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344A - 수처리용 여과 유닛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여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344A
KR20160103344A KR1020150025729A KR20150025729A KR20160103344A KR 20160103344 A KR20160103344 A KR 20160103344A KR 1020150025729 A KR1020150025729 A KR 1020150025729A KR 20150025729 A KR20150025729 A KR 20150025729A KR 20160103344 A KR20160103344 A KR 20160103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weight
absorbent resin
water
fi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229B1 (ko
Inventor
이상협
최재우
안병렬
박찬혁
권규상
이순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3Ars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여과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위치하는 유체 유입관 및 단부에 서로 대향해서 위치하는 필터 플레이트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과, 정화될 유체의 유입과 정화된 유체의 유출이 보장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은 수처리제를 함유하되, 상기 수처리제는 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됨으로써,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됨으로써, 고농도로 함유된 비소 및 인산염과의 접촉 면적이 넓고, 폐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흡착 제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수처리용 여과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용 여과 유닛 {FILTERING UNIT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중에 고농도로 함유된 비소 및 인산염을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비소가 함유된 폐수는 광물처리산업이나 유리, 세라믹, 염료, 제초제, 살충제, 약품 등의 관련공장에서 통상 발생하게 된다. 비소는 대표적인 유독성 물질로 각종 피부질환과 기형동물 출생 등의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방류하는 폐수중의 비소에 대한 규제가 더욱 엄격하게 가해기는 실정이다.
폐수중의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토사 및 제올라이트에 철이나 망간을 코팅하여 비소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휴광산 지역의 토양복원을 위한 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2차적인 오염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비소는 주변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산화상태 (+5, +3, 0, -3)를 나타내며 자연조건에서는 일반적으로 AS(III), AS(V)로 존재하는데 그 비율은 산화환원 전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휴광산 침출수 및 지하수 내 3가 및 5가 비소를 제거함에 있어 흡착제에 따라 제거 효율이 현격히 차이가 난다. 3가 비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망간으로 코팅된 토사 및 제올라이트를 적용하고, 5가 비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철로 코팅된 흡착제를 적용한다.
그런데, 비소를 함유하는 폐수에 인산염 등과 같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인산염은 비소를 제거하는 데에 있어 방해물질로 작용하여 비소제거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광산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비소를 제거할 경우 폐수에 포함된 인산염으로 인해 비소가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184,933호에서는 제철슬래그를 이용한 비소제거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방법은 인산염 등과 같은 방해물질의 존재하에서도 비소를 흡착 제거할 수 있으나, 고 농도의 비소를 함유한 다량의 폐수로부터 비소를 제거하기에는 제거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 농도의 비소를 함유한 다량의 폐수로부터 비소와 동시에 인산염을 고효율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위치하는 유체 유입관 및 단부에 서로 대향해서 위치하는 필터 플레이트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과, 정화될 유체의 유입과 정화된 유체의 유출이 보장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은 수처리제를 함유하되, 상기 수처리제는 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 및 유체 유입관은 각각 친수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은 0.2 내지 0.5㎛ 공극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은 원뿔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관은 카트리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흡착 미분말은 흡수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흡착 미분말은 전기로슬래그를 포함하는 제강슬래그일 수 있다.
상기 흡착 미분말은 비표면적이 50㎡/g이상일 수 있다.
상기 흡착 미분말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투과성 백 내에 수처리제를 함유하고, 상기 수처리제는 1)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빈 방이 형성된 입체별형 또는 성게형 구조를 갖는 반투과성 구조체로, 상기 구조체는 내부에 1)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 수처리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성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과 유닛은 흡착 미분말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수중에 고농도로 함유된 비소 및 인산염과의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제거효율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과 유닛은 고흡수성 수지 내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되어 폐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제거효율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과 유닛은 시간과 공간에 제약없이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수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과 유닛은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으로 인산염과 비소를 동시에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과 유닛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백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수중에 고농도로 함유된 비소 및 인산염을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 유닛은 중앙에 위치하는 유체 유입관(7) 및 단부에 서로 대향해서 위치하는 필터 플레이트(3, 3')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10)과, 정화될 유체의 유입과 정화된 유체의 유출이 보장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은 수처리제(3)를 함유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10)은 상분 말단에 커버(20)와 연결시키는 나사산이 새겨진 조인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의 나사를 돌려 뺌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공간은 바람직하기로는 원뿔대 또는 피라미드형이 좋으나, 원통형, 구형, 나선형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의 공간은 수처리제(3)로 부분 또는 완전 충진될 수 있다. 유체와의 저항성 및 흐름속도 등을 고려하면 하우징 공간의 97 내지 99부피%로 수처리제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처리제(3)는 1)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한다.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수지는 흡착 미분말의 분산을 균일하게 하고, 폐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상기 흡착 미분말과 폐수내의 비소 및 인산염의 흡착시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크릴산과 아크릴산염을 주요 구성 단위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수성 수지는 흡착 미분말의 바인더 역할 이외에 아크릴산 단위를 포함하여 아크릴산 단위의 카르복실기가 악취 성분의 일종인 암모늄 등을 흡착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수지는 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바람직하기로 25 내지 4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60 내지 75중량%)가 함유된다.
