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443A -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443A
KR20040007443A KR10-2003-7010351A KR20037010351A KR20040007443A KR 20040007443 A KR20040007443 A KR 20040007443A KR 20037010351 A KR20037010351 A KR 20037010351A KR 20040007443 A KR20040007443 A KR 2004000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ying material
fluid
purifying
magnesium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휴케니쓰디
Original Assignee
워터비전스 인터내셔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터비전스 인터내셔널, 인크. filed Critical 워터비전스 인터내셔널,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0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42Shaped bodies; Monolithic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7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 B01D39/2079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r granular otherwise bonded, e.g. b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82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01D39/2089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otherwise bonded, e.g. b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4Heav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merc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containing phosphorus, e.g. phosphates, apatites, hydroxyapat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6Particles within, immobilised, dispersed, entrapped in or on a matrix, e.g. a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Sorbents comprising a binder, e.g. for forming aggregated, agglomerated or granulat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 B01J20/347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in the liquid 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8Granulation; Incorporation of ion-exchangers in a matrix; Mixing with iner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40Porous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2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6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01J2220/4825Polysaccharides or cellulose materials, e.g. starch, chitin, sawdust, wood, straw,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01J2220/4843Algae, aquatic plants or sea vegetals, e.g. seeweeds, eelgr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68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및 화학적 오염물을 포함하는 유체 물 또는 기타의 용액, 예컨대 포낭,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 및 중금속 및/또는 살충제를 포함하는 유체의 여과 및/또는 정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유체는 고정 결합제 매트릭스 중의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함유 규산염, 마그네슘 함유 산화물, 마그네슘 함유 수산화물, 마그네슘 함유 인산염으로 이루어진 정화 물질 및 흡수 매질을 통과하게 된다.

Description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의 조성물{COMPOSITIONS OF INSOLUBLE MAGNESIUM CONTAINING MINERALS FOR USE IN FLUID FILTRATION}
물 또는 기타 수용액의 정화 또는 여과는 안전한 즉, 음용 가능한 음료수의 제공에서부터 발효 공정 및 생물학적 유체로부터 성분을 분리하는 것을 비롯한 생물공학 분야에 이르는, 다수의 분야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초정화 공기가 필요한 병원 및 클린룸, 그리고 공기가 재순환되는 환경 예컨대, 비행기 또는 우주선의 호흡 가능한 공기로부터의 미생물 유기체의 제거는 또한 여과 매체에 있어서 중요한 분야이다. 최근, 가정에서의 공기 여과 및 정화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인식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및 실내 공기의 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다수의 공기 여과 제품 예컨대, HEPA 필터 등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공기로부터 소립자, 알레르기원 및 심지어는 미생물까지도 제거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증류, 이온 교환, 화학 흡착, 여과 또는 (미립자를 물리적으로 가두어 놓는) 저장과 같은 다수의 널리 공지된 방법들이 현재 정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입자 여과는 과립형 물질의 막 또는 층을 사용함으로써 종결될 수 있으나, 각각의 경우 상기 물질의 공극 크기 및 과립형 물질간 공간은 보유된 입자 크기를 조절한다. 추가의 정화 매체는 화학 반응을 수행하는 물질을 포함하는데, 이 화학 반응을 통하여 정화될 유체중 화학종의 상태 및 일체성을 변형시킨다.
대부분의 경우, 유체 예컨대, 물을 완벽하게 정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법들을 병행한다. 단일 장치내 작용성 부재들을 병용하거나 또는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몇몇 장치들을 사용하여 상기 기법들을 병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의 수행에서는 음하전 및 양하전된 화학종 둘다와 전하를 띠지 않는 화학종을 제거하는 혼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정수 기법 및 이 기법을 실시하는 대다수의 경우는 비용이 많이 들고, 에너지면에서 비효율적이며/비효율적이거나 상당 기술적 노하우 및 정교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복잡성을 없앤 통상의 방법은 대규모 공정 또는 특별히 디자인된 장치를 필요로 한다. 불행하게도, 저렴한 기법을 개발하는 것은 유해한 화학적 오염물 및 생물학적 오염물 예컨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간단한 즉시 사용(point-of-use) 정화 장치 예컨대, 가정용 수도관 또는 캠핑하는 사람 및 등산하는 사람들을 위한 휴대용 유닛에부착된 필터는 비교적 고가의 막 기법 또는 강력한 화학적 산화제 예컨대, 할로겐 또는 반응성 산소종을 사용하지 않으면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환경 보호국(EPA)은 미생물학적 정수기로서 사용하는데에 제시되는 장치에 대한 최소 허용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콜라이(E.Coli) 및 크렙시엘라 테리게나(Klebsiella terrigena)로 대표되는 통상의 대장균의 경우는 농도 1 ×107/100㎖의 유입물로부터 제거된 유기체의 최소 6 로그의 감소율, 즉 99.9999%를 나타내어야 한다. 폴리오바이러스 1(LSc) 및 로타바이러스(Wa 또는 SA-11)로 대표되는 통상의 바이러스의 경우는 다수의 처리 공정에 내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농도 1 ×107/ℓ의 유입물로부터 제거된 유기체의 최소 4 로그의 감소율, 즉 99.99%를 나타내어야 한다. 지아디아 뮤리스(Giardia muris) 또는 지아디아 람블리아(Giardia lamblia)로 대표되는 낭포는 만연하고 있는 질병 유발성의 미생물로서, 화학 살균에 내성을 띤다. 낭포 제거를 필요로 하는 장치는 농도가 각각 1 ×106/ℓ 또는 1 ×107/ℓ인 유입물로부터 제거된 낭포의 최소 3 로그의 감소율 즉, 99.9%를 나타내어야 한다. EPA는 상기 기능을 필요로 하는 장치를 시험하는 수단으로서 적당한 크기 범위의 기타 입자들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미생물 유기체를 제거 및 고정화하는데에 매우 효율적인 물질은 다수의 용도를 갖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생물 공학 및 발효 산업 분야에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재활용 또는 재사용을 위한 발효액 처리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발효 공정에 대하여 목적 미생물을 위한 미생물 고정화 물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화학 결합제로서 과립형 또는 입자형, 또는 섬유형의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규산마그네슘의 일부 형들은 석면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섬유형으로 가공될 수 있는 물질은 셀룰로즈와 혼합되어 소모용으로서 사용될 유체로부터 미생물 및 미립물을 제거하는데에 사용된다. 유체 여과를 위한 무기물을 함유하는 석면 형태의 규산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은 눈에 띠게 감소하였는데, 그 이유는 상기 물질이 흡입되었을때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석면 섬유 형태의 규산마그네슘은 난연제 물질 및 콘크리트와 합성 중합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규산마그네슘의 비-석면형은 활석(들)으로 알려진 무기물을 포함하며 제약, 화장품, 페인트 및 코팅 산업에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규산염을 함유하는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도 상기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규산염을 함유하는 마그네슘은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거나, 땅속에서 발견되는 원광의 채광/가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규산염을 함유하는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은, 화학 물질, 생물학적 물질 및 미생물의 화학 흡착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생물수 정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규산마그네슘은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무기물로서,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금속을 대체하는 기타 금속을 다양한 농도로 포함하는 구조적 형태의 혼합물에서 발견된다.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은 또한 천연상태에서 발견되며 합성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규산마그네슘의 채광된 혼합물중 다른 성분들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티타늄, 칼슘, 철, 구리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산화 마그네슘은 수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다수의 제품 처리 공정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된다. 인산마그네슘은 수처리를 비롯한 특정 범위의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인산마그네슘 화합물을 다공성 블록 형태로 포함하는 시판중인 미생물 여과 또는 정화 장치는 공지된 바 없다. 규산마그네슘이 여과재, 특히 섬유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 더욱 구체적으로 셀룰로즈 및/또는 섬유유리 섬유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 문헌은 있다. 규산마그네슘, 특히 석면 섬유 필터 시이트를 사용하여 수처리하는 것에 관하여는 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미 Seitz와 같은 연구원에 의하여 입증된 바 있다. Seitz는 다년간 음료 산업에서 사용되는 수처리용 석면 섬유 필터를 제조하여 왔다. 수처리 스트림으로부터 미생물 유기체를 제거하기 위해 블록 형태의 규산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규산마그네슘은 전술한 최소 EPA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도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몇몇 유형의 규산마그네슘 물질을 사용함에 따른 위험을 줄여주는 다공성 블록 물질을 제조하려는 노력이 행하여져 오고 있다.
과학 문헌에는 셀룰로즈-석면 필터 시이트는 또한 바이러스 분석을 위한 급속 농축 실험실 방법에 도입되어 관찰되었지만, 이러한 노력도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수처리 공정은 또한 미국 특허 제4,167,47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공정은 분말 무기물로 이루어진 활성 매체(50 메쉬 미만)와 활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폐수를 정화한다. 활성 매체는 폐수와 혼합되어 순환되며, 그 결과 생물학적 및 화학적 반응을 발생시킨다. 이 공정에 있어서 무기물은 처리될 물의 흐름을 통하여 결합제 물질의 일부와는 반대로, 수계에 대한 과립형 첨가물로서 사용되며 유체를 통하여 분산된다. 상기 참고문헌은 폐수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거나 또는 제안하지 않는다. 사실, 이는 처리의 일부로서 활성 미생물을 실제 사용하고 있으며, 이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은 고려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참고문헌은 무기물이 금속 이온을 제공하여 인산염을 침전시키므로, 인산염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다른 유형의 화학 물질 예컨대, 명반을 사용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없앤다는 것을 특히 강조한다.
또한, 세라믹 및 바이오 임플란트 분야의 물질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유체 여과 목적으로 제작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체를 통과시킬 수도 없다.
그러므로, 당 업계에는 복잡하지 않고, 안전하며, 저렴한 유체 정화 및 여과 방법 및 천연 물질 및 합성 물질로부터 얻어진,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을 사용하여 실용적인 유체 정화 및 여과 장치를 제조하고, 모든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발견되거나 또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으로 합성되는 형태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본 발명 및 당 업계에서 의도로 하는 바이다. 또한 당 업계는 미생물학적 정수기로서 지정되기 위한 최소 EPA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이 장치는 즉시 사용하는 산업 분야 및 소비자에게 적당한 것 이상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화 장치의 용액 및 유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기체, 물 및 기타 수성 액체용 수용액 필터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인데, 이 장치는 이것을 통과한 기체 또는 수용액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금속 및 살충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와 이들의 성분을 비롯한 화학적 오염물 및 미생물학적 오염물을 물 또는 수용액으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 즉,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과 과립형 활성탄(GAC)을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 매트릭스내에 포함하는 블록 필터 장착 물 필터 하우징의 특정 구체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 즉,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결합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막 또는 시이트의 형태의 필터 물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규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필터 장치의 몇몇 유형을 사용하면, 상기 무기 물질이 흡입될 때 인체에 유해하고, 상기 무기 물질이 대기에 노출되어 필터 시이트로 사용될때, 무기물 섬유가 떨어져나와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공지의 중요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상기 시이트는 벗겨지거나 찢길 수 있으므로 유해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공지의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포함 필터 장치에 있어서 추가의 중요한 문제점은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이 과립형, 미립자형 또는 섬유형이든지 간에 느슨한 형일 경우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느슨한 형태의 물질로 제조된 필터의 효능은 필터 매체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 특히, 물과 수용액의 압력 그리고 입자 침식 및 응집에 의하여 유발된 채널 형성 및 소통 효과에 의하여 방해된다. 화학 물질,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는 흡착재와의 긴밀한 접촉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압, 물의 흐름, 입자 침식 또는 입자 응집에 의하여 과립형 물질내에 경시적으로 비교적 작은 채널 또는 통로가 형성되면 필터를 통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 오염물이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로서 물을 예로 들고, 미생물 유기체에 대한 여과 매체로서 본 발명의 물질을 사용하면, 바이러스 유입물 농도 1 ×106/ℓ를 기준으로 한 계산값은, 4 로그 감소율이 예상되는 경우 여과중 필터 매체에 형성된 채널을 통과함으로써 0.01%의 물만이 처리 장치를 통과하면 실제 감소율은 3.7 로그이다. 만일 0.1%의 물이 처리되지 않은 채로 통과하면, 감소율은 3 로그이다. 만일 1%가 처리되지 않은 채로 통과하면, 감소율은 2 로그이고, 만일 10%가 처리되지 않은 채로 통과하면, 감소율은 1 로그이다. 6 로그 감소율이 예상되는 경우, 채널 형성으로 인한 유해한 결과는 더욱 급진적이며, 물 0.01%가 처리 장치를 통과하는때에 실질적 감소율은 4 로그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필터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비롯한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마그네슘함유 무기물 및 기타 과립형 흡착 필터 매체가 화학 결합제 물질내에 고정되어 다공성 필터재를 형성할 경우, 채널 형성 및 활성 제제의 통과 가능성을 없앤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성 유체, 구체적으로 물(예컨대, 음료수 또는 수영장 물 또는 목욕용 물), 또는 기타 수용액(예컨대, 발효액 및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용액), 또는 클린룸, 병원, 잠수정, 항공기 또는 우주선에서 발견되는 기체 및 기체의 혼합물 예컨대, 호흡 가능한 공기, 및 표면으로부터 미립물을 살포, 정화 또는 제거하는데에 사용되는 기체를 정화 및 여과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면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그리고 이들의 성분을 비롯한 미생물 오염물을 상당한 비율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면, 미생물학적 정수기로서 지정되기 위한 EPA 기준을 만족시키는 수준까지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다공성 블록 형태인 무기물 함유 미립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유체용 정화 물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의 최소한 일부는 규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및/또는 관련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으로 제조되며,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거나(예를 들어 채광), 또는 합성 공급원으로부터(예컨대, 실리콘,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함유 화학 물질의 혼합) 얻어진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결합제는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물질로서, 미립자 마그네슘 무기물을 블록 구조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정화 물질을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여과 장치 하우징에 함유물로서 적당한 형태로 성형 또는 압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여과 장치는 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고, 유체와정화 물질을 접촉시키기 위한 1 이상의 챔버를 보유한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이룬다. 단일 블록으로 고정화된 마그네슘 무기 입자를 유지시키는 이외에, 중합체 결합제는 또한 사용된 중합체 결합제의 유형 및 양에 따라서 필터 물질에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이 물질을 경질 또는 가요성으로 만든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무기물을 함유하는 미립자 마그네슘을 함유하며 결합제로 고정화된, 시이트 또는 막의 형태인 유체용 정화 물질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무기물을 함유하는 미립자 마그네슘을 포함하며 유체-팽창 물질을 사용하는 가압 기법으로 고정화된, 블록, 시이트 또는 막 형태인 유체용 정화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화 물질과 유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체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미생물을 다량 제거하기 위한, 유체 예컨대, 물, 수용액 및 기체를 여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의 특정 측면에서, 유입구를 통하여 흐르는 여과되지 않은 유체와의 접촉, 1 이상의 챔버내에서 정화 물질와의 접촉, 그리고 유출구를 통과하여 챔버 밖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여과는 전술한 장치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은 음료수를 정화하고,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 예컨대, 수영 풀, 온수 욕조 및 헬스 센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정화하며, 공정수 예를 들어 냉각탑에 사용되는 물을 정화하고, (예를 들어, 발효 공정 또는 기타 세포 배양 공정에서 재활용되는 용액용인) 발효액 및 세포 배양 용액, 및 재활용 또는 재사용을 위한 수술 과정에 사용되는 수성 유체를 비롯한 수용액(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정화하며, 기체 및 혼합 기체 예컨대, 호흡 가능한 공기 예를 들어, 병원 통풍 또는 산업용 클린룸에 사용되는 공기, 잠수 장치에 사용되는 공기, 또는 예를 들어 비행기 또는 우주선에서 재활용되는 공기, 및 표면, 용기, 또는 그릇으로부터 휘발성의 미립물을 살포, 정화 또는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기체를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은, 정화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물질들을 비롯하여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마그네슘 무기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결합제 매트릭스내에 존재하며 블록 또는 시이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물질 즉,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임의의 기타 흡착 물질은 생물 공학 분야 예컨대, 발효 공정 및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미생물에 대한 고정화 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생물학적 공정 유체 예컨대 영양 발효액, 기질 용액 등은 유체가 본 발명의 고정화 물질위에 고정화된 미생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통과하며, 이 물질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유출물 및 추가로 처리된 유출물이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는 결합제내에 과립화된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을 포함하는 블록 필터 형태의 정화 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중합체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구체예의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과립화된 마그네슘 무기물과 마그네슘-알루미늄 유도체의 혼합물 및 과립화된 활성탄(GAC) 또는 골탄 (bone char) 또는 기타 흡착 필터 매체를 결합제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물질 내에 함유하고, 무기물을 함유하는 마그네슘 및 이의 유도체 및 GAC는 결합제 매트릭스내에 고정되며, 수처리중의 흐름으로부터 채널이 형성될 수 없는 경질의 블록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은 압출, 성형 예컨대, 주입 성형, 또는 압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섬유화는 또한 이후 시이트, 필름 또는 블록으로 성형될 수 있는 결합제 중합체 및 마그네슘 무기물 혼합물의 섬유를 제조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형태 또는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경질 또는 가요성일 수 있다. 유체 팽창 물질을 사용하는 가압 기법은 또한 추후 시이트, 필름 또는 블록으로 성형될 수 있는 결합제 및 마그네슘 무기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임의의 형태 또는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경질 또는 가요성일 수 있다.
