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00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008A
KR20160104008A KR1020167018815A KR20167018815A KR20160104008A KR 20160104008 A KR20160104008 A KR 20160104008A KR 1020167018815 A KR1020167018815 A KR 1020167018815A KR 20167018815 A KR20167018815 A KR 20167018815A KR 20160104008 A KR20160104008 A KR 2016010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hannel
lip
opening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스타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플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플라코 filed Critical 쌩-고벵 플라코
Publication of KR2016010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04B1/581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U -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1L-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2Cross connections
    • E04B2/765Cross connections with one continuous profile, the perpendicular one being interrup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04B2/767Connections between wall studs and upper or lower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telescoping posts to compensate for floor or ceiling irregula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46Non-metal corner connections

Abstract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명된다. 커넥터에 의해 결합될 부재 각각은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갖고, 개구를 따라 연장하는 립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진다. 커넥터는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단부 부분은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체결되도록 성형된다. 제2 단부 부분은 다른 채널과 두 가지 결합 유형 중 하나를 달성하도록 성형된다. 먼저, 커넥터가 제2 부재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 그 삽입을 허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단부 부분은 삽입된 커넥터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제2 부재에 관하여 채널 내에서 회전될 때 제2 부재의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 압력 하에서의 그 삽입을 허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단부 부분은 제1 결합 구조(예를 들어, 홈)를 포함하고, 이 제1 결합 구조는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제2 부재의 제2 결합 구조(예를 들어, 립)와 결합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예로서, 각각 바닥/천정 채널 및 수직 스터드일 수 있음)는 동일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일 금속 프로파일은 스터드, 채널, 노긴 및 도어 헤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요소 사이에 요구되는 연결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커넥터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제1 세장형 부재와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히 벽, 천정, 바닥 또는 다른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천정/바닥 채널, 스터드 및 노긴(noggin) 같은 세장형 구조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스터드 벽의 구성에서, C 형상 수평 채널이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되고, 프로파일형 금속의 수직 스터드가 C 형상 채널 내로 압박되며,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필요시, 결과적 구조에 강성도를 부여하기 위해 프로파일형 금속의 수평 노긴이 스터드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노긴은 수직 스터드의 외측 둘레에 체결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그후, 판재가 구조에 고정되어 이를 함께 결속하고 벽 표면을 형성한다. 이 종래의 구성 방법은 다수의 단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은 서로 다른 금속 프로파일을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 및/또는 수평 채널, 수직 스터드 및 수평 노긴 각각을 위한 결합부들을 포함한다. 출입구 둘레에 프레임을 구축하고, 패트레스를 위한 고정점을 제공하기 위해 또 다른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이들 문제점에 대한 이전 해결책은 고도의 절단 정확도를 요구하고 플라스터보드를 위에 장착하는 것이 더 어려운 표면불일치 마감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추구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세장형 부재와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부재가 제공되고, 이 부재들 각각은 부재를 따라 연장하면서 개구를 따라 연장하는 립(lip)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이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가지며, 이 커넥터는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체결되도록 성형되는 제1 단부 부분과,
커넥터가 제2 부재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개구를 통한 제2 부재의 채널 내로의 그 삽입을 허용하도록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으로서, 이 제2 단부 부분은 삽입된 커넥터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제2 부재에 관하여 채널 내에서 회전될 때 제2 부재의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된 제1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예로서, 각각 바닥/천정 채널 및 수직 스터드일 수 있음)는 동일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일의 간단한 금속 프로파일이 스터드, 채널, 노긴 및 도어 헤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그리고, 후술된 바와 같이 또한 패트레스의 설치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요소 사이에 요구되는 연결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커넥터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는 C 채널 또는 다른 "개방" 채널일 수 있다. 제1 회전 위치에서 채널 내로 커넥터를 삽입하고 그후 이를 립과의 결합 상태로 회전시키는 원리는 본 명세서에서 "트위스트-로킹"이라 지칭된다.
제1 단부는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체결되도록 성형되지만, 이는 일부 경우에 개구를 통해 채널 내로 스냅결합될 수 있고, 즉, 립은 채널의 단부의 부근에서 채널에 제1 단부 부분이 진입할 수 있게 하도록 이격방향으로 편향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넥터 전체가 예로서 채널을 따른 중간 지점(또는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 견고한(solid) 고정 지점으로서 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채널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커넥터는 채널의 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원하는 위치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이는 특정 환경에서 스터드 벽의 설치 동안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분이 다른 채널과 결합하기 위해 채널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채널의 단부를 통해 체결되도록 성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채널은 개구에 대향한 베이스 벽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벽으로부터 채널의 측부로 연장하는 측부 벽은 개구를 지탱할 수 있고, 제2 결합 구조는 측부 벽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제공된다.
측부 벽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제2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리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합 구조는 홈 또는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 부분은 커넥터가 채널 내에서 회전될 때 립에 의해 채널 내에 포획되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구조는 커넥터가 채널 내로 삽입되고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될 때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홈은 커넥터의 단부로부터 채널의 깊이 이하인 거리에서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한다. 홈은 커넥터의 협폭 측부상에(또는 그 부근에)만 존재할 수 있거나, 협폭 및 광폭 측부 양자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홈은 커넥터가 그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 형성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파지 형성부를 보유하는 홈은 커넥터의 광폭 측부 상에 있다.
제1 단부 부분의 단면은 채널의 내부 단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고, 제2 단부 부분의 단면은 채널로의 개구의 폭 이하인 제1 치수 및 채널로의 개구의 폭을 초과하는 제1 치수에 직교하는 제2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가 그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의 제2 단부 부분이 채널의 폭을 실질적으로 채우도록 제2 치수는 채널의 내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의 각도 변위는 90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 부분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른 커넥터의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에지는 채널 내에서의 제2 단부 부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경사져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은 네 개의 에지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양자 모두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경사져있다.
개구를 통해 결합되는 것에 추가로, 제2 단부 부분은 개구가 제공되는 면에 대향한 제2 부재의 면 내의 절결부를 통해 채널과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가 다른 부재의 두 개의 대향한 면 양자 모두에 대해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결합 구조는 커넥터가 채널 내에 삽입되고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될 때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테이퍼진 슬롯(노치)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진 형상은 립의 양 측부를 파지하는 슬릿의 협폭 부분 내로 노치에 진입할 때 립을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두 개의 대향 에지들 각각에 하나씩 두 개의 노치가 제공된다. 그러나, 대신 (각 에지 상에 하나씩) 네 개의 노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단면이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이는 커넥터가 나사결합을 위한 편리한 고정 지점으로서 사용되는 세장형 부재 내의 임의의 위치로 커넥터가 활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채널의 단부를 초과하여 노출될 때 커넥터의 두 단부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한다(예로서, 양 단부는 채널의 단부 내로의 활주식 체결을 위해 적합할 수 있는데, 이들 단부 중 하나는 다른 채널 내로의 트위스트-로킹 직교 고정을 제공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이들 단부 중 나머지는 푸시-로킹 각진 체결을 제공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예를 들어, 32도와 45도 사이의 각도 범위)).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커넥터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를 전기 배선/케이블링 및/또는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채널 또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제1 및/또는 제2 세장형 부재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따기 또는 챔퍼가공된 선단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는 제1 세장형 부재의 채널의 내부와 마찰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리브, 파이프, 텍스쳐형 표면 또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커넥터의 제1 단부의 단부 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의 제1 단부 및 커넥터의 제2 단부는 힌지식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는 두 개의 별개의 모듈식 구성요소로 형성되며, 이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제1 단부 및 제1 힌지 부분을 포함하고, 이 구성요소 중 나머지는 제2 단부 및 제2 힌지 부분을 포함하며, 제1 힌지 부분 및 제2 힌지 부분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은 서로 다른 각도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상호 결합 형성부 또는 텍스쳐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제1 부재 내로의 제1 단부를 위한 최소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표식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단부의 선단 면은 제2 부재의 채널 내에 스크류헤드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 또는 절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는 그 선단 면에 더 근접한 추가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소정 범위의 각도에서 채널의 베이스 벽과 접할 수 있는 굴곡되고 경사진 선단 면을 가질 수 있다.
굴곡되고 경사진 선단 면은 이 범위의 각도의 원하는 각도에서 채널의 베이스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보유한다.
제1 단부는 그 경사진 선단 면이 채널 내에 있을 때 제1 사전결정된 각도를 초과한 및/또는 제2 사전결정된 각도 미만인 채널에 관한 각도를 커넥터가 갖게 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채널의 립과 상호작용하게 성형 및 위치설정된 하나 이상의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전결정된 각도는 대략 45도일 수 있고, 제2 사전결정된 각도는 대략 32도일 수 있다. 커넥터가 립이 형성부 중 하나와 접촉하고 커넥터의 선단 에지가 채널의 베이스와 접촉할 때 제1 사전결정된 각도를 초과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이 형성부는 제1 형성부 및 제2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는 립이 제1 및 제2 형성부 사이에 포획될 때 사전결정된 각도 미만인 각도를 갖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대체로 개구의 각 측부 상에) 립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위해, 이는 커넥터의 대응 구조-대체로 홈 또는 슬롯-와 결합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를 형성하지만, 일부 경우에, 커넥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갖는 또는 립을 갖지 않는 세장형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로서, 채널이 개구에 대향한 베이스 벽과 베이스 벽으로부터 개구를 보유하는 채널의 측부로 연장하는 측부 벽을 포함하는 경우, 결합 구조는 채널 내측에서 측부 벽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측부 벽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채널의 측부 벽 내의 리지 또는 홈에 대해 형상이 상보적이거나 그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홈 또는 리지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결합 구조와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리지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1 세장형 부재와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고, 상기 부재 각각은 상기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체결되도록 성형되는 제1 단부 부분과,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의 압력 하의 그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으로서, 제2 단부 부분은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제2 부재의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하도록 성형되는 제1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는 개구를 따라 연장하는 립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질 수 있으며, 립은 제2 결합 구조이다.
(채널의) 제2 결합 구조와 (커넥터의) 제1 결합 구조를 결합하도록 압력 하에 채널 내로 커넥터를 삽입하는 원리는 "푸시-로킹"이라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다. 트위스트-로크 실시예와 유사하게, 푸시-로크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예로서 각각 바닥/천정 채널과 수직 스터드일 수 있음)는 동일한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일의 간단한 금속 프로파일은 스터드, 채널, 노긴 및 도어 헤드나 패트레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요소 사이에 요구되는 연결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커넥터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는 C 채널 또는 다른 "개방" 채널일 수 있다.
제2 단부 부분은 소정 각도 범위에서 채널의 베이스 벽에 접할 수 있는 굴곡되고 경사진 선단 면을 가질 수 있다. 굴곡되고 경사진 선단 면은 상기 각도 범위의 원하는 각도에서 채널의 베이스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보유할 수 있다.
제2 단부는 그 경사진 선단 면이 채널 내에 있을 때 제1 사전결정된 각도를 초과한 및/또는 제2 사전결정된 각도 미만인 채널에 관한 각도를 커넥터가 갖게 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채널의 립과 상호작용하게 성형 및 위치설정된 하나 이상의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전결정된 각도는 대략 45도일 수 있고, 제2 사전결정된 각도는 대략 32도일 수 있다. 커넥터가 립이 형성부 중 하나와 접촉하고 커넥터의 선단 에지가 채널의 베이스와 접촉할 때 제1 사전결정된 각도를 초과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이 형성부는 제1 형성부 및 제2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는 립이 제1 및 제2 형성부 사이에 포획될 때 사전결정된 각도 미만인 각도를 갖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결합 구조는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사전결정된 거리 삽입될 때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채널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의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단부는 커넥터가 채널 내로 압박될 때 채널의 립을 이격 변위시키는 램프형(ramped) 선단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홈은 램프 배후에 배치된다.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완전히 삽입될 때 개구에 대향한 채널의 내부 표면에 대해 놓여지는 단부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판은 단부 판이 그에 대해 놓여지는 채널의 표면에 또는 그를 통해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단부 판은 개구가 제공되는 면에 대향한 제2 부재의 외부 면 내의 오목부 내에 놓여지도록 성형 및 치수설정될 수 있다.
