 회전량 검출센서(70)의 검출신호에 따라 로터리밸브(60)의 회전량을 연산하고 이에 따른 보온재의 배출량 즉, 투입관(12)으로 공급되는 보온재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온재의 공급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용강에 따른 정확한 양의 보온재를 투입관(12)으로 공급하여 용강 상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레들(100)의 용강 상에서 슬래그를 제거한 후 구동드럼(18)을 작동하게 되면 구동드럼(18)에서 와이어(20)가 풀리면서 와이어(20)에 연결된 대차(16)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대차(16)에 설치된 투입관(12) 역시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투입관(12)의 하단이 후드(110)를 지나 레들(100) 상부로 이동된다.
대차(16)가 가이드레일(14) 하부로 완전히 이동되면, 가이드레일(14)에 설치된 하한감지센서(24)에 대차(16)가 검출되고, 컨트롤러(30)는 하한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구동드럼(18)을 정지작동한다. 그리고 공급부(50)를 통해 보온재를 투입관(12)으로 공급한다.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밸브(58)가 작동되어 호퍼(52) 출구에 설치된 슬라이드게이트(56)가 개방되고, 로터리밸브(60)가 회전구동되면서 호퍼(52)에 수용된 보온재가 배관(54)으로 배출된다. 배관(54) 하단에서 배출되는 보온재는 투입관(12)의 상단을 통해 투입관(12) 내부로 공급되고, 투입관(12)을 따라 하강하여 용강 위로 배출된다.
상기 로터리밸브(6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구동되면서 일정한 양의 보온재를 투입관(12)으로 공급한다. 상기 로터리밸브(60)의 회전량은 회전량 검출센서(70)를 통해 검출되어 컨트롤러(30)로 인가된다.
상기 컨트롤러(30)는 회전량 검출센서(70)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배관(54)을 통해 투입관(12)으로 공급되는 보온재의 정확한 공급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작업자가 설정된 보온재 투입량에 따라 보온재가 모두 투입관(12)으로 공급된 후에는 컨트롤러(30)의 신호에 따라 슬라이드게이트(56)가 닫혀지고 로터리밸브(60)는 정지되어 보온재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설정한 정확한 양의 보온재를 용강 상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로터리밸브(60)가 정지하고 보온재 투입이 완료되면 구동드럼(18)이 작동되어 투입관(12)을 상승시킨다. 구동드럼(18)에 와이어(20)가 감겨지면서 대차(16)가 상부로 이동되고 대차(16)에 설치된 투입관(12)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위로 상승된다. 투입관(12)이 상부로 이동되어 대차(16)가 상한감지센서(22)에 검출되면 구동드럼(18)이 정지되고 보온재의 투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해 후드(110)가 레들(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분진 유출 없이 보온재를 투입할 수 있으며, 정확한 양의 보온재만을 사용할 수 있어 보온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표준화된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투입부 12 : 투입관
14 : 가이드레일 16 : 대차
18 : 구동드럼 20 : 와이어
22 : 상한감지센서 24 : 하한감지센서
30 : 컨트롤러 50 : 공급부
52 : 호퍼 54 : 배관
56 : 슬라이드게이트 58 : 밸브
60 : 로터리밸브 62 : 회전축
64 : 플랩 66 : 구동모터
70 : 검출센서 72 : 감지편

Claims (8)