필터 블록의 공극 크기는 필터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필터 블록에 혼입된 과립형 입자 크기의 함수이다. 본원에 사용된 "블록"이란 용어는, 특정 기하학적 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물질이 시이트 또는 막의 형태가 아닌 경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될 상기 용어 "블록"의 비제한적인 예로서는 튜브, 환형 고리 및 보다 통상적인 기하학적 고체를 포함한다. 가요성 블록으로 성형된 물질은 유체 필터 매체로서 사용되는 파이프 또는 튜브로서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의 바람직한 특징중 하나는 이것이 임의의 바람직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므로,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화 물질은 종래의 여과 매체 하우징에 부합되는 단일체 또는 블록으로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휴대용 또는 개인용 여과 시스템의 일부로서 여과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물질은 물이 연속적이거나 또는 병렬적으로 흐르는 몇몇 상이한 조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정화 물질은 시이트 또는 막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정화 물질의 경질도, 블록 형태인지 또는 시이트/막 형태인지 여부는 결합제 물질중에 가요성 중합체를 포함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도 국한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은 부분적으로는 결합제중 마그네슘 무기 입자를 고정화시킴으로써 유체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는데에 매우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선행 마그네슘 무기물-함유 정화 물질로 제조된 정화 물질을 통하여 채널이 형성되는 대신에, 정화 물질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가, 이 물질중에 형성된 확장되고 비틀린 경로를 통과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상기 경로는 유체가 더욱 큰 비율로 마그네슘 무기물 입자의 표면적과 접촉하여, 여과 물질을 통한 유체의 지속적 층류 형성을 막을 수 있음이 확실하다. 상기 지연된 층류 효과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유체의 층이 필터내에서 마그네슘-무기물 입자와의 지속적 접촉을 피하지 않도록 도와줄 것으로 파악된다. 정화 물질을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후, 흡착된 물질이 정화 물질의 공극내에 축적됨에 따라서 차폐에 의한 추가의 여과가 발생할 것이다.
유체 여과 분야의 숙련자들은, 정화 물질의 공극 크기 및 물리적 치수가 상이한 용도에 따라서 조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을 변형시키면 유속, 배압 및 화학적 오염물 및 미생물 오염물의 제거 수준을 변경시킬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당업자들은 정화 물질의 각 성분의 비율을 변화시키면 용도를 다양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정화 물질중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의 비율을 증가시키면 화학종 및 생물학적 종에 대한 상호작용 부위의 수가 증가된 물질을 생성할 것인 반면에, 결합제의 비율을 증가시키면 결합제 물질과 유사한 물질 및 물리적 특성을 보유하며 상호작용 부위가 감소된 정화 물질을 생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사용된 마그네슘 무기물은 규산마그네슘의 형태이고, 상기 GAC 물질은 결합제 물질의 비율이 최소로 유지되어 거의 동일한 양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된 마그네슘 무기물은 기타 천연 또는 합성/산업용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이한 유도체의 혼합물은 정화 물질의 특성에 차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로서 물이 사용되면 나트륨을 상기 필터 블록에 첨가하였을때 유출수중의 나트륨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물의 경도 수준을 바람직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수를 정화하는데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물질내 나트륨은, 마그네슘 무기물을 함유하는 나트륨의 포유, 나트륨 염 및 화합물의 포유에 의하거나, 또는 나트륨 함유 용액을 통과시켜 정화 물질을 예비 조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이한 구조적 형태 및 상이한 결정면의 배향을 이용함으로써 결합 부위의 수를 증가시킴에 따라서, 금속 이온, 방사성 동위원소 및 미생물의 결합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승한 온도에 노출되면 결정형 및 비결정형간에 전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 과정중 금속에 노출되면 결정형 및 비결정형 모두의 마그네슘 이온중 일부는 치환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상이한 결정 격자 또는 비결정 격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구조형이 마그네슘 무기물, 마그네슘-알루미늄 무기물 및 본 발명에 사용된 다른 흡착제 물질로서 사용 가능하고, 특정 구조적 구조가 화학 물질, 미생물 및 기타 생물학적 물질과의 상호 작용을 개선 및 저해시키므로, 이들을 변형시키면 생성되는 정화 물질의 특성에 차이를 가져올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상 차이는 미생물 및 기타 생물학적 물질 사이의 상호 작용간 차이 및 결정 구조에 포함된 상이한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상기 물질이 유체 예컨대, 물속에 배치될때 조성을 변경시킬 상이한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로서 산화마그네슘과 물 및 염의 상호작용은 수산화마그네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정화 물질은 살균 공정을 견디도록 제작된다. 살균 공정은 정화 물질이 고온 또는 고압에 노출되거나 또는 상기 모두에 노출되는 고온 공정 예컨대, 증기 살균 또는 기타 공정, 지속적 가열, 정화 물질이 자외선, 적외선, 극초단파 및 이온화 복사선을 비롯한 상승된 수준의 복사선에 노출되는 복사선 살균, 및 정화 물질이 상승된 수준의 산화제 또는 환원제 또는 기타 화학종에 노출되고, 화학 물질 예컨대, 할로겐, 반응성 산소종, 포름알데히드, 계면활성제, 금속 및 기체 예컨대, 산화에틸렌, 브롬화메틸, 베타-프로피오락톤 및 산화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화학적 살균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살균은 미생물 성분에 의한 직접 산화 또는 환원이나, 산화 또는 환원 화학종을 전기화학적으로 생성시킴에 의한 간접 산화 또는 환원에 의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의 병행법은 또한 통상의 방식을 기초로 하여 사용된다. 살균 공정은 정화 물질이 사용되는 동안 연속적 또는 산발적 방식을 기초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수중에 미립자 물질로서 존재하는 유기물, 무기물 및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 특히, 수용액 또는 물을 여과 및 정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본 장치 및 방법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및 이들의 성분을 비롯한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오염물을 사람 또는 기타 동물이 섭취하거나 기타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물, 기타 유체 또는 기체로부터 제거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미생물학적 정수 장치에 대한 EPA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미생물 오염물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무기물 예컨대, 규산마그네슘 및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으로부터 얻어지는 마그네슘 무기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흡착 매체를 포함하는 기타 공지의 여과 및 정화 장치의 효능을 능가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정화 물질은 과립화되거나 또는 미립화된 마그네슘 무기물에 의하여 형성된 다공성 블록으로서, 상기 정화 물질로서는 규산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 및 기타 임의의 흡착 과립 물질을 포함하며, 이중 예를 들어, 중합체 결합제 매트릭스내에 보유된 과립형 활성탄(GAC)에 관하여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 구체예에 해당하는 방법에서,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오염물은 물이 필터 블록의 다공성 블록을 통하여 유입물쪽으로 수압이 가하여지거나, 또는 유출물쪽으로 진공이 걸려 힘이 가하여질때 물로부터 제거된다.
정화 물질이 마그네슘 무기물 및 흡착 과립형 필터 매체 예를 들어, GAC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이러한 성분은 블록을 통하여 랜덤한 방식으로 분산될 수 있다. 정화 물질은 또한 공간적으로 분명한 경사면 또는 분리된 층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 무기물 및 GAC 입자는 고체 결합제 매트릭스 예를 들어, 중합체 열가소재 예컨대, 폴리에틸렌등을 사용하여 분리된 층으로 고정화될 수 있으므로, 마그네슘 무기물 및 GAC 입자의 이동이 억제되어, 블록을 통한 유체 이동시 발생하는 유해한 채널 형성 효과도 방지된다. 만일 성분이 분리된 위치에 체류하면, 유체는 상기 위치들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흐르게 된다. 본 구체예의 특정 실시예에서, 존재하는 마그네슘 무기물의 최소한 일부는 규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한다. 적당한 물질의 예로서는 알.티. 밴더빌트 컴파니에 의하여 시판되는 규산마그네슘이라 명명되는 것과, 마틴 마리에타 스페셜티 케미칼에 의하여 시판되는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이 있다. 상기 물질은 바람직한 입도 예를 들어 80∼325 메쉬 이하로 분쇄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통상적인 분석 결과,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은 각각 50% 이상 또는 99% 이상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물질의 성분 결합 특성은 이들 원물질의 제조자에 의하여 보고된 바 있다. 유기 분자 결합 수용력은 또한 상기 원물질의 제조자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상기 구체예에서,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규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인산 마그네슘 등) 및 GAC는 단일체 정화 물질을 구성하는데에 필요한 최소량의 결합제 물질와 거의 동량으로 혼합된다. 그러나, 마그네슘 무기물, GAC 및 결합제의 농도는 실질적으로 다양하며, 상이한 농도를 갖는 물질은 당업자에 의한 적당한 실험을 통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GAC 또는 골탄 (인회석 함유)가 추가의 흡착재로 사용되며, 혼합물중 이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건조 또는 컴팩팅 공정 수행 이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미만이다. 뿐만 아니라, GAC 이외의 흡착제는 다성분 혼합물중에서 GAC로 전부 대체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의 예로서는 다양한 이온 결합재 예컨대, 합성 이온 교환 수지, 제올라이트(합성 또는 천연 생성), 규조토, 골탄 및 인회석 무기물, 규산칼슘 물질 및 1 이상의 기타 인산염 함유 무기물 예컨대, 인산염 부류에 속하는 무기물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규산염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규산염 부류에 속하는 무기물 및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이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물질은 또한 철, 알루미늄 및 칼슘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은 다수의 방법에 의하여 하소되거나 가공되어 다양한 조성의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은 수산화물 및 산화물 부류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산화마그네슘은 페리클라세라고도 알려진 것으로서 산업적으로 중요하다. 수활석은 사문암 군에 속하는 다수의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과 함께 발견되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중요한 무기물이다. 상기 사문암 군은 안티고라이트, 클리노크리소타일, 리잘다이트, 오르토크리소타일 및 파라크리소타일을 포함한다. 활석은 다수의 상이한 무기물과 함께 발견된다는 점에서 수활석과 유사하다. 규산마그네슘 형태가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인산염 및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이 특히 본 발명에 적합하다. 상기 무기물은 일반적으로 다른 성분 예컨대, 칼슘, 철, 알루미늄과 인회석 및 인산염 부류에 속하는 무기물과 함께 존재한다.
규산염 및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은 다수 존재하며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미립자 물질을 생성한다. 일례로서, 운모는 화학식 AB2-3(Al,Si)Si3O10(F,OH)2이다. 대부분의 운모에 있어서, A는 보통 칼륨 K이지만, 칼슘 Ca, 또는 나트륨 Na, 또는 바륨 Ba일 수 있거나, 또는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기타 다른 원소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운모에 있어서, 상기 B는 알루미늄 Al, 및/또는 리튬 Li 및/또는 철 Fe, 및/또는 마그네슘 Mg일 수 있다. 상기 운모 군은 다수의 일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운모 무기물의 예로서는 흑운모, 크롬운모, 레피돌라이트, 백운모편암, 금운모 및 진발다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넷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물의 예이다. 가넷의 화학식은 A3B2(SiO4)3이다. A는 2가 금속 예컨대, 칼슘, 철, 마그네슘 및 망간을 나타낸다. B는 3가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크롬, 철 및 기타 이 군의 일원중 희귀한 원소이다. 상기 가넷은 예를 들어 알만딘, 회철류석, 그로슐라, 홍석류석, 망간석유석 및 우바로바이트를 포함하는(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거대 군이다.
몬모릴로니트릴/스멕타이트군은 대부분 화학적 조성에 차이가 있는 파이로필라이트, 활석, 버미큘라이트, 소코나이트, 사포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를 비롯한 몇몇 광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화학식은 (Ca, Na, H)(Al, Mg, Fe, Zn)2(Si, Al)4O10(OH2)·xH2O [식중, x는 상기 군의 일원의 함수량을 나타냄] 이다.
