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900B1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900B1
KR102164900B1 KR1020150056026A KR20150056026A KR102164900B1 KR 102164900 B1 KR102164900 B1 KR 102164900B1 KR 1020150056026 A KR1020150056026 A KR 1020150056026A KR 20150056026 A KR20150056026 A KR 20150056026A KR 102164900 B1 KR102164900 B1 KR 10216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gnss modul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691A (ko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39,573 priority Critical patent/US9696428B2/en
Publication of KR2015014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91A/ko
Priority to US15/608,325 priority patent/US10139494B2/en
Priority to US16/165,459 priority patent/US106562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04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terrestri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1Acquisition or tracking of other signals for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5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방법은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위지 정보와, 상기 지자기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 상기 산출된 상기 위치 정보의 오차를 기초로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손목 시계(Wrist watch),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포함된 GNSS 모듈, 지자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포함된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 전자 장치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수집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GNSS 모듈 및/또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방법은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위지 정보와, 상기 지자기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 상기 산출된 상기 위치 정보의 오차를 기초로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측정 방법은 위치 정보 측정 기능이 실행되면, GNSS 모듈을 턴-온(turn-on) 시키는 동작;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GNSS 모듈을 턴-오프(turn-off) 시키는 동작;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위지 정보와, 상기 지자기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 상기 산출된 상기 위치 정보의 오차를 기초로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정 활성화 주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신할 수 있는 GNSS 모듈;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지자기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위지 정보와, 상기 지자기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위치 정보의 오차를 기초로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정 활성화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은 GNSS 모듈을 통해 측정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또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댜앙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을 실험한 결과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 (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 (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 (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장치, GNSS 수신기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 (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 내의 전자 장치(100)에 관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버스 (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 (1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0)내지(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 (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145),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 (operating system (OS))라 불릴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 (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 (예: 버스 (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 (예: 버스 (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 (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 (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 (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164)을 통해서 외부 장치 (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무선 통신의 예로는 IEEE802.11 프로토콜을 따르는 WiFi 또는 위성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 (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 (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 (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AP: application processor)(210), 통신 모듈(220),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AP(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AP(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AP(210)는, 예를 들면, SoC (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210)는 GPU (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P(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 (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 (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 (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 (store)할 수 있다. 도 2의 AP(21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 (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227), NFC 모듈(228) 및 RF (radio frequency) 모듈(229)를 포함할 수 있다.
GNSS 모듈(227)이 통신할 수 있는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은,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갈릴레오 위치 결정 시스템(Galileo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베이더우, QZSS(또는 준텐초), BDS, IRNSS, DORIS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 (예: SIM 카드 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AP(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 (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 (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는, 예를 들면, 통신 신호 (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는, 예를 들면, 트랜시버 (transceiver), PAM (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frequency filter), LNA (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SIM 카드(224)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 (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 (예: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 (예: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 (예: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 (예: DRAM (dynamic RAM), SRAM (static RAM), 또는 SDRAM (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 (non-volatile Memory) (예: OTPROM (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olid state drive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 (compact flash), SD (secure digital), Micro-SD (micro secure digital), Mini-SD (mini secure digital), xD (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지자기 센서(240A), 가속도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자이로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color 센서(240H) (예: RGB (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 (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 (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AP(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AP(210)가 슬립 (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touch panel, 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254), 키 (key, 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200)에서 마이크 (예: 마이크(2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flexible), 투명하게 (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패널(262)과 터치 패널(252)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장치를 터치 감응 디바이스(touch sensitive device)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60)은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72), USB (universal serial bus, 274), 광 인터페이스 (optical interface, 276), 또는 D-sub (D-subminiature, 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 (secure digital) 카드/MMC (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 (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 (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 (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 (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 (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 (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0) 혹은 그 일부 (예: AP(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vibration), 또는 햅틱 (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2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 (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 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 (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 (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310)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 (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0))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operation system (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은 커널(320), 미들웨어(330),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36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서버 (예: 도1의 서버(106))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커널(320) (예: 도 1의 커널(1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애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 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애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 (예: 도 1의 미들웨어 (143))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application manager, 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 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 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 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 3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 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 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350), 그래픽 매니저 (graphic manager, 351),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 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 (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고, 창 또는 윈도우(window)를 관리할 수 있다. 