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520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520A
KR20160104520A KR1020150066849A KR20150066849A KR20160104520A KR 20160104520 A KR20160104520 A KR 20160104520A KR 1020150066849 A KR1020150066849 A KR 1020150066849A KR 20150066849 A KR20150066849 A KR 20150066849A KR 20160104520 A KR20160104520 A KR 2016010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detected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489B1 (ko
Inventor
최아영
김영현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53,27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42436B2/en
Priority to CN201680012516.5A priority patent/CN107278138B/zh
Priority to PCT/KR2016/001951 priority patent/WO2016137283A1/ko
Publication of KR2016010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피검자의 신체에 관려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신체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하는 부분 체지방 측정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NENTS RECOGNIZABLE BODY MEASURING REGION AUTOMATICALLY}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평소에도 체지방 측정을 통한 체계적인 체중 감량 및 건강 관리를 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체계적이고 건강한 체중 감량 및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체지방 측정 장치는 인체에 포함된 체지방, 즉 지방 성분의 양을 측정하여 근육량, 체수분량 및 체지방률 등의 인체 분석을 통해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장치로 근래 체중계의 차세대 건강 측정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체지방 측정 장치는 인체 내에서 전류가 수분을 통해 흐른다는 사실을 기본으로 하여 체지방을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전류를 인가한 후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신체 부위의 전기적 저항, 즉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근육량, 체수분량 및 체지방률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체성분 분석 결과들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언제 어디서든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별로 부분 체성분 측정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통해 신체 부위별로 체성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체성분 측정 장치는 부위별 근육 발달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부위별 운동의 효과나 좌우 균형 상태, 상하체의 발달 정도, 재활 치료의 효과 등을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체성분 측정 장치는 부위별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 부위를 수동으로 입력한 후 해당 측정 부위에 측정 기기를 대고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매번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입력해야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 부위를 입력 시 상기 측정 장치에 미리 설정된 각 측정 부위에 대한 정확한 명칭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의 어려움이 초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측정 부위를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인식하여 체성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전자 장치는, 피검자의 신체에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신체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하는 부분 체지방 측정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은, 피검자의 신체에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신체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인식하여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센서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센서부의 기준 방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전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체지방 측정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8f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체성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체성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음성 입력 방식에 따른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14c는 도 13에 도시된 음성 입력 방식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 방식에 따른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a 및 16d는 도 15에 도시된 터치 입력 방식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7a 및 17b는 도 13및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1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1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164)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위치 센서부(210),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입력부(230), 저장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사운드 출력부(260) 및 통신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부(210)는 피검자의 신체에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센서부(210)는 예를 들어, 기준 위치 및 측정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위치는 피검자의 체성분 측정 시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로, 예를 들면, 체성분 측정 어플리케션이 실행되는 순간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측정 시작 버튼(802)(도 8a 참조)이 눌려지는 순간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측정 위치는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위치 센서부(210)는 다수의 위치 기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위치 기반 센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가속도 값, 지자기 값 및 고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자이로 센싱값, 각속도 센싱값 및 모션 센싱값과 같은 모든 위치 기반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위치 기반 센싱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attitude)를 판단할 수 있다.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는 상기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피검자의 신체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는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체지방과 관련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는 다수의 체지방 측정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체지방 측정 모듈로부터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체지방 측정 정보는 임피던스 값, 피부전도도 값 및 피하지방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지방 측정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모든 체지방 측정 모듈로부터 검출된 체지방 측정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로부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발생되거나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230)는 키(key) 패드, 터치패드, 및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 입력될 수 있는 모든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피검자의 이름,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등과 같은 기본 정보와, 피검자의 나이, 성별 및 신장에 따른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는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 및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및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분석 결과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각각 판단된 다수의 신체 측정 부위 및 각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부분 체성분 분석 결과들에 근거한 통합 체성분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통신부(270)는 본 발명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70)는 피검자의 나이, 성별 및 신장 등에 따른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 및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 등을 외부(예: 서버 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위치 센서부(210)를 통해 검출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및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를 통해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 즉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80)는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일부 또는 모두에 대해 각각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8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이 가능하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음성을 통해 입력받아 인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도 4b참조)을 접촉시키면 접촉된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가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음성 입력을 통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위치 센서부(210) 및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을 통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입력을 통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80)는 전자 장치(200)의 신체 측정 위치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 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운드 출력부(260)로 출력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50)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 입력에 의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를 인지하여 상기 인지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예컨대, A, B, C, D)(도 4b 참조)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신체 측정 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80)는 터치 인식 기능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이 가능하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터치 입력을 통해 입력받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에 부분 체성분 측정을 원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 버튼(1602a, 1602b)(도 16a 및 16b 참조)과 같은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측정 부위를 터치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해당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터치 입력 후 또는 해당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1602a, 1602b)을 누른 상태로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예컨대, A, B, C, D)(도 4b 참조)을 접촉시키면 접촉된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터치 입력을 통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위치 센서부(210) 및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를 통해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80)는 전자 장치(200)의 신체 측정 위치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 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운드 출력부(260)로 출력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50)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 입력에 의해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를 인지하여 상기 인지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신체 측정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센서부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센서부의 기준 방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전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부(210)는 가속도 센서(302), 지자기 센서(304) 및 고도계 센서(30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02)는 전자 장치(200)가 이동 시 소정의 위치에서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속도 센서(30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200)의 장축 길이 방향인 Y축, 전자 장치(200)의 단축 길이 방향인 X축, 및 상기 X축과 상기 Y축이 이루는 평면(예: 화면)에 수직한 방향인 Z축을 포함하여 3축을 가지며, Y축이 수평면에 수직하고 X축 및 Z축이 수평면과 수평한 상태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X축, Y축 및 Z축의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즉, 가속도 센서(302)는 전자 장치(200)의 중심으로부터 위로 향하는 방향이 +Y축(그 반대 방향은 Y축), 전자 장치(200)의 중심으로부터 오른쪽 향하는 방향이 +X(그 반대 방향은 X축) 및 전자 장치(200)의 중심으로부터 앞으로 향하는 방향이 +Z축(그 반대 방향은 Z축)인 기준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지자기 센서(304)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소정의 측정 위치에서의 지구 자기장에 의한 전자 장치(200)의 방향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자기 센서(304)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302)와 동일한 3축을 가지며, Y축이 수평면에 수직하고 X축 및 Z축이 수평면과 수평한 상태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각 회전각(즉, 방향각)(예: 피치각, 롤각 및 요우각)이 0˚인 기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280)는 지자기 센서(304)로부터 검출된 지자기 센싱값을 통해 전자 장치(200)의 자세각(attitude angle)을 판단할 수 있다.