제2 단부는 제2 부재의 채널의 내부 측부 벽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커넥터는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프레임 구조가 제공되며, 이 프레임 구조는 상술한 바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커넥터에 의해 함께 결합된 복수의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이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벽, 천정 또는 바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부재 각각은 상기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이 채널은 상기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가지며 개구를 따라 연장하는 립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고, 상기 방법은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커넥터의 성형된 제1 단부 부분을 활주시키는 단계;
커넥터가 제2 부재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 및
커넥터의 결합 구조가 제2 부재의 립과 결합하도록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제2 부재에 관하여 채널 내에서 삽입된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커넥터가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홈 내로 부재의 립이 관통하도록 제2 단부 부분의 치수가 이루어지면,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제2 단부 부분이 채널의 폭을 완전히 채울 필요는 없다. 사실, 동일한 치수의 정사각형 인클로저 내에서 정사각형 단면을 회전시키는 문제에 기인하여 채널의 폭 및/또는 깊이를 완전히 채우기 위해 커넥터의 제2 단부 부분을 치수설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커넥터(미소하게 압축성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 및 채널(채널의 측부 벽은 부재의 개방 면 부근에서 소정 정도 외향으로 밀려질 수 있음)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변형은 제2 단부 부분이 다른 경우보다 더 큰 치수를 갖게 할 수 있다. 변형의 이점은 커넥터의 제2 단부 부분이 그 전체 깊이까지 채널을 완전히 채우지 않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보조될 수 있으며-그 이유는 부재 내의 개구의 원위의 측부 벽의 부분이 개구 부근의 부분 보다 작게 변형되거나 전혀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부재들 각각은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이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라 개구를 가지며, 이 방법은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커넥터의 성형된 제1 단부 부분을 활주시키는 단계;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을 압력 하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제2 단부 부분은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제2 부재의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하도록 성형되는 제1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커넥터가 가능할 때마다 프레임 구조 내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경우에, 커넥터는 활주가능한 연결이 특히 유익한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스터드의 상단 및 저부에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다른 단부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형태의 커넥터를 통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커넥터가 다양한 다른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는 예로서 목재, 고밀도 플라스틱, 금속, 복합 재료 또는 석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 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 채널과 커넥터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스터드 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그를 통한 케이블 및/또는 파이프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커넥터가 부재의 채널을 억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절결부를 갖는 C 형상 구성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변형된 단면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레이크형 천정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로에 관하여 각져있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4는 도 13a의 트위스트형 커넥터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서로에 관하여 각져 있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다른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레이크형 천정을 취급하기 위한 다른 커넥터 배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패트레스를 보유하도록 의도된 금속 프로파일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트위스트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8 실시예에 따른 푸시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푸시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푸시형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다른 금속 프로파일과의 로킹 결합 상태로 직접적으로 트위스트될 수 있는 금속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1)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C 형상 구성 부재(2)의 채널(3) 내에 결합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커넥터(1)의 단면은 채널(3)의 내부 치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외부 치수를 갖는다. 도 1의 드로잉 요소(D)는 커넥터(1)의 다양한 치수를 위한 통상적인 라벨링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커넥터의 가장 긴 치수는 길이(l)이라 지칭된다. 나머지 치수는 커넥터(1)의 단면과 관련하며, 가장 짧은(최협폭) 단면 치수(w1)와 가장 긴(최광폭) 단면 치수(w2)를 포함한다. 그를 통해 채널(3) 내에 결합하는 커넥터(1)의 단부 부분은 제1 단부 부분이라 지칭된다. 채널(3)은 일 단부(커넥터(1)가 도 1에서 체결되는 단부)로부터 그 다른 단부로 C 형상 구성 부재(2)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후속하여 설명될 이유로 결합은 커넥터(1)와 C 형상 채널(2)이 서로에 관하여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즉, 커넥터(1)가 부재(2)의 채널(3) 내에서 활주할 수 있게 하도록) 비교적 느슨한 활주가능한 결합일 수 있거나, 그 대신 비교적 빠듯한 결합일 수 있다. C 형상 부재(2)는 C 형상 부재(2)의 일 면(측부)을 따라 연장하는 채널(3) 내로의 개구(4)를 포함한다. 또한, 개구(4)를 갖는 C 형상 부재(2)의 측부는 채널(3) 내에서 커넥터(1)를 보유하도록 개구(4)의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또는 림)(5a, 5b)을 포함한다. 도 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C 형상 구성 부재(6)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그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7)을 갖는다. 구성 부재(6)는 C 형상 부재(6)의 일 면(측부)을 따라 연장하는 채널(7) 내로의 개구(8)를 포함한다. 개구(8)를 갖는 C 형상 부재(6)의 측부는 또한 개구(8)의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9a, 9b)을 포함한다. 구성 부재(2, 6)는 동일한 프로파일(단면)을 갖는다는 것을 도 1로부터 인지할 수 있다. 커넥터(1)는 동일한 프로파일(단면)을 갖는 두 개의 세장형 부재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제1 단부 부분 원위에 있는 커넥터(1)의 단부 부분은 제2 단부 부분이라 지칭된다. 제2 단부 부분은 커넥터(1)의 (가장 근접한) 단부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에서 커넥터(1)의 모든 4개 측부 둘레로 연장하는(본 실시예에서) 홈(10)을 구비한다. 홈(10)은 홈(10) 내에 파지 부분(11)을 구비한다. 파지 부분(11)은 커넥터(1)의 두 개의 광폭 측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 내에 제공된다. 파지 부분(11)의 목적이 후속하여 설명된다.
커넥터(1)의 제2 단부 부분은 구성 부재(6)와 결합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커넥터(1)는 구성 부재(6)의 길이를 따라 원하는 거리에서 채널(7)로의 진입부(8)에 위치된다. 커넥터(1)는 구성 부재(6)와 채널(7)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서 채널(7)까지(방향 화살표(A)) 제공된다. 제1 회전 위치는 커넥터(1)의 최광폭 측부(치수(w2))가 개구(8)의 에지와 평행한, 또는, 달리 말하면, 커넥터(1)의 최협폭 치수(w1)가 개구(8)의 에지들 사이에 걸쳐지는 위치이다. 이러한 배향에서, 커넥터(1)는 개구(8)를 통해, 그리고, 부재(6)의 채널(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가 제1 회전 위치에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채널(7) 내부까지 들어올려지고 나면, 커넥터(1)는 홈(10)이 립(9a, 9b)에 인접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방향 화살표(B)). 커넥터(1)가 회전할 때, 립(9a, 9b)은 홈(10) 내로 진입한다. 더 짧은 에지(치수(w1))가 개구(8)의 에지와 평행할 때까지 회전은 90도에 걸쳐 지속된다. 이는 부재(6)에 관하여 커넥터(1)의 제2 회전 위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가 제2 회전 위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2 회전 위치에서, 커넥터(1)의 가장 큰 단면 치수(w2)는 채널(7)의 폭을 실질적으로 채우도록 개구(8)를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커넥터(1)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정사각형 에지 중 두 개는 경사져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경사진 에지(12)는 커넥터(1)가 채널(7) 내에서 더 쉽게 회전되게 할 수 있다. 경사진 에지 없이, 커넥터(1)의 가장 큰 단면 치수(w2)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커넥터(1)가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더 작아져야 한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1)의 가장 큰 단면 치수(w2)는 경사진 에지가 에지 중 적어도 두 개 상에 사용될 때 채널(7)의 폭에 더 양호하게 맞춰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립(9a, 9b)이 홈(10) 내에 수용되어 커넥터(1)와 부재(6) 사이의 더 강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인서트 로킹 메커니즘은 금속 섹션의 에지 프로파일과 얇은 홈 사이의 마찰식 체결에 기초하여 작용한다. 따라서, 모든 4개 에지를 경사지게 하는 것은 덜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것이 슬롯과 립 사이의 접촉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파지 부분(11)은 커넥터(1)가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립(9a, 9b)과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신, 파지 부분은 제1 회전 위치에서 커넥터(1)가 부재(6)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커넥터(1)는 구성 부재(6)의 길이를 따라 원하는 거리에서 채널(7)로의 진입부(8)에 위치되며, 채널(7)과 구성 부재(6)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서 채널(7) 내까지 제공된다(방향 화살표(A)). 그러나, 채널 내에서 커넥터(1)를 회전시키는 대신, 홈(10)이 립(9a, 9b) 중 하나와 정렬되고, 그 상으로 가압되며, 그래서, 홈(10) 내의 파지 부분(11)이 립과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재(6)의 립(9a)과 결합된 커넥터는 부재(6)와 회전식으로 결합된 커넥터(1)에 비해 부재(6)의 전방 부분(13)으로부터 물러나 배치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파지 부분(11)을 사용하여 립(9a)과만 결합된 커넥터(1)의 제1 단부 부분과 결합되어 있는 부재(2)는 립(9a, 9b) 양자 모두와 (회전식으로) 결합된 커넥터(1)의 제1 단부 부분과 결합된 부재(2)에 관하여 물러나 배치된다. 이는 패트레스가 벽 구조 내에서 물러나 배치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며, 그 이유는 패트레스가 파지 부분에 의해 다른 부재에 관하여 물러나 배치되어 있는 수직의 또는 (일반적으로) 수평의 부재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커넥터(1)의 제2 단부 부분을 사용한 부재(6)와의 어느 하나의 결합에서, 커넥터(1)의 제1 단부 부분의 활주식 결합은 커넥터(1)(이는 자체적으로 부재(6)에 대해 제 위치에 로킹됨)에 관하여 상하(화살표 방향(C))로 부재(2)가 활주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1)가 천정 및 바닥(수평) 채널에 수직 스터드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추가로 후술된다). 활주 결합은 천정 채널이 스터드의 설치에 후속하여 바닥 채널에 관해 변형하는 헤드 편향을 흡수할 수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활주가능한 결합은 부재(2)가 정확하게 길이로 절단될 필요성을 감소시키며, 그 이유는 길이 조절이 커넥터(1)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재(2)는 종래의 경우보다 더 짧게 절단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걸쳐지는 거리의 부분이 커넥터 자체에 의해 가교되기 때문이다.