녹니석 군은 통상의 거대 광물 군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의 화학식은 X4-6Y4O10(OH, O)8이다. X는 알루미늄,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니켈, 아연 또는 희귀 크롬을 나타낸다. Y는 알루미늄, 실리콘, 붕소 또는 철을 나타내지만, 대부분 알루미늄 및 실리콘을 나타낸다. 예로서는 아메사이트Fe)4Al4Si2O10(OH)8, 베일리클로어 (Zn,Fe+2,Al,Mg)6(Al,Si)4O10(O,OH)8, 샤모사이트 (Fe,Mg)3Fe3AlSi3Ol0(OH)8, 사녹니석 (캐미어라이트) (Fe,Mg)3Fe3AlSi3010(OH)8, 쿠케이트 LiAl5Si3O10(OH)8, 코룬도필라이트 (Mg,Fe,Al)6(Al,Si)4010(OH)8, 다프나이트 (Fe,Mg)3(Fe,Al)3(Al,Si)4O10(OH)8, 철녹니석 (Mg,Fe+2,Fe+3,Al)6(Al,Si)4O10(0,OH)8, 고니어라이트 (Mn,Mg)5(Fe+3)2Si3O10(OH)8, 니마이트 (Ni,Mg,Fe,Al)6AlSi3O10(OH)8, 오디나이트 (Al,Fe+2,Fe+3,Mg)5(Al,Si)4O10(O,OH)8, 오르토카모사이트 (Fe+2,Mg,Fe+3)5Al2Si3O10(O,OH)8, 페니나이트 (Mg,Fe,Al)6(Al,Si)4010(OH)8, 파난타이트(Mn,Al)6(Al,Si)4010(OH)8, 리피돌라이트 (프로클로어) (Mg,Fe,Al)6(Al,Si)4010(OH)8, 수도아이트 (Mg,Fe,Al)4-5(Al,Si)4010(OH)8, 써린가이트 (Fe+2,Fe+3,Mg)6(Al,Si)4O10(O,OH)8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물의 추가의 예로는 하기와 같은 것이 있다. 페리클라세 MgO; IMA98.065 Mg9[Si4016](OH)2; 수활석 Mg(OH)2; 셀라이트 MgF2; 소등석 Mg3B206; 노르베르자이트 Mg3(SiO4)(F,OH)2; 감람석 Mg2SiO4; 링우다이트 Mg2SiO4; IMA96.034 Mg7(P04)2(OH)8; 수안석 Mg2B2O5; 와이트만나이트 Mg5(BO3)0(OH)5·2(H2O); 포크로브스카이트 Mg2(CO3)(OH)2·0.5(H2O); 플루오보라이트 Mg3(BO3)(F,OH)3; 홀테다라이트 Mg12(PO3OH,C03)(PO4)5(OH,0)6; 티탄클리노후마이트 Mg8Ti(SiO4)402; 알타우사이트 Mg2(PO4)(OH,F,O); 자이벨리아이트 MgBO2(OH); 마그네사이트 MgC03; 코아린자이트 Mg10Fe+++2(C03)(OH)24·2(H2O); 파링토나이트 Mg3(PO4)2; 넵스코에이트 Mg4Cl(OH)7·6(H2O); 크리소타일 Mg3Si2O5(OH)4; 클리노크리소타일 Mg3Si2O5(OH)4; 리짜르다이트 Mg3Si2O5(OH)4; 오르토크리소타일 Mg3Si2O5(OH)4; 파라크리소타일 Mg3Si2O5(OH)4; 브루그나텔라이트 Mg6Fe+++(C03)(OH)13·4(H2O); 사비나이트 Mg5(BO3) Cl2(OH)5·4(H2O);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Mg5(C03)4(OH)2·4(H2O); 클로로마그네사이트 *MgCl2; 감람석 *(Mg,Fe)2SiO4; 메이크네라이트 Mg6Al2(OH)18·4(H2O); 디핀자이트 Mg5(C03)4(OH)2·5(H2O); 지오르기오사이트 Mg5(C03)4(OH)2·5(H2O); 코브도르스카이트 Mg5(PO4)2(C03)(OH)2·4.5(H2O); 와그네라이트 (Mg,Fe++)2(PO4)F; 루드비자이트 Mg2Fe+++BO5; 아르티나이트 Mg2(C03)(OH)2·3(H2O); 아이오와이트 Mg4Fe+++(OH)80Cl·2-4(H2O); 클리노엔스타타이트 Mg2Si206; 엔스타타이트 Mg2Si206; 히드로탈사이트 Mg6Al2(C03)(OH)16·4(H2O); 마나세아이트 Mg6Al2(C03)(OH)16·4(H2O); 콘드로다이트 (Mg,Fe++)5(SiO4)2(F,OH)2; 휴마이트 (Mg,Fe++)7(SiO4)3(F,OH)2; 클리노휴마이트 (Mg,Fe++)9(SiO4)4(F,OH)2; 마그네시오휼사이트 (Mg,Fe++)2(Mg,Fe+++,Sn++++)02(BO3); 코르슈노브스카이트 Mg2Cl(OH)3·3.5-4(H2O); 네이보라이트 NaMgF3; 와드스레이아이트 (Mg,Fe++)2SiO4; 헤네우아이트 CaMg5(PO4)3(C03)(OH); 카미나이트 Mg7(S04)5(OH)4·(H2O); 포스포엘렌베르게라이트 Mg14(PO4)6(PO3OH,C03)2(OH)6; 콜레라이나이트 *4MgO·Al203·2SiO2·5(H2O); 클로라르티나이트 Mg2(C03)Cl(OH)·3(H2O); 스조그레나이트 Mg6Fe++2(C03)(OH)14·5(H2O); 바르베르토나이트 Mg6Cr2(C03)(OH)16·4(H2O); 스티치타이트 Mg6Cr2(C03)(OH)16·4(H2O); 데사우텔사이트 Mg6Mn+++2(C03)(OH)16·4(H2O); 피로아우라이트 Mg6Fe+++2(CO3)(OH)16·4(H2O); 안도필라이트 []Mg7Si8022(OH)2; 커밍터나이트 Mg7Si8O22(OH)2; 무스콕사이트 Mg7Fe+++4013·10(H2O); 사파린 (Mg,Al)8(Al,Si)6020; 난링자이트 CaMg4(As03)2F4; 니닌제라이트 (Mg,Fe++,Mn)S; 소디칸토필라이트 NaMg7Si8022(OH)2; 훈타이트 CaMg3(C03)4; 세르지바이트 Ca2Mg11(C03)9(HC03)4(OH)4·6(H2O); 도지아이트 (Mg7Al2)(Si4Al2)015(OH)12; 게이키엘라이트 MgTi03; 바링토나이트 MgCO3·2(H2O); 설포보라이트 Mg3B2(S04)(OH)8(OH,F)2; 퀸티나이트-2H Mg44Al2(OH)12C03·4(H2O); 퀸티나이트-3T Mg4Al2(OH)12C03·4(H2O); 탈크 Mg3Si4010(OH)2; 피나키올라이트 Mg2Mn+++02(BO3); 타케우치아이트 Mg2Mn+++02(BO3); 프레드릭소나이트 Mg2(Mn+++,Fe+++)02(BO3); 아조프로아이트 (Mg,Fe++)2(Fe+++,Ti,Mg)BO5; 방붕석 Mg3B7O13Cl; 칼라이트 (Mg,Al)6(BO3)3(OH,Cl)4; 안티고라이트 (Mg,Fe++)3Si2O5(OH)4; 아스피돌라이트 NaMg3AlSi3010(OH)2; 소디움플로고파이트 NaMg3[AlSi3010](OH)2; 소디크제드라이트 NaMg6AlSi6Al2O22(OH)2; 파이로프 Mg3Al2(SiO4)3; IMA99.0O5 Na2Mg5(PO4)4·7H2O; 클로르마가루미나이트 (Mg,Fe++)4Al2(OH)12(Cl2,CO3)·2(H2O); 코에네나이트 Na4Mg4Cl12·Mg5Al4(OH)22; 보비에라이트 Mg3(PO4)2·8(H2O); 스파다이트 MgSiO2(OH)2·(H2O)(); 네스퀴호나이트 Mg(HC03)(OH)·2(H2O); 황산고토MgSO4·(H2O); 산데라이트 MgSO4·2(H2O); 금운모 KMg3(Si3Al)010(F,OH)2; 아메사이트 Mg2Al(SiAl)O5(OH)4278.68; 오르토피나키올라이트 (Mg,Mn++)2Mn+++BO5; 첨정석 MgAl204; IMA99.002 (Mg,Mn++)2(SbO.5Mn+++0.5)04; 아키모토이트 (Mg,Fe)SiO3; 마조라이트 Mg3(Fe,Al,Si)2(SiO4)3; 크마랄라이트 (Mg,Al,Fe)16(Al,Si,Be)120401; 피로코프로아이트 *(Mg(K,Na))2P207; 가리안셀라이트 (Mg,Fe+++)3(PO4)2(OH,O)·1.5(H2O); 글루신스카이트 Mg(C2O4)·2(H2O); 테트라-페리플로고파이트 KMg3Fe+++Si3010(OH)2; 크노린자이트 Mg3Cr2(SiO4)3; 해포석 Mg4Si6015(OH)2·6(H2O); 디트마라이트 (NH4)Mg(PO4)·(H2O); 슈도신할라이트 Mg2Al3B209(OH); 마그니오트리플라이트 (Mg,Fe++,Mn)2(PO4)F; 몬티셀라이트 CaMgSiO4; 림코롤자이트 Mg5Ba(PO4)4·8(H2O); 제드라이트 []Mg5Al2Si6Al2022(OH)2; 세렌디바이트 Ca2(Mg,Al)6(Si,Al,B)6020; 모투코레아이트 Na2Mg38Al24(C03)13(S04)8(OH)108·56(H2O); 단사녹니석 (Mg,Fe++)5Al(Si3Al)010(OH)8; 루네부르자이트 Mg3B2(PO4)2(OH)6·5(H2O); 마그네시오쿰밍토나이트 (Mg,Fe++)7Si8022(OH)2; 투각섬석 []Ca2Mg5Si8022(OH)2; 체스테라이트 (Mg,Fe++)17Si20O54(OH)6; 피조나이트 (Mg,Fe++,Ca)(Mg,Fe++)Si206; 피노아이트 MgB204·3(H2O); 플루오로리치테라이트 Na(CaNa)Mg5[Si8022]F2; 호르네사이트Mg3(As04)2·8(H2O); 클리노짐톰소나이트 (Mg,Fe++)5Si6016(OH)2; 짐톰소나이트 (Mg,Fe++)5Si6016(OH)2; 포타시크리치테라이트 (K,Na)(CaNa)2Mg5[Si8022](OH,F)2; 에데나이트 NaCa2Mg5Si7AlO22(OH)2; 포타식-플루오로리치테라이트 (K,Na)(CaNa)Mg5[Si8022] F2; 플루오로-에데나이트 NaCa2Mg5Si7Al022(F,OH)2; 스테벤사이트 (Ca0.5,Na)0.33(Mg,Fe++)3Si4010(OH)2·n(H2O); 망가노쿠밍토나이트 []Mn2Mg5Si8O22(OH)2; 프로클로라이트 *(Mg,Fe++,Al)6Al(Si2.5Al1.5)O10(OH)8; 게르스트만나이트 (Mg,Mn)2ZnSiO4(OH)2; 맥귀네사이트 (Mg,Cu)2(C03)(OH)2; 마운트케이타이트 (Mg,Ni)11(Fe+++,Cr)3(S04,C03)3.5(OH)24·11(H2O); 흑운모 K(Mg,Fe++)3[AlSi3010(OH,F)2; 뉴베라아이트 Mg(PO3OH)·3(H2O); 란스포르다이트 MgCO3·5(H2O); 파나스퀘이라아이트 CaMg(PO4)(OH,F); 이소카이트 CaMg(PO4)F; 돈페아코라이트 (Mn,Mg) MgSi206; 크리노바이트 NaMg2CrSi3010; 백운석 CaMg(C03)2; 터파이트 Mg3Al8BeO16; 트렘바타이트 (Mg,Fe++)3B7013Cl; 에프레모바이트 (NH4)2Mg2(S04)3; 칼라그하나이트 Cu2Mg2(C03)(OH)6·2(H2O); 케롤라이트 (Mg,Ni)3Si4010(OH)2·(H2O); 마그네시오쿨소나이트 MgV++++204; 에이텔라이트 Na2Mg(C03)2; 토칠리나이트 6Fe0.9S·5(Mg,Fe++)(OH)2; 웰샤이트 Ca2Sb+++++Mg4Fe+++Si4Be2020; 바리사이트(Mg,Fe++)3(PO4)2·8(H2O); 마그네시오크로마이트 MgCr204; 스타르케이아이트 MgSO4·4 (H2O); 프레오브라젠스카이트 Mg3B11015(OH)9; 칼시오탈크 CaMg2Si4010(OH)2; 하팔라아이트 2(Fe,Ni)S·1.6(Mg,Fe++)(OH)2; 우클론스코바이트 NaMg(S04)F·2(H2O); 엘렌베르제라이트 Mg6TiAl6Si8028(OH)10; 고토자철석 MgFe+++204; 엑케르만나이트 NaNa2(Mg4Al)Si8022(OH)2; 윈차이트 [](CaNa)Mg4(Al,Fe+++)Si8022(OH)2; 프레이스웨르카이트 NaMg2Al3Si2010(OH)2; IMA98.066 CaMg(V04,As04)(OH); 타에니올라이트 KLiMg2Si4010F2; 타이니올라이트 KLiMg2Si4010F2; 비스코파이트 MgCl2·6(H2O); 마그네시오카토포라이트 Na(CaNa)Mg4AlSi7Al022(OH)2; 마그네시오호른블렌데 Ca2[Mg4(Al,Fe+++)]Si7Al022(OH)2; 와르빅카이트 Mg(Ti,Fe+++,Al)(BO3)0; 페리윈차이트 NaCaMg4Fe+++Si8022(OH)2; 마그네슘-클로로포에니사이트 (Mg,Mn)3Zn2(AsO4)(OH,0)6; 황산칼리고토 K2Mg2(S04)3; 마그네시오-아르프베드소나이트 NaNa2(Mg4Fe++)Si8022(OH)2; 파라가사이트 NaCa2(Mg4Al)Si6Al2022(OH)2; 기르바사이트 NaCa2Mg3(PO4)2[PO2(OH)2](C03)(OH)2·4(H2O); 이스토나이트 KMg2Al[Al2Si2010](OH)2; 펜타하이드라이트 MgS04·5(H2O); 하나이아이트 (NH4)2Mg3H4(PO4)4·8(H2O); 칸닐로이트 CaCa2Mg4Al(Si5Al3)022(OH)2; 플루오로칸닐로이트 CaCa2(Mg4Al)Si5Al3022F2; 사포나이트(Ca/2,Na)0.3(Mg,Fe++)3(Si,Al)4010(OH)2·4(H2O); 마그네시오하스팅사이트 NaCa2(Mg4Fe+++)Si6Al2022(OH)2; 투휘석 CaMgSi206; 