고도계 센서(306)는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소정의 측정 위치에서의 대기압에 의한 전자 장치(200)의 고도(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소정의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측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280)는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가속도 센서(302)로부터 검출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에서 상기 측정 위치까지의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통해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좌우 이동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지자기 센서(304)로부터 검출된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자세각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자세각을 통해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전후 이동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고도계 센서(306)로부터 검출된 고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고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고도를 통해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상하 이동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기준 위치와 측정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기준 위치와 측정 위치에서의 가속도 센싱값, 지자기 센싱값 및 고도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방향, 자세각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위치 센서부(210)는 가속도 센서(302), 지자기 센서(304) 및 고도계 센서(30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이로 센서, 각속도 센서 및 모션 센서 등과 같은 모든 위치 기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체지방 측정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는 체저항 측정 모듈(502) 및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을 포함할 수 있다. 체저항 측정 모듈(502) 및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측정 전극(A, B, C, D)과 연결될 수 있다. 소정의 측정 전극(A, B, C, D)은 체저항 또는 피하지방 측정 시 공동으로 사용되도록 소정의 스위칭부를 통해 스위칭되어 해당 측정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소정의 측정 전극(A, B, C, D)이 체저항 측정 모듈(502) 및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저항 측정 모듈(502) 및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 각각에 소정의 측정 전극이 연결될 수도 있다.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의 체지방 양에 따른 체저항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측정 방법에 따라 두 가지 타입의 체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된 두 개의 전극(예컨대, A, B)(도 4b 참조)을 통해 상기 신체 측정 부위를 통과할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된 또 다른 두 개의 전극(예컨대, C, D)(도 4b 참조)을 통해 상기 교류 전류가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통과 시의 교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인가된 교류 전류와 상기 신체 측정 부위로부터 측정된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된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임피던스 값[Ω]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는 예를 들어, 약 1KHz 내지 1GHz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값은 신체 측정 부위에 따라 상이한 임피던스 표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인가된 교류 전류와 상기 검출된 교류 전압의 위상 지연(phase delay)을 사용하여 임피던스 값을 검출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최소의 전극 구성(최소 4개)을 하나의 측정 채널로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측정 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측정 채널을 이용하여 한번에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측정 채널을 가질 경우, 전자 장치(200)는 각 측정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체저항 측정 모듈(502)로부터 검출된 임피던스 값에 따라 신체 측정 부위를 구별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부분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된 두 개의 전극(예컨대, A, B)(도 4b 참조)을 통해 상기 신체 측정 부위를 통과할 직류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된 또 다른 두 개의 전극(예컨대, C, D)(도 4b 참조)을 통해 상기 직류 전류가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통과 시의 직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체저항 측정 모듈(502)은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인가된 직류 전류와 상기 신체 측정 부위로부터 측정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된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피부전도도 값[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부전도도는 신체 측정 부위에 인가된 약한 전기적 신호(DC 전류)에 의해 그 전기적 저항의 일시적인 변화가 감지된 측정값으로, 접촉 부위, 즉 신체 측정 부위에 따라 상이한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280)는 체저항 측정 모듈(502)로부터 검출된 피부전도도 값에 따라 측정 전극(A, B, C, D)(도 4b참조)의 접촉 부위, 즉 신체 측정 부위를 구별하여 판단할 수 있다.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은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의 체지방 양에 따른 피하지방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은 다양한 측정 방법(예: RF 신호, 초음파 또는 광원을 이용하여 측정)으로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신호를 이용한 피하지방 측정의 경우,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은 약 0.1~200GHz의 주파수를 갖는 RF 신호를 측정 전극(예컨대, A, B)(도 4b 참조)을 통해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인가하여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체지방으로 흡수된 RF신호가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신호를 측정 전극(예컨대, C, D)(도 4b참조)을 통해 측정하여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따라 상이한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값, 피부전도도 값 및 피하지방 두께는 각각 신체 부위별로 서로 상이한 표준 범위를 갖기 때문에, 제어부(280)는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로부터 검출된 상기 임피던스 값, 피부전도도 값 및 피하지방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의 일례를 도표화 하였다.
