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314A - 기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314A
KR20160106314A KR1020150029036A KR20150029036A KR20160106314A KR 20160106314 A KR20160106314 A KR 20160106314A KR 1020150029036 A KR1020150029036 A KR 1020150029036A KR 20150029036 A KR20150029036 A KR 20150029036A KR 20160106314 A KR20160106314 A KR 2016010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olded member
molded
curved surfa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선
엄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314A/ko
Priority to JP2017545915A priority patent/JP6517940B2/ja
Priority to US15/554,661 priority patent/US10571727B2/en
Priority to PCT/KR2016/001759 priority patent/WO2016140457A1/ko
Priority to CN201680020164.8A priority patent/CN107533396B/zh
Publication of KR2016010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 1 방향의 휨을 형성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제 2 방향의 휨을 형성하는 제 2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제조 방법{METHOD OF FABRICATING THE SUBSTRATE}
실시예는 기판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구부러지는 터치 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량 등에 쓰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평면이 아닌 곡면에 터치 패널이 적용되는 부분이 많아, 곡면 터치 패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곡면 터치 패널은 LCD 등의 다른 구성과 결합하여 차량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곡면을 가지는 터치 패널에 따라 다른 차량 등의 구성에 적용될 때 결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면 형성시 디자인의 자유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판 및 이를 적용한 터치 디바이스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된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 1 방향의 휨을 형성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제 2 방향의 휨을 형성하는 제 2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은 일면은 복곡면을 가지고 타면은 단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과 타면이 서로 다른 수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면은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곡면이 적용되는 차량 등 다양한 부분에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평면 또는 곡면이 적용되는 부분에서 결합면의 형상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면은 복곡면을 가짐에 따라 기판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터치 디바이스 또는 차량 등에 적용되어 향상된 디자인 자유도 및 위치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제 1 성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제 1 성형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제 1 성형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성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기판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A'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B-B'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은 제 1 성형 단계(ST10) 및 제 2 성형 단계(ST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 및 상기 제 2 성형 단계(ST20)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 및 상기 제 2 성형 단계(ST20)는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 및 상기 제 2 성형 단계(ST20)는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에서는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에서는 상기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에서는 상기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에서는 상기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 1 방향의 휨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에서는 상기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곡률을 가지는 휨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는 복수 개의 성형 부재를 이용하여 기판을 성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성형 부재(100)는 제 1 성형 부재(110) 및 제 2 성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서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에 수지가 주입되고, 상기 수지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에 수지 물질(R)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성형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물질(R)은 주입부(510)를 통해 챔버(500) 내부로 유입된 후, 챔버(500) 내부에서 혼합 부재(530) 등을 통해 혼합되고, 배출부(520)를 통해 성형 부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수지 물질(R)의 배출양 및 온도는 상기 챔버 내에서 원하는 양 및 온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지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물질(R)은 하나의 수지 물질 또는 두개 이상의 수지 물질을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 물질은(R)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폴리 카보네이트(PC),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에는 수지 물질 대신에 유리를 형성하는 실리카계 물질이 주입되어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에는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유리를 형성하는 실리카계 물질이 주입되어 통과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가 4개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성형 부재는 4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성형 부재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또는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오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와 마주보는 일면 상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란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의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한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220) 사이에 수지 물질(R)이 통과되는 경우, 상기 제 1 성형 기판이 제조되고,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오목부(210)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한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오목부의 형상과 같이 오목 형상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볼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와 마주보는 일면 상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란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의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한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220) 사이에 수지 물질(R)이 통과되는 경우, 상기 제 1 성형 기판이 제조되고,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볼록부(220)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한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볼록부의 형상과 같이 볼록 형상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복수 개의 오목부(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와 마주보는 일면 상에 복수 개의 오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란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의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한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220) 사이에 수지 물질(R)이 통과되는 경우, 상기 제 1 성형 기판이 제조되고,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곡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오목부(210)들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한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오목부들의 형상과 같이 오목 형상의 곡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복수 개의 볼록부(2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와 마주보는 일면 상에 복수 개의 볼록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란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성형 부재의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한 것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220) 사이에 수지 물질(R)이 통과되는 경우, 상기 제 1 성형 기판이 제조되고,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곡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부재(110) 및 상기 제 2 성형 부재(120)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볼록부(210)들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한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볼록부들의 형상과 같이 볼록 형상의 곡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1 성형 