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869A -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869A
KR20160102869A KR1020150055566A KR20150055566A KR20160102869A KR 20160102869 A KR20160102869 A KR 20160102869A KR 1020150055566 A KR1020150055566 A KR 1020150055566A KR 20150055566 A KR20150055566 A KR 20150055566A KR 20160102869 A KR20160102869 A KR 2016010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oving
pressing
housing
exp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900B1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ublication of KR2016010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7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or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이동부와 하우징의 외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가압부 내부의 공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부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용기의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며, 용기의 내용물을 필요시 용기 상단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CONTAINER AND CONTENTS MOV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부를 갖는 용기로서 가압부의 작용으로 용기 내의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과자, 사탕, 껌, 알약, 분말, 액상 등)을 보관하고 사용 가능하게 제공하는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용기 내의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양만큼 꺼내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는 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이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이 용기 내부의 하부에 있을 때 내용물을 손으로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 내의 내용물이 용기 내벽에 잔류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들어 용기 내에서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제시된 바 있으며, 현재 고안되어 사용 중인,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용기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심대에 의하여 일부 내용물이 용기 상부의 토출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 용기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용기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놓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기술로 가압 수단이 용기에 적용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용기를 잡는 과정을 이용하거나 용기의 외부를 가압부로 활용한 용기는 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용기가 시장에 공급되는 상황에서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유희를 제공하는 수단의 필요성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KR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458000호 (2012. 01. 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의 외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제공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액상 내용물의 경우 용기 내벽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기체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기체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 또는 다른 기체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 부피가 작아지며 기체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를 포함하고,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 공간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기체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내용물 보관부와 팽창부로 구획한 상태로 상호 밀접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기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이송 대기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기체가 상기 팽창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공급받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과홀; 및 기체의 공급이 정지 시 상기 통과홀을 막아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의 기체 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외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연장되는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기체 대기부 내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공급시 상기 개구홀을 막아 상기 기체 대기부의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복원될 때 용기 외부의 기체를 상기 기체 대기부로 흡기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상기 이동부의 테두리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개 수납공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양측에 대해 상호 액상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에 넣어지는 액상 차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의 반대측인 매개 수납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액상 차단물을 지지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사이에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1 확대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2 확대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인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기 내벽에 잔류하는 상기 액상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액상 차단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 홀부를 통공하고, 상기 충진 홀부는 개폐를 위해 캡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면은 코팅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기체 제어부는,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송 안내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체 대기부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압부; 및 상기 기체 대기부를 통해 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가압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기체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기체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 또는 다른 기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 부피가 작아지며 기체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를 포함하고,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 공간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기체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내용물 보관부와 팽창부로 구획한 상태로 상호 밀접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기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이송 대기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기체가 상기 팽창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공급받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과홀; 및 기체의 공급이 정지 시 상기 통과홀을 막아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의 기체 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외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연장되는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기체 대기부 내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공급시 상기 개구홀을 막아 상기 기체 대기부의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복원될 때 용기 외부의 기체를 상기 기체 대기부로 흡기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상기 이동부의 테두리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개 수납공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양측에 대해 상호 액상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에 넣어지는 액상 차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의 반대측인 매개 수납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액상 차단물을 지지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사이에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1 확대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2 확대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인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기 내벽에 잔류하는 상기 액상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액상 차단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 홀부를 통공하고, 상기 충진 홀부는 개폐를 위해 캡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기체 제어부는,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송 안내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체 대기부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압부; 및 상기 기체 대기부를 통해 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가압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는 용기의 외부에 가압부를 제공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필요 시 용기 상단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잔류량이 적을 때에도 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깊게 손으로 집거나 기울임 없이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명재질로 제작 시에는 시각적으로도 유희를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이동 장치(300)는 내용물 보관부(111a)를 갖는 하우징(110)에 적용되며, 내용물 보관부(111a)에 접하는 이동부(120),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P) 및 기체의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111b)를 포함하고, 가압부(P)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부(120)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기체는 공기를 포함한 기체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공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111a)와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111b)로 구분된다. 이동부(120)는 내용물 보관부(111a)와 팽창부(111b)의 공간을 구획하여, 이동부(120)의 위치가 변할 때, 팽창부(111b)의 공간 크기와 내용물 보관부(111a)의 공간 크기가 이동부(120)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하는 하는 수단이다.