활주 결합은 대신 수평 부재와 이루어질 수 있고, 트위스트 결합은 수직 부재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천정 또는 바닥 구조가 형성되는 경우 양 부재는 수평일 수 있거나, 피치식 지붕의 구성시에 요구될 수 있는 것 같이 부재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각진 배향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의 경우에, 두 개의 부재 사이에 형성된 연결은 직각 연결임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본 발명은 제1 단부 부분(활주 체결) 및 제2 단부 부분(트위스트 체결)이 어느 한쪽에 있지 않거나 순수 선형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대신 굴곡된 또는 각진 구조의 각 단부에 있는 경우 비직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10)와 유사한 커넥터(101)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커넥터(101)는 도 1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홈 대신 최협폭 측부를 따른 노치(112) 및 슬롯(110)을 사용한다(화살표(130)는 비록 노치가 회전 대칭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방향을 지향하지만, 슬롯 및 노치 구조는 다른 측부를 따라 반복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슬롯(110)은 커넥터(1)가 채널(107) 내로 상승하고 제1 회전 위치(커넥터(101)의 단면은 개구(108)를 통해 채널(107) 내로 체결됨)로부터 제2 회전 위치(커넥터(101)의 단면이 채널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배향됨)로 시계방향으로 트위스트될 때 부재(106)(예로서 스터드 또는 채널일 수 있음)의 립(109a, 109b)을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슬롯(110)은 트위스트된 위치에서 프로파일 에지(립(109a, 109b)) 상으로 결속된다. 노치(112)는 립(109a, 109b)을 슬롯(110) 내로 안내하도록 기능하며, 따라서, 커넥터(101)가 최초 회전될 때 커넥터(101)가 립(109a, 109b)과 덜 정확하게 정렬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시계방향 회전을 위한 것이다.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하여, 노치(112)는 각 슬롯(110)의 다른 단부에 제공된다. 도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넥터(101)는 부재(102)의 단부를 통해 그 제1 단부 부분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부재(102)가 더 짧게 그리고 덜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게 하며, 헤드 편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201)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커넥터(201)는 역시 부재(202)와 활주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식으로 부재(206)와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재(202, 206)는 예로서, 채널, 스터드 또는 노긴일 수 있다. 도 2와 유사하게, 커넥터(201)는 커넥터(201)가 채널(207) 내로 상승되고 제1 회전 위치(커넥터(201)의 단면이 개구를 통해 채널(207) 내로 체결됨)로부터 제2 회전 위치(커넥터(201)의 단면이 채널로부터 추출될 수 없도록 배향됨)로 시계방향으로 비틀려질 때, 부재(206)의 립(209a, 209b)과 결합하도록 최협폭 측부를 따라 노치(212) 및 슬롯(210)을 사용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커넥터(201)는 부재(202)의 단부를 통해 그 제1 단부 부분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부재(202)가 더 짧게 그리고 덜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게 하며, 헤드 편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재(202, 206)는 도 1 및 도 2의 상응 부재보다 매우 더 깊고, 정렬 안내부(260)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201)의 제2 부분은 정렬 안내부(260)와 결합하도록 굴곡된 인서트(214)를 포함하며, 그에 의해, 개선된 결합을 제공한다. 상술한 임의의 커넥터는 중공일 수 있거나, (커넥터를 통해) 부재들 사이의 결합부를 통해 그리고 부재를 통해 전기 배선 및/또는 파이프가 통과될 수 있게 하도록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제2 단부 부분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 내의 채널 또는 공동을 통해 배관을 이송하는 것은 주변 구조에 대한 파이프의 이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래틀링 소음(rattling noise)을 유리하게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파이프 및 케이블이 그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커넥터의 일 예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 모두에서, 홈 또는 슬롯과 노치 구조는 커넥터의 다른 단부(제1 단부 부분)에서 선택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의 각 단부는 제1 단부 부분(부재의 단부를 통한 활주 결합을 위해) 및 제2 단부 부분(부재의 채널 내의 트위스트 결합을 위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입구를 갖는 스터드 벽이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스터드 벽은 천정 채널(320), 바닥 채널(321, 322), 수직 스터드(323, 324, 325, 326, 327, 328), 도어 헤드(329), 노긴(330, 331) 및 커넥터(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천정 채널, 바닥 채널, 스터드, 도어 헤드 및 노긴 모두는 서로 동일한 C 형상 프로파일(단면)을 갖는 금속 부재이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동일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커넥터는 또한 모두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스터드 벽은 단지 두 개의 기본적 소스 재료만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모두 커넥터를 사용하여 달성되고, 그래서, 원론적으로, 벽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유일하게 요구되는 공구는 (채널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스닙(snip)의 쌍이다.
스터드 벽은 각각 천정 및 바닥 상의 제 위치에 천정 채널(320) 및 바닥 채널(321, 322)을 최초 나사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그후, 수직 스터드(323, 324, 325, 326, 327, 328)는 (필요시)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다(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가 이 거리 중 일부에 걸쳐지기 때문에 천정 채널로부터 바닥 채널까지의 거리보다 작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채널을 절단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그 이유는 이들이 설정된 치수로 현장 외부에서 제조 또는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며, 설정된 치수로부터의 임의의 현장 편차는 커넥터와 채널 사이의 활주 관계에 의해 제공되는 공차에 의해 수용된다. 커넥터(301)는 스터드(323)의 일 단부 내로 활주하고, 커넥터(313)는 그 다른 단부 내로 활주한다. 결합이 얼마나 빠듯한지에 따라서, 스터드(323)의 단부 내로 커넥터(301, 313)를 밀어넣기 위해 해머 또는 말렛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결합의 빠듯한 정도는 커넥터(301, 303)가 스터드(323)의 단부 내로 손으로 압박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후, 스터드(323)는 바닥 채널(321)의 채널 내로 배치되는 커넥터(313) 및 천정 채널(320)의 채널 내로 상승되는 커넥터(301)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위치된다. 스터드(323)는 그후 천정 채널(320)의 채널 내로 커넥터(301)를 로킹하도록, 그리고, 바닥 채널(321)의 채널 내로 커넥터(313)를 로킹하도록 회전된다. 천정 채널(320)과 바닥 채널(321) 내의 커넥터의 수평 위치에 대한 미소한 조절은 그후 스터드(323)가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커넥터에 대해 탭핑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동일한 공정이 기후 도시된 커넥터를 사용하여 스터드(324, 325, 326, 327, 328)에 관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활주 연결은 다양한 이유로 바람직하며, 그 이점은 천정 채널의 편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속 설치를 지속한다. 그러나, 상단 및 저부 커넥터 양자 모두가 스터드와 활주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그후, 스터드는 편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커넥터 중 하나에 (예로서,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도어 헤드 부재(329)는 그후 C 형상 프로파일의 섹션을 길이로 절단하고, 커넥터(307, 308)를 각 단부 내로 활주시키고, 원하는 높이에서 스터드(325, 326) 사이에 도어 헤드 부재(329)를 배치하고, 스터드(325, 326)의 채널과 커넥터(307, 308)를 결합시키도록 도어 헤드 부재(329)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각 스터드의 단 하나의 측부만이 채널의 길이를 따라 개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스터드(326)는 도어 헤드 부재(329)가 양 스터드의 채널과 결합할 수 있도록 스터드(다른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6 참조)의 후방으로 개방된 뚫려진 절결부를 통해 억세스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위치로 트위스트되고 나면, 이를 제 위치로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커넥터 및/또는 도어 헤드 부재(329)를 탭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노긴(330, 331)은 유사한 방식으로 도어 헤드 부재(329)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노긴 양자 모두는 스터드(324)와 결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문제를 유발하며, 그 이유는 채널이 일 측부 상에서 그 길이를 따라서만 개방되기 때문이다. 이 문제점은 개구에 대향한 C 형상 프로파일의 측부로 개방된 절결부를 제공함으로써 도어 헤드 부재(329)에 대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결된다. 절결부는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가 그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대향 측부 상에서 개구의 폭과 동일한 부재를 가로지른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의 제2 단부 부분이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부재를 따라 충분한 거리로 연장한다. 실제로, 절결부의 폭은 커넥터의 홈(또는 다른 결합 구조)가 양자 모두의 폭을 취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치수설정된다면 채널로의 개구의 폭과는 미소하게 다를 수 있다. 실제로, (채널의) 제조상의 이유로, 절결부가 개구보다 수 mm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일 부재 커넥터를 제공하며, 이는 스크류 고정이나 크림핑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금속 프로파일이 함께 결합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일 디자인의 프로파일이 시스템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스터드와는 다른 채널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커넥터는 수직 프로파일의 단부 내로 활주하고, 삽입되고 나면, 수직 프로파일은 헤드/베이스 프로파일(천정 및 바닥 채널) 내로 상단 및 저부에서 제 위치에 트위스트 및 로킹될 수 있다.
커넥터는 필요시 연장될 수 있게 하도록 스터드(수직 부재)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수평 채널의 수용 채널 내로 체결 및 결과적으로 로킹될 수 있는 홈/슬롯이 커넥터 블록의 상단 단부에 존재한다. 텔레스코픽 돌출은 스터드가 길이로 절단될 필요 없이 설치자가 스터드와 채널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그를 통한 케이블 및/또는 파이프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커넥터(400)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커넥터(400)는 커넥터(400)의 대향 단부에서 유사한 개구(미도시)로 커넥터(40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관통 보어 내로의 개구인 단부 구멍(410)을 갖는다. 이는 커넥터(400)의 전체 길이를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게한다. 또한, 커넥터(400)는 일련의 측부 구멍(420)을 포함하고, 구멍 각각은 관통 보어 내로의 개구이며, 이 관통 보어는 커넥터(400)의 대향 측부의 대응 개구(미도시)로 커넥터(400)의 폭을 통해 완전히 연장한다. 단부 구멍(410)으로부터의 관통 보어는 측부 구멍(420)으로부터의 관통 보어를 가로챔으로써 예로서 전기 케이블이 단부 구멍 내로 진입하고 측부 구멍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또는 그 반대)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넥터(400) 상에서 C 형상 부재(450)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커넥터 측부 상의 톱니형 형성부(430)를 볼 수 있다. 톱니형 형성부는 또한 커넥터(400)의 대향 측부 상에도 존재한다(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 커넥터(400)의 톱니형 형성부는 부재(450)의 내부 측부 벽(460) 상의 톱니형 형성부와 결합하도록 의도된다. 톱니부는 부재(450)의 내측 측부 벽 양자 모두 상에 또는 부재(450)의 하나의 내부 측부 벽 상에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와 부재의 톱니부 사이의 상호 결합은 부재와 커넥터 사이의 활주 이동의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가 C 형상 부재(500) 내의 채널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절결부 또는 슬롯을 갖는 C 형상 부재(500)가 도시되어 있다. 절결부는 부재(500)의 개방 면 내로 삽입되고 로킹 결합 상태로 회전되었던 것과 같이, 절결부를 통해 그리고 채널 내로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게 하고, 그후, 로킹 결합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하도록 의도된다. 도 6의 비제한적 예에서, 부재(500)는 수직 스터드이고, 상단 및 저부 각각에 하나씩 그리고 중간에 하나로, 세 개의 절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채널(500)의 전체 길이는 a이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2300 mm이며, 상술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바닥 및 천정 채널 사이에 연결될 때 종래의 구성의 건물에서 바닥으로부터 천정으로 연장하기에 적절한 길이이다. 상단 절결부(510)는 두 개의 인접한 스터드가 그 개방 측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체결되는, 인접한 수직 스터드와 부재(500) 사이에 도어 헤드 부재(540)가 설치될 수 있게 하도록 정확한 높이(부재(500)가 설치될 때)가 되도록 부재(500) 상의 위치(부재(500)의 가장 떨어진 단부로부터의 거리(b), b는 바람직하게는 본 예에서, 대략 1900mm 내지 1917mm임)에 있다. 저부 절결부(520)는 인접한 수직 스터드와 부재(500) 사이에 수평 패트레스가 설치될 수 있게 하도록 정확한 높이(부재(500)가 설치될 때)에 있게 되도록 부재(500) 상의 위치(채널(500)의 가장 근접한 단부로부터의 거리(c), c는 바람직하게는 본 예에서 대략 400mm 내지 383mm임)에 있다. 전기 소켓(550)을 위한 패트레스는 그후 패트레스 지지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간 절결부(530)는 각 단부로부터 대략 1150mm인 위치(d)에서 부재(500)의 중간 지점에 있다. 부재(50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때 중간 절결부의 높이는 라이트 스위치 패트레스(560)를 위한 수평 패트레스 지지 부재를 설치하기에, 또는, 부재(500)와 인접한 수직 스터드 사이의 노긴을 지지하기에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부재(500)의 일 단부로부터 저부 절결부(520)까지의 거리는 부재(500)의 다른 단부로부터 상단 절결부(510)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는 중간 절결부(530)의 중심점 위치와 조합되어 설치 목적을 위해 편리한 양자 모두 웨이업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대칭적 부재를 제공한다. 각 절결부의 길이(e)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200 mm이어서, 얼마나 웨이업식으로 부재(500)가 설치되든 도어 헤드, 라이트 스위치/노긴 및 파워 소켓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상단, 중간 및 저부 절결부 각각을 위해 충분한 공차를 제공한다. 절결부의 길이는 두 개의 커넥터를 수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고, 이 두 개의 커넥터는 동일한 스터드의 각 측부에 노긴이 제공되는 경우에-예로서, 도 4에서 노긴(330, 331)- 필요할 수 있다. 절결부의 길이 및 위치는 그로부터 2300mm 스터드가 절단되는 원래 재료 길이가 2300mm으로 트리밍되기 이전에 그 길이를 따라 규칙적 간격으로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더 단순한 제조 공정을 초래한다. 또한, 이는 스터드가 양자 모두 웨이업식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많은 수의 장점이 상술한 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 스터드, 채널, 노긴 및 도어 헤드로서 작용하기 위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패트레스를 지지하기 위해 단일 금속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 하나의 디자인의 단일 구성요소가 요구되는 모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 C 형상 금속 프로파일은 절첩된 에지를 가지므로 "안전"하다(누군가가 프로파일의 개방 측부 상으로 떨어지는 경우 부상 기회가 작고, 일반적으로, 설치 동안 취급이 더 용이하다). 금속 프로파일은 또한 설치되고 나면 상호작용에 더 용이하며-사용자가 격벽에 도달하는 경우, 절첩된 에지의 사용은 절단될 어떠한 날카로운 에지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스터드를 높이까지 또는 노긴을 길이까지 정확하게 절단할 필요성이 감소되고, 또한 그들을 의도적으로 "짧게"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 헤드에서의 개선된 편향을 가능하게 한다(종래의 시스템에 비교시).