창 또는 윈도우는 전자 장치(100)에서 일정한 모양을 갖는 시각적인 영역이다. 창 또는 윈도우는 여러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하며, 동시에 실행하는 수많은 프로세스들 가운데 하나에 대해 입력을 허용하고 출력물을 보여준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애플리케이션(370)에서 생성한 창, 윈도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될 위치(placement) 또는 외관(appearance)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애플리케이션(370)에서 생성한 창, 윈도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될 위치, 크기, 레이아웃(layout), 순서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 (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encoding) 또는 디코딩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 (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 (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3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0))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 (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 (예: 도 1의 API(1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 (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70) (예: 도 1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373), IM (instant message, 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시계(384), 이벤트(event, 385), 또는 알림(notification, 386),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 (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370)은 전자 장치 (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102, 1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정보 교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100)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와 정보 교환 시에 이벤트(385) 또는 알림(386)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예: SMS/MMS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 102,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 (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 (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 102, 104)의 속성 (예: 전자 장치의 속성으로서, 전자 장치의 종류가 모바일 의료 기기)에 따라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예: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 (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02, 104))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370)은 프리로드 애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애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 (예: AP(210))에 의해 구현 (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댜앙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은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미들웨어(143, 330), 또는 애플리케이션(147, 370)의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은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위치 정보를 AP(210) 또는 프로세서(120)를 이용하여 API(145, 360)를 통해 처리한 후에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147, 3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위치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AP(210) 또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의 오차 범위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오차 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01 동작에서,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이동 방향(direction of movement), 및 이동 거리(distance of mov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이동 방향(direction of movement), 및 이동 거리(distance of movement)는 프로세서(120) 또는 AP(210)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03 동작에서,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05 동작에서, 지자기 센서(240A)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지자기 센서(240A)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때,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중력가속도에 의한 가속도 변화는 제거하거나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05 동작에서,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한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120) 또는 AP(210)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이동 방향(direction of movement), 및 이동 거리(distance of mov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 이후의 전자 장치(200)는 GNSS 모듈(227)을 이용하지 않는다. 전자 장치(200)는 407 동작에서,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이동 방향(direction of movement), 및 이동 거리(distance of mov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 이후의 전자 장치(200)는 GNSS 모듈(227)을 이용하지 않는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09 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GNSS 모듈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청 후 경과 시간, 지자기 센서(240A),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를 산출한다.
위치 정보의 오차를 산출하는 방법은 수학식 1과 같다.
경과 시간*a+속도 변화*b+이동 방향*c=오차, (a, b, c > 0)
상수 a, b, c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상수 a, b, c는 위치 정보의 오차 산출 과정에서 변수인 경과 시간, 속도 변화 및 이동 방향의 가중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11 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산출된 위치 정보의 오차가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산출된 위치 정보의 오차가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이면, 403 동작으로 분기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의 오차가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401 동작으로 분기한다.
전자 장치(200)는 409 동작 및 411 동작에서, GNSS 모듈(227)를 통해 위치 정보를 측정한 시간인 경과 시간, 지자기 센서(240A)를 통해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가속도 센서(240B)를 통해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속도 변화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측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측정 범위 이내면 403 동작으로 분기하고,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401 동작으로 분기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중에, 전자 장치(200)는 GNSS 모듈(227)을 통해 위치 정보를 측정 이후 경과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지 않아도 전자 장치(200)의 속도 변화가 급격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 GNSS 모듈(227)을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중에, 전자 장치(200)는 경과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GNSS 모듈(227)을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GNSS 모듈(227)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정해진 경과 시간마다 측정할 수 있고, 정해진 경과 시간 전이라도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의 변화가 급격하면 경과 시간 전이라도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409 및 411 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경과 시간,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를 기초로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므로, GNSS 모듈(227)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정 주기 또는 GNSS 모듈(227)의 활성화 주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은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미들웨어(143, 330), 또는 애플리케이션(147, 370)의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은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260) 상에 표시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위치 정보를 AP(210) 또는 프로세서(120)를 이용하여 API(145, 360)를 통해 처리한 후에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147, 3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위치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AP(210) 또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의 오차 범위를 산출하고, 기 설정된 오차 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01 동작에서, 위치 정보 측정 기능의 실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측정 기능이 실행되지 않으면, 503 동작으로 분기하여 해당 기능 또는 실행 중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측정 기능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200)는 505 동작에서, GNSS 모듈(227)을 턴-온(turn-on)시킬 수 있다.
