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181A -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181A
KR20160104181A KR1020150026739A KR20150026739A KR20160104181A KR 20160104181 A KR20160104181 A KR 20160104181A KR 1020150026739 A KR1020150026739 A KR 1020150026739A KR 20150026739 A KR20150026739 A KR 20150026739A KR 20160104181 A KR20160104181 A KR 2016010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mesh plate
core layer
pa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181A/ko
Publication of KR2016010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친환경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진흙보드와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종이진흙보드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셀을 가진 하니콤 플레이트와,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 내부에 채워진 진흙을 포함하는 심재층; 심재층의 한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제1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덮는 진흙을 포함하는 제1 표면층; 및 심재층의 반대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메쉬 플레이트와,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덮는 진흙을 포함하는 제2 표면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Paper clay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와 진흙을 주재료로 제조되어 친환경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진흙보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내장재나 마감재로 석고보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석고보드는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톱밥, 펄라이트 및 섬유 등을 혼합한 뒤 이 혼합물을 물로 반죽하여 판상으로 압착 성형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석고보드는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음 및 단열 성능도 있으며, 가격이 비교적 싸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건축물의 벽이나 천장, 칸막이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석고보드는 주원료 중 하나로서 인광석이 사용되며, 이 인광석으로부터 발생하는 라돈가스가 인체에 매우 유해한 방사능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석고보드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으로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석고보드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건축물의 내장재나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친환경의 건축자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종이와 진흙을 주재료로 제조되어 친환경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진흙보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셀을 가진 하니콤 플레이트와,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 내부에 채워진 진흙을 포함하는 심재층;
상기 심재층의 한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덮는 진흙을 포함하는 제1 표면층; 및
상기 심재층의 반대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메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덮는 진흙을 포함하는 제2 표면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심재층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심재층 중 어느 하나의 심재층의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과 인접한 심재층의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심재층 사이에 제3 메쉬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에 진흙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각각의 크기는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 각각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제2 메쉬 플레이트는 금속재, 내열성을 가진 합성수지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흙은 황토진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흙에는 종이섬유, 종이팰릿, 유리섬유, 탄소섬유, 짚, 또는 야자수껍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질 보강재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흙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에 무기질 바인더가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제조방법은,
진흙을 물로 반죽하여 진흙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진흙반죽을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의 벌집 모양을 배열된 다수의 셀 내부에 채워 심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심재층의 한쪽 외면에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진흙반죽으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덮어서 제1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심재층의 반대쪽 외면에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진흙반죽으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덮어서 제2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흙반죽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흙은 황토진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흙반죽 준비단계에서, 상기 진흙반죽에는 종이섬유, 종이팰릿, 유리섬유, 탄소섬유, 짚, 또는 야자수껍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질 보강재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흙반죽 준비단계에서, 상기 진흙반죽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에 무기질 바인더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심재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는,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와 진흙을 주재료로 제조되므로, 종래의 석고보드에 비해 유해물질의 배출이 적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격이 싸고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고 난연성이 우수하며 방음 및 단열성능도 있어서 다양한 용도의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심재층의 적층 수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황토진흙을 사용함으로써 황토가 가진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제조방법의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는, 건축물의 내장재나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는 판 형상의 건축자재로서,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111)와 진흙(112)을 포함하는 심재층(110)과, 상기 심재층(110)의 한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메쉬 플레이트(121)와 진흙(122)을 포함하는 제1 표면층(120)과, 상기 심재층(110)의 반대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메쉬 플레이트(131)와 진흙(132)을 포함하는 제2 표면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심재층(110)의 하니콤 플레이트(111)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셀(111a)을 가진다.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는 다수의 셀(111a)이 벌집 모양으로 배열되어 재질에 비해 수직압축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어서 상기 심재층(110)의 골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는 폐지를 재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값싸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이 있다.