  몸통(TR) 오른팔(RA) 왼팔(LA) 오른다리(RL) 왼다리(LL)
임피던스[Ω] 10~50 300~500 300~500 200~300 200~300
피부전도도[Ω] 1-9M 50~70M  50~70M 65~90M 65~90M
피하지방 두께[㎜] 10-30 4~15  4~15 5~17 5~17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신체 부위별(예: 몸통(TR), 팔(RA, LA) 및 다리(/RL, LL)) 다수의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예컨대,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피부전도도 및 피하지방 두께)는 피검자의 나이, 성별 및 신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나이, 성별 및 신장에 따른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는 저장부(240)에 미리 저장되거나 통신부(270)를 통해 외부(예: 서버 106)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를 몸통(TR), 좌우 팔/다리(LA, RA/LL, RL)를 포함하여 총 5개의 신체 측정 부위로 설정(도 11a참조)하였으나, 신체 측정 부위는 보다 세분화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측정 부위는 좌우 가슴, 복부, 좌우 상완부, 좌우 전완부, 좌우 대퇴부, 좌우 종아리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도 11b 참조). 신체 측정 부위가 세분화되어 설정될수록 보다 정밀한 부분 체성분 측정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 및 체성분 분석 모듈(606)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피검자의 신체에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예: 기준 신체 부위 및 각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가속도 값, 지자기 값 및 고도 값 등)에 기반하여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부분 체지방 측정이 시작되면 측정 시작 후 초기설정시간(예: 약 1초) 동안 위치 센서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가속도 값, 지자기 값 및 고도 값 등을 검출하여 그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가속도 값, 평균 지자기 값 및 평균 고도 값을 기준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신체 부위는 사전에 디폴트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신체 부위가 디폴트로 복부로 미리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체성분 측정 시 피검자의 복부에 전자 장치(200)를 위치시키고 체성분 측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신체 부위는 사용자 또는 피검자의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체성분 측정 전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신체 부위를 마이크, 키패드 및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부(230)를 통해 음성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 입력함으로써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체성분 측정 시작 후 위치 센서부(2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및 피검자의 신체 중 부분 체성분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평균 가속도 값)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가속도 값)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평균 지지기 값)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지지가 값)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자세각(attitude angle)을 판단할 수 있다.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평균 고도 값)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예: 고도 값)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고도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상기 판단된 측정 지점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이동 거리, 이동 방향, 자세각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부위가 피검자의 복부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로부터 검출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체지방 측정 정보와,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와 측정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에서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를 각각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임피던스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임피던스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부전도도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부전도도 값이 상기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하지방 두께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가 상기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제1 내지 제3 신체 측정 부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로부터 검출된 임피던스 값, 피부전도도 값 및 피하지방 두께가 각각 300Ω, 80MΩ 및 5㎜ 인 경우,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정보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를 각각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로부터 검출된 상기 임피던스 값(예: 300Ω)과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임피던스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제1 신체 측정 부위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체 측정 부위는 예를 들어, 좌우 팔(RA, LA) 또는 좌우 다리(RL, LL)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로부터 검출된 상기 피하지방 두께(예: 5㎜)와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가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제2 신체 측정 부위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신체 측정 부위는 예를 들어 좌우 팔(RA, LA) 또는 좌우 다리(RL, LL)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로부터 검출된 상기 피부전도도 값(예: 80 MΩ)과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피부전도도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제3 신체 측정 부위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신체 측정 부위는 예를 들어, 좌우 다리(RL, LL)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와 상기 미리 저장된 각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와의 비교 결과 각각 선택된 상기 제1 내지 제3 신체 측정 부위 중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신체 측정 부위 중 공통으로 포함되는 신체 측정 부위인 좌우 다리(RL, LL)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 즉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좌우 이동 위치, 전후 이동 위치 및 상하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좌우 이동 위치 및 상하 이동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신체 부위(예: 복부)을 기준으로 하부 좌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전자 장치(200)가 상기 기준 위치(예: 복부)에서 상기 측정 위치까지 좌측 하부로 이동하였으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예, 좌우 다리(LL, RL)) 중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는 왼다리(LL)인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는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판단 시 좌우 이동 위치 및 상하 이동 위치만을 고려하였으나, 전자 장치(200)의 자세에 따른 전후 이동 위치를 포함할 경우보다 세분화된 신체 측정 부위를 구별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성분 분석 모듈(606)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로부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와 피검자의 기본 신체 정보(예: 나이, 성별, 체중 및 신장 등)에 기반하여 해당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다양한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분석 모듈(606)은 상기 검출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지방 측정 정보(예: 임피던스 값, 피부전도도값, 피하지방 두께)를 이용하여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전체 두께(㎜), 피하지방 두께(㎜), 근육량(Kg), 근육의 질(muscle quality: MQ), 체수분(L), 세포내외수분비 및 비만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분석 모듈(606)은 각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해 분석된 부분 체성분 결과를 이용하여 통합된 체성분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성분 분석 모듈(606)은 체수분량(L), 전신 근육량(Kg), 체지방량(Kg), 제지방량(Kg), 체질량 지수(BMI), 복부 비만도, 좌우 균형, 및 상하 균형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702).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704). 상기 704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체성분 측정 시작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704 과정에서, 측정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위치 센서부(210)를 통해 검출된 기준 위치 및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로부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706).