팽창부(111b)가 내용물 보관부(111a)의 위치 방향으로 팽창하며, 이동부(120)를 팽창부(111b)의 팽창 방향과 같이 이동시키고, 이동부(120)는 내용물 보관부(111a) 내의 내용물을 지지하며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 내용이다.
팽창부(111b)는 후술하는 하우징 벽(112)과 이동부(120)가 형성하는 공간이거나 별도의 팽창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120)의 외주는 고무재질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벽(112)과 밀접(密接)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팽창 수단(140)이 내장되고, 팽창 수단(140)은 튜브와 같은 주름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팽창부(111b)가 팽창 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동 장치(300)의 구성요소인 팽창부(111b)와 이동부(120)는 하우징(110)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20), 가압부(P) 및 팽창부(111b)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하우징(110)과 착탈 가능하도록 부품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용기(100)의 바닥판과 측벽을 끼움 결합하였는데, 이를 분리하면 팽창부(111b) 내부의 팽창 수단(140)과 이동부(120)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용기(100)는 뚜껑(101)과, 뚜껑(101)으로 개폐되며 내용물이 보관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부(120)와, 이동부(120)를 이동시키는 가압부(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내용물 보관부(111a)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상부는 개방되며, 뚜껑(101)이 나사 결합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P)는 용기(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가압부(P)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가압부(P) 내부의 기체가 팽창부(111b)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가압부(P)는 전부 또는 그 일부가 탄성을 가지는 연성 재질이거나 탄성을 가지는 구조체를 포함하여 압력이 가해지면 가압부(P)의 부피가 줄게 되어, 가압부(P) 내의 기체가 팽창부(111b)로 전달되고, 이동부(120)가 이동하게 되며, 압력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하여 원상으로 회복된다.
즉, 가압부(P)는 하우징(100)의 하우징 벽(112)을 일면으로 하고, 가압부(P)를 다른 일면으로 하여 구성되거나, 하우징(100)과 별도로 결합 가능한 가압부(P) 자체의 이중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P)에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한 기체 주입으로 이동부(120)가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동부(120)는 평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서,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1a)의 하단에서 내용물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P)는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에 각각 설치되는 기체밸브와, 이동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팽창하는 팽창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의 가압부(P) 외부면 압박을 통해서 팽창 수단(140)이 팽창되어 이동부(120)를 하우징(110)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팽창 수단(140)은 주름관에 국한되지 않으며,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어느 구조여도 무방하다.
기체밸브는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130)와 팽창부(111b)에 기체를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를 포함하고, 가압부(P) 외부면 압박에 의해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 사이의 기체가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를 통해 팽창부(111b)로 주입되고, 하우징(110)의 가압부(P)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가압부(P)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가압부 기체 유입부(130)를 통하여 외부 기체가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 외벽(113) 사이로 유입된다.
가압부 기체 유입부(130)와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는 일 방향으로 압력에 의하여 기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인데(가압부 기체 유입부(130)의 경우 가압부(P)로 유입된 기체가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 이는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 외벽(113)에 기체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을 덮는 탄성을 가지는 연성재질로 막는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가압부 외벽(113)에는 가압부 통공(113a)이 형성되고, 하우징 벽(112)에는 하우징 벽 통공(112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체밸브는 외부 기체 유입에 따라 열리는 고무 덮개판으로 하우징(110)의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에 부착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하우징 벽(112)과 가압부(P)에는 기체 통로 역할을 하는 통공(112a,113a)이 형성된다. 이때, 통공(112a,113a)은 가압부 기체 유입부(130) 및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가압부(P)에 압력을 가할 시에는 팽창부(111b)로 기체가 주입되는 것이며, 가압부(P)가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상 복귀 될 쯤에는 가압부 통공(113a)을 통하여 기체가 유입된다.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는 하우징 벽 통공(112a)을 막아 주입된 기체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팽창부(111b)는 가압부(P)의 기체가 유입되는 가압부(P)의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와 연결되고,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는 팽창부(111b)로 유입된 기체가 가압부(P)로 다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하는 제 2실시예와는 구별되는 특징이다.