캐서타이트 NaCa2(Mg4Ti)Si6Al2023(OH)2; 티로다이트 Mn++2(Mg,Fe++)5Si8O22(OH)2; 마그네시오안토필라이트 (Mg,Fe++)7Si8022(OH)2; 아델라이트 CaMg(As04)(OH); 마그네시오클로리토이드 MgAl2SiO5(OH)2; 혹카이트 (Mg,Mn++)24Zn18Fe+++3(S04)4(C03)2(OH)81(); 틸라사이트 CaMg(As04)F; 할루르자이트 Mg2[B4O5(OH)4]2·(H2O); 아른헤마이트 *(K,Na)4Mg2(P207)·5(H2O); 헥사하이드라이트 MgSO4·6(H2O); 루일리나이트 Na2Mg3Si6O16·8(H2O); 웨버라이트 Na2MgAlF7; 페로실라이트 (Fe++,Mg)2Si206; 자소휘석 *(Mg,Fe++)2Si206; 워네사이트 (Na,K)(Mg,Fe,Al)6(Si,Al)8020(OH,F)4; 마그바사이트 KBa(Al,Sc)(Mg,Fe++)6Si6020F2; 브라사이트 Mg(As03OH)4(H2O); 프리스마틴 ([],Fe,Mg)(Mg,Al,Fe)5Al4Si2(Si,Al)2(B,Si,Al)(O,OH,F)22; Mg 니소나이트 Cu2Mg2(PO4)2(OH)2·5(H2O); 쉔플리에사이트 MgSn++++(OH)6; 스트루바이트 (NH4)MgPO4·6(H2O); 수리나마이트 (Mg,Fe++)3Al4BeSi3016; 포스포로슬레라이트 Mg(PO3OH)·7 (H2O); 사리염 MgSO4·7(H2O); 브라들레이아이트 Na3Mg(PO4)(C03); 샤페라이트 NaCa2Mg2(V04)3; 노르투파이트 Na3Mg(C03)2Cl; 카이나이트 MgS04-KCl·3(H2O); 클리노홀므퀴스타이트 [](Li2Mg3Al2)Si8022(OH)2; 홀므퀴스타이트 [](Li2Mg3Al2)Si8022(OH)2; 카르핀스카이트 (Mg,Ni)2Si2O5(OH)2; 니트로마그네사이트 Mg(N03)2·6(H2O); 타키하이드라이트 CaMg2Cl6·12(H2O); 글로코페인 []Na2(Mg3Al2)Si8022(OH)2; 타카이트 Na6Mg2(C03)4(S04); 알루미노바로이사이트 CaNaMg3Al2(Si7Al)022(OH)2; 페도로브스카이트 Ca2(Mg,Mn)2B407(OH)6; 나이보아이트 NaNa2(Mg3Al2)Si7Al022(OH)2; 파네타이트 (Na,Ca,K)2(Mg,Fe++,Mn)2(PO4)2; 페리-클리노홀므퀴스타트 []Li2Mg3(Fe3+)2(Si8022)(OH)2; 조힐레라이트 Na(Mg,Zn)3Cu(AsO4)3; 고토황장석 Ca2MgSi207; 알루미노마그네시오타라마이트 NaCaNaMg3Al2[Si6Al2022](OH)2; 팰리고르스카이트 (Mg,Al)2Si4010(OH)·4(H2O); 마그네시오페리카토포라이트 Na2Ca(Mg,Fe++)4Fe+++Si7Al022(OH)2; 로에데라이트 (Na,K)2(Mg,Fe++)5Si12O30; 돌라세이트-(Ce) CaCeMg2AlSi3O11(OH,F)2; 알드자나이트 *CaMgB204Cl·7(H2O); 바로이사이트 [](CaNa)Mg3AlFe+++Si7Al022(OH)2; 알루미노-윈차이트 NaCa(Mg,Fe++)4AlSi8022(OH)2; 아르말콜라이트 (Mg,Fe++)Ti2O5; 카르날라이트 KMgCl3·6(H2O); 인데라이트 MgB3O3(OH)5·5(H2O); 쿠르나코바이트 MgB3O3(OH)5·5(H2O); 질석 (Mg,Fe++,Al)3(Al,Si)4010(OH)2·4(H2O); 마그네시오리에벡카이트[]Na2(Mg3Fe++2)Si8022(OH)2; 로위아이트 Na12Mg7(S04)13·15(H2O); 체르마카이트 []Ca2(Mg3AlFe+++)Si6Al2022(OH)2; 노르세타이트 BaMg(C03)2; 마그네시오게드라이트 (Mg,Fe++)5Al2Si6Al2022(OH)2; 마그네시오타라마이트 Na (CaNa)Mg3AlFe+++[Si6Al2O22](OH)2; 페릭-나이보이트 NaNa2Mg3Fe+++TiSi8022(OH)2; 올다마이트 (Ca,Mg,Fe,Mn)S; 파르가사이트 NaCa2(Mg,Fe++)4Al(Si6Al2)022(OH)2; 로슬러라이트 Mg(As03OH)·7(H2O); 포타식-마그네시오사다나가아이트 (K,Na)Ca2[Mg3(Al,Fe+++)2][Si5Al3022](OH)2; 소우잘라이트 (Mg,Fe++)3(Al,Fe+++)4(PO4)4(OH)6·2(H2O); 액티놀라이트 Ca2(Mg,Fe++)5Si8O22(OH)2; 훌사이트 (Fe++,Mg)2(Fe+++,Sn)02(BO3); 코디어라이트 Mg2Al4Si5O18; 인디알라이트 Mg2Al4Si5O8; 페리-마그네시오타라마이트 NaCaNaMg3Fe+++2[Si6Al2022](OH)2; 리치테라이트 Na(CaNa)(Mg,Fe++)5[Si8022](OH)2; 바일리사이트 K2Mg(C03)2·4(H2O); 호그보마이트-15R-18R-24R (Mg,Fe++)1.4Ti0.3Al408; 쿠르차토바이트 Ca(Mg,Mn,Fe++)B2O5; 클리노쿠르차토바이트 Ca(Mg,Fe++,Mn)B2O5; 마그네시오카르포라이트 MgAl2Si206(OH)4; 브리아나이트 Na2CaMg(PO4)2; 포타식파르가사이트 (K,Na)Ca2(Mg,Fe++)5Si8O22(OH,F)2; 라주라이트 MgAl2(PO4)2(OH)2; 야기아이트 (Na,K)3Mg4(Al,Mg)6(Si,Al)24060; 아라키아이트(Zn,Mn++)(Mn++,Mg)12(Fe+++,Al)2(As03)(As04)2(OH)23; 캄가사이트 CaMg(As04)(OH)·5(H2O); 가게아이트 (Mn,Mg,Zn)42Si16O54(OH)40; 가게아이트-2M (Mn,Mg,Zn)42Si16O54(OH)40; 맥고베르나이트 Mn9Mg4Zn2As2Si2017(OH)14; 인디기라이트 Mg2Al2(C03)4(OH)2·15(H2O); 켈리아이트 (Mn++,Mg,Al)3(Si,Al)2O5(OH)4; 세르테라이트 (NH4)2MgH2(PO4)2·4(H2O); 클로로포에니사이트 (Mn,Mg)3Zn2(AsO4)(OH,0)6; 메르위나이트 Ca3Mg(SiO4)2; 페니키사이트 BaMg2Al2(PO4)3(OH)3; 블로다이트 Na2Mg(S04)2·4(H2O); 심페라이트 Li0.5(MgO.5,Fe+++0.03,Mn+++0.2)2(PO4)3; 블라테라이트 (Mn++,Mg)35Sb3(Mn+++,Fe+++)9(BO3)16032; 악사아이트 MgB607(OH)6·2(H2O); 훙카오아이트 MgB4O5(OH)4·7(H2O); 차예사이트 K(Mg,Fe++)4Fe+++ (Si12O30); 첼카라이트 CaMgB204Cl2·7(H2O)(); 몰리브도필라이트 Pb9Mg9Si9024(OH)24; 칼리보라이트 KHMg2B12016(OH)10·4(H2O); 발리포라이트 BaMg2LiAl3Si4O12(OH,F)8; 마그네시오사다나가아이트 (K,Na)Ca2(Mg,Fe++,Al,Ti)5[(Si,Al)8022](OH)2; 가스페아이트 (Ni,Mg,Fe++)C03; 부신가울타이트 (NH4)2Mg(S04)2·6(H2O); 로리사이트 (Ca,Mg)FCl; 리베아이트 (Mn++,Mg)5(SiO4)2(OH)2; 비스트로마이트 MgSb206; 히빈자이트 (Fe,Mg)2(OH)3Cl; 알루미노-바로이사이트 CaNa(Mg,Fe++)3Al2[AlSi7022](OH)2; 망간후마이트 (Mn,Mg)7(SiO4)3(OH)2; 레오나이트 K2Mg(S04)2·4(H2O); 오베라이트 CaMgAl(PO4)2(OH)·4(H2O); 아드몬타이트 MgB6010·7(H2O); 화이테아이트-(CaMnMg) CaMn++Mg2Al2(PO4)4(OH)2·8(H2O); 화이테아이트-(CaFeMg)Ca(Fe++,Mn++)Mg2Al2(PO4)4(OH)2·8(H2O); 드라바이트 NaMg3Al6(BO3)3Si6O18(OH)4; 화이테아이트-(MnFeMg) (Mn++,Ca)(Fe++,Mn++)Mg2Al2(PO4)4(OH)2·8(H2O); 맥칼리스테라이트 Mg2B12014(OH)12·9(H2O); 리에벤베르자이트 (Ni,Mg)2SiO4; 주온니아이트 CaMgSc(PO4)2(OH)·4(H2O); 주아나이트 Ca10Mg4Al2Si11O39·4(H2O); 베르젤리아이트 (Ca,Na)3(Mg,Mn)2(As04)3; 크로스사이트 Na2(Mg,Fe++)3(Al,Fe+++)2Si8022(OH)2; 타타르스카이트 Ca6Mg2(S04)2(C03)2Cl4(OH)4·7(H2O); 위드기에물타라이트 (Ni,Mg)5(C03)4(OH)2·4-5(H2O); 세겔레라이트 CaMgFe+++(PO4)2(OH)·4(H2O); 피크로메라이트 K2Mg(S04)2·6(H2O); 스포디오필라이트 *(Na,K)4(Mg,Fe++)3(Fe+++,Al)2(Si8O24); 쟌사이트-(CaMnMg) CaMnMg2Fe+++2(PO4)4(OH)2·8(H2O); 하르케라이트 Ca24Mg8Al2(SiO4)8(BO3)6(C03)10·2(H2O); 베일레이아이트 Mg2(UO2)(C03)3·18(H2O); 하이로보라사이트 CaMgB608(OH)6·3(H2O); 보트리오겐 MgFe+++ (S04)2(OH)·7(H2O); IMA98.061 Na(LiNa)(Fe+++2Mg2Li)Si8022(OH)2; 사테르리아이트(Fe++,Mg)2(PO4)(OH); 탈메스사이트 Ca2Mg(AsO4)2·2(H2O); 푸엔잘리다아이트 K6(Na,K)4Na6Mg10(S04)12(I03)12·12(H2O); IMA99.024 KCrMg(Si4010)(OH)2; 레아케아이트 NaNa2(Mg2Fe+++2Li)Si8022(OH)2; 알루미노트체르마카이트 Ca2(Mg,Fe++)3Al2(Si7Al)022(OH)2; IMA99.050 NaMg3V6(Si6O18)(BO3)3(OH)4; 크롬드라바이트 NaMg3(Cr,Fe+++)6(BO3)3Si6018(OH)4; 알데르마나이트 Mg5Al12(PO4)8(OH)22·32(H2O) 1; 케네디아이트 Mg(Fe+++)2Ti3010; 카모사이트 (Fe++,Mg,Fe+++)5Al(Si3Al)O10(OH,0)8; 오르토카모사이트 (Fe++,Mg,Fe+++)5Al(Si3Al)010(OH,0)8; 만티에네아이트 KMg2Al2Ti (PO4)4(OH)3·15(H2O); 루들라마이트 (Fe++,Mg,Mn)3(PO4)2·4(H2O); 사카아이트 Ca3Mg(BO3)2(CO3)·0.36(H2O); 고르도나이트 MgAl2(PO4)2(OH)2·8(H2O); 도르라이트 Ca2Mg2Fe+++4 (Al,Fe+++)4Si2020; 콜린사이트 Ca2(Mg,Fe++)(PO4)2·2(H2O); 이딩사이트 *MgO·Fe203·3SiO2·4(H2O); 페루바이트 (Ca,Na)(Fe,Mg,Ti)3(Al,Mg,Fe)6(BO3)3Si6018(OH)4; 카르보보라이트 Ca2Mg(C03)2B2(OH)8·4(H2O); 마그네시오페리타라마이트 Na(CaNa)(Mg,Fe++)3Fe+++2[Si6Al2022](OH)2; 아에기린-아우자이트 *(Ca,Na)(Mg,Fe++,Fe+++)[Si206]; 하리소나이트 Ca(Fe++,Mg)6(PO4)2(SiO4)2; 다네모라이트 Mn2(Fe++,Mg)5Si8022(OH)2; 품펠리아이트-(Mg)Ca2MgAl2(SiO4)(Si207)(OH)2·(H2O); 토수다이트 NaO.5(Al,Mg)6(Si,Al)8O18(OH)12·5(H2O); IMA98.017 Mg(H2O)6[Sb(OH)6]2; 카노아이트 (Mn++,Mg)2Si206; 젬추즈니코바이트 NaMg(Al,Fe+++)(C204)3·8(H2O); 라비트타이트 Ca3Mg3(UO2)2(C03)6(OH)4·18(H2O); 클리노페로실라이트 (Fe++,Mg)2Si206; 마그하겐도르파이트 NaMgMn(Fe++,Fe+++)2(PO4)3; 인데르보라이트 CaMg[B3O3(OH)5]2·6(H2O); 우쉬코바이트 MgFe+++2(PO4)2(OH)2·8(H2O); 볼디레바이트 *NaCaMgAl3F14·4(H2O); 콩고라이트 (Fe++,Mg,Mn)3B7013Cl; 에리카아이트 (Fe++,Mg,Mn)3B7013Cl; 우바이트 (Ca,Na)(Mg,Fe++)3Al5Mg(BO3)3Si6018(OH,F)4; 히드로우그란다이트 *(Ca,Mg,Fe++)3(Fe+++,Al)2(SiO4)3·x(OH)4x; 스비아지나이트 MgAl(S04)2F·14(H2O); 스테파노바이트 NaMgFe+++(C204)3·8-9(H2O); 스베리게아이트 NaMnMgSn++++Be2Si3O12(OH); 알루미노셀라도나이트 KAl(Mg,Fe++)[]Si4010(OH)2; 보르카라이트 Ca4MgB406(OH)6(C03)2; 반토파이트 Na6Mg(S04)4; 세에라이트-2 Mg(UO2)(As03)x(As04)1-x·7(H2O) (x=0.7); 마그네시오포이타이트 [](Mg2Al)Al6(Si6018)(BO3)3(OH)4; 훔베르스토나이트 K3Na7Mg2(S04)6(N03)2·6(H2O); 웬드윌소나이트 Ca2(Mg,Co)(As04)2·2(H2O); 스클라라이트(Zn,Mg,Mn++)4Zn3(C03)2(OH)10; 윌콕사이트 