그 다음,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서 검출된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 및 미리 저장된 피검자의 기본 신체 정보(예: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등)에 기반하여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708).
그 후, 제어부(280)는 분석 결과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710), 분석 결과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에 분석된 체성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712).
상기 710과정에서, 분석 결과 확인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분석 결과를 표시하지 않고 714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710 과정을 생략하고, 712 과정으로 진행하여 분석된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결과를 화면에 바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712 과정 이후, 분석 결과 표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분석 결과 저장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4). 상기 714 과정에서, 분석 결과 저장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716).
상기 714 과정에서, 분석 결과 저장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해당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저장하지 않고 718 과정으로 진행하여 측정 계속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718). 718 과정에서, 측정 계속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706 과정으로 되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다음 신체 측정 부위(예: 제2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기준 위치 및 기준 신체 부위를 그 이전에 판단된 측정 위치(예: 제1 측정 위치) 및 신체 측정 부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718 과정에서, 측정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04 과정에서, 측정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마찬가지로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f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지방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상에 체성분 측정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시작 버튼(802) 및 종료 버튼(804)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시작 버튼(802)을 누르면, 측정 시작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된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종료 버튼(804)를 누르면, 측정 종료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을 종료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 시작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280)는 사용자에게 체성분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에 측정 전극(예컨대, A, B, C, D)(도 4b참조)을 접촉시킬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 체성분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접촉시킨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 피검자의 소정의 신체 측정 부위에 측정 전극(A, B, C, D)을 접촉시키면, 제어부(280)는 측정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미리 설정된 측정설정시간(806)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상기 측정설정시간(806)은 측정설정시간(예: 10초) 동안 숫자로 다운 카운팅되도록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막대 그래프와 같은 그래픽 기반 오브젝트가 측정설정시간 동안 줄어들도록 하여 측정 시간이 다운 카운팅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설정시간(806) 동안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80)는 해당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확인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와 함께 확인 버튼(808) 및 종료 버튼(810)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확인 버튼(808)을 누르면, 분석 결과 확인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분석 결과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도 11a 내지 11c, 및 도 12 참조).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종료 버튼(810)을 누르면, 분석 결과 확인 종료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된다.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 확인종료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280)는 상기 분석된 체성분 결과를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와 함께 저장 버튼(812) 및 종료 버튼(814)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저장 버튼(812)을 누르면 분석 결과 저장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해당 측정 부위의 체성분 분석 결과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상기 종료 버튼(814)을 누르면 분석 결과 저장 종료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된다.
도 8f를 참조하면, 상기 분석 결과 저장 종료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280)는 상기 분석된 체성분 결과를 저장하지 않고, 체성분 측정을 계속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와 함께 계속 버튼(816) 및 종료 버튼(818)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계속 버튼(816)을 누르면 측정 계속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도 7의 706 과정으로 되돌아가 다음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여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종료 버튼(818)을 누르면 측정 종료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9는 도 7의 706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80)의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측정 시작 후 초기설정시간(예: 약 1초) 동안 위치 센서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902). 상기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302)로부터 검출된 가속도 값, 지자기 센서(304)로부터 검출된 지자기 값, 및 고도계 센서(306)로부터 검출된 고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의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상기 초기설정시간 동안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904). 즉,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상기 산출된 평균 가속도 값, 평균 지자기 값 및 평균 고도 값을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신체 부위는 사전에 디폴트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신체 부위가 디폴트로 복부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체성분 측정 시작 시 피검자의 복부에 전자 장치(200)를 위치시키고 체성분 측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체성분 측정 시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신체 부위를 피검자의 복부로 판단하고, 상기 복부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준 신체 부위는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체성분 측정 전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신체 부위를 마이크, 키패드 및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부(230)를 통해 음성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 입력함으로써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부위가 피검자의 복부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제어부(280)의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은 상기 904 과정에서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설정한 후, 위치 센서부(210)를 통해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906).
제어부(280)의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부분 체지방 측정부(220)를 통해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한다(908).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는 예를 들어 체저항 측정 모듈(502)로부터 검출된 임피던스 값과 피부전도도 값, 및 피하지방 측정 모듈(504)로부터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의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은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 및 상기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91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10은 도 9의 910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을 통해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한다(1002).
상기 1002 과정은,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이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평균 가속도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2 과정은,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이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평균 지자기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자세각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2 과정은,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이 위치 센서부(210)로부터 검출된 상기 기준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평균 고도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고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고도(높이)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2 과정은,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이 상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 자세각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을 통해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에서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를 각각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한다(1004).
상기 1004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상기 검출된 다수의 체지방 측정 정보 중 임피던스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임피던스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4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상기 검출된 다수의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하지방 두께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측정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4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상기 검출된 다수의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부전도도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부전도도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4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지 제3 신체 측정 부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280)는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을 통해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상기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는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한다(1006).