단계(ST10)에서는 복수 개의 성형 부재들을 이용하여 일면이 곡면을 포함하는 제 1 성형 기판(41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성형 단계에서는 제 1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 1 성형 기판이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기판은 일면 및 타면 중 하나의 면 상에 제 1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 부재를 통과하는 수지 물질은 상기 제 2 성형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의해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 상에 일정한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 형성되어 제 1 성형 기판(4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 2 성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금형 부재(300)를 준비하고, 상기 금형 부재 내에 제 1 성형 기판을 배치한 후, 상기 금형 부재를 제 2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형 부재(300)는 1 기판(310)과 2 기판(3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310)과 제 2 기판(320) 사이에 상기 제 1 성형 기판을 배치한 후, 상기 금형 부재를 제 2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금형 부재를 구부리는 것은 고온의 열과 함께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는 상기 제 2 방향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과 타면 모두에 상기 제 2 방향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둔각 또는 예각을 가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성형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일면은 두 방향 즉,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상기 제 1 성형 기판의 타면은 하나의 방향 즉, 상기 제 2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기판의 일면은 두 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복곡면이 형성되고, 기판의 타면은 한 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단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면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휘어지는 곡면은 약 5R 내지 약 1000R의 곡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률이 약 5R 미만인 경우, 기판이 과도하게 휘어지게 되어, 기판 상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기판을 터치 윈도우 등에 적용할 때, 광 산란에 의한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약 1000R을 초과하는 경우 기판이 평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곡면 기판에 따른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의 휨과 상기 제 2 방향의 휨은 상기 곡률 범위 내에서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판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의해 일면과 타면이 곡면을 가지는 기판(400)이 제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400)은 일면이 2개의 곡률을 가지는 즉, 두 방향의 곡면을 가지는 복곡면을 가질 수 있고, 타면은 1개의 곡률을 가지는 즉, 일 방향의 곡면을 가지는 단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400)의 일면은 제 1 성형 단계에서 1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 2 성형 단계에서는 2 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1 방향 및 2 방향 즉, 두 방향으로 휘어지는 복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400)의 타면은 상기 제 1 성형 단계에서는 휘어지지 않고, 상기 제 2 성형 단계에서는 상기 2 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2 방향 즉, 하나의 방향으로만 휘어지는 단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일면(401)은 곡면을 가지고, 타면(402)은 곡면을 가지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성형 단계에서는 상기 기판(100)의 일면(401)에만 상기 제 1 방향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일면(401) 및 타면(402)이 모두 곡면을 가진다. 즉, 상기 제 2 성형 단계에서는 상기 기판(100)의 일면(401) 및 타면(402) 상에 상기 제 2 방향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은 일면은 복곡면을 가지고 타면은 단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과 타면이 서로 다른 수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면은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곡면이 적용되는 차량 등 다양한 부분에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평면 또는 곡면이 적용되는 부분에서 결합면의 형상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면은 복곡면을 가짐에 따라 기판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터치 디바이스 또는 차량 등에 적용되어 향상된 디자인 자유도 및 위치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기판이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플렉서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터치 윈도우는 웨어러블 터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이동식 단말기 등의 터치 디바이스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 네비게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서 터치 윈도우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 1 방향의 휨을 형성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제 2 방향의 휨을 형성하는 제 2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인 기판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타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휘어지는 기판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 단계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성형 부재 및 제 2 성형 부재 사이에 수지를 통과시켜 제 1 성형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 부재 또는 상기 제 2 성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형 단계는 금형 부재 사이에 제 1 성형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휨 및 상기 제 2 방향의 휨의 곡률은 5R 내지 1000R인 기판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휨 및 상기 제 2 방향의 휨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기판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휨 및 상기 제 2 방향의 휨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기판 제조 방법.
KR1020150029036A 2015-03-02 2015-03-02 기판 제조 방법 KR20160106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36A KR20160106314A (ko) 2015-03-02 2015-03-02 기판 제조 방법
JP2017545915A JP6517940B2 (ja) 2015-03-02 2016-02-23 カバー基板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5/554,661 US10571727B2 (en) 2015-03-02 2016-02-23 Cover substrate and touch window including same
PCT/KR2016/001759 WO2016140457A1 (ko) 2015-03-02 2016-02-23 커버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CN201680020164.8A CN107533396B (zh) 2015-03-02 2016-02-23 盖基板及包括盖基板的触摸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036A KR20160106314A (ko) 2015-03-02 2015-03-02 기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14A true KR20160106314A (ko) 2016-09-12

Family

ID=5695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036A KR20160106314A (ko) 2015-03-02 2015-03-02 기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1972A (zh) * 2017-09-06 2020-04-21 弗莱克英纳宝有限公司 组装曲状显示装置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1972A (zh) * 2017-09-06 2020-04-21 弗莱克英纳宝有限公司 组装曲状显示装置的方法
CN111051972B (zh) * 2017-09-06 2023-08-11 弗莱克英纳宝技术有限公司 组装曲状显示装置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36529B2 (en) Device having integrated interface system
KR102187473B1 (ko) 터치 디바이스
CN107533396B (zh) 盖基板及包括盖基板的触摸窗
US20080117183A1 (en) Touch screen using image sensor
US20080055270A1 (en) Touch screen display having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10064943A1 (en) Conductive slice structure
US20140354907A1 (en) Composite touch cover plate
CN204129713U (zh) 带有触摸检测功能的显示装置、电子设备及罩部件
JP2017091219A (ja) 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
TWI453501B (zh) 觸控面板之製造方法
CN112820200A (zh) 盖板及显示装置
US10514804B2 (en) Input device and input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WI459079B (zh) 觸控面板結構
JP6270120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に組み込まれる保護カバーおよ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20160106314A (ko) 기판 제조 방법
KR102288829B1 (ko) 커버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JP6706760B2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KR200466035Y1 (ko) 터치 패널 보호용 커버
US20120223915A1 (en) Touch module and touch display using the same
TWM508717U (zh) 電極基板與觸控面板
KR20180005954A (ko) 터치 센싱 장치, 이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및 전자 기기
KR20160024332A (ko) 터치센서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