MgAl(S04)2F·18(H2O) 586.69; 마그네시오-악시나이트 Ca2MgAl2BO3Si4O12(OH); 폴리할라이트 K2Ca2Mg(S04)4·2(H2O); 윌렘세아이트 (Ni,Mg)3Si4010(OH)2; 윌루아이트 Ca19(Al,Mg,Fe,Ti)13(B,Al,[])5Si18O68(O,OH)10 2,928.82; 아에리나이트 (Ca,Na)4Mg3(Fe+++,Fe++,Al)3[(Si,Al)042](OH)6·n(H2O) (n~11.3); 세에라이트-1 Mg[(UO2)(As03)x(As04)1-x]2·7(H2O); 사다나가아이트 (K,Na)Ca2(Fe++,Mg,Al,Ti)5[(Si,Al)8022](OH)2; 마그네슘아스트로필라이트 (Na,K)4Mg2(Fe++,Fe+++,Mn)5Ti2Si8024(0,OH,F)71,254.91; 아리스타라이나이트 Na2MgB12O20·8(H2O); 우소바이트 Ba2CaMgAl2F14; 도나타이트 (Fe++,Mg)(Cr,Fe+++)204; 아크로코르다이트 Mn4Mg(AsO4)2(OH)4·4(H2O); 브레디자이트 Ca7Mg(SiO4)4; 마우파이트 (Mg,Ni)Al4Si3O13·4(H2O); 오스미라이트-(Mg) (K,Na)(Mg,Fe++)2(Al,Fe+++)3(Si,Al)12O30; 페리-안나이트 K(Fe++,Mg)3(Fe+++,Al)Si3010(OH)2; 훔메라이트 KMgV+++++5014·8(H2O); 쿤트노호라이트 Ca(Mn,Mg,Fe++)(C03)2; 안케라이트 Ca(Fe++,Mg,Mn)(C03)2; 란데사이트 (Mn,Mg)9Fe+++3(PO4)8(OH)3·9(H2O); 트리플라이트 (Mn,Fe++,Mg,Ca)2(PO4)(F,OH); 베수비아나이트 Ca10Mg2Al4(SiO4)5(Si207)2(OH)4; 마그네시오아우베르타이트(Mg,Cu)Al(S04)2Cl·14(H2O); 지르클레라이트 (Fe++,Mg)9Al4Cl18(OH)12·14(H2O)() 1,; 스와르차이트 CaMg(UO2)(C03)3·12(H2O); 사하마라이트-(Ce) (Mg,Fe++)Ce2(C03)4; 포논드라아이트 (Na,K) (Fe+++,Fe++)3(Fe,Mg,Al)6(BO3)3Si6O18(OH)4; 제르비사이트 (Na,Ca,Fe++)(Sc,Mg,Fe++)Si206; 팔콘도아이트 (Ni,Mg)4Si6015(OH)2·6(H2O); 망가네스-호르네사이트 (Mn,Mg)3(AsO4)2·8(H2O); 우르시라이트 * (Mg,Ca)4[(UO2)4(OH)5/(Si2O5)5.5]·13(H2O); 체리아빈스카이트 * (Ca,Mg)3Si(OH)6(S04, C03)2·9(H2O); IMA97.013 Ca8Mg(SiO4)4Cl2; 스위네포르다이트 (Li,Ca0.5,Na)0.72(Li, Al,Mg)2.66(Si,Al)4O10(OH,F)2·2(H2O); 클로리토이드 (Fe++,Mg,Mn)2Al4Si2010(OH)4; 오다니에라이트 Na(Zn,Mg)3H2(As04)3; 이르테마이트 Ca4Mg(As03OH)2(AsO4)2·4(H2O); 페로클리노홀므퀴스타이트 Li2(Fe++,Mg)3Al2Si8O22(OH)2; 닉켈헥사히드라이트 (Ni,Mg,Fe++)(SO4)·6(H2O); 체섹사이트 (K,Na)4Ca2Mg3Al8(SiO4)2(S04)10(OH)10·40(H2O); 스클로도브스카이트 (H3O)2Mg(UO2)2(SiO4)2·4(H2O); 픽케린자이트 MgAl2(SO4)4·22(H2O); 슬라비카이트 NaMg2Fe+++5(S04)7(OH)6·33(H2O); 호위에아이트 Na(Fe++,Mg,Al)12(Si6017)2(O,OH)10; 페리체르마카이트 Ca2(Fe++,Mg)3Al2(Si7Al)022(OH)2; 레트지안-(La) (Mn,Mg)2(La,Ce,Nd)(As04)(OH)4; 보일레아이트 (Zn,Mg)S04·4(H2O); 멜리라이트 (Ca,Na)2(Al,Mg,Fe++)(Si,Al)207; 메리후에아이트 (K,Na)2(Fe++,Mg)5Si12030; 란노나이트 HCa4Mg2Al4(S04)8F9·32(H2O); 페로페리윈차이트 CaNa(Fe++,Mg)4Fe+++[Si8022](OH)2921.45 소딕-페리-클리노페로홀므퀴스타이트 Li2(Fe++,Mg)3Fe+++3Si8022(OH)2; 살레에아이트 Mg(UO2)2(PO4)2·10(H2O); 페로페리체르마카이트 Ca2(Fe++,Mg)3Fe+++2 (Si7Al)022(OH)2; 피크로파르마코라이트 Ca4Mg(AsO3OH)2(As04)2·11(H2O); 페리타라마이트 Na(CaNa)(Fe++,Mg)3Fe+++2[Si6Al2022](OH)2; 페리카토포라이트 Na2Ca(Fe++,Mg)4Fe+++(Si7Al)022(OH)2; 메타노바세카이트 Mg(UO2)2(As04)2·4.8(H2O); 프로토페로-안토필라이트 (Fe++,Mn++)2(Fe++,Mg)5(Si4O11)2(OH)2; 프로토망가노-페로-안토필라이트 (Mn++,Fe++)2(Fe++,Mg)5(Si4011)2(OH)2; 베데라이트 ([],Na)Ca2(Mn++,Mg,Fe++)2(Fe+++,Mg++,Al)2Mn++2(PO4)6·2(H2O); 포타식-클로로하스팅사이트 (K,Na)Ca2(Fe++,Mg)4Fe+++[Si6Al2022](Cl,OH)2; 치발레티세아이트 (Mn++,Mg)S04·6(H2O); 코우시나이트 MgU2Mo2O13·6(H2O); 위크사이트 NaCa2(Fe++,Mn++)4MgFe+++(PO4)6·2(H2O); 쿠아드루파이트-VIII Na14CaMgTi4(Si207)2(PO4)404F2; 하게르타아이트 Ba[Fe++6Ti5Mg]019; 호토르네아이트Ba[Ti3Cr4Fe4Mg]019; 메릴라이트-(Ca) *(Ca,[])19Mg2(PO4)14; 페릴아이트 Ba2Ca(Fe++,Mg)2Si6O17; 노바세카이트 Mg(UO2)2(As04)2·12(H2O); 메릴라이트-(Na) *Ca18Na2Mg2(PO4)14; 메릴라이트-(Y) *Ca16Y2Mg2(PO4)14; 몽고메리아이트 Ca4MgAl4(PO4)6(OH)4·12(H2O); 마그네슘-지페아이트 Mg2(UO2)6(S04)3(OH)10·16(H2O); 마그네시오코피아파이트 MgFe+++4(S04)6(OH)2·20(H2O); 테루그자이트 Ca4MgAs2B12022(OH)12·12(H2O); 망간베르젤리아이트 (Ca,Na)3(Mn,Mg)2(AsO4)3; 페리바로이사이트 CaNa(Fe++,Mg)3Fe+++2[AlSi7022](OH)2; 페로페리바로이사이트 CaNa(Fe++,Mg)3Fe+++2[AlSi7O22](OH)2; 세카니나아이트 (Fe++,Mg)2Al4Si5018; 페로카르포라이트 (Fe++,Mg)Al2Si2O6(OH)4; 스코르자라이트 (Fe++,Mg)Al2(PO4)2(OH)2; 쿠아드루파이트-VII Na14CaMgTi4[Si207]2(PO4)404F2; 카시디아이트 Ca2(Ni,Mg)(PO4)2·2(H2O); 알브레츠쉬라우파이트 Ca4Mg(UO2)2(C03)6F2·17(H2O); 니켈블로다이트 Na2(Ni,Mg)(S04)2·4(H2O); 리바다바이트 Na6MgB24040·22(H2O); 키니치라이트 Mg0.5[Mn++Fe+++(Te03)3]·4.5(H2O); 호미라이트 Ca2(Fe++,Mg)B2Si2010; 이퀴퀘아이트 K3Na4Mg(Cr++++++04)B24039(OH)·12(H2O); 케이스토네아이트 Mg0.5[Ni++Fe++(Te03)3]·4.5(H2O); 진코보트리오겐(Zn,Mg,Mn)Fe+++(S04)2(OH)·7(H2O); 제만나이트 Mg0.5[Zn++Fe+++(Te03)]·4.5(H2O); 후에무라이트 Na4Mg(V10O28)·24(H2O); 니켈-부신가울타이트 (NH4)2(Ni,Mg)(S04)2·6(H2O)39; 크라스노바이트 Ba(Al,Mg)(PO4,C03)(OH)2·(H2O); 쿰브사이트 K(Mn++,Fe++,Mg)13(Si,Al)18O42(OH)14; 호그투바아이트 (Ca,Na)2(Fe++,Fe+++,Ti,Mg,Mn)6(Si,Be,Al)6020; 와르드스미타이트 Ca5MgB24O42·30(H2O); 게오르게에릭세나이트 Na6CaMg(I03)6(CrO4)2·12(H2O); 에를리아나이트 (Fe++,Mg)4(Fe+++,V+++)2[Si6015](O,OH)8; 브랜드타이트 Ca2(Mn,Mg)(As04)2·2(H2O); 스토파니아이트 (Fe,Al,Mg)4(Na,[])2[Be6Si12036]2(H2O); 로세라이트 Ca2(Co,Mg)(AsO4)2·2(H2O); 로세라이트-베타 Ca2(Co,Mg)(As04)2·2(H2O); 필롤리타이트 Pb12O6Mn(Mg,Mn)2(Mn,Mg)4(S04)(C03)4Cl4(OH)12; 벤스토나이트 (Ba,Sr)6(Ca,Mn)6Mg(C03)13; 페로키노시탈라이트 Ba(Fe++,Mg)(Si2Al2)O10(OH,F); IMA98.039 Sr2Fe(Fe,Mg)2Al4(PO4)4(OH)10; 품펠리아이트-(Mn++) Ca2(Mn++,Mg)(Al,Mn+++,Fe)2(SiO4)(Si207(OH)2·(H2O); 오수미라이트-(Fe) (K,Na)(Fe++,Mg)2(Al,Fe+++)3(Si,Al)12O30; 주쓰마나이트 K(Fe++,Mg,Mn)13[AlSi17O42](OH)14; 스타네카이트 Fe+++(Mn,Fe++,Mg)(PO4)0; 베트파크달라이트 [Mg(H2O)6]Ca2(H2O)13[Mo++++++8As+++++2Fe+++3036(OH)]·4(H2O); 자코브사이트 (Mn++,Fe++,Mg)(Fe+++,Mn+++)2O4; IMA97.O12 Ca(Al,Fe++,Mg,Mn)2(As04)2(OH)2; 파헤이아이트 (Mn,Mg)Fe+++2Be2(PO4)4·6(H2O); 망가노티차이트 Na6(Mn++,Fe++,Mg)2(S04)(C03)4; 우파트키아이트 (Co,Mg,Ni)Al2(S04)4·22(H2O); 찌만스키아이트 Hg+16(Ni,Mg)6(H3O)8(C03)12·3(H2O); 레딩토나이트 (Fe++,Mg,Ni)(Cr,Al)2(S04)4·22(H2O); 쿨라나이트 Ba(Fe++,Mn,Mg)2Al2(PO4)3(OH)3; 마티아사이트 (K,Ca,Sr)(Ti,Cr,Fe,Mg)21038; 린드슬레이아이트 (Ba,Sr)(Ti,Cr,Fe,Mg)21038; 고타르디아이트 Na3Mg3Ca5Al19Si117O272·93(H2O); 안드레메예라이트 BaFe(Fe++,Mn,Mg)Si207; 스투르타이트 (Fe3+)(Mn2+,Ca,Mg)Si4010(OH)3·10(H2O); 보크테나이트 (Fe++,Mg)Fe+++[(UO2)(PO4)]4(OH)·12-13(H2O); 오우르시나이트 (Co,Mg)(H30)2[(UO2)SiO4]2·3(H2O); 카스트닌자이트 (Mn++,Fe++,Mg)Al2(PO4)2(OH)2·8H2O; 알리에트타이트 (Mg,Fe++)3Si4O10(OH)2(Ca,Na)0.2-.3(Mg,Fe++)3(Si,Al)4010(OH)2·4(H2O); 알루아우다이트 NaCaFe++ (Mn,Fe++,Fe+++,Mg)2(PO4)3; 알루쉬타이트 (Ca,Mg,K,Na)Al15MgLi(Fe2+)(Fe3+)[Si6Al020](OH)10·3(H2O); 아말키나이트 (Fe++,Mg)(OH)2; 아난다이트 (Ba,K)(Fe++,Mg)3(Si,Al,Fe)4010(O,OH)2; 아르덴나이트 (Mn,Ca,Mg)4(Al,Mn,Fe,Mg)6(As,V,P,Si)(O,OH)4(SiO4)2Si3010(OH); 아우자이트 (Ca,Na)(Mg,Fe,Al,Ti)(Si,Al)206; 발란게로아이트 (Mg,Fe+++,Fe++,Mn++)42Si16O54(OH)40; 바리움반니스테라이트 *(K,H3O)(Ba,Ca)(Mn++,Fe++,Mg)21(Si,Al)32O80(O,OH)16·4-12(H2O); 베르티에린 (Fe++,Fe+++,Mg)2-3(Si,Al)2O5(OH)4; 베우사이트 (Mn++,Fe++,Ca,Mg)3(PO4)2; 브자레비아이트 (Ba,Sr)(Mn++,Fe++,Mg)2Al2(PO4)3(OH)3; 브람말라이트 *(Na,H3O)(Al,Mg,Fe)2(Si,Al)4010[(OH)2,(H2O)]; 브린들리아이트 (Ni,Mg,Fe++)2Al(SiAl)O5(OH)4; 부란가아이트 (Na,Ca)2(Fe++,Mg)2Al10(PO4)8(OH,0)12·4(H2O); 카나베사이트 Mg2(C03)(HBO3)·5(H2O); 카를로스루이차이트 K6(Na,K)4Na6Mg10(Se++++++04)12(I03)12·12(H2O); 카를로스투라나이트 (Mg,Fe++,Ti)21(Si,Al)12028(OH)34-(H2O); 카리이나이트 Na(Ca,Pb)(Ca,Mn)(Mn,Mg)2(As04)3; 카리오피라이트 (Mn++,Mg,Zn,Fe++)3(Si,As)2O510(OH,Cl)4; 셀라도나이트K(Mg,Fe++)(Fe+++,Al)[Si4010](OH)2; 차바자이트-Ca (Ca,Na2,K2,Sr,Mg)[Al2Si4O12]6(H2O); 차바자이트-K (K2,Ca,Na2,Sr,Mg)[Al2Si4O12]6(H2O); 차바자이트-Na (Na2,K2,Ca,Sr,Mg) [Al2Si4O12]6(H2O); 