아크릴산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수지의 pH가 알칼리성이 되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pH가 산성이 되므로 폐수의 처리조건이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흡수성 수지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 미분말은 폐수 내에 함유된 비소 및 인산염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 미분말은 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강슬래그는 전로슬래그와 전기로슬래그로 구분되며, 상기 전기로슬래그는 산화슬래그와 환원슬래그로 구분된다. 이중, 가격경쟁력 및 흡착효율 등을 고려하면 고로슬래그 및 제강슬래그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전기로슬래그를 포함하는 제강슬래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로슬래그는 SiO2 30 내지 35중량%, CaO 40 내지 45중량%, Al2O3 12 내지 16중량%, Fe 0.1 내지 0.5중량%, MgO 5 내지 8중량%, S 0.5 내지 1중량%, MnO 0.1 내지 0.5중량% 및 TiO2 0.8 내지 1.3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로슬래그는 SiO2 10 내지 15중량%, CaO 42 내지 46중량%, Al2O3 1 내지 3중량%, Fe 15 내지 20중량%, MgO 5 내지 8중량%, S 0.01 내지 0.1중량%, MnO 4 내지 7중량% 및 TiO2 1.3 내지 3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슬래그는 SiO2 15 내지 20중량%, CaO 25 내지 30중량%, Al2O3 10 내지 15중량%, Fe 20 내지 23중량%, MgO 3 내지 8중량%, S 0.05 내지 1.5중량%, MnO 5 내지 9중량% 및 TiO2 0.5 내지 1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슬래그는 SiO2 25 내지 30중량%, CaO 47 내지 53중량%, Al2O3 7 내지 13중량%, Fe 1 내지 2중량%, MgO 5 내지 9중량%, S 0.2 내지 1중량%, MnO 0.5 내지 1.2중량% 및 TiO2 0.5 내지 1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 미분말은 분말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입상, 과립상, 조립상, 비늘조각상, 피상(塊狀), 펄 (pearl) 상, 미분말상 등 어느 형상이라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 1mm 이하의 입도분포를 갖는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 0.1 내지 0.9mm 의 입도분포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흡착 미분말은 흡착 효과 향상의 관점에서, 입경은 작고 비표면적은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비표면적이 50㎡/g이상이고,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인 것이 좋다. 평균 입경이 0.1㎛미만이면 흡착 효과는 증가되나 흩날림 등 분말의 취급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적이 작아져 흡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경은 1차 입자의 입경이며, 이들 1차 입자를 조립하여 만들어진 10㎛를 초과하는 큰 입자도 본 발명에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미분말은 흡착 효과 및 폐수의 처리용량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흡수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3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흡착효과가 거의 미미하며, 60중량%일 때 이미 충분한 흡착 효과를 발휘하므로 이 이상 비율을 높여도 흡착효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으며, 흡착 미분말이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관(7)은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하여 새 카트리지 하우징 안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5)는 유체를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10) 내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터 플레이트(5) 및 유체 유입관(7)은 각각 친수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2 내지 0.5㎛ 공극 직경을 갖는 친수성 멤브레인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수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흡착에 의해 제거하기 위해 정화될 물에 공급될 수 있는 상기 수처리제가 충진된 필터 백(30)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 백(30)은 예를 들면 뜨거운 물에 우려낸 음료, 특히 차를 제조하기 위한 많은 형태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필터 백의 소재는 당 분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오염물질 흡착을 위한 과정 중에 수처리제(33)가 수중으로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빈 방이 형성된 입체별형 또는 성게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부 빈 방에 상기에서 언급한 수처리제가 구비된 반투과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 유닛은 수중에 함유된 비소 및 인산염과의 접촉면적이 넓고 폐수의 체류시간이 길어, 비소 및 인산염의 제거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 및 경제적으로 흡착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
3, 3' 및 33: 수처리제 5: 필터 플레이트
7: 유체 유입관
20: 커버
30: 필터 백

Claims (11)

  1. 중앙에 위치하는 유체 유입관 및 단부에 서로 대향해서 위치하는 필터 플레이트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과, 정화될 유체의 유입과 정화된 유체의 유출이 보장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은 수처리제를 함유하되,
    상기 수처리제는 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플레이트 및 유체 유입관은 각각 친수성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멤브레인은 0.2 내지 0.5㎛ 공극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은 원뿔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관은 카트리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미분말은 흡수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미분말은 전기로슬래그를 포함하는 제강슬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미분말은 비표면적이 50㎡/g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미분말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 유닛.