- 종래의 시스템보다 더 깊은 헤드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필요시 벽 판재 이전에, 천정 판재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종래에 사용되는 더 얕은 천정 채널에서, 스터드 벽 이전에 천정에 판재가 고정되면, 천정 채널의 대부분의 깊이가 천정에 대해 소실되고, 스터드 벽의 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천정 채널이 거의 남지 않게 한다. 더 깊은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천정은 스터드 벽 이전에 판재가 부착될 수 있으며, 여전히 천정 채널을 고정하기에 충분히 남게 된다.
- 전체 영역에 걸친 판재 고정을 위한 더 평탄한 표면을 제공한다-천정 또는 바닥 채널(예로서) 외측으로부터 채널 내에 배치된 목재 스터드 내로 통과 나사결합된 웨이퍼-헤드 스크류에 기인한 어떠한 범프도, 어떠한 스터드 위의 채널의 중첩도 존재하지 않는다(종래의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모든 부재(즉, 바닥/천정 채널, 스터드 채널 및 노긴 채널)가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따라서, 판재가 고정될 수 있는 균일한 전방 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시스템에서, 범프 및 불일치 표면은 스터드 벽에 대한 플라스터보드를 고정하기가 더 힘들어지게 하고 굴곡돌출 플라스터보드 표면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표면일치 마감의 동일한 원리가 이들 기술을 사용하여 스터드워크 벽에 생성된 도어 프레임을 위해 적용된다.
- 중간 높이에서 예를 들어 도어 프레임을 위해 고정(이를 추가로 스터드 아래로 미는 것에 의해)을 위한 강한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 커넥터가 채널 내로 삽입될 수 있다.
- 채널이 체결되고 나면 프레임형 구성을 위한 공구 요건의 감소(단지 스닙)를 가능하게 한다.
- 스터드는 조절가능하게 유지되지만, 임시 고정/크림핑 등 없이 판재가 그들에 고정될 때까지 즉시 고정한다(떨어지지 않음).
- 노긴 내의 커넥터의 사용은 인접한 스터드를 강성화하며, 그 이유는 커넥터가 스터드의 채널을 "채워" 스크류-건으로부터의 압력 하에 비틀리는 스터드의 C 프로파일에 기인한 판재 계단화의 더 적은 기회를 초래하기 때문이다(스터드의 "빈" 채널은 채널 개구 부근의 프로파일의 에지가 채널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프로파일의 에지를 초과하여 변형되게 할 수 있다).
- 커넥터는 더 큰 높이를 위해 단부끼리 스터드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짧은 스터드/부재를 더 긴 것 내로 돌림).
- 커넥터는 프레임이 이동할 때 채널에 대해 스터드가 문질러지는 문제를 제거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며(금속간 소음을 초래하는 현재의 열악한 고정 설치의 증상), 그 이유는 커넥터가 금속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커넥터는 실제 구체화를 위해 요구되는 스크류 고정 기능을 갖는다.
- 노긴 및 패트라싱은 한 사람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그후, 필요에 따라 서비스 설치자-배관공/전기기술자에 의해 쉽게 조절될 수 있다(완전한 시스템이다).
- 스터드, 채널 및 노긴으로서 작용하는 단일 금속 프로파일의 사용은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소정 범위의 프로파일 사이에서 배급자 혼란의 가능성을 회피한다.
- 커넥터는 금속간 조립 스크류에 대한 필요성 및 현장 금속 절단 장비에 대한 필요성을 대체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변형된 단면을 갖는 C 형상 구성 부재(700)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된 단면은 실질적으로 본 경우에 부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지만, 대안 실시예에서, 변형된 단면은 단지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예상될 수 있는 영역에만 존재할 수 있다. 단면만을 예시하는 도 7b를 참조하면, 구성 부재 또는 채널(700)(전술된 구성 부재와 유사)은 바닥(705), 측부 벽( 710a, 710b) 및 바닥(705)에 대향한 실질적 개방 면을 포함한다. 실질적 개방 면은 (일반적으로) 부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채널의 내부에 대한 접근로를 제공하는 애퍼처(72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개방 면은 커넥터의 결합 부분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하는 애퍼처의 각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725a, 725b)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705)은 커넥터가 대향 방향으로부터 채널과 결합할 수 있게 하도록 부재의 길이를 따라 소정 위치에서 애퍼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b에서, 각 측부 벽(710a, 710b)은 홈(715a, 715b)을 포함한다. 도 7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홈(715a, 715b)은 표준 조립 스크류(730)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성형 및 치수설정된다. 또한, 홈(715a, 715b)의 증가된 크기는 채널 내로 활주식으로 삽입되는 커넥터(735)의 제1 단부와의 개선된 결합을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특히, 부재(700)의 외측에서 오목한 형태를 갖는 홈(715a, 715b)(스크류의 헤드를 수용하도록)은 커넥터(735)에 형성된 홈(740)과 결합하는 부재(700) 내부에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홈(740)은 홈(715a, 715b)이 스크류(730)를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깊이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도 7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700)는 중공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중공 디자인은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커넥터가 더 경량 및 더 저렴해지게 하고(감소된 재료 비용), 스크류(730)가 완전히 커넥터(735) 내로 더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게 한다. 스크류(730)의 헤드는 홈 미소하게 위로 돌출할 수 있거나, 표면일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홈(715a, 715b)이 더 넓어지거나 및/또는 더 깊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커넥터(735)는 또한 크러시 리브(750)를 구비하며, 크러시 리브는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본 경우에) , 채널의 내측과의 개선된 결합을 제공한다. 크러시 리브(750)는 다른 배향(예로서, 측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리브 이외의 파이프 또는 텍스쳐 표면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7의 커넥터(730)에 대응하는 커넥터(83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스크류 장착 홈(840)은 커넥터의 양 단부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제1 단부는 도 8a의 오른손 측부로 C 형상 채널의 단부를 통해 활주되고, 제2 단부는 도 8a의 왼손 측부로 다른 채널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그후 로킹 결합 상태로 회전됨). 커넥터의 제1 단부는 채널의 단부 내로의 그 삽입을 돕도록 챔퍼링된 단부(845)를 갖는다. 커넥터의 제1 단부는 또한 크러시 리브(850)를 구비하고, 이는 도 7a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채널의 내부와의 증가된 마찰 결합을 제공한다. 특히, 크러시 리브(850)는 채널의 내부 표면과 커넥터(835)의 주 본체 사이에서 (비록 반드시 변형되지는 않지만) 분쇄된다.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채널의 개구를 통한 그 삽입을 돕도록(채널의 종방향 축에 평행한 그 더 긴 단면 치수로 배향될 때), 그리고, 그 더 긴 단면 치수가 채널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제2 배향으로의 그 회전을 돕도록 제1 단부보다 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갖는다. 커넥터(830)에서, 홈(855)은 커넥터(830)의 원주 둘레로 연장하고, 제1 및 제2 단부를 분리시킨다. 홈(855)은 트위스트 작용 동안 커넥터를 조이도록 캠 작용을 생성하기 위해 홈의 양 측부 상에서(제1 단부 측부 및 제2 단부 측부) 그 네 개의 코너 각각에서 램프형 면을 갖는다. 홈의 비교적 광폭 코너 부분은 채널의 립과의 정렬이 용이하고, 커넥터(830)의 두 개의 더 작은(측부) 면 각각 상의 홈의 더 협폭의 중심 부분 내로 립을 안내한다. 립은 홈 내에 위치되고(바람직하게 파지되며), 커넥터의 제2 단부의 두 개의 더 작은 면은 채널의 측부 벽 상의 홈(815a, 815b)의 내부로 돌출하는(볼록) 부분 사이에 포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830)는 그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채널 내에 고정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C 형상 채널(860)이 도시되어 있고, 각 배향으로 패트레스/노긴의 체결을 허용하도록 채널의 후방 내로 절결된 구멍/슬롯(875)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즉, 커넥터의 제2 단부가 주 애퍼처를 통해서가 아닌 구멍(875)을 통해서 체결될 수 있도록). 또한, 채널(860)은 그 측부 벽을 따라 연장하는 홈(채널의 외측)/리지(815)(채널의 내측)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내부 (리지) 부분은 채널의 강도 및 강성도를 증가시키는 가압된 측부 조글(joggle)일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싱크 스크류 헤드의 (실질적) 표면일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도 8a 및 도 8b에 설명된 채널 및 커넥터를 사용하여 스터드를 설치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6개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단계에서, 바닥 평면은 천정 및 바닥을 위한 채널 단면을 사용하여 배설된다. 제2 단계에서, 커넥터는 커넥터가 채널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스터드를 형성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채널 네로 활주된다. 이는 커넥터가 각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채널의 다른 단부에서 반복된다. 제3 단계에서, 채널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두 개의 커넥터의 부분이 천정 채널과 바닥 채널의 립 각각 사이에 삽입되고 그후 상단 및 저부의 제 위치로 로킹될 때까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제4 단계에서, 패트레스 또는 노긴은 필요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패트레스 또는 노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단계의 반복 및 두 개의 인접한 스터드 사이에서의 제3 단계의 반복을 수반하고-(제4 단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애퍼처가 아닌 구멍을 통해 커넥터를 삽입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제5 단계에서, 스터드워크는 커넥터 내로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고, 스크류의 헤드는 비교적 표면일치 마감을 제공하도록 채널의 외측에서 홈 내에 수용된다. 마지막으로, 제6 단계에서, 케이블은 필요에 따라 커넥터 내의 채널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변형된 커넥터(900)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900)의 제1 단부는 도 9a의 오른손 측부 상에서 세 개의 주 부분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이들은 채널의 단부 내로의 제1 단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챔퍼링된 단부(945)를 갖는 부분(910)에서 10 mm(예로서) 리드, 최소 삽입 부분(912)에서 50 mm(예로서)이고, 연장 부분에서 85 mm(예로서)이다. 최소 삽입 표식(950)은 커넥터(900) 상에서 볼 수 있다. 충분히 강한 결합부를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900)는 부분(910)의 리드 및 최소 삽입 부분(912)이 채널 내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적어도 최소 삽입 표식(950)까지 채널의 단부 내로 삽입되어야 한다. 또한, 연장 부분(914)의 일부 또는 모두는 채널의 길이에 따라서 채널의 단부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영역은 조합하여 채널 및 커넥터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연장 부분(914)은 또한 파이핑 및 전기 케이블링을 수용하도록 절결부(920)를 갖는다(각 측부 상에서)-노긴 모드에서 사용될 때 수직방향 또는 스터드 모드에서 사용될 때 바닥 또는 천정 부근에서 수평방향 중 어느 하나.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제2 단부가 채널의 개방 측부 내로 더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챔퍼링된 선단 에지(960)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의 제2 단부는 그 단부 면(940) 상의 절결부 또는 중공 영역을 포함하며, 그래서, 커넥터는 채널 내에 어떠한 스크류헤드도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이는 바닥 및 천정 채널이 바닥/천정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우 스터드를 위한 원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커넥터의 제2 단부의 선단 에지로부터 두 개의 거리에서 채널의 립과 결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며, 제1 홈(970)은 제2 홈(930)보다 커넥터의 선단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두 배의 거리에 존재한다. 제1 홈(970)은 커넥터가 채널 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그래서, 선단 에지가 채널의 베이스에 접촉하거나 바로 인접함) 립과 결합하도록 의도되고, 제2 홈은 램프형 절결부이며, 이는 채널의 개방 측부를 통한 하나의 커넥터의 체결 및 채널의 베이스의 구멍을 통한 다른 커넥터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제1 홈(970)은 커넥터 둘레로 내내 연장하고, 트위스트 작용에 의해 채널 상으로 커넥터를 조이기 위한 캠 작용을 생성하도록 램프형 면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홈(930)은 커넥터의 두 개의 짧은 대향 면에만 제공된다. 커넥터의 선단 에지로부터 이들 두 개의 서로 다른 거리들에서의 홈의 존재는 동일한 높이의 수평 노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각 커넥터가 단지 채널 내로 절반만 침입하기 때문에, 두 개의 커넥터의 선단 에지는 중간에서 만난다(또는 거의 만난다). 이는 도 9b에 예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두 개의 동일한 커넥터(900a, 900b)는 그 길이를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채널(990)에 로킹된다. 본 경우에, 직립 채널은 스터드이고, 두 개의 대향 커넥터는 레벨 수평 노긴을 지지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도 9b에서 파이프 및 케이블이 하향 추적될 수 있게 하는 절결부(920)가 명시적이다.