GNSS 모듈(227)이 턴-온(turn-on)되면, 전자 장치(200)는 507 동작에서,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이동 방향(direction of movement), 및 이동 거리(distance of mov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이동 방향(direction of movement), 및 이동 거리(distance of mov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면, 전자 장치(200)는 509 동작에서, GNSS 모듈(227)을 턴-오프(turn-off)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1 동작에서,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3 동작에서, 지자기 센서(240A)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3 동작에서,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위치(position)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한 위치 정보는 프로세서(120) 또는 AP(210)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26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5 동작에서, GNSS 모듈(227)이 턴-오프(turn-off)된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7 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경과 시간,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를 산출한다.
위치 정보의 오차를 산출하는 방법은 수학식 1과 같다.
경과 시간*a+속도 변화*b+이동 방향*c=오차, (a, b, c > 0)
상수 a, b, c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상수 a, b, c는 위치 정보의 오차 산출 과정에서 변수인 경과 시간, 속도 변화 및 이동 방향의 가중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9 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산출된 위치 정보의 오차가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산출된 위치 정보의 오차가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이면, 511 동작으로 분기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의 오차가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505 동작으로 분기한다.
전자 장치(200)는 517 동작 및 519 동작에서, GNSS 모듈(227)를 통해 위치 정보를 측정한 시간인 경과 시간, 지자기 센서(240A)를 통해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가속도 센서(240B)를 통해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속도 변화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측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측정 범위 이내면 511 동작으로 분기하고,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면, 505 동작으로 분기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중에, 전자 장치(200)는 GNSS 모듈(227)을 통해 위치 정보를 측정 이후 경과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지 않아도 전자 장치(200)의 속도 변화가 급격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의 변화가 급격한 경우 GNSS 모듈(227)을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517 및 519 동작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AP(210)를 통해, 경과 시간,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속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를 기초로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므로, GNSS 모듈(227)을 이용한 위치 정보 측정 주기 또는 GNSS 모듈(227)의 활성화 주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중에, 전자 장치(200)는 경과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GNSS 모듈(227)을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GNSS 모듈(227)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정해진 경과 시간마다 측정할 수 있고, 정해진 경과 시간 전이라도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의 변화가 급격하면 경과 시간 전이라도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과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 정보 측정 방법을 비교한 실험 결과에 대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 정보 측정 방법에 따라 고정된 주기(epoch) 마다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매 5초마다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면, 고속도로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한 참조번호 601의 도면과 도심지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한 참조번호 603의 도면과 같이 전자 장치(200)의 실제 이동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도 6a에서 GNSS 모듈(227) 이용 빈도가 도 6a내지 도 6c의 실험 결과 중에 가장 크기 때문에, 전자 장치(200)의 전력 소모가 도 6a내지 도 6c의 실험 결과 중에 가장 클 수 있다.