  10. 반투과성 백 내에, 수처리제를 함유하고,
    상기 수처리제는 1)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백.
  11. 내부에 빈 방이 형성된 입체별형 또는 성게형 구조를 갖는 반투과성 구조체로,
    상기 구조체는 내부에 1)아크릴산 10 내지 50중량%와 아크릴산염 50 내지 90중량%가 함유된 흡수성 수지 입자, 및 2)고로슬래그, 제강슬래그, 레드머드 및 백운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착 미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 내부에 흡착 미분말이 분산된 수처리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성 구조체.
KR1020150025729A 2015-02-24 2015-02-24 수처리용 여과 유닛 KR10167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29A KR101672229B1 (ko) 2015-02-24 2015-02-24 수처리용 여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29A KR101672229B1 (ko) 2015-02-24 2015-02-24 수처리용 여과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44A true KR20160103344A (ko) 2016-09-01
KR101672229B1 KR101672229B1 (ko) 2016-11-04

Family

ID=5694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729A KR101672229B1 (ko) 2015-02-24 2015-02-24 수처리용 여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0991A (zh) * 2018-09-14 2019-01-15 太原理工大学 一种赤泥一步合成磁性吸附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607947A (zh) * 2018-12-25 2019-04-12 贵州省分析测试研究院 一种除去洗煤厂废水中重金属砷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69B1 (ko) 2019-07-08 2021-11-12 배장필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KR102408675B1 (ko) 2020-06-03 2022-06-14 배장필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994A (ko) * 1987-12-21 1989-08-05 이정오 흡수성이 우수한 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 고분자의 제조방법
KR20030036825A (ko) * 2000-09-26 2003-05-09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흡착용기 및 철 산화물 흡착제
KR20040007443A (ko) * 2001-02-06 2004-01-24 워터비전스 인터내셔널, 인크.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JP2004190619A (ja) * 2002-12-13 2004-07-08 S & S Engineering:Kk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994A (ko) * 1987-12-21 1989-08-05 이정오 흡수성이 우수한 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 고분자의 제조방법
KR20030036825A (ko) * 2000-09-26 2003-05-09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흡착용기 및 철 산화물 흡착제
KR20040007443A (ko) * 2001-02-06 2004-01-24 워터비전스 인터내셔널, 인크.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JP2004190619A (ja) * 2002-12-13 2004-07-08 S & S Engineering:Kk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0991A (zh) * 2018-09-14 2019-01-15 太原理工大学 一种赤泥一步合成磁性吸附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607947A (zh) * 2018-12-25 2019-04-12 贵州省分析测试研究院 一种除去洗煤厂废水中重金属砷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229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9234A (en) Filter media, method for oxidizing and removing soluble iron, method for removing and inactivating microorganisms and particulate filter aid
KR101672229B1 (ko) 수처리용 여과 유닛
Chuah et al. Rice husk as a potentially low-cost biosorbent for heavy metal and dye removal: an overview
US5024764A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filter
US5082568A (en) Method for removing low concentrations of metal contaminants from water
CN1443600B (zh) 吸附剂混合物
US20020195407A1 (en) Purfication media
US20060157416A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using iron-doped ion exchangers
JP2010172893A (ja) 重力供給水処理装置用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CA2787102A1 (en) Method of making a filter media with an enhanced binder
CN109414901B (zh) 抗微生物复合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EP1370338A2 (en) Compositions of insoluble magnesium containing minerals for use in fluid filtration
US6106725A (en) Point-of-use removal of lead and copper in drinking water using hydroxylapatite and carbonate minerals
Yi et al. Removal of Pb (II) by adsorption onto Chinese walnut shell activated carbon
Mishra et al. Review on adverse effects of water contaminants like arsenic, fluoride and phosphate and their remediation
Barlokova et al. Removal of heavy metals in drinking water by iron-based sorption materials
US4116826A (en) Water purification methods
JPH03106489A (ja) 浄水器
US4116825A (en) Water purification methods
Karnwal et al. Nano-revolution in heavy metal removal: engineered nanomaterials for cleaner water
JPH11197500A (ja) リン酸イオン吸着ろ材及び製造方法
Zaman et al. Solanum xanthocarpum Plant as a Potential Low Cost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s
RU5152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2010269225A (ja) 陰イオン吸着剤成型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浄水器
Tilková et al. Using montmorillonite for phosphate remo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