상기 심재층(110)의 진흙(112)은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내부에 채워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황토진흙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심재층(110)의 주된 재료로서 진흙(112)이 사용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배출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매우 경제적이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난연성이 우수하고 방음 및 단열 성능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황토는 온화하고 포근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습도 및 온도 조절력을 가지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성과 탈취 효과, 항균 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건축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진흙(112), 예컨대 황토진흙에는 건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높이기 위한 섬유질의 보강재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섬유질 보강재로는, 종이섬유, 종이팰릿, 유리섬유, 탄소섬유, 짚, 또는 야자수껍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종이섬유에는 한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흙(112)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에는 무기질 바인더, 예컨대 규산염계 바인더가 적정한 비율로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무기질 바인더는 진흙(122)과 섬유질 보강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 제1 표면층(120)의 제1 메쉬 플레이트(121)는 상기 심재층(110)의 한쪽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표면층(130)의 제2 메쉬 플레이트(131)는 상기 심재층(110)의 반대쪽 외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쉬 플레이트(121, 131) 각각은 다수의 구멍(121a, 131a)을 가지며, 철망과 같은 금속재, 내열성을 가진 합성수지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메쉬 플레이트(121, 131)는 상기 심재층(110)의 진흙(112)이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메쉬 플레이트(121, 131)의 다수의 구멍(121a, 131a) 각각의 크기는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각각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표면층(120)의 진흙(122)은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121)의 다수의 구멍(121a)을 채우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121)를 일정한 두께로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표면층(130)의 진흙(132)은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131)의 다수의 구멍(131a)을 채우면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131)를 일정한 두께로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표면층(120)의 진흙(122)과 상기 제2 표면층(130)의 진흙(132)도 상기 심재층(110)의 진흙(112)과 마찬가지로 황토진흙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섬유질 보강재가 혼합될 수 있고, 무기질 바인더가 첨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도,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111)와 진흙(112)을 포함하는 심재층(110)과, 상기 심재층(110)의 한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메쉬 플레이트(121)와 진흙(122)을 포함하는 제1 표면층(120)과, 상기 심재층(110)의 반대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메쉬 플레이트(131)와 진흙(132)을 포함하는 제2 표면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는 상기 심재층(110)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심재층(110)은 세 개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심재층(110)은 세 개의 층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층 또는 네 개 이상의 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이진흙보드(100')를 다양한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심재층(110) 중 어느 하나의 심재층(110)의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과 이에 인접한 심재층(110)의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진흙(112)이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심재층(11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도, 도 3에 도시된 종이진흙보드(1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심재층(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는 상기 복수의 심재층(110) 사이에 제3 메쉬 플레이트(141)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의 다수의 구멍(141a) 내부에 진흙(142)이 채워진다는 점에 구성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진흙(142)이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심재층(11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의 구성은 제1 및 제2 메쉬 플레이트(121, 122)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의 다수의 구멍(141a) 내부에 채워지는 진흙(142)도 상기 심재층(110)의 진흙(112)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이진흙보드(100,100',100")는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111)와 진흙(112, 122, 132, 142)을 주재료로 제조되므로, 종래의 석고보드에 비해 유해물질의 배출이 적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격이 싸고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고 난연성이 우수하며 방음 및 단열성능도 있어서 다양한 용도의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심재층(110)의 적층 수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황토진흙을 사용함으로써 황토가 가진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진흙보드의 제조방법의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진흙을 물로 반죽하여 진흙반죽을 준비한다(S100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진흙으로서 황토진흙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황토진흙에 물을 대략 중량비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함으로써 진흙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황토진흙에 물을 대략 중량비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하면서 황토진흙과 물의 중량비가 대략 9:1이 될 때까지 황토진흙을 조금씩 첨가하는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흙반죽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진흙반죽에 섬유질 보강재로서 종이섬유, 종이팰릿, 유리섬유, 탄소섬유, 짚, 또는 야자수껍질이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종이섬유에는 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흙반죽은 중량비로 70% 이상이고 섬유질 보강재는 중량비로 30% 이하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흙반죽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진흙반죽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에 무기질 바인더, 예컨대 규산염계 바인더가 적정한 비율로 첨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진흙반죽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은 중량비로 70% 이상이고 무기질 바인더는 중량비로 30%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도 1의 111)의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셀(도 1의 111a) 내부에 상기 진흙반죽을 채워 심재층(도 1의 110)을 형성한다(S200 단계).
그리고, 상기 심재층 형성단계(S200)에서, 상기 심재층(110)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아래의 첫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내부에 진흙반죽을 채워 제일 아래의 첫 번째 심재층(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첫 번째 심재층(110) 위에 두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1)를 배치하고, 두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0)의 다수의 셀(111a) 내부에 진흙반죽을 채워 두 번째 심재층(110)을 형성한다. 이때, 첫 번째 심재층(110) 위에 배치되는 두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0)의 다수의 셀(111a)은 그 아래의 첫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과 어긋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세 번째 이후의 심재층(110)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심재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층 형성단계(S200)에서, 상기 복수의 심재층(110) 사이에 제3 메쉬 플레이트(도 4의 141)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의 다수의 구멍(141a) 내부에 진흙반죽이 채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아래의 첫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1)의 다수의 셀(111a) 내부에 진흙반죽을 채워 제일 아래의 첫 번째 심재층(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첫 번째 심재층(110) 위에 제3 메쉬 플레이트(141)를 배치하고,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의 다수의 구멍(141a) 내부에 진흙반죽을 채운다. 이어서,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 위에 두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1)를 배치하고, 두 번째 하니콤 플레이트(110)의 다수의 셀(111a) 내부에 진흙반죽을 채워 두 번째 심재층(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세 번째 이후의 심재층(110)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심재층(110)을 형성하면서, 복수의 심재층(110) 사이에 제3 메쉬 플레이트(141)를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심재층(110)의 한쪽 외면에 제1 메쉬 플레이트(도 1의 121)를 배치하고, 준비된 진흙반죽으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121)의 다수의 구멍(121a)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121)를 일정한 두께로 덮어서 제1 표면층(도 1의 120)을 형성한다(S300 단계).