  1. 용강이 수용된 레들 상부에 배치된 후드에 결합되어 용강 상에 부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부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용탕 상부로 연장되고 내부로 부원료가 이송되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을 후드에 대해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상기 부원료의 투입을 위하여 상기 이동부를 매개로 상기 투입관 하강시, 투입관이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부와 연계되는 구조의 부원료 투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후드 상부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투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차,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부원료 투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대차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구동드럼을 포함하는 부원료 투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감지센서와 하한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부원료 투입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후드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부원료가 수용된 호퍼, 호퍼 하부의 출구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투입관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투입관의 개방된 상단으로 부원료를 배출하는 배관, 및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드게이트를 포함하는 부원료 투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호퍼의 출구에 설치되어 호퍼에서 배출되는 부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정량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부원료 투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부는 호퍼의 출구에 설치되어 부원료 배출량에 따라 회전하며 부원료를 이송하는 로터리밸브, 상기 로터리밸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센서, 및 상기 회전량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를 인가받아 로터리밸브 회전에 따른 부원료 배출량을 연산하고 상기 슬라이드게이트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부원료 투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은 상단에 투입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깔때기가 설치되는 부원료 투입장치.
KR1020150029304A 2015-03-02 2015-03-02 부원료 투입장치 KR10169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04A KR101697081B1 (ko) 2015-03-02 2015-03-02 부원료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04A KR101697081B1 (ko) 2015-03-02 2015-03-02 부원료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15A true KR20160106415A (ko) 2016-09-12
KR101697081B1 KR101697081B1 (ko) 2017-01-17

Family

ID=5695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304A KR101697081B1 (ko) 2015-03-02 2015-03-02 부원료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678A (ko)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포스코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KR20190104778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 설비 및 용강 처리 방법
EP3907019A1 (de) * 2020-05-05 2021-11-1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Fördern von giesspulver in eine kokille
KR20220079217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투입장치 및 원료 투입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369A (ja) * 2003-06-09 2005-01-06 Sumitomo Metal Ind Ltd 溶鋼精錬装置
JP2005023368A (ja) * 2003-07-02 2005-01-27 Daido Steel Co Ltd 溶鋼への添加剤の投入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268155B1 (ko) * 2012-09-21 2013-05-27 김호정 분체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369A (ja) * 2003-06-09 2005-01-06 Sumitomo Metal Ind Ltd 溶鋼精錬装置
JP2005023368A (ja) * 2003-07-02 2005-01-27 Daido Steel Co Ltd 溶鋼への添加剤の投入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268155B1 (ko) * 2012-09-21 2013-05-27 김호정 분체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678A (ko)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포스코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KR20190104778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 설비 및 용강 처리 방법
EP3907019A1 (de) * 2020-05-05 2021-11-1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Fördern von giesspulver in eine kokille
KR20220079217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투입장치 및 원료 투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081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081B1 (ko) 부원료 투입장치
EP24527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inoculants into a flow of molten metal and automatic molten metal pouring machine
US20090230159A1 (en) Method for pouring off melt from a tiltable metallurgical vessel and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10317928B (zh) 钢包自动吹氩系统
KR100961375B1 (ko) 전로 자동출강 장치
CN107014209B (zh) Dcsp电炉
KR20190130321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0783080B1 (ko) 슬라브 정렬장치
KR102086092B1 (ko) 전로의 생석회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10071733A (ko) 출강구 폐쇄기 투입장치
KR101701674B1 (ko) 원료 혼합 장치
KR101193784B1 (ko) 래들의 칼슘 와이어 투사 가이드 장치
JP6350094B2 (ja) プラズマ加熱装置
KR100896615B1 (ko) 필러의 래들 투입장치
KR100889502B1 (ko) 정련로의 중더스트 처리 방법 및 처리장치
JPH07314105A (ja) 溶湯注入開始のモールドパウダー自動投入方法及び装置
KR101502424B1 (ko) 전로의 용강 이송용 장치
KR101345180B1 (ko) 슬래그 파쇄 장치
KR20120024195A (ko) 턴디쉬의 주입노즐 급속 폐쇄 장치 및 방법
KR101448988B1 (ko) 슬래그 제거장치
KR101424465B1 (ko) 연원료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5090B1 (ko) 노저 출선 전기로를 이용한 용융물을 드레인하는 방법
KR101505323B1 (ko) 래들 정련용 와이어 투입 장치
KR200332760Y1 (ko) 진공탈가스 설비의 첨가물 투입장치
KR101914089B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