도 9a의 커넥터의 문제점은 두 개의 활주 코어 섹션을 갖는 주입 성형 툴 상의 복합적 4방향 분할부를 필요로한다는 것이다. 이는 달성가능할 수 있지만, 몰드 비용, 성형 사이클 시간 및 부품 비용을 증가시킨다. 도 10a를 참조하면, 대안적 커넥터(10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활주 코어를 갖는 더 간단한 개방 및 차단 사출 성형 공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 9의 변형예에 비해 몰드 비용, 사이클 시간 및 부품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0a의 커넥터가 도 9의 것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지만, 다수의 특징은 동일하다. 특히, 특징(1010, 1012, 1014, 1070, 1040, 1020, 1050, 1045)은 각각 특징(910, 912, 914, 970, 940, 920, 950, 945)에 대응하고,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부품은 다르다. 예로서, 제2 단부(도 10a의 왼손 측부)의 선단 에지(1060)는 도 9에 대해서와 같은 챔퍼링된 선단 에지(960)가 아닌 용이한 체결을 위해 모따기된 선단 에지를 갖는다. 또한, 제2 홈(1030)은 두 개의 측부 상에 만이 아니라 커넥터 둘레로 완전히 연장하며, 또한, 제1 홈(1070)의 것과 매우 유사한 구조 또는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1000)는 역시 제1 홈(10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추가적 제3 및 제4 홈(1080, 1085)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 램프형 면을 가지는 제3 및 제4 홈은 함께 커넥터가 채널을 통해 내내 연장할 수 있게 하며-도 10b에 도시된 방식으로 채널의 개방 면, 그리고, 또한 절결부 양자 모두를 통해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제3 홈(1080)은 채널의 개방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과 채널의 베이스 내의 절결부의 에지 중 하나와 결합하고, 제4 홈(1085)은 채널의 개방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과 채널의 베이스 내의 절결부의 에지 중 나머지와 결합한다. 이는 제3 홈과 제4 홈 사이의 분리가 베이스(절결부가 형성되는 면)로부터 개방 면으로의 채널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배열의 이점은 노긴이 꼭 맞는 레벨이 될 수 있게 하도록 직립 스터드 채널 내의 절결부를 통해 수평으로 단일 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노긴은 각 측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커넥터의 부분 상에 장착된다). 커넥터의 양 단부는 채널의 단부 내로 활주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0b에서, 파이프 및 케이블이 하향 추적될 수 있게 하는 절결부(1020)가 명시적이다. 도 10a로 돌아가서, 조립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이중 리브(1087)가 제공된다. 도 9의 변형예에 비교시, 이는 나사결합을 위한 재료의 감소를 보상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더 간단한 개방 및 차단 사출 성형 공구를 필요로 하는 대안적 커넥터(1100)가 도시되어 있다. 몰드 비용, 사이클 시간 및 부품 비용은 도 9 변형예 및 도 10 변형예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도 11a의 커넥터가 도 9(또는 도 10)의 것과 매우 다르게 보이지만, 특징 중 다수는 동일하다. 특히, 특징(1110, 1112, 1114, 1140, 1120, 1150, 1145)은 특징(910, 912, 914, 940, 920, 950, 945)에 각각 대응하고,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부품은 다르다. 예로서, 절결부(1120)는 커넥터를 통해 보어로서 연장한다. 또한, 도 10과 유사하게, 이중 리브(1187)가 제공되지만, 도 11a의 경우에, 이들은 도 10a의 경우에서 커넥터의 중심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신 커넥터의 에지를 형성한다. 도 11a의 커넥터에서, 또한, 커넥터를 강화시키기 위해 측방향 리브(1175)가 제공된다. 커넥터(900)와 유사하게, 커넥터(1100)는 제2 단부의 선단 에지로부터 두 개의 위치에서 홈을 가짐으로써 레벨 노긴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두 개의 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도 11b에 예시되어 있다. 두 개의 커넥터의 제1 단부(직립 채널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단부)는 어느 쪽이든 웨이업되는(양 배향이 도 11b에 도시됨) 노긴을 위한 채널의 단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도 11의 커넥터의 변형예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12a는 커넥터(1200)의 상부 표면을 도시하고, 도 12b는 커넥터(1200)의 하측부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a에 존재하는 커넥터(1200)의 요소는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지만 도면에서는 명시적이다. 도 12a 및 도 12b의 추가적 특징은 커넥터가 채널의 개구를 통해 레이크형 천정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채널의 단부 내로의 커넥터(1200)의 활주를 돕고, 선단 에지(1210)의 면이 채널의 베이스에 대해 배치될 수 있게 하도록 제1 단부에 대한 굴곡된 경사진 선단 면(1210)을 포함한다. 슬롯(1220)이 선단 에지(1210) 내에 제공되고, 그를 통해 스크류가 구동되어 채널의 베이스(그리고, 위의 천정)과 결합함으로써 커넥터(1200)를 채널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슬롯(1220)은 경사진 선단 에지의 굴곡에 후속하여 커넥터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스크류는 레이크형 천정의 각도에 따라 채널의 베이스 내로 구동되도록 슬롯 내에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경사진 선단 에지로의 비교적 얕은 굴곡은 대략 30도(더 바람직하게는 32도)와 대략 45도 사이의 각도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최소 삽입 지점을 더 명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 화살표(1230)가 제공된다. 외부 리브(1240)는 채널의 내부와의 결합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내부 지지 리브가 “X”/다수의 “V” 패턴으로 제공되어 커넥터가 더욱 강성적이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1000, 1100, 1200) 각각이 중공이어서 몰드 밖으로 직접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쉘을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성형 공정을 가능한 단순화하고 중량 및 재료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커넥터는 필요한 강도 및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서로 다른 리브 구성을 제공한다.
도 12c 및 도 12d를 참조하면, 이들은 레이크형 천정 채널(1260) 내에 위치된 커넥터(1200)를 도시한다(쇄선으로 표시됨-저부 쇄선은 가까운 측부의 립의 위치를 나타내고, 상단의 두 개의 쇄선은 채널의 베이스의 위치를 나타냄). 통상적으로, 레이크형 천정은 32도와 45도 사이의 수평에 관한 각도를 갖는다. 커넥터(1200)가 이 범위 이내의 임의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c 및 도 12d 양자 모두에서, 커넥터는 스터드 채널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인 것처럼 직립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c에서, 커넥터(1200)는 도 12d에서보다 채널(1260)에 관하여 더 얕은 각도에 있고, 이는 커넥터(1200)가 스터드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천정 채널에 대한 더 높은 피치(45도) 레이크에 대응한다. 도 12d에서, 레이크형 천정의 피치는 대략 32도이다. 이러한 각도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커넥터(1200)는 커넥터(1200)의 굴곡 경사 단부(1210)로부터 더 멀리 그리고 그에 더 근접하게 각각 존재하는 한 쌍의 결합 형성부(1270, 1272)를 포함한다. 도 12c 및 도 12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채널(1260)의 립(1262)은 결합 형성부 쌍(1270, 1272) 사이에 포획된다. 이러한 결합은 립(1262)을 지나 채널(1260) 내로 형성부(커넥터의 각 측부 상에서)(1270)를 압박함으로써 달성된다. 립(1262)은 형성부(1270)의 통과에 의해 이격방향으로 밀려지고, 그후, 형성부(1270)가 립을 통과하고 나면 되돌아간다. 립(1262)은 그후 형성부(1270, 1272) 사이에 위치된다. 이는 립이 이격 방향으로 밀려지고 그후 홈 또는 다른 결합 구조 내로 낙하됨으로써 채널 내에 커넥터를 로킹 또는 포획하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된 원리와 유사하다. 도 12c에서, 커넥터(1200)와 채널(1260) 사이의 각도는 최소치이다-립(1262)은 형성부(1270)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지만, 또한, 형성부(1272)의 표면과 접촉한다. 도 12c를 볼 때 시계방향으로의 커넥터(1200)의 추가 회전이 금지된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커넥터의 하측부로부터 채널의 베이스(1264) 내로, 그리고, 위의 천정 내로 슬롯(1220)을 통해 스크류결합하여 커넥터를 이러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2d로 돌아가서, 이 급준한 각도에서, 채널의 립(1262)이 형성부(1272)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형성부(1270)가 이 경우에 립과 결합하지만, 대신, 도 12d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추가 회전(커넥터(1200)와 레이크형 천정 채널(1260) 사이의 각도가 더 커지게 하도록 하는 커넥터의 회전)이 채널의 베이스(1264)와 접하는 굴곡 경사 면(1210)에 의해 금지된다. 형성부(1272)로부터 커넥터의 극단 선단 에지까지의 거리는 가용 각도를 제한하는 채널(1260)의 깊이(베이스(1264)로부터 립(1262)까지)보다 크다.