도 6b에서, 매 50초마다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면, 고속도로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한 참조번호 605의 도면과 같이, 전자 장치(200)의 실제 이동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방향의 변화나 가속도의 변화가 많은 도심지에서는 참조번호 607의 도면과 같이 전자 장치(200)의 실제 이동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에 따라 위치 정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에서, 가변적인 시간(또는, 동적인 측정 시간)에 따라 GNSS 모듈(227)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지자기 센서(240A) 및 가속도 센서(240B)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면. 고속도로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한 참조번호 609의 도면과 도심지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한 참조번호 611의 도면과 같이 전자 장치(200)의 실제 이동과 일치하는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과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 정보 측정 방법을 비교한 실험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GNSS 모듈 위치 정보 측정 주기
(Epoch Length)
고속도로 도심지
GNSS 모듈 이용 빈도 평균 제곱근 오차(RMSE) GNSS 모듈 이용 빈도 평균 제곱근 오차(RMSE)
매 5초 마다 고정적으로 측정(도 6a) 20% 6M 20% 2M
매 50초 마다 고정적으로 측정(도 6b) 2% 109M 2% 48M
본 발명과 같이 동적으로 측정
(도 6c)
8.6% 31M 12% 3.5M
도 6a와 도 6b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이동 변화, 가속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GNSS 모듈(227)을 고정적으로 이용하여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GNSS 모듈(227)을 통한 측정 시간의 주기에 의존적이며, GNSS 모듈(227)을 통한 측정 시간의 주기가 짧을수록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위치 정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 전자 장치(200)의 전력 소모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6c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GNSS 모듈(227)의 이용 빈도는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가 크면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전자 장치(200)의 이동 방향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가 적으면 이용 빈도가 낮아지게 함으로써, 동적으로 GNSS 모듈(227)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해 전자 장치(200)의 전력 소모를 줄이며, 위치 정보의 정확성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200)에 대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60) 상에 내비게이션, 지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측정한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0)는 측정한 위치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하여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1)

  1.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 모듈;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제 1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GNSS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움직임(motion) 또는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움직임, 상기 방향, 및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위치 확인 후 경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및 가중치에 기초하여 오차 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오차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대한 위치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GNSS 모듈에 사용될 활성화 주기를 조정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움직임 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움직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주기를 조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또는 상기 방향의 적어도 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제 2 위치를 판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 주기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GNSS 모듈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조정 결과에 적어도 부분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활성화 주기에 해당하는 지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억제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 후에 위치를 업데이트하려면 상기 GNSS 모듈을 다시 활성화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 주기의 조정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GNSS 모듈이 활성화되는 빈도(frequency)를 증가시키는 휴대용 통신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 모듈;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제 1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GNSS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GNSS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움직임(motion) 또는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대한 위치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GNSS 모듈을 재활성화하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움직임, 상기 방향 및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위치 확인 후 경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및 가중치에 기반하여 오차 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오차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 정보의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GNSS 모듈의 재활성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움직임 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움직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GNSS 모듈의 활성화 주기의 조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치를 확인한 후에 상기 GNSS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치의 업데이트를 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움직임 또는 상기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동작의 정확도가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GNSS 모듈을 재활성화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동작의 정확도가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GNSS 모듈을 재활성하는 동작을 억제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하였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GNSS 모듈을 재활성화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위치 변화를 확인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은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제 1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GNSS를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GNSS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하나 이상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움직임(motion) 또는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대한 위치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GNSS 모듈을 재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움직임, 상기 방향 및 상기 GNSS 모듈을 이용한 상기 제 1 위치 확인 후 경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및 가중치에 기반하여 오차 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오차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 정보의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GNSS 모듈의 재활성화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150056026A 2014-06-20 2015-04-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 KR10216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39,573 US9696428B2 (en) 2014-06-20 2015-06-1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US15/608,325 US10139494B2 (en) 2014-06-20 2017-05-3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US16/165,459 US10656279B2 (en) 2014-06-20 2018-10-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4924P 2014-06-20 2014-06-20
US62/014,924 201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91A KR20150145691A (ko) 2015-12-30
KR102164900B1 true KR102164900B1 (ko) 2020-10-13

Family

ID=5508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026A KR102164900B1 (ko) 2014-06-20 2015-04-2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9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430A1 (en) 2000-04-06 2001-10-11 Yasuhiro Tamura Position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120191966A1 (en) 2011-01-25 2012-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duty cycle of mobile device discovery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126B2 (ja) * 2010-09-15 2013-08-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測位装置、測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430A1 (en) 2000-04-06 2001-10-11 Yasuhiro Tamura Position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120191966A1 (en) 2011-01-25 2012-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duty cycle of mobile device discovery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91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143B2 (en) Method for setting date and tim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9955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인식 방법
KR102264806B1 (ko)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373491B1 (ko) 회전체의 회전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EP3141982B1 (en)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pressure of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170308284A1 (en)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ver device
KR10241242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입력 처리 방법
KR102356450B1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7682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peed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70010638A (ko)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4691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카메라 제어 방법
KR102358849B1 (ko) 스마트 워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2453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US994906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70407B1 (ko)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KR102366289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64717A (ko) 콘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4407A (ko) 전자장치의 보안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16071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1038709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60061053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20160105121A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366165B1 (ko) 액세서리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825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298733B2 (en)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using bio-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