다음으로, 상기 심재층(110)의 반대쪽 외면에 제2 메쉬 플레이트(도 1의 131)를 배치하고, 준비된 진흙반죽으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131)의 다수의 구멍(131a)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131)를 일정한 두께로 덮어서 제2 표면층(도 1의 130)을 형성한다(S400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심재층(110), 제1 표면층(120) 및 제2 표면층(130)의 진흙반죽을 건조시킨다(S500 단계). 이때, 상기 심재층(110)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고, 복수의 심재층(110) 사이에 제3 메쉬 플레이트(141)가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141)의 다수의 구멍(141a) 내부에 채워진 진흙반죽도 건조될 수 있다.
상기한 단계들을 거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이진흙보드(100, 100', 100")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후에 상기 종이진흙보드(100, 100', 100")의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절단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진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100"...종이진흙보드 110...심재층
111...하니콤 플레이트 112,122,132,142...진흙
120...제1 표면층 121...제1 메쉬 플레이트
130...제2 표면층 131...제2 메쉬 플레이트
141...제3 메쉬 플레이트

Claims (14)

  1. 종이로 이루어지며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다수의 셀을 가진 하니콤 플레이트와,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 내부에 채워진 진흙을 포함하는 심재층;
    상기 심재층의 한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덮는 진흙을 포함하는 제1 표면층; 및
    상기 심재층의 반대쪽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메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덮는 진흙을 포함하는 제2 표면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재층 중 어느 하나의 심재층의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과 인접한 심재층의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재층 사이에 제3 메쉬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에 진흙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각각의 크기는 상기 하니콤 플레이트의 다수의 셀 각각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와 제2 메쉬 플레이트는 금속재, 내열성을 가진 합성수지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은 황토진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에는 종이섬유, 종이팰릿, 유리섬유, 탄소섬유, 짚, 또는 야자수껍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질 보강재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에 무기질 바인더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10. 진흙을 물로 반죽하여 진흙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진흙반죽을 종이로 이루어진 하니콤 플레이트의 벌집 모양을 배열된 다수의 셀 내부에 채워 심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심재층의 한쪽 외면에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진흙반죽으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1 메쉬 플레이트를 덮어서 제1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심재층의 반대쪽 외면에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상기 진흙반죽으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의 다수의 구멍 내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2 메쉬 플레이트를 덮어서 제2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흙반죽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은 황토진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제조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반죽 준비단계에서, 상기 진흙반죽에는 종이섬유, 종이팰릿, 유리섬유, 탄소섬유, 짚, 또는 야자수껍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질 보강재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반죽 준비단계에서, 상기 진흙반죽과 섬유질 보강재의 혼합물에 무기질 바인더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심재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진흙보드 제조방법.
KR1020150026739A 2015-02-25 2015-02-25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4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39A KR20160104181A (ko) 2015-02-25 2015-02-25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39A KR20160104181A (ko) 2015-02-25 2015-02-25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81A true KR20160104181A (ko) 2016-09-05

Family

ID=5693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39A KR20160104181A (ko) 2015-02-25 2015-02-25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1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940A (ko) * 2018-05-24 2019-12-05 김경복 건축마감재
KR20220109508A (ko) * 2021-01-28 2022-08-05 정동욱 지오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940A (ko) * 2018-05-24 2019-12-05 김경복 건축마감재
KR20220109508A (ko) * 2021-01-28 2022-08-05 정동욱 지오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98885A (en) Composite thermal insulating unit
WO2017140187A1 (zh) 一种环保建筑结构套件
KR101551542B1 (ko) 건축용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4181A (ko) 종이진흙보드 및 그 제조방법
RU120675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KR101846304B1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KR20060126292A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0470B1 (ko) 교체벽지를 구비한 조립식 황토판넬
JP2021059852A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KR101284883B1 (ko) 인장보강재가 내장된 마사토 흙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S6014701B2 (ja) 軽量外壁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2043A (ko) 층간소음 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시공방법
US4288955A (en) Structural building element
KR20120114948A (ko) 벽돌층 및 펠렛층으로 이루어진 온돌바닥층을 갖는 온돌바닥 시공구조
KR101877487B1 (ko) 건축내장용 토분패널 및 그 제조방법
RU21793U1 (ru) Стеновой кладочный элемент
KR20170101326A (ko)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KR20130009354A (ko) 건축용 블록
JPH05327267A (ja) 電波吸収外壁パネル
RU36022U1 (ru) Стеново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варианты)
KR101419102B1 (ko) 단열흡음벽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64660B1 (ko) 황토 세라믹 압축 온돌 패널의 시공방법
KR101136123B1 (ko) 흡음재 제조방법
KR100646052B1 (ko) 방음용 실내의 바닥 시공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