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709A - 지폐 계수기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709A
KR20160103709A KR1020150026392A KR20150026392A KR20160103709A KR 20160103709 A KR20160103709 A KR 20160103709A KR 1020150026392 A KR1020150026392 A KR 1020150026392A KR 20150026392 A KR20150026392 A KR 20150026392A KR 20160103709 A KR20160103709 A KR 20160103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veying
bill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532B1 (ko
Inventor
유승우
Original Assignee
(주)티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비엠 filed Critical (주)티비엠
Priority to KR102015002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53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84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2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지폐 계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는, 투입 샤프트(shaft)에 설치되고, 적층된 복수의 지폐를 낱개로 투입하는 투입 롤러; 상기 투입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 상기 투입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이송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이송 공간 내 잔존 지폐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성 회전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관성 회전시키는 플라이휠; 및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지폐를 적재하는 복수의 적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계수기{Bill counter}
본 발명은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의 매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은행과 같이 많은 지폐를 다루는 곳에서는 수시로 지폐를 계수하여야 한다. 예전에는 숙달된 인력이 수작업으로 지폐를 계수하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지만, 최근에는 자동적으로 지폐를 계수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지폐계수기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적으로 계수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수표와 같은 유가증권을 계수하는 데도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투입모듈, 이송모듈 및 적재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계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적재부재를 갖는 지폐 계수기가 개발되었다. 이 경우, 지폐를 이송하는 구간이 길어지면서 지폐 이송을 위한 모터의 용량이 증가하거나, 혹은 복수의 모터로 지폐를 이송하게 되므로 지폐 계수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원가가 증가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KR 2011-0043028 (2011.04.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적재부재를 갖는 지폐 계수기의 이송 경로를 최소화하고, 작은 용량의 모터 하나로 지폐의 이송이 가능한 지폐 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지폐 계수기는, 투입 샤프트(shaft)에 설치되고, 적층된 복수의 지폐를 낱개로 투입하는 투입 롤러; 상기 투입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 상기 투입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이송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이송 공간 내 잔존 지폐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성 회전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관성 회전시키는 플라이휠; 및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지폐를 적재하는 복수의 적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개수는 1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액면 또는 위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투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계수기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제1 이송 롤러와, 상기 제1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계수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이송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이송 공간 중 상기 투입 롤러와 상기 제1 이송 롤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 센서, 자외선(UV) 센서 및 마그네틱(Magnetic)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타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지폐에서 반사된 광과 상기 제2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지폐를 투과한 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휠은, 최대 계수 속도에서 상기 투입 롤러 둘레 길이의 2배만큼 상기 잔존 지폐를 이동시키도록 관성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 공간의 길이는, 상기 투입 롤러 둘레 길이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플라이휠이 상기 이송 롤러를 관성 회전시키도록 상기 투입 샤프트에 설치되는 원-웨이(one-way)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센서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내부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센서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10)는 픽업 롤러(120), 투입 롤러(140), 이송 롤러(210, 220), 모터(400), 플라이휠(500), 센서모듈(300) 및 적재부재(630, 64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10)는 2개의 적재부재(630, 640)를 포함하는 2포켓 지폐 계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지폐 계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픽업 롤러(120)는 사용자가 계수할 지폐를 올려 놓는 적층부재(110)에 적층된 복수의 지폐를 지폐 계수기(10) 내부로 이송한다.