체스테르마나이트 Mg2(Fe+++,Mg,Al,Sb+++++)BO302; 체브키나이트-(Ce) (Ce,La,Ca,Na,Th)4(Fe++,Mg2((Ti,Fe+++)3Si4022; 클라드니아이트 Na2Ca(Mg,Fe++)7(PO4)6; 추도바아이트 (Mg,Zn)5(AsO3OH)2(As04)2·10(H2O); 시안시울리아이트 Mn++++(Mg,Mn++)2Zn+2(OH)10·2-4(H2O); 클린토나이트 Ca(Mg,Al)3(Al3Si)O10(OH)2; 코렌사이트 (Mg,Fe,Al)9(Si,Al)8020(OH)10·n(H2O); 쿠프로스피넬 (Cu,Mg)Fe+++204; 단사이트 Na21Mg(S04)10Cl3; 딕킨소나이트 (K,Ba)(Na,Ca)5(Mn++,Fe++,Mg)14Al(PO4)12(OH,F)2; 디사키사이트-(Ce) Ca(Ce,La)(Mg,Fe++)(Al,Fe+++)2Si3O12(OH); 에이페라이트 KNa3Mg4Si12030; 에크만나이트 *(Fe++,Mg,Mn,Fe+++)3(Si,Al)4010(OH)2·2(H2O); 에리오나이트 (K2,Na2,Ca,Mg)2[Al4Si14036]·15(H2O); 포자사이트 (Na2,Ca,Mg)3.5[Al7Si17048]·32(H2O); 포자사이트-Ca (Ca,Na2,Mg)3.5[Al7Si17048]·32(H2O); 포자사이트-Mg(Mg,Na2,Ca)3.5[Al7Si17O48]·32(H2O); 포자사이트-Na (Na2,Ca,Mg)3.5[Al7Si17048]·32(H2O); 페리에라이트 (Na2,K2,Mg,Ca)3-5Mg[Al5-7Si27.5-31O72]·18(H2O); 페리에라이트-K (K2,Na2,Mg,Ca)3-5Mg[Al5-7Si27.5-31O72]·18(H2O); 페리에라이트-Mg (Mg,Na2,K2,Ca)3-5Mg[Al5-7Si27.5-31O72]·18(H2O); 페리에라이트-Na (Na2,K2,Mg,Ca)3-5Mg[Al5-7Si27.5-31O72]·18(H2O); 페로-알루아우다이트 NaCaFe++(Fe++,Mn,Fe+++,Mg)2(PO4)3; 페로윌리에아이트 (Na,Ca,Mn)(Fe++,Mn)(Fe++,Fe+++,Mg)Al(PO4)3; 필립스타다이트 (Mn,Mg)2Sb+++++Fe+++08; 프랭클린필라이트 K4(Mn++,Mg,Fe+++,Zn)48(Si,Al)72(O,OH)216·16(H2O); 갈락사이트 (Mn,Fe++,Mg)(Al,Fe+++)204; 가노필라이트 (K,Na)2(Mn,Al,Mg)8(Si,Al)12029(OH)7·8-9(H2O); 글라우코나이트 (K,Na)(Fe+++,Al,Mg)2(Si,Al)4010(OH)2; 고빈사이트 Na4(Ca,Mg,K2)Al6Si10032·12(H2O); 그란디디에라이트 (Mg,Fe++)Al3(BO4)(SiO4)O; 그리피타이트 *4(Mg,Fe,Ca)O. (Al,Fe)203.5SiO2·7(H2O); 그리파이트 Na4Ca6(Mn,Fe++,Mg)19Li2Al8(PO4)24(F,OH)8; 하겐도르파이트 NaCaMn(Fe++,Fe+++,Mg)2(PO4)3; 헥토라이트 NaO,3(Mg,Li)3Si4010(F,OH)2; 헤마토라이트 (Mn,Mg,Al)15(As03)(AsO4)2(OH)23; 히보나이트 (Ca,Ce)(Al,Ti,Mg)12019;호그보마이트-4H-5H-6H-15H (Mg,Fe++)1.4Ti0.3Al408; 호그보마이트-8H (Al,Fe++,Fe+++,Mg,Ti,Zn)11O15(OH); 홀데나이트 (Mn,Mg)6Zn3(As04)2(SiO4)(OH)8; 히드로비오타이트 K(Mg,Fe)6(Si,Al)8020(OH)4-x(H2O); 일라이트 *(K,H3O)(Al,Mg,Fe)2(Si,Al)4010[(OH)2,(H2O)]; 자르라이트 Na2(Sr,Na,[])14(Mg,[])2Al12F64(OH,H2O)4; 지안슈이아이트 (Mg,Mn++)Mn++++307·3(H2O); 조에스미타이트 PbCa2(Mg,Fe++,Fe+++)5Si6Be2022(OH)2; 조닌네사이트 Na2Mn++9(Mg,Mn++)7(OH)8(As04)2(Si6017)2; 존소메르빌레아이트 Na2Ca(Mg,Fe++,Mn)7(PO4)6; 칼루기나이트 *(Mn++,Ca)MgFe+++(PO4)2(OH)·4(H2O); 카토프트라이트 (Mn,Mg)13(Al,Fe+++)4Sb+++++2Si2028; 키노시타라이트 (Ba,K)(Mg,Mn,Al)3Si2Al2010(OH)2; 코니아아이트 Na2Mg(S04)2·5(H2O); 코르네루핀 Mg3-4(Al,Fe+++)5.5-6(SiO4,BO4)5(O,OH)2-3; 크라이스라이트 (Mn++,Mg)24Zn3Fe+++ (As+++03)2(As+++++04)3(SiO4)6(OH)18; 클루케아이트 (Mg,Fe++,Fe+++)3[(Mg,Fe++,Fe+++)2Al]Si3Al010(OH)8/(Mg,Fe++)Si4O10(OH)2; 랑바나이트 (Mn,Ca,Fe,Mg)++4(Mn,Fe)9Sb+++++[016(SiO4)2]; 라티우마이트 (Ca,K)8(Al,Mg,Fe)(Si,Al)10O25(S04); 로손바우에라이트 (Mn,Mg)9Zn4(S04)2(OH)22·8(H2O); 레이신자이트 Cu(Mg,Cu,Fe,Zn)2Te++++++06·6(H2O); 레닐레나페아이트 K6-7(Mg,Mn,Fe++,Fe+++,Zn)48(Si,Al)72(O,OH)216·16(H2O); 린드크비스타이트 Pb2(Mn++,Mg)Fe+++16O27; 로우렌스왈사이트 (K,Ba)2(Ti,Mg,Ca,Fe)4(Si,Al,Fe)6014(OH)12; 로베린자이트 (Ca,Ce)(Ti,Fe+++,Cr,Mg)21O38; 루노카이트 (Mn,Ca)(Mg,Fe++,Mn)Al(PO4)2(OH)·4(H2O); 마그네시오클리노홀므퀴스타이트 Li2(Mg,Fe++)3Al2Si8022(OH)2; 마그네시오두모르티에라이트 (Mg,Ti++++,[])<1 (Al,Mg)2Al4Si3018-y(OH)yBy=2-3; 마그네시오홀므퀴스타이트 Li2(Mg,Fe++)3Al2Si8022(OH)2; 마그노콜룸바이트 (Mg,Fe++,Mn)(Nb,Ta)206; 망간고르도나이트 (Mn++,Fe++,Mg)Al2(PO4)2(OH)2·8(H2O); 망가노세겔레라이트 (Mn,Ca)(Mn,Fe++,Mg)Fe+++(PO4)2(OH)·4(H2O); 마차이트 K2CaMg2(Al,Si)36072·28(H2O); 멘도차비라이트 Na(Ca,Mg)2Fe+++6(PO4)2(P+++++Mo++++++11039)(OH,Cl)10·33(H2O); 멘그시안미나이트 *(Ca,Na)3(Fe++,Mn++)2Mg2(Sn++++,Zn)5Al8O29; 미네소타아이트 (Fe++,Mg)3Si4010(OH)2; 몽샤나이트 *(Mg,Cr,Fe++)2(Ti,Zr)5O12; 몬트도라이트(K,Na)(Fe++,Mn++,Mg)2.5[Si4010](F,OH)2; 몬트모릴로나이트 (Na,Ca)0,3(Al,Mg)2Si4010(OH)2·n(H2O); 무레아이트 (Mg,Zn,Mn)15(SO4)2(OH)26·8(H2O); 무스그라바이트 (Mg,Fe++,Zn)2Al6BeO12; 니아히테 (NH4)(Mn++,Mg,Ca)PO4·(H2O); 니케니차이트 Na0,8Ca0,4(Mg,Fe+++,Al)3Cu0,4(AsO4)3; 니게라이트-6H (Zn,Mg,Fe++)(Sn,Zn)2(Al,Fe+++)12022(OH)2; 니마이트 (Ni,Mg,Fe++)5Al(Si3Al)O10(OH)8; 노르다이트-(Ce) (Ce,La,Ca)(Sr,Ca)Na2(Na,Mn)(Zn,Mg)Si6017; 노르다이트-(La) (La,Ce)(Sr,Ca)Na2(Na,Mn)(Zn,Mg)Si6017; 오디나이트 (Fe+++,Mg,Al,Fe++,Ti,Mn)2.4(Si1,8Al0,2)O5(OH)4; 오크호츠카이트-(Mg) *Ca8(Mn++,Mg)(Mn+++,Al,Fe+++)(SiO4)(Si207)(OH)2-(H2O); 오크호츠카이트-(Mn++) *Ca8(Mn++,Mg)(Mn+++,Al,Fe+++)(SiO4)(Si207)(OH)2·(H2O); 옴파사이트 (Ca,Na)(Mg,Fe++,Fe+++,Al)Si206; 오르토케브키나이트 *(Ce,La,Ca,Na,Th)4(Fe++,Mg2((Ti,Fe+++)3Si4O22; 오트레라이트 (Mn,Fe++,Mg)2Al4Si2010(OH)4; 파르웨라이트 (Mn,Mg)5Sb(As,Si)2O12; 폴케르라이트 K(Mg,Mn)2(Fe+++,Al)2Ti(PO4)4(OH)3·15(H2O); 페르마나이트 (Fe++,Zn,Mg)2Al6BeO12; 펭치존자이트-24R (Mg,Zn,Fe+++,Al)4(Sn,Fe+++)2Al10022(OH)2; 펭치존자이트자이트-6H(Mg,Zn,Fe+++,Al)4(Sn,Fe+++)2Al10022(OH)2; 페리에라이트 (Ce,Ca,La,Nd,Th)4(Fe++,Mg)2(Ti,Al,Zr,Fe+++)2Ti2(Si207)208; 페테둔나이트 Ca(Zn,Mn++,Fe++,Mg)Si206; 플루보페라이트 Pb2(Mn++,Mg)0.33Fe+++10.67O18.33; 폴리파이트-VII Na17Ca3Mg(Ti,Mn)4[Si207]2(PO4)602F6; 폴리파이트-VIII Na17Ca3Mg(Ti,Mn)4[Si2O7]2(PO4)602F6; 칸디라이트 (Mg,Fe++)2(Ti,Fe+++,Al)O4; 킹헤이아이트 Na2NaMn2Mg2(Al,Fe+++)2(PO4)6; 랄스토나이트 NaxMgxAl2-x(F,OH)6-(H2O); 로도나이트 (Mn++,Fe++,Mg,Ca)SiO3; 로나이트 Ca2(Mg,Fe++,Fe+++,Ti)6(Si,Al)6020; 로스코에라이트 K(V,Al,Mg)2AlSi3O10(OH)2; 로세마리아이트 (Na,Ca,Mn++)(Mn++,Fe++) (Fe+++,Fe++,Mg)Al(PO4)3; 산타페아이트 (Mn,Fe,Al,Mg)8(Mn,Mn)8(Ca,Sr,Na)12(V04,AsO4)16(OH)20·8(H2O); 사르코프사이드 (Fe++,Mn,Mg)3(PO4)2; 슈이스카이트 Ca2(Mg,Al)(Cr,Al)2(SiO4)(Si207)(OH)2·(H2O); 시기스문다이트 (Ba,K,Pb)Na3(Ca,Sr)(Fe++,Mg,Mn)14Al(OH)2(PO4)12; 신할라이트 MgAlBO4; 스몰리아니노바이트 (Co,Ni,Mg,Ca)3(Fe+++,Al)2(AsO4)4·11(H2O); 소볼레바이트 Na11(Na,Ca)4(Mg,Mn)Ti++++4(Si4O12)(PO4)4O5F3; 소보트카이트 (K,Ca0.5)0.33(Mg0.66Al0.33)3(Si3Al)O10(OH)2·1-5(H2O); 스탄피엘다이트Ca4(Mg,Fe++,Mn)5(PO4)6; 스타우로라이트 (Fe++,Mg,Zn)2Al9(Si,Al)4O22(OH)2; 스틸프노멜란 K(Fe++,Mg,Fe+++,Al)8(Si,Al)12(O,OH)27·2(H2O); 스트론티오위틀록카이트 Sr7(Mg,Ca)3(PO4)6[PO3(OH)]; 수도아이트 Mg2(Al,Fe+++)3Si3Al010(OH)8; 시나델파이트 (Mn,Mg,Ca,Pb)9(As+++03)(As+++++04)2(OH)9·2(H2O)(); 타네야마라이트 (Na,Ca)(Mn++,Mg)12[(Si,Al)6017]2(O,OH)10; 타라멜라이트 Ba4(Fe+++,Ti,Fe++,Mg,V+++)4(B2Si8027)02Clx(x=O∼1); 테르노바이트 (Mg,Ca)Nb4O11·n(H2O) (여기서, n=~10); 타데우이아이트 (Ca,Mn++)(Mg,Fe++,Mn+++)3(PO4)2(OH,F)2; 티탄타라멜라이트 Ba4(Ti,Fe+++,Fe++,Mg)4(B2Si8O27)O2Clx(x=0∼1, Ti>Fe); 토레이아이트 (Mg,Mn)9Zn4(S04)2(OH)22·8(H2O); 발레리아이트 4(Fe,Cu)S·3(Mg,Al)(OH)2; 볼콘스코아이트 Ca0.3(Cr+++,Mg,Fe+++)2(Si,Al)4010(OH)2·4(H2O); 와다라이트 Ca6(Al,Si,Mg,Fe)7O16Cl3; 웰리나이트-III Mn++6(W++++++,Mg)2Si2(0,OH)14; 웰리나이트-VIII Mn++6(W++++++,Mg)2SiO2(0,OH)14; 웨르딘자이트 (Mg,Fe)2Al12(Al,Fe)2Si4(B,Al)4037; 웨름란다이트 (Ca,Mg)Mg7(Al,Fe+++)2(S04)2(OH)18·12(H2O); 윗트록카이트Ca9(Mg,Fe++)(PO4)6(PO3OH); 윌리에아이트 (Na,Ca,Mn++)(Mn++,Fe++)(Fe++,Fe+++,Mg)Al(PO4)3; 야크혼토바이트 (Ca,Na,K)0,3(CuFe++Mg)2Si4010(OH)2·3(H2O); 이멘자이트 K(Cr,Ti,Fe,Mg)12019; 요데라이트 (Mg,Al,Fe+++)8Si4(0,OH)20; 요포르티에라이트 (Mn,Mg)5Si8020(OH)2·8-9(H2O); 유안플리아이트 (Mg,Fe++)(Fe+++,Al,Mg,Ti,Fe++)(BO3)0; 유시키나이트 V1-xS·n(Mg,Al)(OH)2; 자나차이트 (Ca,Mn)2(Mg,Fe)(Mg,Fe++,Mn,Fe+++)4Be4(PO4)6(OH)4·6(H2O); 규회석 CaSiO3.