상기 1006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기준 위치에서부터 상기 측정 위치까지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통해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좌우 이동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6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고도를 통해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상하 이동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06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자세를 통해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전자 장치(200)의 전후 이동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1006 과정은, 측정 부위 판단 모듈(604)이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 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상기 측정 위치 판단 모듈(602)로부터 판단된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좌우 이동 위치, 상하 이동 위치 및 전후 이동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신체 측정 부위로 최종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체성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상기 판단된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상에는 피검자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기본 정보 표시 영역(1102),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를 표시하는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a),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측정 정보를 표시하는 측정 정보 표시 영역(1106) 및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체성분 표시 영역(11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 표시 영역(1102)은 피검자의 이름(또는 ID),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과 같은 피검자의 기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a)은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단된 측정 부위(예: 왼팔(LA))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영역으로, 그래픽, 텍스트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a)은 신체 부위별로 구분된 인체 모델링 그림에서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를 색상으로 구별되게 하거나 깜박임 등의 액션을 주어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그래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정보 표시 영역(110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측정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명칭, 근육량(Kg) 및 비만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표시 영역(1108)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체성분 표시 영역(1108)은 예를 들어,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전체 두께(㎜), 피하지방 두께(㎜), 근육의 질(MQ), 체수분(L), 및 세포내외수분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정보 표시 영역(1106)과 상기 체성분 표시 영역(1108)의 표시 항목은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정보 표시 영역(1106)은 상기 체성분 표시 영역(1108)의 표시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b)은 도 11a의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a)에 비해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가 더욱 세분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280)는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를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a, 1104b)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에 대한 설정은 체성분 측정 전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가 세분화되어 설정될수록 보다 정밀한 부분 체성분 측정이 가능하다.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104c)은 제어부(280)에 의해 판단된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측정 부위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체성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판단된 피검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통합 체성분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상에는 피검자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기본 정보 표시 영역(1202),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를 표시하는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204),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측정 정보 및/또는 체성분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측정 정보 표시 영역(1206, 1208), 및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측정 정보 및/또는 체성분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의 종합적인 진단 또는 전문가의 어드바이스 등을 표시하는 진단 결과 표시 영역(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 표시 영역(1202),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204) 및 측정 정보 표시 영역(1206, 1208)은 도 11a 내지 11c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측정 정보 표시 영역(1206, 1208)은 도 11a 내지 11c에서 상술한 체성분 표시 영역(1106)의 표시 항목을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진단 결과 표시 영역(1210)은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 정보 및/또는 체성분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근육 및 체내외수분비에 대한 좌우 균형 및 상하 균형 등과 같은 진단 결과 및 상기 진단 결과에 근거한 전문가 어드바이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정보 표시 영역들(1206, 1208)에 각각 좌우 팔에 대한 측정 정보 및/또는 체성분 분석 결과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진단 결과 표시 영역(1210)에는 좌우 팔에 대한 좌우 근육 균형에 대한 진단 결과(예: '좌우 근육 균형: 안맞음') 또는 좌우 수분 비율에 대한 진단 결과(예: '좌우 수분 비율: 맞음')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결과 표시 영역(1210)에는 상기 진단 결과에 대한 전문가 어드바이스(예: '왼팔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이 필요합니다')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음성 입력 방식에 따른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1302).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80)는 마이크와 같은 입력부(230)를 통해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음성을 입력받아 해당 신체 측정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1304). 음성 입력 후,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도 4b참조)을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시키면, 제어부(280)는 도 7,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1306). 그 후, 제어부(280)는 상기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08). 상기 1308 과정에서,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280)는 도 7의 708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서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분석하여(1310)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및 상기 분석된 체성분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1312).
한편, 상기 1308 과정에서,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80)는 사운드 출력부(260)를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게 전자 장치(200)의 측정 위치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 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1314). 또한,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상에 경고 메시지 및 음성 인식되거나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예컨대, A, B, C, D)(도 4b 참조)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신체 측정 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1316). 그런 다음, 제어부(280)는 체성분을 다시 측정하기 위한 재측정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1318), 상기 재측정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상기 1306 과정으로 되돌아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이동되어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D, D)이 접촉된 접촉 부위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1318 과정에서, 재측정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을 종료한다.
도 14a 내지 14c는 도 13에 도시된 음성 입력 방식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상에 체성분 측정을 원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음성 인식 표시 필드(140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좌측 상완부라고 음성 입력하면, 제어부(280)는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해당 신체 측정 부위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된 신체 부위별로 모델링된 인체 모델에 상기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를 표시하는 그래픽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음성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를 표시하는 음성 인식 표시 필드(1404)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도 4b 참조)을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시킬 것을 유도하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피검자의 해당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피검자의 소정의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접촉시키면, 제어부(280)는 접촉된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여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이 측정 중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함께 측정설정시간(예: 약 10초)을 표시하는 측정 설정 시간 표시 필드(1406)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 방식에 따른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1502).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에 부분 체성분 측정을 원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 버튼(1602a, 1602b)(도 16a 및 16b참조)과 같은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측정 부위를 터치 입력받아 해당 신체 측정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1504). 해당 신체 측정 부위(예: 복부)에 대한 터치 입력 후 또는 해당 신체 측정 부위(예: 복부)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1602a, 1602b)을 누른 상태로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도 4b 참조)을 피검자의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시키면, 제어부(280)는 도 7,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된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1506). 그 후,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508). 상기 1508 과정에서,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280)는 도 7의 708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에서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분석하여(1510)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및 분석된 체성분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1512).