이 때, 픽업 롤러(120)는 마찰력에 의해 적층부재(110)에 적층된 지폐를 이송하는 복수의 마찰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20)가 하나의 마찰부재(126)를 가지는 경우 픽업 롤러(120)가 복수개인 경우보다 구동 토오크가 증가하게 되어 모터의 용량이 증가하게된다. 따라서, 복수의 마찰부재(126)를 통해 적은 회전으로도 많은 지폐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저전력의 모터(4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픽업 롤러(120)가 하나의 마찰부재(126)를 가지는 경우, 하나의 마찰부재(126)를 포함한 부분의 외경은 픽업 롤러(120) 중 마찰부재(126)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외경보다 크므로 비중 차이가 발생한다. 이 때, 픽업 롤러(120)가 분당 1000회 이상의 고속 회전을 할 경우, 픽업 롤러(120) 내 비중 차이로 인한 무게중심의 편심이 발생하여 지폐 계수기(10) 자체가 심하게 떨린다. 따라서, 픽업 롤러(120)에 복수의 마찰부재(126)가 포함됨으로써 픽업 롤러(120)에서 발생하는 무게중심의 편심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지폐 계수기(10)의 진동을 감소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126) 2개인 경우만 도시되어 있지만, 픽업 롤러(120)에서 발생되는 무게중심의 편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면 픽업 롤러(12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마찰부재(126)는 마찰력에 의해 적층부재(110)에 적층된 지폐를 후술하는 분리 롤러(130)와 투입 롤러(140)로 밀어준다. 다만, 마찰부재(126)는 상기 적층된 지폐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지폐에 높은 마찰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층된 지폐를 분리 롤러(130)와 투입 롤러(140)를 향해 밀어줄 수 있으면 마찰부재(126)의 재질이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투입 롤러(140)는 픽업 롤러(120)에 의해 이송된 지폐를 지폐 계수기(10) 내에 낱개로 투입한다. 이 때, 투입 롤러(140)와 분리 롤러(130)는 서로 지폐 1장의 두께 내외의 공간을 유지되도록 조정되며 분리 롤러(130)는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입 롤러(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복수의 지폐가 투입되면 분리 롤러(130)의 마찰력에 의해 낱장의 지폐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투입 롤러(140)와 분리 롤러(130) 사이의 공간으로 1장의 지폐가 통과할 수 있다면 투입 롤러(140)와 분리 롤러(130)의 세부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모터(400)는 투입 샤프트(142) 또는 픽업 샤프트(122)에 연결되어 투입 샤프트(142)에 결합된 투입 롤러(140) 또는 픽업 샤프트(122)에 결합된 픽업 롤러(1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모터(400)는 투입 샤프트(142)에 결합되는 제1 투입 풀리(146)에 제1 벨트로 연결되어 투입 샤프트(142)에 설치된 투입 롤러(140)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1 투입 풀리(146)와 동심을 가지는 제2 투입 풀리(144)는 픽업 샤프트(122)에 결합되는 픽업 풀리(124)에 제2 벨트로 연결되어 픽업 샤프트(122)에 설치된 픽업 롤러(1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모터(400)는 픽업 샤프트(122)에 결합되는 제3 픽업 풀리에 제3 벨트로 연결되어 픽업 샤프트(122)에 설치된 픽업 롤러(120)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3 픽업 풀리와 동심을 가지는 제4 픽업 풀리는 투입 샤프트(142)에 결합되는 투입 풀리에 제4 벨트로 연결되어 투입 샤프트(142)에 설치된 투입 롤러(14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다만, 모터(400)가 투입 샤프트(142) 또는 픽업 샤프트(122)에 연결되어 투입 롤러(140) 또는 픽업 롤러(1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투입 샤프트(142)와 픽업 샤프트(122) 상호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모터(400), 투입 샤프트(142) 및 픽업 샤프트(122) 간의 연결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 가능한 모든 연결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400)로 투입 롤러(140) 및 픽업 롤러(1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롤러(210, 220)는 지폐를 계수하고, 액면을 인식하며, 위조나 변조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지폐 계수기(10) 내로 한 장씩 주입된 지폐를 이송하고, 상기 작업들을 수행한 후 처리가 끝난 지폐들을 적재부재(630, 640)로 이송한다.
또한, 위조나 변조된 지폐 또는 인식이 불가능한 지폐 등은 제1 적재부재(630)로 이송되고, 위조나 변조되지 않은 정상권은 제2 적재부재(640)로 이송되어 회전 날개를 구비하는 휠(620)에 의해 가지런히 정돈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10)는 이송 롤러(210, 22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 경로를 변경하여 적재부재(630, 640) 중 적합한 적재함으로 지폐를 이송하는 셀렉터(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렉터(610)는 후술하는 센서모듈의 결과에 따라 액면 인식에 실패하거나 위조 또는 변조라고 의심되는 지폐들을 상단에 위치한 제1 적재부재(630)에 보내고, 그 외 정상권들을 하단에 위치한 제2 적재부재(640)로 보낸다. 이 경우, 하단에 위치한 제2 적재부재(640)로 보내지는 지폐들은 계수모듈에 의해 계수될 수 있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롤러(210, 220)는 투입 샤프트(142)에 연결되어 투입 샤프트(142)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 샤프트(212, 2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샤프트(212, 222)에 결합된 이송 풀리(214, 224)는 투입 샤프트(142)에 결합된 제3 투입 풀리(148)와 연결됨으로써, 이송 롤러(210, 220)는 투입 롤러(140)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4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통해 픽업 롤러(120)와, 투입 롤러(140)와, 이송 롤러(210, 220)가 모두 회전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대폭 절감하고 지폐 계수기(10)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롤러(210, 220)는 투입 롤러(140)와 분리 롤러(130)에 의해 지폐 계수기(10) 내부로 투입된 낱개의 지폐를 지폐 계수기(10)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제1 이송 롤러(210)와, 제1 이송 롤러(21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를 지폐 계수기(10) 외부(예를 들어, 적재부재)로 배출시키는 제2 이송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이송 롤러(210, 220)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의 경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지폐 계수기(10) 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라이휠(500)은 모터(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이송 공간(P1, P2) 내 잔존 지폐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성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라이휠(500)이란 지폐 계수기(10)의 부품 중 상당히 큰 질량을 가진 부품으로서 모터(400)의 구동력이 제공되다가 차단되는 경우 회전하고 있던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할 수 있는 부품을 의미한다.