또한, ((Mg,Al)2Si4010(OH)2), Mg3Si4010(OH)2)를 비롯하여 소비재에 관한 정부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채굴 및 포장된 무기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의 유도체화된 수지를 비롯한 이온 결합에 사용되는 중합체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유도체는 4차 아민, 1차 및 2차 아민, 아미노프로필, 디에틸아미노에틸 및 디에틸아미노프로필 치환체를 기준으로 한 음이온 결합 부위를 갖는 작용화된 중합체 등이 있다. 양이온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유도체의 예로는 설폰산, 벤젠설폰산, 프로필설폰산, 포스폰산 및/또는 카르복실산 부분으로 작용화된 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는 천연 알루미노규산염, 예컨대 클리노프틸로라이트 및 규산칼슘, 예컨대 규회석을 비롯한 이온 결합 물질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온 결합 물질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 물질은 입상 물질을 함께 응집시키고, 사용 조건하에서 이러한 응집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정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중량%∼약 99.9 중량%, 특히 약 15 중량%∼약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중합체 물질의 적절한 예로는 천연 중합체의 합성 개질물 뿐 아니라, 천연 및 합성 중합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결합제 물질은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정화 물질의 소정의 물성에 따라서 1 이상의 열경화제, 열가소제, 엘라스토머,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융점이 약 50℃∼약 500℃, 특히 약 75℃∼약 350℃, 더욱 특히 약 80℃∼약 200℃인 중합체가 본 발명에 적절한 중합체 결합제이다, 예를 들면, 융점이 약 85℃∼약 180℃인 폴리올레핀, 융점이 약 200℃∼약 300℃인 폴리아미드 및 융점이 약 300℃∼약 400℃인 불소화 중합체가 특히 적절한 것으로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제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중합체 유형의 예로는 열가소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의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락트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적절한 열가소제로는 나일론 및 기타의 폴리아미드, LDPE, LLDPE, HDPE을 비롯한 폴리에틸렌, 및 기타의 폴리올레핀과의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가소화 및 비가소화 처리 모두), 플루오로카본 수지,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스 수지, 예컨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아크릴 수지,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열가소제 블렌드 또는 그라프트,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포름알데히드, 폴리아세탈,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예컨대 레졸 및 노볼락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기타의 열가소성 중합체가 유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결합제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이에 포함시키기 위한 열경화성 중합체의 적절한 예로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플루오로실리콘, 페놀성 수지, 멜라민 수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및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합제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이에 포함시키기 위한 엘라스토머의 적절한 예로는 천연 및/또는 합성 고무, 유사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알킬화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 폴리클로로프렌 (네오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VITON (등록상표)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 ZALAK (등록상표) (듀폰-다우 엘라스토머)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상기에서 열거된 열가소제 중 몇몇은 가교도에 따라서 열경화성을 지닐 수도 있으며, 이들 몇몇의 각각은 이들의 물성에 따라서 엘라스토머가 될 수도 있고, 상기에서 사용한 특정의 부류는 편의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제한적인 또는 한정적인 의미로서 간주하지는 않아야 한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천연 및 합성 개질된 천연 중합체의예로는 천연 및 합성 개질된 셀룰로스, 예컨대 코튼, 콜라겐 및 유기산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콜, 코-폴리락티드글리콜라이드 등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제 물질은 유체 흡수를 통하여 팽윤되는 물질의 부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예로는 가교된 중합체, 예컨대 합성 생성된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천연 유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스 등이 있다. 유체 흡수로 팽윤되는 무기물의 예로는 벤토나이트 및 이의 유도체가 있다. 이들 팽윤성 물질은 가압 기법에 의하여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입자 또는 섬유를 결합시킨다.
살균될 수 있는 여과 물질의 특정 구체예에서, 마그네슘 함유 규산염, 마그네슘 산화물, 마그네슘 수산화물 또는 마그네슘 인산염으로부터 유래한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GAC 또는 골탄 물질은 거의 동량으로 존재하며, 결합제 물질의 비율은 최소로 유지된다. 사용된 결합제는 살균 공정에서 제시된 온도, 압력, 전기화학, 조사 및 화학적 조건에 대하여 안정하여야만 하며, 이는 살균 방법과 상용성을 지녀야만 한다. 고온 노출 (예컨대 증기 살균 또는 오토클레이브 처리)을 비롯한 살균 방법에 적절한 결합제의 예로는 셀룰로스 니트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록상표 TEFLON) 및 혼합 셀룰로스 에스테르 등이 있다. 이러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생성된 정화 물질은 결합제 중합체를 공지의 표준법에 의하여 제조시 오토클레이브로 처리할 수 있다. 정화 물질은 증기 살균 또는 오토클레이브 처리 및 화학적 살균 또는, 산화제 또는 환원제 화학종과의 접촉 모두에 대하여 안정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살균 단계의 조합은 정화 물질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생에 특히 적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살균 및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물질을 혼입한 장치의 재생은 필터를 통하여 염 용액, 산 용액 및/또는 부식제 용액을 통과시켜 수행할 수 있다.
살균이 산화제 또는 환원제 화학종의 전기화학 생성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구체예에서, 이러한 화학종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전위는 정화 물질 그 자체를 전극 중 하나로서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 결합제를 포함하는 정화 물질은 통상적으로 절연성 중합체 물질이 전도성을 띠도록 하기에 충분히 높은 농도의 전도성 입자, 예컨대 GAC, 카본 블랙 또는 금속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전도성을 띨 수 있다. 또한, 절연성 중합체가 전도성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카본 또는 기타의 입자의 소정 농도가 충분히 높지 않을 경우, 고유의 전도성 중합체는 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결합제에 혼합될 수 있다. 고유의 전도성 중합체의 적절한 예로는 도핑된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및 기타의 공지된 고유의 전도성 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 물질은 약 1 kΩ 미만, 특히 약 300 Ω 미만의 저항을 제공하기에 충분량으로 결합제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은 반드시 블록의 형태를 띨 필요는 없으며, 시이트 또는 필름으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이트 또는 필름은 특정의 구체예에서, 예를 들면 중합체의 직조 또는 부직 웨브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직조 또는 부직 웨브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중합체는 직물을 형성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이 특히 적절하다.
미생물 및 화학적 오염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화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 및 이러한 정화 물질의 효율 및 이러한 정화 물질을 통한 유체의 유속은 블록내의 공극 크기 및 유입되는 유체압에 따라 변화된다. 일정한 유체압에서, 유속은 공극 크기에 따라 변화되며, 블록내의 공극 크기는 마그네슘 무기물 및 GAC 과립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다란 과립 크기는 덜 조밀하며, 더 많은 개방 정화 물질을 생성하게 되어 유속이 더 빠르게 되며, 작은 과립 크기는 더 조밀하며, 더 적은 개방 정화 물질을 생성하게 되어 유속이 더 느리게 된다. 비교적 커다란 마그네슘 무기물 과립으로 형성된 블록 (17)은 더 작은 과립으로 형성된 블록보다 더 적은 표면적 및 상호작용 부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커다란 입자로 이루어진 정화 물질은 미생물 오염물을 동일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더 두꺼운 두께를 지녀야만 한다. 이러한 요인은 제조 공정에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화 물질은 각종의 적용 기준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극 크기, 블록 체적, 블록 외표면적 및 기하학적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적용예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서의 평균 공극 크기는 포낭의 통과를 배제시키기 위하여 수 미크론 이하로, 특히 약 1 미크론 이하로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극 크기는 마그네슘 무기물 또는 기타의 흡착제 또는 흡착제 입자 자체내의 공극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입자가 결합제에 의하여 함께 응집되는 경우 정화 물질내에서 형성된 공극을 지칭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의 제조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적어도 일부분의 결합제가 액체 형태가 되도록 하며 입자의 조밀화가 가능케 하는 압력 및 온도의 조건하에서 입상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임의의 추가의 입상 흡착제 물질(들)]과 결합제 물질을 혼합한 후, 입자의 주위 및/또는 입자의 사이에서 결합제를 고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의 정확한 성질은 결합제 물질의 성질에 따라서 소정의 정도로 변화될 것이다.
예를 들면, 결합제 물질이 액상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 (예, 휘발성 용제중)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침지 또는 분무에 의하여 입자와 접촉되며, 습윤 입자는 몰드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몰드는 임의의 필수 용제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임의로 가열시킬 수도 있다. 생성된 성형 물질을 건조시켜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을 형성한다.
반대로, 결합제가 중합체 수지인 경우, 통상적으로 흡착제 물질의 입자와 펠릿 형태로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압출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시키게 된다. 적절한 미립자/결합제 압출 방법 및 장치의 예는 미국 특허 제5,189,092호, 동제5,249,948호 및 동제5,331,037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기타의 압출 장치 및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혼합물을 가열하고, 압출시킬 필요 없이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제, 열경화제는 화학적 방법, 전기화학적 방법, 조사에 의한 개시를 포함한 가교 방법을 통하여 그리고, 온도와 압력 변화의 물리적 변수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 및 이를 수행하는 방식은 특정의 한 구체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이러한 구체예는 미생물 필터의 EPA 규격에 부합된다.도 1은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의 통상적인 특정 구체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경질의 다공성 블록 필터를 포함한다. 탈착 가능한 하우징 (11)은 캡 (12)이 꼭 들어맞게 되며, 이 캡 (12)은 유입 오리피스 (13) 및 유출 오리피스 (14)를 갖는다. 물 공급 도관 (15)은 미처리수를 장치내로 전달하기 위한 유입 오리피스 (13)에 연결되어 있으며, 물 방출 도관 (16)은 처리된 물을 장치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 오리피스 (14)에 연결되어 있다. 물은 하우징 (11)을 통과하게 된다. 수류의 압력은 물이 다공성 블록 필터 부재 (17)를 통과하도록 하며, 이 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축상 공극 (18)과 함께 중공 원통형의 형상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처리된 물은 축상 공극 (18)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공극은 유출 오리피스 (14)에 연결된다. 도 1은 가능한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물이 다공성 필터 블록 (이는 각종의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각종의 유동 특성을 지닐 수도 있음)을 통과하도록 하는 기타의 구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블록 (17)은 다수의 공지의 방법, 예컨대 압출, 압착, 성형, 소결, 소재 팽윤 압력 또는 기타의 기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이 시이트 또는 필름의 형태로 사용되는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화살표 (2)로 도시한 정상의 유동 통과 여과와 관련하여 사용된 정화 물질 (1)을 도시하며, 이는 시이트 또는 필름 (1)을 통과함으로써 유체가 여과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b는 교차유동 여과와 관련하여 사용된 정화 물질 (1)을 도시한다. 필터를 가로질러 유동하는 유체는 쌍방향 화살표 (3)로 도시하였는데, 여기서 정화 물질 (1)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는 화살표 (2)로 도시한다. 화살표 (3)으로 도시한 교차 유동 유체는 정화 물질 (1)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게 되어 이의 표면에 부착된 입상 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형상의 원통형 필터 블록 (17)은 알. 티. 반더빌트 컴파니에서 입수한 규산마그네슘 약 42.5%, KX 인더스트리즈에서 입수한 GAC 약 42.5% 및 전술한 열가소제 1 이상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결합제 물질 약 15%의 물질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들 물질은 규산마그네슘, GAC 및 열가소성 결합제의 균일한 혼합물을 제공하게 되는 온도에서 압출시킬 수 있다. 원통형 또는 토로이드형 블록 (17)은 길이가 약 9.8 인치이며, 외경은 약 2.5 인치이고, 내경 [공극 (18)]은 약 1.25 인치이다. 이러한 형상의 필터는 가정용 및 산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표준 물 여과 하우징에 꼭 맞게 된다. 필터 물질은 저항이 약 300 Ω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필터를 활성탄으로 여과한 수돗물에 노출시키고, 이. 콜리 (E. coli) 박테리아, 케이. 테리게나 (K. terrigena) 또는 유사 종을 MS2 1 ℓ당 2.3×108개의 콜로니 형성 단위 및 1.0×107개의 플라크 형성 단위로 파종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파종된 물을 필터 블록 (17)에 3 분간 약 2 ℓ/분의 유속으로 통과시킨 후, 유출물 샘플 500 ㎖를 수집하였다.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표준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미생물이 유효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물질을 사용하여 산화 상태의 차아염소산과 같은 수용성 염소종을 환원 상태의 염소종 (염화물)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 약 2.0 ㎎/ℓ의 염소 농도는 표준 테스트 스트립을 기초로 한 분석의 검출 한계치 이하로 감소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질은 정수 분야에서, 특히 음용수 정수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물질은 물에서 미생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매우 높은 효율을 갖기 때문에, 이는 미생물 정수제로서 사용되는 물질에 대한 EPA 지침에 부합된다. 음용수 정수제로서의 작용 이외에, 본 발명의 물질은 또한 휴양 목적에 사용하고자 하는 물, 예컨대 수영장, 온수 욕조 및 온천에 사용되는 물을 정수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수용액으로부터 미생물 및 기타의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고정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물질의 능력으로 인하여 약학적 그리고 의학적 분야에서 다수의 적용예를 지닌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물질은 혈액 성분, 예컨대 혈장을 혈액 세포로부터 분리하여 혈액을 분별하고, 그리고 기타의 생리액으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미생물 함량이 극히 낮은 고도로 정화된 공기를 요하는 병원 또는 산업 분야에서, 예를 들면 중환자실, 수술실 및 면역억제 환자의 치료에사용되는 클린룸에서 또는, 전자 장비 및 반도체 장비의 제조에 사용되는 산업용 클린룸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물질은 수성 유체, 예컨대 발효 브로쓰 또는 프로세스 유체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고, 그리하여 이들 유체가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예를 들면 미생물 균주의 교차 오염 없이 재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발효 적용예 및 세포 배양액에서 다수의 용도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미생물의 제거 및 일단 제거된 미생물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는 미생물의 사용을 요하는 효소 및 기타의 처리를 위한 고정화 매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미생물을 함유하는 파종액을 우선 본 발명의 물질에 통과시킨 후, 예를 들면 단백질 또는, 효소 기질로 작용하는 기타의 물질을 포함하는 기질액을 파종된 물질에 통과시킨다. 이러한 기질액이 물질을 통과할수록, 이에 용해되거나 또는 현탁된 기질은 고정화된 미생물과 접촉하게 되며, 더욱 중요하게는 이러한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효소와 접촉하게 되며, 그리하여 기질 분자의 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그후, 반응 생성물을 또다른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물질로부터 용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은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여과수와 같은 기타의 다수의 산업 용도를 갖는다. 냉각수는 주로 미생물이 유체와 접촉될 수 있는 냉각탑, 냉각지 또는 기타의 처리 장비를 통과하게 되어 영양분을 얻으며, 번식하게 된다. 수중의 미생물 증식이 종종 지나치게 되어 처리 장비가 폐색되거나 또는 손상되고, 그리하여 다량의 화합물 처리를 요하게 된다. 미생물이 실질적으로 번식할 수 있게 되기이전에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은 냉각 유체와 관련한 보건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화합물 처리 프로그램과 관련된 비용 및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하게 된다.