한편, 상기 1508 과정에서,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80)는 사운드 출력부(260)를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게 전자 장치(200)의 측정 위치가 잘못 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 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1514). 또한,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상에 경고 메시지 및 터치 입력되거나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측정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예컨대, A, B, C, D)(도 4b 참조)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신체 측정 부위를 안내하는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1516). 그런 다음, 제어부(280)는 체성분을 다시 측정하기 위한 재측정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1518), 상기 재측정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상기 1506 과정으로 되돌아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이동되어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 이 접촉된 접촉 부위에 대응되는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1518 과정에서, 재측정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체성분 측정을 종료한다.
도 16a 내지 16d는 도 15에 도시된 터치 입력 방식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a및 16b를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상에 체성분 측정을 원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터치 입력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신체 측정 부위 선택 버튼(1602a, 1602b)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측정 부위 선택 버튼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측정 부위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1602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측정 부위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160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 측정 부위 선택 버튼(1602a, 1602b)을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좌측 상완부가 선택되면, 제어부(280)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선택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해당 신체 측정 부위에 컬러 또는 깜박임 등의 액션을 주어 표시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를 표시하는 터치 인식 표시 필드(1604)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도 4b 참조)을 인식된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시킬 것을 유도하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피검자의 해당 신체 측정 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피검자의 소정의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접촉시키면, 제어부(280)는 접촉된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여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이 측정 중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함께 측정설정시간(예: 약 10초)을 표시하는 측정 설정 시간 표시 필드(1606)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도 13및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7a 및 17b를 참조하면,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1316, 1516 과정에서 제어부(280)가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 및 측정 위치 가이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상기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는 ‘좌측 상완부’이고, 사용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이 접촉된 신체 측정 부위는 ‘복부’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제어부(280)는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예: 좌측 상완부)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예: 복부)가 일치하지 않음을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 메시지 및 신체 측정 부위 가이드 화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먼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예: 좌측 상완부)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예: 복부)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신체 측정 부위를 확인하라는 경고 메시지 표시 영역(1702a)과 함께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704a)에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예: 좌측 상완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704a)을 확인하여 잘못된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접촉시켰음을 인지하고,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다시 위치시키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704a)은 그래픽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를 ‘좌측 상완부’와 같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화면상에 체성분 측정을 다시 측정할지를 묻는 재측정 메시지 표시 영역(1706a)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재측정 메시지 표시 영역(1706a)에 표시된 Yes 버튼을 누르면, 재측정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입력된 재측정 신호에 따라 도 13및 15의 1306 및 1506 과정으로 되돌아가 상기 음성 입력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재측정 메시지 표시 영역(1706a)에 표시된 No 버튼을 누르면, 재측정 종료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입력된 재측정 종료 신호에 따라 체성분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측정 메시지 표시 영역(1706a)을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음성 입력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에 다시 위치시킨 후 해당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측정을 다시 시작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신체 측정 부위를 확인하라는 경고 메시지 표시 영역(1702b)과 함께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704b)에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예: 복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704b)을 확인하여 잘못된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위치시켰음을 인지하고, 음성 인식되거나 터치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에 전자 장치(200)의 측정 전극(A, B, C, D)을 다시 위치시키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측정 부위 표시 영역(1704b)은 그래픽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를 ‘복부’와 같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상기 화면상에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측정 여부를 묻는 재측정 확인 표시 영역(1706b)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재측정 확인 표시 영역(1706b)에 표시된 Yes 버튼을 누르면, 측정 시작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전달된 측정 시작 신호에 따라 도 13 ㄴ및 15의 1306 및 1506 과정으로 되돌아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측정하도록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피검자가 상기 재측정 확인 표시 영역(1706b)에 표시된 No버튼을 누르면, 측정 종료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전달된 측정 종료 신호에 따라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측정 확인 표시 영역(1706b)을 통해 사용자 또는 피검자는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체성분 측정을 시작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801)의 블록도(1800)이다. 전자 장치(18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1810), 통신 모듈(1820), 가입자 식별 모듈(1824), 메모리(1830), 센서 모듈(1840), 입력 장치(1850), 디스플레이(1860), 인터페이스(1870), 오디오 모듈(1880), 카메라 모듈(1891), 전력 관리 모듈(1895), 배터리(1896), 인디케이터(1897), 및 모터(18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8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0)는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8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10)는 다른 구성요소들 (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 (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20)은, 도 1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18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821), WIFI 모듈(1823), BT 모듈(1825), GNSS 모듈(18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18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8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8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8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1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821)은 프로세서(18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모듈(18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셀룰러 모듈(18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1830) 또는 전력관리 모듈(1895) 등의 구성요소들이 프로세서P(18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8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8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WIFI 모듈(1823), 블루투스 모듈(1825), GNSS 모듈(1827) 또는 NFC 모듈(18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821), WIFI 모듈(1823), 블루투스 모듈(1825), GNSS 모듈(1827) 또는 NFC 모듈(1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8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 (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8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821), WIFI 모듈(1823), 블루투스 모듈(1825), GNSS 모듈(1827) 또는 NFC 모듈(1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8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8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14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8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840A), 자이로 센서(1840B), 기압 센서(1840C), 마그네틱 센서(1840D), 가속도 센서(1840E), 그립 센서(1840F), 근접 센서(1840G), 컬러(color) 센서(1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840I), 온/습도 센서(1840J), 조도 센서(1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8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18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801)는 프로세서(18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8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810)가 슬립 (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18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8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18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854), 키(key)(1856), 또는 초음파 (ultrasonic) 입력 장치(18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852)은 택타일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8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18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858)는 마이크(예: 마이크(18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60)(예: 디스플레이 160)는 패널(1862), 홀로그램 장치(1864) 또는 프로젝터(18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8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862)은 터치 패널(18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8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8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60)는 패널(1862), 홀로그램 장치(1864), 또는 프로젝터(18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8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1872), USB(universal serial bus)(1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876), 또는 D-sub(D-subminiature)(18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8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18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 (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8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882), 리시버(1884), 이어폰(1886), 또는 마이크(1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8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8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897)는 전자 장치(18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1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8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vibration), 또는 햅틱 (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8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 1900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19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910)은 커널(1920), 미들웨어(193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19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19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9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 (download) 가능하다.