이 때, 플라이휠(500)은 이송 샤프트(212, 222) 상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210, 220)와 함께 회전하므로, 모터(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이송 롤러(210, 220)를 관성 회전시켜 이송 공간(P1, P2) 내 잔존 지폐를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다.
또한, 투입 샤프트(142)에 결합된 제3 풀리(148)에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원-웨이(one-way) 베어링이 압입될 수 있다. 이는, 모터(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어 투입 샤프트(142)가 정지하더라도 제3 풀리(148)와 이송 풀리(214, 224)는 플라이휠(500)이 회전하면서 얻은 회전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인해, 모터(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이송공간 내 잔존지폐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지폐 계수기(10)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센서모듈(300)은 이송 공간(P1, P2)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액면 또는 위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모듈(300)은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 센서, 자외선(UV) 센서 및 마그네틱(Magnetic) 센서 등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되는 지폐를 인식하여 지폐의 위조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모듈(300)은 이송 공간(P1, P2) 중 투입 롤러(140)와 제1 이송 롤러(210) 사이의 공간(P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300)이 일부의 이송 공간(P1) 내에 위치함으로써 지폐의 이송공간을 최소화하여 모터(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플라이휠(500)이 적은 회전 관성을 가지더라도 이송 공간(P1, P2) 내 잔존 지폐를 지폐 계수기(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센서모듈(300)은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310)과,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타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320)과, 제1 광원(310)에서 조사되어 상기 지폐에서 반사된 광과 제2 광원(320)에서 조사되어 상기 지폐를 투과한 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거의 평행선 상에 위치하는 제1 광원(310), 제2 광원(320) 및 감지센서(330)를 통해 센서모듈(300)이 위치하는 공간을 줄여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원(310)과 제2 광원(320)에서 조사되는 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 등을 포함하며 여러가지 광선이 조합될 수 있다. 다만,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제1 광원(310), 제2 광원(320) 및 감지센서(33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송되는 지폐의 액면 또는 위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광원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10)의 작동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투입 롤러(140)의 1회전 당 1매의 지폐가 지폐 계수기(10) 내부로 투입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투입 롤러(140)의 원주 길이(r)를 기준으로 플라이휠(500)에 의한 지폐의 이동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폐가 투입 롤러(140) 및 분리 롤러(130)에 의해 한장씩 지폐 계수기 내부로 투입되면 A 내지 F, 또는 A 내지 G 위치를 지나가며 지폐의 감별 및 계수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지폐가 투입되어 j 위치에 놓이게 된 상태에서 모터(400)가 정지하여 구동력의 제공이 차단되는 경우, 플라이휠(500)에 의해 지폐가 r 길이만큼 이송되는 경우에도 상기 투입된 지폐는 여전히 지폐 계수기(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투입된 지폐는 개략적으로 투입 롤러(140)가 1.5회전 하는 1.5r 정도의 길이만큼 이송되어야 완전히 배출된다.