유사하게, 호흡 가능한 공기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민간 여객기의 경우) 또는 제한된 공급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잠수함 및 우주선의 경우) 수송 기관에서 종종 재순환된다.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러한 공기는 더욱 안전하게 재순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질은 이미 사용하고 있는 공기 순환 및 공기 조절 시스템과 연결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실내 공기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은 기타 유형의 가스, 예컨대 외과 또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마취 가스 (예, 아산화질소), 탄산 음료 산업에서 사용하는 가스 (예, 이산화탄소), 퍼징 처리 장비에 사용되는 가스 (예,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를 정화하고 및/또는 표면으로부터 입자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적용예 각각에서, 본 발명의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며, 여과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여과하고자 하는 유체 또는 가스를 통상적으로 하우징 형태내에 배치하며 정화 물질을 통한 압력 강하의 결과로서 정화 물질을 통과하게 되는 본 발명의 정화 물질의 블록 또는 시이트의 한면으로 간단히 처리된다. 그후, 정화, 여과된 유체 또는 가스는 필터의 "깨끗한" 면으로부터 떨어져 추가로 처리 또는 사용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구체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며, 이러한 구체예의 다수의변형예 및 수정예가 하기에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이의 균등물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81)

  1.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이를 위한 결합제를 포함하며, 다공성 블록 또는 시이트의 형태인 유체용 정화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다공성 블록의 형태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 제2항에 있어서, 다공성 블록은 경질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다공성 시이트의 형태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5. 제4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는 경질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6. 제4항에 있어서, 다공성 시이트는 가요성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입자, 섬유 또는 이의 조합물의 형태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그네슘함유 인산염, 규산염, 수산화물 및 산화물 또는 이의 조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9.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중합체 물질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0. 제9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융점이 약 50℃∼약 500℃인 중합체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1. 제10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살균 조건하에서 안정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열가소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의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락트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3. 제12항에 있어서, 열가소제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플루오로카본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스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4.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은 천연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5.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은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6. 제14항에 있어서, 천연 중합체는 천연 및 합성 개질된 셀룰로스, 콜라겐 및 유기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7.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은 생분해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8. 제17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콜 또는 코폴리락티드글리콜라이드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겔 형성 또는 흡착제 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초흡수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폴리락트산, 폴리아크릴아미드 또는 이의 중합체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알콜, 폴리아민, 폴리에틸렌 옥시드, 셀룰로스, 키틴, 젤라틴. 전분,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알긴산, 해초에서 분리된 카라기난, 다당류, 펙틴, 크산탄,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락트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물질 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3. 제9항에 있어서, 초흡수제는 아크릴산의 중합 반응에 의하여 얻은 수지 및 아크릴아미드의 중합 반응에 의하여 얻은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4. 제19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은 천연 중합체, 셀룰로스, 알긴산, 해초로부터 분리한 카라기난, 다당류, 펙틴, 크산탄, 전분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5. 제19항에 있어서, 초흡수제 물질은 이온 하전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6. 제25항에 있어서, 초흡수제 물질은 물질 표면의 1∼100% 범위의 이온 하전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7. 제24항에 있어서, 천연 중합체는 천연 및 합성 개질된 셀룰로스, 콜라겐 및 유기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8. 제19항에 있어서, 초흡수제 물질은 생분해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29. 제19항에 있어서, 초흡수제 물질은 점토 또는 알루미노규산염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0. 제29항에 있어서, 초흡수제 물질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1. 제28항에 있어서, 천연 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콜, 코-폴리락티드글리콜라이드, 셀룰로스, 알긴산, 해초로부터 분리한 카라기난, 다당류, 펙틴, 크산탄, 전분 및 이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생분해성 중합체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2. 제9항에 있어서, 정화 물질은 시이트의 형태를 띠며, 직조 웨브상에 배치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3. 제9항에 있어서, 정화 물질은 시이트의 형태를 띠며, 부직 웨브상에 배치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4.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정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중량%∼약 99.9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5. 제1항에 있어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과 상이한 1 이상의 추가의 흡착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흡착 물질은 과립화된 활성탄 또는 비-마그네슘 함유 아파타이트 또는 비-마그네슘 함유 규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물질은 골탄 형태의 비-마그네슘 함유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물질은 알루미늄 산화물 형태의 비-마그네슘 함유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물질은 규산칼슘 형태의 비-마그네슘 함유 규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상기 과립화된 활성탄 또는 아파타이트는 거의 동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과립화된 활성탄은 약 42.5 중량%의 함량으로 각각 존재하며, 상기 결합제는 약 1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상기 비-마그네슘 함유 아파타이트는 각각 약 42.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며, 상기 결합제는 약 15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흡착 물질은 합성 이온 교환 수지, 제올라이트 및 인산염 무기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이온 결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4. 제43항에 있어서, 인산염 무기물은 무기물의 인산염류의 일원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5. 제43항에 있어서, 인산염 무기물은 무기물의 알루미노규산염군의 일원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6. 제43항에 있어서, 합성 이온 교환 수지는 작용화된 스티렌, 염화비닐, 디비닐벤젠,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이의 혼합물, 공중합체 및 블렌드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7. 제43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는 클리놉틸로라이트로 공지된 규산염 함유 무기물인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8. 제1항에 있어서, 물 또는 수성 유체의 존재하에서 산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으로 처리되는 1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49. 하우징 및 제1항의 정화 물질의 다공성 블록을 포함하는, 물 또는 수성 유체로부터 미생물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유입구, 유출구 및 이들 사이의 접촉실을 포함하며, 상기 경질의 다공성 블록은 접촉실내에 배치되어 유체가 유입구로부터 하우징으로 유동하여 다공성 블록을 통과하고, 그후 유출구를 통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유동 배출되도록 하는 것인 장치.
  51. 유체가 제1항의 정화 물질을 통하여 유동되도록 하여 여과된 유체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유체로부터 임의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를 여과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물인 것인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여과된 물은 마시기에 적절한 것인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수용액인 것인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혈액인 것인 방법.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발효 브로쓰인 것인 방법.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에서의 재순환류인 것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세포 배양 공정에서의 재순환류인 것인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외과적 술식에 사용된 것인 방법.
  6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호흡이 가능한 공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1.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퍼지 가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퍼지용 가스는 02, C02, N2또는 A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6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마취 가스인 것인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 가스는 아산화질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5. 제51항에 있어서, 살균에 의하여 정화 물질을 재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정화 물질을 높은 온도, 압력, 조사 레벨 또는 화학적 산화제 또는 환원제 또는 이의 조합물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전기화학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화학적 산화 및 오토클레이브 처리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가스 혼합물인 것인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가스는 공기인 것인 방법.
  7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화학적 무반응성 가스인 것인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또는 질소산화물인 것인 방법.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챔버를 가압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인 방법.
  7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용액 중의 살포 가스의 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용액을 살포 또는 퍼징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방법.
  7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용액 중에 초기에 존재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용액을 살포 또는 퍼징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방법.
  77.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표면으로부터 미립자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방법.
  78. 마그네슘 함유 무기물 및 이를 위한 결합제를 포함하며, 경질 다공성 블록 또는 시이트의 형태를 띠는, 미생물용 고정화 및 접촉 매체.
  79. 제78항에 있어서, 매체의 공극내에 배치된 1 이상의 미생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정화 및 접촉 매체.
  80. 염, 산 또는 부식제를 포함하는 용액의 사용에 의한 제1항의 정화 물질의 재생 방법.
  8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물질은 규회석을 포함하는 것인 유체용 정화 물질.
KR10-2003-7010351A 2001-02-06 2002-02-01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KR20040007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678401P 2001-02-06 2001-02-06
US60/266,784 2001-02-06
PCT/US2002/002914 WO2002076577A2 (en) 2001-02-06 2002-02-01 Compositions of insoluble magnesium containing minerals for use in fluid filt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443A true KR20040007443A (ko) 2004-01-24

Family

ID=2301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351A KR20040007443A (ko) 2001-02-06 2002-02-01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370338A4 (ko)
JP (1) JP2004528965A (ko)
KR (1) KR20040007443A (ko)
CN (1) CN1527738A (ko)
BR (1) BR0207026A (ko)
CA (1) CA2437721A1 (ko)
MX (1) MXPA03006966A (ko)
WO (1) WO2002076577A2 (ko)
ZA (1) ZA20030596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6B1 (ko) * 2008-03-26 2010-02-01 유희재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 및 알칼리 환원 정수기
KR101116122B1 (ko) * 2010-02-03 2012-03-13 고일환 비점오염원 제거용 세라믹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볼 제조방법
KR20160103344A (ko) * 2015-02-24 2016-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처리용 여과 유닛
KR102027993B1 (ko) * 2018-12-20 2019-10-02 김태수 건강 기능 맞춤형 천연 미네랄 활성화 복합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7385A (ko) * 2019-09-26 2020-06-30 김태수 건강 기능 맞춤형 천연 미네랄 활성화 복합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4164A (ko) * 2020-01-07 2021-10-14 한국원자력연구원 선택적 방사성물질의 제거를 위한 세라믹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7358A1 (en) * 2004-01-12 2005-08-04 Eric Taylor Carbon Block Filters
BE1015949A3 (fr) * 2004-03-15 2005-12-06 Lhoist Rech & Dev Sa Procede d'abattement de mercure et de metaux lourds des gaz de fumees.
US7169466B2 (en) 2004-05-21 2007-01-30 The Clorox Company Multiple-component binder systems for porous composite blocks
CN1293017C (zh) * 2004-10-28 2007-01-03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白硅钙石生物陶瓷的制备方法和用途
DE102005007922A1 (de) * 2005-02-14 2006-08-24 Wp Engineering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asserenthärtung sowie Granul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ranulats
US7673757B2 (en) * 2006-02-17 2010-03-09 Millipore Corporation Adsorbent filter media for removal of biological contaminants in process liquids
RU2316479C1 (ru) * 2006-03-27 2008-0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адий" Способ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JP2008264633A (ja) * 2007-04-17 2008-11-06 Asani Japan Kk 流体浄化用フィルター
RU2375403C1 (ru) * 2008-08-05 2009-12-10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ЕФИМОВ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грязнений из нефти и/ил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CN101844003B (zh) * 2009-03-27 2011-12-07 奇迪电器集团有限公司 用于去除饮用水中铜的过滤介质及其制备方法
CN102449136B (zh) * 2009-04-03 2014-06-11 3M创新有限公司 微生物浓集方法和装置
WO2011158675A1 (ja) * 2010-06-15 2011-12-22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水酸化マグネシウ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吸着剤
CN103221550B (zh) * 2010-12-06 2018-05-11 3M创新有限公司 微生物浓集方法和装置
CN102475997B (zh) * 2011-10-20 2013-09-11 常州亚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去除饮用水中钼的结构滤芯及其制备方法
CN103785348B (zh) * 2012-10-29 2017-03-22 日铁住金环境株式会社 有害物质处理材料及其制造方法、有害物质的处理方法
CN103977637B (zh) * 2014-05-16 2015-09-23 淮安金雨阳环保科技有限公司 食用植物油生产中毛油净化的以凹凸棒土为载体的滤料
CN104973674B (zh) * 2015-07-29 2017-01-18 石狮市新明食品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重金属废水处理剂
CN105541089A (zh) * 2015-12-08 2016-05-04 河南昊晟城市矿产再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海绵城市建设的环保轻石及其制备方法
CN109110896B (zh) * 2018-10-30 2022-04-05 上海理工大学 一种去除印染废水中锑的药剂及其去除方法
CN111303873A (zh) * 2018-12-11 2020-06-19 江苏罗化新材料有限公司 一种红色荧光粉及其制备方法和发光器件
CN110835179B (zh) * 2019-11-22 2022-03-08 武汉溢爱环保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滤芯水龙头净水器
CN111517382A (zh) * 2020-04-16 2020-08-11 武汉市秀谷科技有限公司 一种含硅钙镁矿物的湖泊河流水体治理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CN115991496B (zh) * 2023-02-22 2024-04-30 西南科技大学 一种水合硫酸镁铵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603A (en) * 1988-11-17 1990-08-07 Crystal Diagnostics, Inc. Electronegatively charged blood filter and blood cell separation method
US4988440A (en) * 1989-01-30 1991-01-29 Filtercorp, Inc. Cooking oil filter
US5997829A (en) * 1995-05-26 1999-12-0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Environment purifying material
US6187192B1 (en) * 1999-08-25 2001-02-13 Watervisions International, Inc. Microbiological water filter
AU5372101A (en) * 2000-04-21 2001-11-07 Watervisions Int Inc Formation of composite materials with expandable matt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6B1 (ko) * 2008-03-26 2010-02-01 유희재 알칼리 환원 정수필터 및 알칼리 환원 정수기
KR101116122B1 (ko) * 2010-02-03 2012-03-13 고일환 비점오염원 제거용 세라믹 여과재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볼 제조방법
KR20160103344A (ko) * 2015-02-24 2016-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처리용 여과 유닛
KR102027993B1 (ko) * 2018-12-20 2019-10-02 김태수 건강 기능 맞춤형 천연 미네랄 활성화 복합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30302A1 (ko) * 2018-12-20 2020-06-25 김태수 건강 기능 맞춤형 천연 미네랄 활성화 복합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7385A (ko) * 2019-09-26 2020-06-30 김태수 건강 기능 맞춤형 천연 미네랄 활성화 복합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4164A (ko) * 2020-01-07 2021-10-14 한국원자력연구원 선택적 방사성물질의 제거를 위한 세라믹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6577A3 (en) 2002-12-05
MXPA03006966A (es) 2003-11-18
BR0207026A (pt) 2004-02-17
EP1370338A4 (en) 2004-07-28
CA2437721A1 (en) 2002-10-03
ZA200305966B (en) 2004-08-18
CN1527738A (zh) 2004-09-08
JP2004528965A (ja) 2004-09-24
EP1370338A2 (en) 2003-12-17
WO2002076577A2 (en)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7443A (ko) 유체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불용성 마그네슘 함유무기물의 조성물
JP3706578B2 (ja) 微生物水フィルター
AU2001253721B2 (en) Formation of composite materials with expandable matter
US20040159605A1 (en) Compositions of insoluble magnesium containing minerals for use in fluid filtration
US6861002B2 (en) Reactive compositions for fluid treatment
US6833075B2 (en) Process for preparing reactive compositions for fluid treatment
US20050098495A1 (en) Purification materials and method of filtering using the same
AU2001253721A1 (en) Formation of composite materials with expandable matter
US20030173287A1 (en) Filt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2004504126A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方法
AU2002309487A1 (en) Compositions of insoluble magnesium containing minerals for use in fluid fil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