커널(1920)(예: 커널(1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92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9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9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9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9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9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9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19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19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9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930)(예: 미들웨어 (143))는 런타임 라이브러리(19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19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1942), 멀티미디어 매니저 (multimedia manager)(19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19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19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19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19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19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19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19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19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19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9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9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9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9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9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 (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19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194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9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19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946)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9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19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9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19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19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19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19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19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9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9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9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1960)(예: API(1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 (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9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은, 예를 들면, 홈(1971), 다이얼러(1972), SMS/MMS(1973), IM(instant message)(1974), 브라우저(1975), 카메라(1976), 알람(1977), 컨택트(1978), 음성 다이얼(1979), 이메일(1980), 달력(1981), 미디어 플레이어(1982), 앨범(1983), 또는 시계(19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970)은 상기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2, 1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9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9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02,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9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19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19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19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8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9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전자 장치 210: 위치 센서부
220: 부분 체지방 측정부 230: 입력부
240: 저장부 250: 디스플레이부
260: 사운드 출력부 270: 통신부
280: 제어부

Claims (28)

  1.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피검자의 신체에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신체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하는 부분 체지방 측정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가속도 값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지자기 값을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 및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고도 값을 검출하는 고도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체지방 측정부는,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임피던스 및 피부전도도를 검출하는 체저항 측정 모듈; 및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를 검출하는 피하지방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하는 측정 위치 판단 모듈;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상기 측정 위치 판단 모듈로부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되는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측정 부위 판단 모듈; 및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부위 판단 모듈로부터 판단된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부분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 시작 후 초기설정시간 동안의 가속도 값, 지자기 값 및 고도 값의 각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에서 산출된 상기 평균 가속도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에서부터 상기 측정 위치까지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위치에서 산출된 상기 평균 지자기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각을 판단하고,
    상기 기준 위치에서 산출된 상기 평균 고도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상기 고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고도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이동 거리, 자세각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를 각각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임피던스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임피던스 값이 상기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고,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하지방 두께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가 상기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고,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부전도도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부전도도 값이 상기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지 제3 신체 측정 부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측정 위치까지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좌우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각에 따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전후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고도에 따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상하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판단된 좌우 위치, 전후 위치 및 상하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각각의 부분 체성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통합 체성분을 더 분석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터치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경고음 및 경고 멘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및
    상기 부분 체성분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는지를 더 판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 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및 상기 입력되거나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에 있어서,
    피검자의 신체에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신체의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가 검출된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가속도 값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지자기 값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고도 값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피부전도도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상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되는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의 부분 체성분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하는 과정은,
    측정 시작 후 초기설정시간 동안의 가속도 값, 지자기 값 및 고도 값의 각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기준 위치에서 산출된 평균 가속도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에서부터 상기 측정 지점까지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기준 위치에서 산출된 평균 지자기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각을 판단하는 과정;