커넥터(1200)의 다른 측부 상에도 형성부(1270, 1272)가 제공되어 채널(1260)의 다른 립과 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형성부(1270, 1272)는 레이크형 천정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그래서, 하나의 커넥터 디자인이 32도 내지 45도의 요구 각도를 커버한다. 형성부(127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은 매우 일정하게 벽 두께를 유지하도록 기능하며, 이는 냉각시 매우 일정한 몰딩의 수축 정도를 달성함으로써 제조성을 돕는다. 또한, 도 12d에서 적어도 커넥터(1200)의 상부 및 측부 표면 둘레로 연장하여 경사진 단부로부터 원위의 커넥터(1200)의 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형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홈(1280)을 볼 수 있다. 커넥터는 또한 커넥터의 각 측부 상에 오목부(1290)를 포함하고, 이 오목부는 절반 깊이 채널과의 트위스트 로킹 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긴 또는 패트레스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커넥터가 스터드까지의 대략 중간 높이에(예로서) 체결될 수 있게 하고(스터드 채널에 적절한 절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이들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을 수 있어서 노긴/패트레스가 하나의 높이로부터 다른 높이로 단차지는 대신 효과적으로 스터드를 가로질러 연속적이되게 한다. 도 9b, 도 10b 및 도 11b에 이러한 원리가 예시되어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각진 커넥터(1300)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는 각진 결합부를 가지며, 이는 0도와 90도 사이의 각도를 5도 증분으로 달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각진 결합부는 톱니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도 13a에서, 각진 커넥터가 두 개의 별개의 부품(1310, 1320)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개의 부품은 부품(1320)의 상보적 연결 부분(미도시)에 대하여 부품(1310)의 연결 부분(1340)을 가압함으로써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 연결 부분(1340)은 5도 증분으로 각진 래칫팅 리브를 포함하고, 이는 상보적 연결 부분 상의 유사한 리브 또는 홈과 결합한다. 두 개의 부품의 연결 부분은 원하는 각도로 정렬되고, 함께 가압되고, 그후, 스크류(1360)가 제2 부분(1320)의 스크류 구멍 내로, 그리고, 제1 부분(1310) 내의 스크류 구멍(1330)을 통해 그 내부로 구동되고, 그에 의해, 서로에 관하여 원하는 각도로 두 개의 부품(1310, 1320)을 함께 체결한다. 부품(1310)은 채널 내로 트위스트 로크될 수 있는 더 작은 단면의 단부 부분(1312)과, 그 단부 내로 활주되는 채널의 내부 치수와 일치하는 더 큰 단면 부분(1314)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부분(1320)은 채널 내로 트위스트 로크 될 수 있는 더 작은 단면의 단부 부분(1322)과, 그 단부 내로 활주되는 채널의 내부 치수와 일치하는 더 큰 단면의 부분(1324)을 포함한다. 도 13b는 더 큰 단면 부분(1314)이 채널(1390) 내에 수용될 때까지 레이크형 천정 채널(1390)의 단부 내로 부분(1310)을 활주시킴으로써, 그리고, 더 큰 단면 부분(1324)이 직립 채널(1380) 내에 수용될 때까지 직립 채널(1380)의 단부 내로 부분(1320)을 활주시킴으로써 도 13a의 조립된 커넥터가 직립 채널(스터드)(1380)을 레이크형 천정 채널(1390)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커넥터(1300)는 두 개의 부분(1310, 1320)이 각각의 채널 내에서 제 위치로 활주되거나 그 조립에 후속하여 채널의 단부 내로 조종될 수 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조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은 부분이 채널의 단부 내로 활주될 때 채널의 내부 리지와 결합하기 위한 종방향 연장 홈을 포함하고, 또한, 커넥터가 제 위치에 트위스트 로크될 때 립과 결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3c를 참조하면, 레이크형 천정 채널의 중간점에서 레이크형 천정 채널에 직립 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이는 이미 제 위치에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에서 직립부를 천정 채널 내로 트위스트 로크함으로써 또는 커넥터의 일 부분을 천정 채널 내로 트위스트 로크함으로써 커넥터의 다른 부분을 직립 채널 내로 활주시키고, 두 개의 커넥터 부분 사이의 결합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직립부를 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커넥터(1300)의 두 부분을 함께 나사결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넥터(1300)의 변형인 커넥터(1400)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1400)는 연결 부분 각각이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원하는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텍스쳐 표면(1410)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커넥터(1300)와 동일하다. 단 하나의 부분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부분이 동일할 수 있고, 두 부분은 도 13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류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면, 다른 2개 부분 커넥터(1500)가 예시되어 있다. 2개 부분 커넥터(1500)는 제1 부분(1510) 및 제2 부분(1520)을 포함하고, 이들은 활주 결합부를 통해 서로 소정 각도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부분(1510)과 제2 부분(1520)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서로 다른 결합부 각도로 가용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적절한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원하는 각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로서, 표준 레이크형 천정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30도 또는 45도의 각도가 달성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활주 결합부의 서로간의 상호결합 형성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제1 부분(1510)과 제2 부분(1520)을 함께 활주시킴으로써 조립된 커넥터를 형성한다. 제1 부분(1510)은 채널 내로의 활주 체결을 제공하고, 따라서, 채널의 내부 치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단면을 갖는다. 제2 부분(1520)은 채널의 개방 에지 내로의 그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협폭 선단 에지(1522)와, 커넥터(1500)가 채널의 개방 에지를 통해 추진될 때 채널의 립을 이격 방향으로 압박하는 램프(1524)와, 커넥터(1500)가 채널 내로 충분히 멀리 추진될 때 립이 그 내부로 하강하는 홈 또는 슬롯(1526)을 포함한다. 홈(1526)과 채널의 립 사이의 결합은 채널 내에 커넥터(1500)를 고정한다. 이 공정은 도 15b, 15c 및 15d에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15b에서, (정확한 각도의) 조립된 커넥터(1500)가 직립 채널(1520) 내로 하향 활주되었고, 직립 채널(1520)의 하부 단부에서,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커넥터가 직립 채널의 하부 단부 내로 삽입되고, 그후, 바닥 채널 내로 트위스트 로크된다. 커넥터(1500)는 레이크형 천정 채널(1530)을 향해 제공된다. 도 15c에서, 직립부(1520)는 레이크형 채널에서 커넥터(1500)와 결합하도록 측방향으로 활주된다. 램프(1524)의 결과로서, 채널이 굴곡되어 립을 이격 방향으로 압박하고, 그후 홈(1526) 내에서 제 위치에 스냅결합된다. 도 15d에서, 직립부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고, 커넥터(1500)는 스크류로 레이크형 및 직립 채널 각각에 고정된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레이크형 천정과 결합하기 위한 대안적 커넥터(1600)가 예시되어 있다. 커넥터(1600)는 직립 채널의 단부 내로 활주 체결되도록 성형 및 치수설정된 주 본체 섹션(1620)을 포함한다. 주 본체 섹션(1620)의 하부 단부에서, 1610에서의 챔퍼링된 리드는 채널의 단부 내로의 주 본체 섹션(1620)의 삽입을 보조하도록 제공된다. 가요성 헤드 섹션(1640)은 리빙 힌지(1630)를 통해 주 본체 섹션(1620)에 부착된다. 리빙 힌지(1630)는 0도와 90도 사이의 임의의 각도(주 본체 섹션(1620)에 관하여)로 헤드 섹션(1640)이 굴곡될 수 있게 한다. 절결부(1650)는 헤드 섹션(1640)의 각 측부에 제공되어 코너 부재로서 커넥터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주 본체 섹션(1620)과 헤드 섹션(1640) 양자 모두에 보강 리브(1660)가 제공되고, 리브 각각으로의 절결부는 커넥터(1600)를 따라 하방으로의 파이프 및 케이블의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도 16b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적 절결부(1670)가 헤드 섹션(1640)에 제공되어 파이프 및 케이블의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도 16c를 참조하면, 중간 스팬 및 코너 양자 모두에서 레이크형 천정에 대한 직립 채널의 고정을 위한 커넥터(1600)의 용도가 예시되어 있다. 각 경우에, 주 본체(1640)는 직립 채널(1680)의 상단 단부에 수용되지만, 직립 채널(1680) 내에서의 그 배향은 다르다. 주 스팬 고정(상단 왼손측 이미지)의 경우, 주 본체(1640)는 직립 채널(1680) 내에 수용되고, 그래서, 그 중공 저부는 직립 채널(1680)의 개방 에지를 통해 노출된다. 헤드 섹션(1640)은 절결부(1650) 내로 결합하는 채널의 내부 리지 내에서 채널 내에 결합된다. 채널(1690)로부터의 헤드 섹션(1620)의 인출을 금지하도록 채널의 내부 리지가 절결부(1650) 내로 스냅결합될 때, 헤드 섹션(1620)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채널의 벽이 굴곡되도록 채널 내로 헤드 섹션(1620)을 압박하는 것에 의해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헤드 섹션(1620)은 챔퍼링된 리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코너 고정(저부 왼손측 이미지)의 경우에, 주 본체(1640)는 직립 채널(1680) 내에 수용되고, 그래서, 그 중공 저부는 채널의 베이스에 인접한다(즉, 중간 스팬 고정을 위해 그 배향에 관하여 180도 회전된다). 헤드(1640)는 그후 레이크형 천정 채널(1690)의 단부 내로 활주된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두 개의 교번적 패트레싱 커넥터(1700, 1750)이 예시되어 있다. 도 17a에 도시된 패트레싱 커넥터(1700)는 트위스트 로크 섹션(1705) 및 오프셋 섹션(1710)을 포함한다. 커넥터의 사용이 바닥 및 천정 채널과 일치되도록 장착되는 스터드(예로서)를 초래하거나 사이에서 연장하는 스터드 채널과 일치하는 노긴을 초래하는 전술된 커넥터와는 달리, 커넥터(1700)는 벽 공동 내로 후방으로 오프셋되는 두 개의 수직 스터드 채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채널을 초래하여 패트레스를 위한 적절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본 경우에 수평 채널이 그 상으로 활주하는 커넥터의 부분이 수직 채널(스터드) 내로 트위스트되는 커넥터의 부분에 대해 90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트위스트 로크 섹션(1705)이 제 위치에 로킹될 때, 수평 채널은 수직 채널에 관하여 90도로 회전되어 그 광폭 면을 벽의 평면에 대해 제시한다. 이는 고정을 위한 큰 표면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오프셋 섹션(1710)은 또한 중앙에 제공되는 대신 트위스트 로크 섹션(1705)의 일 측부를 향해 제공되며, 수평 채널이 벽의 평면으로부터 추가로 후방으로 물러날 수 있다는 결과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수평 채널이 완전히 오프셋 섹션(1710) 위로 활주하는 경우 25 mm의 오프셋이 제공된다. 그러나, 오프셋 섹션(1710)은 또한 필요에 따라 변하는 오프셋으로 수평 채널이 배치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슬롯(1720)을 보유한다. 특히, 슬롯(1720)은 수평 채널의 개방 에지의 각 측부에서 립과 결합하도록 의도된다. 마찰 체결 크러시 리브(1715)는 또한 리브가 내부로 활주되는 채널의 내측과 오프셋 섹션(1710)의 결합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7b에서, 유사한 결합이 제공되지만, 채널의 립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얕은 슬롯을 갖는 오프셋 섹션을 제공하는 대신, 평행한 판(1760)의 세트를 갖는 오프셋 섹션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채널의 베이스 또는 립 중 어느 하나는 평행한 판(1760) 중 두 개의 인접한 판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원하는 판의 쌍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오프셋 양이 변화될 수 있다. 판은 절결되거나 그를 통해 나사결합될 필요가 없다.