따라서, 지폐 계수기(10)가 복수의 계수 속도를 제공하는 경우, 최소 계수 속도에서 플라이휠(500)이 얻는 관성으로도 이송 공간(P1, P2) 내 잔존 지폐가 지폐 계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려면, 지폐 계수기(10)의 최대 계수 속도에서 플라이휠(500)은 투입 롤러(140) 둘레 길이(r)의 2배만큼 이송 롤러(210, 220)를 관성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폐 계수기(10)의 최대 계수 속도는 분당 1000장, 그리고 최소 계수 속도는 분당 800장의 지폐를 계수하는 속도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 공간(P1, P2)의 전체 길이(예를 들어, A 내지 F, 또는 A 내지 G 구간)는 투입 롤러(140) 둘레 길이(r)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이송 공간(P1, P2)의 전체 길이가 r의 2배 이상이면 플라이휠(500)의 중량 내지 외경이 증가하여야 하고, 이는 모터(400)의 부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모터(400)의 초기 구동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 플라이휠(500)이 충분한 관성을 얻기 위해서는 모터(400)의 빠른 회전 가속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 구간을 최소화하는 것은 전술한 센서모듈(300)와 이송 롤러(210, 220)의 구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플라이휠(500)의 관성 회전 정도와 이송 공간(P1, P2)의 길이를 통해 모터(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지폐 계수기(10) 내의 잔존 지폐를 모두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플라이휠(500)의 관성 회전 정도를 통해 모터(400)가 정지 상태에서 다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에 적절한 가속에 의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지폐 계수기
120: 픽업 롤러
140: 투입 롤러
210, 220: 이송 롤러
300: 센서모듈
400: 모터
500: 플라이휠

Claims (10)

  1. 투입 샤프트(shaft)에 설치되고, 적층된 복수의 지폐를 낱개로 투입하는 투입 롤러;
    상기 투입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
    상기 투입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이송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이송 공간 내 잔존 지폐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성 회전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관성 회전시키는 플라이휠; 및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지폐를 적재하는 복수의 적재부재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개수는 1개인 지폐 계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액면 또는 위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는,
    상기 투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계수기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제1 이송 롤러와, 상기 제1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지폐 계수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이송 공간 중 상기 투입 롤러와 상기 제1 이송 롤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지폐 계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 센서, 자외선(UV) 센서 및 마그네틱(Magnetic)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타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지폐에서 반사된 광과 상기 제2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지폐를 투과한 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은,
    최대 계수 속도에서 상기 투입 롤러 둘레 길이의 2배만큼 상기 잔존 지폐를 이동시키도록 관성 회전하는 지폐 계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 공간의 길이는,
    상기 투입 롤러 둘레 길이의 2배 이하인 지폐 계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플라이휠이 상기 이송 롤러를 관성 회전시키도록 상기 투입 샤프트에 설치되는 원-웨이(one-way)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KR1020150026392A 2015-02-25 2015-02-25 지폐 계수기 KR10167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92A KR101673532B1 (ko) 2015-02-25 2015-02-25 지폐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92A KR101673532B1 (ko) 2015-02-25 2015-02-25 지폐 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09A true KR20160103709A (ko) 2016-09-02
KR101673532B1 KR101673532B1 (ko) 2016-11-07

Family

ID=5694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392A KR101673532B1 (ko) 2015-02-25 2015-02-25 지폐 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9792A (zh) * 2019-05-07 2019-07-26 浙江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一口半清分点钞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70U (ko) * 1998-05-26 1999-12-27 장상환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구조
KR20100089478A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이뱅킹텍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KR20110043028A (ko) 2009-10-20 2011-04-27 김덕재 플라즈마 살균장치가 구비된 지폐 계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 입출금기기
KR20140007764A (ko) * 2012-07-09 2014-01-20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트류 판별 장치
KR101487447B1 (ko) * 2014-01-08 2015-01-28 (주)티비엠 지폐계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70U (ko) * 1998-05-26 1999-12-27 장상환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구조
KR20100089478A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이뱅킹텍 복수개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위폐 감별 지폐 계수기
KR20110043028A (ko) 2009-10-20 2011-04-27 김덕재 플라즈마 살균장치가 구비된 지폐 계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 입출금기기
KR20140007764A (ko) * 2012-07-09 2014-01-20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트류 판별 장치
KR101487447B1 (ko) * 2014-01-08 2015-01-28 (주)티비엠 지폐계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9792A (zh) * 2019-05-07 2019-07-26 浙江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一口半清分点钞机
CN110059792B (zh) * 2019-05-07 2024-04-19 浙江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一口半清分点钞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532B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7977A (ko) 지폐 반송방향 변경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입출금장치
KR102425145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JP5692100B2 (ja) 硬貨処理装置
KR101673532B1 (ko) 지폐 계수기
WO2004023406A1 (ja) 入金機
KR101487447B1 (ko) 지폐계수기
KR101960817B1 (ko) 매체 분리장치
KR101408575B1 (ko)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KR20160145905A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GB2472877A (en) Device and method for sheet conveying
KR20060078539A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357061B1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JP528727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KR20030022909A (ko) 지폐분류 정사기
KR20160073135A (ko) 지폐 처리 장치
JPH03259830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6065775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硬貨搬送方法
KR200379151Y1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JP3302504B2 (ja) 紙幣処理装置
JP2576213B2 (ja) 紙葉類繰出機構
WO2002046074A1 (en) Document supply apparatus
JP2012181783A (ja) 硬貨処理装置
JP2010159110A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KR200259659Y1 (ko) 지폐분류 정사기
KR20220050410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