    상기 기준 위치에서 산출된 평균 고도 값과 상기 측정 위치에서 검출된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고도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이동 거리, 자세각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및 자세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를 각각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임피던스 값과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임피던스 값이 상기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하지방 두께와 상기 미리 저장된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하지방 두께가 상기 신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다수의 체지방 측정 정보 중 피부전도도 값과 상기 다수의 신체 부위별 체지방 기반 표준 범위 중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검출된 피부전도도 값이 상기 신체 부위별 피부전도도 표준 범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신체 측정 부위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내지 제3 신체 측정 부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 측정 부위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측정 위치까지의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좌우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각에 따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전후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고도에 따라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상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신체 측정 부위 중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판단된 좌우 위치, 전후 위치 및 상하 위치에 대응되는 후보 신체 측정 부위를 상기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신체 측정 부위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신체 부위 중 상기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각각의 부분 체성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통합 체성분을 분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측정 부위에 대한 터치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입력받은 신체 측정 부위를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음 및 경고 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입력된 신체 측정 부위와 상기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및 상기 입력되거나 판단된 신체 측정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066849A 2015-02-26 2015-05-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KR10234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53,277 US10842436B2 (en) 2015-02-26 2016-02-25 Electronic device and body composition meas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body part to be measured
CN201680012516.5A CN107278138B (zh) 2015-02-26 2016-02-26 能够自动识别待测量的身体部位的电子装置以及电子装置的身体组分测量方法
PCT/KR2016/001951 WO2016137283A1 (ko) 2015-02-26 2016-02-2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7606 2015-02-26
KR1020150027606 2015-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20A true KR20160104520A (ko) 2016-09-05
KR102348489B1 KR102348489B1 (ko) 2022-01-07

Family

ID=5693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849A KR102348489B1 (ko) 2015-02-26 2015-05-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8489B1 (ko)
CN (1) CN10727813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65A (ko) 2017-06-15 2018-12-26 (주)대우루컴즈 휴대용 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방법
EP3657509A1 (en) * 2018-11-26 2020-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ushing information
KR20220165082A (ko)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스킨코드 개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의 피부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5955B2 (en) 2017-05-15 2020-11-24 Apple Inc. Displaying a scrollable list of affordan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KR20200112882A (ko) * 2018-01-31 2020-10-05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근육 전기 자극 장치
CN108392813A (zh) * 2018-02-02 2018-08-14 梦卓科技(深圳)有限公司 融合训练准备活动实现身体传感器网络节点位置设定的方法
CN108414009B (zh) * 2018-02-11 2020-10-09 梦卓科技(深圳)有限公司 可替换节点身体传感器网络中基于分压自动感知节点位置的结构与方法
DK201870599A1 (en) 2018-03-12 2019-10-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MONITORING
EP3596734A1 (en) * 2018-03-12 2020-01-2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monitoring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DK179992B1 (en) 2018-05-07 2020-01-14 Apple Inc. DISPLAY OF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CN109124639A (zh) * 2018-07-20 2019-01-04 南方医科大学 一种上肢康复支具肢体模型数据获取方法
US11209957B2 (en) 2019-06-01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ycle tracking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228835B2 (en) 2019-06-01 2022-01-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exposure
US11234077B2 (en) 2019-06-01 2022-01-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exposure
WO2021051121A1 (en) 2019-09-09 2021-03-18 Apple Inc. Research study user interfaces
DK181037B1 (en) 2020-06-02 2022-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698710B2 (en) 2020-08-31 2023-07-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gging user activit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92A (ko) *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신체 부위별 생체 전기 임피던스 체지방 측정기 및 측정방법
KR20070083334A (ko) * 2006-02-21 2007-08-24 메디게이트(주)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KR20080075527A (ko) * 2006-01-18 2008-08-18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JP2011067344A (ja) * 2009-09-25 2011-04-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体組成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16060A (en) * 2005-10-20 2007-05-01 Benq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easuring fat function and measuring fat method thereof
DE102008054569A1 (de) * 2008-12-12 2010-07-01 Charder Electronic Co., Ltd., Dali Gerät und Verfahren zum Messen des bioelektrischen Widerstands in mehreren menschlichen Körperteilen
AU2012279038B2 (en) * 2011-07-05 2015-09-24 Saudi Arabian Oil Company Floor mat system and associated,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health and productivity of employees
US20140121564A1 (en) * 2012-05-03 2014-05-01 Aliphcom Estimating body fat in a u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92A (ko) *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신체 부위별 생체 전기 임피던스 체지방 측정기 및 측정방법
KR20080075527A (ko) * 2006-01-18 2008-08-18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조성성분의 산출에 사용된 신체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체조성계
KR20070083334A (ko) * 2006-02-21 2007-08-24 메디게이트(주)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JP2011067344A (ja) * 2009-09-25 2011-04-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体組成測定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65A (ko) 2017-06-15 2018-12-26 (주)대우루컴즈 휴대용 체성분 분석장치 및 그 방법
EP3657509A1 (en) * 2018-11-26 2020-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ushing information
US11413502B2 (en) 2018-11-26 2022-08-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pushing information, and related products
KR20220165082A (ko)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스킨코드 개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의 피부 분석 방법
WO2022260323A1 (ko) * 2021-06-07 2022-12-15 주식회사 스킨코드 개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의 피부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78138B (zh) 2020-10-30
KR102348489B1 (ko) 2022-01-07
CN107278138A (zh)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48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US10929632B2 (en) Fingerpri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8424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body composition meas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body part to be measured
CN108388782B (zh) 用于认证生物计量数据的电子设备和系统
KR10256158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57095B2 (en) Electronic stylus including a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24360B1 (ko) 신체 정보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165978B2 (en) Method for measuring human body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100770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54351B1 (ko) 수면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217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63068A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60092671A (ko) 전자 장치 및 전력 관리 방법
US2020016702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coordinate thereof
US2019016328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324964B1 (ko)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71139A (ko) 시선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2453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70027589A (ko)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444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60100147A (ko) 다중 데이터의 배칭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0825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60683A (ko) 그립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20180101766A (ko) 점자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6490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