도 18a를 참조하면, 추진형 커넥터(1800) 및 상보적 채널(1850)이 도시되어 있다. 채널(1850)을 먼저 고려하면, 도 18a의 저부 우측의 도면에서, 이는 채널에 증가된 강도를 제공하고 카운터싱크 스크류 헤드의 표면일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가압된 측부 고글(형성부)을 갖는 C 형상 채널이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채널(1850)은 채널의 개방 측부의 각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1870)을 포함한다. 또한, 채널(1850)은 절결부(1880)를 포함하고, 절결부는 후술될 바와 같이 각 배향으로 패트레스/노긴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채널(1850)의 후방(베이스 벽) 내로 절결된 구멍이다. 구멍의 폭(채널의 종방향 축에 수직인)은 채널의 개방 측부의 개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의 홈(또는 다른 결합 구조)이 두 폭 모두를 취급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치수설정된다면, 특히, 절결부의 폭은 채널에 대한 개구의 폭과는 미소하게 다를 수 있다. (채널의) 제조상의 이유로, 절결부가 개구보다 수 mm 더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넥터(1800)는 채널(1850)의 내측과 결합하기 위한, 특히, 조글(1860)의 내측과 결합하기 위한 범프 체결 가시부의 세트를 갖는 제1 단부(1810)를 포함한다. 제1 단부는 또한 채널(1850)의 립(1870)이 채널(1850) 내에 커넥터(1800)를 포획하도록 연장할 수 있는 홈(1817)을 포함한다. 상술한 트위스트 로크 변형예와는 달리, 추진형 커넥터(1800)는 간단히 채널 내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커넥터(1800)를 제 위치에 포획하기 위해 그 원래의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복귀되기 이전에 채널이 일시적으로 변형되게 하여 커넥터(1800)의 진입을 허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커넥터(1800)가 채널 내로 충분히 멀리 삽입되고 나면, 립(1870)이 홈(1817) 내로 강하하여 커넥터의 전체 제1 단부(1810)를 채널(1850) 내로 로킹한다. 커넥터(1800)의 제1 단부(1810)의 선단 에지의 폭(d1)은 채널(1850)의 립(1870) 사이의 개구의 폭(d2) 미만이어서 채널(1850) 내로의 커넥터(1800)의 선단 에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제1 가시부의 램프형 형상은 립(1870)이 분할되게 하고 그후 가시부 뒤로 후방으로 탄성 복귀되게 할 것이다. 이는 커넥터(1800)가 채널(1850) 내로 충분히 멀리 삽입될 때까지 각 가시부에 대하여 반복되며, 커넥터(1800)가 채널 내의 제 위치에 로킹되는 지점에서 립(1870)은 홈(1817)과의 결합 상태로 탄성 폐쇄된다. 도 18b에서, 커넥터(1800)를 사용한 설치가 예시된다. 제1 스테이지에서, 바닥 및 천정 채널은 바닥 및 천정 각각에 장착된다. 그후, 제2 스테이지에서, 커넥터(1800)는 스터드 채널의 단부 내로 활주된다. 이는 채널의 각 단부에 대해 한번 발생한다. 커넥터(1800)는 제3 단계의 이미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하지 않도록 스터드 채널 내로 완전히 활주될 수 있다. 제3 단계에서, 스터드 채널은 천정 채널과 정렬되고, 제4 스테이지에서, 커넥터(1800)는 상향 활주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천정 채널 내로 이를 범프 체결하도록 압력이 적용된다. 제3 및 제4 스테이지는 바닥 채널을 위해 반복된다. 스터드워크는 그후 바닥(그리고 천정) 채널의 외측으로부터 커넥터 내로 통과 나사결합에 의해 제5 스테이지에서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제6 스테이지에서, 노긴은 동일한 방식으로 스터드 사이에 체결되고, 노긴 채널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각 단부에서 커넥터를 수용하고, 노긴 채널을 두 개의 인접한 스터드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라이닝하며, 그후, 두 개의 인접한 스터드 각각과 결합하도록 커넥터를 측방향으로 활주시킨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채널(1850) 내의 절결부(1880)를 통해 커넥터가 수용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추진형 커넥터(1900) 및 상보적 채널(1950)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채널(1950)을 고려하면, 도 19a의 저부 우측의 도면에서, 이는 역방향(외부) 면에 장착될 때 채널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커넥터(1900)의 표면일치 체결을 허용하도록 립/롤형 에지(1970)와 가압된 채널 부분(1960)을 갖는 C 형상 채널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커넥터(1900)는 채널(1950)의 단부 내로의 (활주) 체결 및 리브(1915) 보강의 용이성을 위해 내부에 챔퍼형 리드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1900)는 채널(1950)에-그리고, 특히, 채널의 외부 상의 역방향 면 또는 채널(1950)의 내측의 베이스의 면 중 어느 하나에- 스크류 장착될 수 있는 베이스 판(194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1940)은 채널(1950)의 베이스에 커넥터(1900)를 고정하기 위한 챔퍼형 카운터싱크 스크류 장착 슬롯(1920)을 포함한다. 슬롯의 사용은 미소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고정을 돕기 위해, 스크류 장착 안내부(1925)가 제공된다. 또한, 커넥터(1900)는 채널의 롤형 에지(1970)가 스냅결합 되는 범프 체결 홈(1930)을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1900)가 그들 사이에서 추진될 때 롤형 에지(1970)를 이격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램프 부분(1935)이 또한 제공된다. 에지의 롤형 특성은 베이스 판(1940)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도울 수 있지만, 베이스 판(1940)의 폭(d1')은 바람직하게는 채널(1950)로의 개구의 폭(d2') 미만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커넥터(1900)가 채널 내로 추가로 가압될 때, 롤형 에지(1970)는 이들이 램프(1935)를 타고 올라가고 그후 홈(1930) 내로의 스냅 결합된다. 이 배열은 커넥터를 제 위치에 견고히 고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조절되고 스크류의 사용에 의해 고정되거나 판재가 고정될 때까지 제 위치에 이를 유지하기만 한다. 도 19b에서, 커넥터(1900)의 사용을 설명하는 제6 스테이지가 예시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에서, 바닥 채널이 배설된다. 그후, 제2 스테이지에서, 커넥터(그리고, 다른 커넥터)는 바닥 채널 내로 추진되고, 스크류 또는 그라운드 앵커에 의해 바닥 채널 내로 제 위치에 고정된다. 커넥터가 채널을 통해, 바닥 내로 스크류결합되기 때문에, 바닥 채널을 바닥에 별도로 나사결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스테이지에서, 대응 천정 채널이 배설되고, 제 위치에-바닥 채널의 상대부 커넥터 바로 위의 위치에서- 커넥터가 장착된다. 제4 스테이지에서, 직립 스터드는 도시된 방향으로 커넥터 위에서 제 위치에 클릭결합된다. 본 경우에, 커넥터는 채널의 단부 내로 활주되지 않지만(비록, 그들이 그럴 수 있지만), 직립 채널의 롤형 에지는 이격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의 진입을 허용하고, 그후, 커넥터가 완전히 채널 내에 수용되고 나서 커넥터 둘레에 폐쇄될 수 있다. 제5 스테이지에서, 스터드워크는 필요시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제6 스테이지에서, 프래트레싱 또는 노긴 커넥터(이들은 추가로 후술됨)는 스터드 채널의 후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노긴 또는 프래트레싱 채널은 제4 스테이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장착된 커넥터 위에 압박된다. 커넥터는 채널의 후방에 고정되는 대신 채널 내로 삽입되는 경우의 배향에 관하여 90도 회전에서 장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커넥터(1900)의 세 가지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의 커넥터는 도 19에 도시된 커넥터이다. 이는 (본 예에서) 도 19b에 도시된 방식으로 채널의 후방에 장착될 때 패트레싱을 위한 25 mm 오프셋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베이스 리브(1010)는 절단되거나 스닙 오프되어 패트레싱을 위한 조절가능한 오프셋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커넥터는 더 짧은 베이스 립을 가짐으로써 패트레싱을 위한 12 mm(본 예에서) 오프셋을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측 상의 커넥터는 중간 커넥터보다 미소하게 더 긴 베이스 리브를 가짐으로써 패트레싱을 위한 15 mm(본 예에서) 오프셋을 제공한다. 커넥터 각각은 브레이싱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해 주 슬롯의 각 측부에 슬롯(202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커넥터의 사용은 수평, 수직 및 각진 채널이 실질적으로 표면 일치 표면을 초래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커넥터 내측에 체결되는(활주, 트위스팅 또는 밀어넣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커넥터의 중개를 통해 채널이 서로 연결되고 각각 정렬되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더 용이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프레임에 플라스터보드를 적용하게 하며, 마감부의 평탄도를 개선시킨다.
도 21a 내지 도 21d를 참조하면, 채널간 트위스트 결합 구조 및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a에서, 제1 채널(2000a)은 상술된 것과 유사한 C 형상 채널인 주 섹션(2010)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 섹션(2010)의 일 단부는 홈(2030)을 포함하는 결합 섹션(2020)이다. 결합 섹션(2010)의 길이(채널의 종방향 축 방향으로)는 채널(2000b)의 베이스로부터 개구의 각 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립 또는 롤형 에지(2040)로 그것이 삽입되는 채널(2000b)의 깊이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 미만이다(도 21b 참조). 도 21b에서, 채널(2000a)은 채널(2000b)의 개방 면과 제1 배향으로 정렬되고, 채널(2000b) 내로 하강한다. 도 21c에서, 채널(2000a)이 그후 홈(2030)과 립 또는 롤형 에지(2040)를 결합시키는 채널(2000b) 내의 그 결합 섹션(2010)과 함께 회전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채널(2000a)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섹션을 갖지 않지만, 대신, 상술한 트위스트 또는 추진 커넥터 중 하나와 함께 사용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단일 커넥터가 천정의 임의의 공차 또는 편향과 부합된다.
위로부터, 일 단부에서 채널(세장형 부재)의 단부와 활주 결합하고 그 다른 단부에서 다른 채널을 따라 연장하는 립과 결합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립과의 결합은 트위스트 로크형 결합을 통해 또는 스냅/푸시-로크 결합(립이 커넥터의 구조-예를 들어, 홈-와 결합될 때까지 커넥터가 립 사이에 압박되거나 밀려짐)을 통한 것일 수 있다. 활주 결합을 제공하는 단부에 관하여, 커넥터는 채널과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위해 채널의 단부 내로 삽입/활주될 필요가 없지만, 대신, 립 사이로 밀려질 수 있다-직립 채널의 롤형 에지 또는 립은 커넥터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이격 이동되고, 그후, 커넥터가 채널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나면 커넥터 둘레로 폐쇄된다.
또한, 커넥터의 양 단부는 채널과 활주 결합할 수 있고(예로서, 커넥터가 채널 내에서 종방향으로 정렬될 때 채널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하도록 적절한 단면 치수를 갖기 때문에), 양 단부는 또한 채널의 립과의 트위스트 또는 추진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예로서, 일 단부는 트위스트 로킹 결합을 위해 성형되고, 다른 단부는 추진 로킹 결합 및/꼬는 각진 결합을 위해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스터드 벽에 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가능하게는 DIY로부터 전문적 설치 및 개장까지에 걸쳐 예로서, 신규 건축 거주지 및 새로운 건축 상용지의 다수의 다른 구조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금속 프레임 조립 격벽 시스템에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정 프레임형성 및 접근로 바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0)

  1.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부재 각각은 상기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라 개구를 구비하고, 개구를 따라 연장하는 립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며, 상기 커넥터는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체결되도록 성형되는 제1 단부 부분과,
    커넥터가 제2 부재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개구를 통한 제2 부재의 채널 내로의 그 삽입을 허용하도록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으로서, 이 제2 단부 부분은 삽입된 커넥터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제2 부재에 관하여 채널 내에서 회전될 때 제2 부재의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된 제1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가 채널 내에서 회전될 때, 제2 단부 부분은 립에 의해 채널 내에 포획되도록 치수설정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 구조는 홈을 포함하고, 이 홈은 커넥터가 채널 내로 삽입되고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될 때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홈은 채널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의 단부로부터의 거리에서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하는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홈은 커넥터가 그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의 단면은 채널의 내부 단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치수설정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의 단면은 채널에 대한 개구의 폭 이하인 제1 치수와 채널에 대한 개구의 폭보다 큰 제1 치수에 수직인 제2 치수를 갖는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제2 치수는 커넥터가 그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의 제2 단부 부분이 채널의 폭을 실질적으로 채우도록 채널의 내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는 C 채널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회전 위치로부터의 제2 회전 위치의 각도 변위는 90도인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의 단면은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른 커넥터의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에지는 채널 내의 제2 단부 부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경사져 있는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부 부분은 개구가 제공되는 면에 대향한 제2 부재의 면의 절결부를 통해 채널과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구조는 커넥터가 채널 내로 삽입되고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될 때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테이퍼진 슬롯을 포함하고, 테이퍼진 형상은 립의 양 측부를 파지하는 슬릿의 협폭 부분 내로 노치에 진입할 때 립을 안내하도록 기능하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커넥터의 두 대향 에지들 각각에 하나씩 두 개의 노치가 제공되는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커넥터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를 전기 배선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채널 또는 공동을 포함하는 커넥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재의 채널의 내측 및 커넥터는 제1 부재와 커넥터 사이의 활주 결합을 규제하기 위한 톱니형 형성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제1 및/또는 제2 세장형 부재 내로의 삽입을 촉진하도록 모따기 또는 챔퍼링된 선단 에지를 구비하는 커넥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는 제1 세장형 부재의 채널 내측과의 마찰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외부 리브를 포함하는 커넥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는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커넥터의 제1 단부의 단부 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커넥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의 제1 단부 및 커넥터의 제2 단부는 함께 힌지 연결되는 커넥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두 개의 별개의 성형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상기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제1 단부 및 제1 힌지 부분을 포함하고, 구성요소 중 나머지는 제2 단부 및 제2 힌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힌지 부분 및 제2 힌지 부분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은 상이한 각도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서로 결합하는 형성부 또는 텍스쳐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는 제1 부재 내로의 제1 단부를 위한 최소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표식을 구비하는 커넥터.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부의 선단 면은 제2 부재의 채널 내에 스크류헤드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 또는 절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단부는 그 선단 면에 더 가까운 추가적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는 소정 각도 범위로 채널의 베이스 벽에 접할 수 있는 굴곡되고 경사진 선단 면을 갖는 커넥터.
  28. 제27항에 있어서, 굴곡되고 경사진 선단 면은 상기 각도 범위의 원하는 각도에서 채널의 베이스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보유하는 커넥터.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이 하나 이상의 형성부는 커넥터가 그 경사진 선단 면이 채널 내에 있을 때 제1 사전결정된 각도보다 큰 및/또는 제2 사전결정된 각도보다 작은 채널에 관한 각도를 갖는 것을 규제하도록 채널의 립과 상호작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커넥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제1 사전결정된 각도는 대략 45도이고, 제2 사전결정된 각도는 대략 32도인 커넥터.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립이 형성부 중 하나와 접촉하고 커넥터의 선단 에지가 채널의 베이스와 접촉할 때 제1 사전결정된 각도를 초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커넥터.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성부는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립이 제1 형성부와 제2 형성부 사이에 포획될 때 사전결정된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것이 금지되는 커넥터.
  33.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부재 각각은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구비하고, 커넥터는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체결되도록 성형되는 제1 단부 부분과,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의 압력 하의 그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으로서, 제2 단부 부분은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제2 부재의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하도록 성형되는 제1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34. 제33항에 있어서,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는 개구를 따라 연장하는 립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고, 립은 제2 결합 구조인 커넥터.
  35. 제34항에 있어서, 결합 구조는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사전결정된 거리 삽입될 때 립과 결합하도록 성형 및 위치설정되는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36. 제35항에 있어서, 홈은 채널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의 일 단부로부터의 거리에서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둘레로 연장하는 커넥터.
  37. 제33항에 있어서, 제2 단부는 커넥터가 채널 내로 압박될 때 채널의 립을 이격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램프형 선단 단부를 포함하고, 홈은 램프 배후에 배치되는 커넥터.
  38. 제33항에 있어서,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완전히 삽입될 때 개구에 대향한 채널의 내측 표면에 대해 놓여지는 단부 판을 포함하는 커넥터.
  39. 제38항에 있어서, 단부 판은 단부 판이 그에 대해 놓여지는 채널의 표면에 대해 또는 그를 통해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을 구비하는 커넥터.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단부 판은 개구가 제공되는 면에 대향한 제2 부재의 외부 면의 리세스 내에 놓여지도록 성형 및 치수설정되는 커넥터.
  41. 제37항에 있어서, 제2 단부는 제2 부재의 채널의 내측 측부 벽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43. 프레임 구조이며,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커넥터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복수의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44. 제43항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벽, 천정 또는 바닥.
  45.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방법이며, 상기 부재 각각은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커넥터의 성형된 제1 단부 부분을 활주시키는 단계;
    커넥터가 제2 부재에 관하여 제1 회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 및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제2 부재에 관하여 채널 내에서 삽입된 커넥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의 제1 결합 구조가 제2 부재의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방법이며, 상기 부재 각각은 부재를 따라 연장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부재의 일 측부를 따른 개구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제1 부재의 일 단부를 통해 제1 부재의 채널 내로 커넥터의 성형된 제1 단부 부분을 활주시키는 단계;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의 채널 내로 성형된 제2 단부 부분을 압력 하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제2 단부 부분은 커넥터의 제2 단부가 개구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제2 부재의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하도록 성형되는 제1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7. 프레임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이며, 제45항 또는 제46항의 단계를 사용하여 복수의 세장형 부재를 함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8. 첨부 도면을 참조로 현재까지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커넥터.
  49. 첨부 도면을 참조로 현재까지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프레임 구조, 벽, 천정 또는 바닥.
  50. 첨부 도면을 참조로 현재까지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세장형 부재들을 함께 연결하는 방법.
KR1020167018815A 2014-01-02 2014-12-24 커넥터 KR20160104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00028.5 2014-01-02
GB1400028.5A GB2521837A (en) 2014-01-02 2014-01-02 Connector
PCT/EP2014/079322 WO2015101582A2 (en) 2014-01-02 2014-12-24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008A true KR20160104008A (ko) 2016-09-02

Family

ID=5019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815A KR20160104008A (ko) 2014-01-02 2014-12-24 커넥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60333579A1 (ko)
EP (1) EP3090106A2 (ko)
JP (1) JP2017508084A (ko)
KR (1) KR20160104008A (ko)
CN (1) CN106062292A (ko)
AU (1) AU2014375307B2 (ko)
CA (1) CA2934777A1 (ko)
GB (1) GB2521837A (ko)
RU (1) RU2016131663A (ko)
SG (1) SG11201605392TA (ko)
TW (1) TW201537001A (ko)
WO (1) WO201510158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77B1 (ko) * 2022-05-16 2023-09-04 롯데건설 주식회사 회전형 내삽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벽체 스터드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1575D0 (en) * 2015-07-01 2015-08-12 Saint Gobain Placo Structural building elements
AU2017308325B2 (en) * 2016-08-08 2019-09-12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member vertical joint structure
CN106948547B (zh) * 2017-04-26 2022-11-25 黑龙江施耐达建筑技术有限公司 大跨度装配式开口型建筑底板工字梁安装支座及安装组件
JP7033290B2 (ja) * 2017-06-29 2022-03-10 吉野石膏株式会社 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CN111194229B (zh) * 2017-10-06 2023-09-15 赛诺菲 数据收集装置
USD839078S1 (en) 2018-01-04 2019-01-29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CN109268361B (zh) * 2018-10-24 2020-08-21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和框架
CN110005125A (zh) * 2019-03-29 2019-07-12 广东绿屋建筑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抗弯集成墙板
CN109958253A (zh) * 2019-03-29 2019-07-02 广东绿屋建筑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墙板的框架结构
EP3825559B1 (en) * 2019-11-22 2023-07-26 Troax AB Connector and system for interconnecting tubular profiles
US11692340B2 (en) 2020-07-22 2023-07-04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USD959250S1 (en) 2020-07-22 2022-08-02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USD959251S1 (en) 2020-07-22 2022-08-02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GB2598621B (en) * 2020-09-07 2022-10-19 Stud Connector Ip Ltd Stud frame connector
CN116254756B (zh) * 2023-05-16 2023-08-01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组装式钢结构桥梁连接装置
CN116607820B (zh) * 2023-07-18 2023-10-03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楼板主支撑钢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396177A (en) * 1976-04-30 1978-10-12 Webb D C Interlocking building frame
DE3442550C1 (de) * 1984-11-22 1986-06-19 Richter-System GmbH & Co KG, 6103 Griesheim Anschlußschuh für C-Blechprofile
FR2604758B1 (fr) * 1986-10-06 1989-03-31 Poulain Yves Dispositif de liaison entre deux pieces, notamment entre deux poteaux de tente
JP4435356B2 (ja) * 2000-02-01 2010-03-17 明宏 蜂巣 C形鋼接続用金物
DE10016608B4 (de) * 2000-04-04 2013-02-07 Helmuth Kahl Spannglied zum stirnseitigen Verbinden von Profilstäben
ITBO20020087A1 (it) * 2002-02-21 2003-08-21 G E Rappresentanze Dispositivo a parete per impianti
US20030213208A1 (en) * 2002-05-15 2003-11-20 Ghislain Belanger Composite building stud
US20060283130A1 (en) * 2005-06-07 2006-12-21 William Andrews Structural members with gripping features and joining arrangements therefor
WO2007058575A1 (en) * 2005-10-12 2007-05-24 Europrofil Ab Method to connect steel profiles, and a mounting and steel profiles to carry out said method
ES2323934A1 (es) * 2009-01-14 2009-07-27 Suspension Eleasticas Del Norte, S.L Sistema constructivo extensible para estructuras autoportantes.
US20130125400A1 (en) * 2010-02-08 2013-05-23 Guy C. Clapp Structural arrangement for generally planar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77B1 (ko) * 2022-05-16 2023-09-04 롯데건설 주식회사 회전형 내삽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벽체 스터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34777A1 (en) 2015-07-09
RU2016131663A (ru) 2018-02-05
EP3090106A2 (en) 2016-11-09
CN106062292A (zh) 2016-10-26
TW201537001A (zh) 2015-10-01
GB2521837A (en) 2015-07-08
AU2014375307A1 (en) 2016-07-14
GB201400028D0 (en) 2014-02-19
AU2014375307B2 (en) 2018-03-01
US20160333579A1 (en) 2016-11-17
WO2015101582A3 (en) 2015-08-27
SG11201605392TA (en) 2016-07-28
RU2016131663A3 (ko) 2018-06-28
WO2015101582A2 (en) 2015-07-09
JP2017508084A (ja)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4008A (ko) 커넥터
US7306482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9353527B2 (en) Roof mounting bracket and barricade system
US20170044776A1 (en) Covering comprising cover plates clamped to profiles
AU2005332657A1 (en) Interconnectable structural members with gripping feature and associated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US9181716B1 (en) System for mounting elongated panels to a substructure
US7083467B2 (en) Connection box stabilizer
US20060258207A1 (en) Panel-mounted, low voltage terminal
EP2194205B1 (en) Improved removable bracket for connecting a structural element to a supporting surface
EP3282066A1 (en)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elongated elements and an arrangement comprising the same
WO2013155587A1 (en) Connector system and building component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EP3143218A1 (en) Floor or wall composed of boards, and a product for producing such a floor or wall
US7082728B1 (en) Electrical box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 building systems
CA1078576A (en) Partition wall capable of being dismantled
EP3731357B1 (en) Cable tray assembly
WO2009034384A1 (en) Adjustable noggings
US7488891B1 (en) Fixture or outlet box with selectable fastening points
EP3217495B1 (de) Kabelkanal
KR102117440B1 (ko) 전선관 고정용 채널 클램프
KR20220068686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기 및 통신 배선박스
JP4288271B2 (ja) 自在間仕切り構造
US1193305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ing components to concrete walls
CN219219390U (zh) 墙板连接组件及墙体结构
EP4036362A1 (en) Corner fixating unit, structural building comprising the corner fixat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y of a structural building
US20230407636A1 (en) Concrete form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