또한, 팽창 수단(140)을 관통하여 기체를 배출하는 기체 배출공(114a)과, 하우징(110)의 바닥면(114)에 설치되어 배출공(114a)을 개폐하여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배출마개(14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00)에 담기는 내용물은 고체, 액상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손쉽게 수취할 수 있는 부위가 용기의 상부로 상승하는 방식(막대 과자나 필기구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화장품과 같이 사용자가 사용함에 따라 용량이 소진되며 접근하기 어려울 때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서처럼, 사용자가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 하우징(110)과 결합된 뚜껑(101)을 열고 용기 상단에서부터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정 양의 내용물 소진 후에 사용자가 용기(100)의 내용물을 인출할 경우 용기(100)의 내용물은 줄어들어 용기의 입구 상단에서 일정 깊이만큼 수량이나 길이가 줄어들어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손을 용기(100) 내에 집어넣어 내용물을 인출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막대 형태의 내용물은 내용물의 소진으로 잔여 내용물은 기울어져 용기(100)의 상단에 미치지 못하고 용기(100) 안쪽에 기울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압부(P) 특히, 가압부(P)의 외부면을 압박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팽창부(111b)에 기체를 주입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용기(100) 내부의 이동부(120)를 상승시켜 편리하게 상시 용기(100)의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내용물의 줄어듦을 인지하고 가압부(P)를 손으로 잡고 쥐면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가압부(P)의 가압에 의해 연성재질이면서 탄성력을 가진 가압부(P)의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이중 구조인 가압부(P) 사이에서 있던 기체가 하우징 벽(112)에 형성된 하우징 벽 통공(112a)을 경유하여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를 개방시키면서 팽창 수단(1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또한, 가압부(P)의 탄성 재질이 아닌 가압부(P)에 탄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복원 방법이 가능하다.
도 5에서처럼, 팽창 수단(140)에 유입된 기체는 팽창 수단(140)을 상부로 팽창시킨다. 이때 팽창부(111b)는 튜브와 같은 팽창 수단(140) 이외에도 팽창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팽창 수단(140)의 팽창에 의해 팽창 수단(140)의 상부에 위치한 이동부(120)가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1a)를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써, 하우징(110)에서 내용물을 쉽게 습득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가압부(P)가 탄성에 의하여 원상 복귀 될 쯤에 가압부(P)의 가압부 통공(113a)을 통하여 가압부 기체 유입부(130)를 열어 기체 유입이 되도록 하여 다음 작동 시에 재 기체 주입이 가능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압부(P) 압력에 의한 이동부(120)를 갖는 용기(100)는 용기(100)의 가압부(P)를 잡는 과정에서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용기(100) 내부의 팽창 수단(140)을 팽창시켜 이동부(120)를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쉽게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더불어 하우징(110)의 바닥면(114)에 설치되는 기체배출마개(141)를 통하여 기체를 배출하여 다시 팽창 수단(140)을 원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서, 재차 충진되는 용기 내용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이동 장치(300)는 앞에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구성과 작동이 동일하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와 달리 팽창부(111b)가 별도의 주름관을 가지지 아니하고 이동부(150)의 외주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용기(100)의 하우징 벽(112)과 밀접되어 팽창부(111b)를 형성한 것이다. 용기(100)는 내용물 보관부(111a)에서 내용물을 하우징(11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가압부(P)와 팽창부(111b)가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 벽 통공(112a)에 제 1실시 예와 달리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하우징 벽(112)에 밸브를 구성하지 않으면서 가압부(P)와 팽창부(111b)를 단일 공간을 형성하면서 별도의 팽창 수단을 갖지 않는 구성이 되며, 이동부(150)의 외주가 팽창부(111b)에서 밀어주는 힘이 주어졌을 때 이동 가능하게 미끄러지지만, 정지 시 또는 당기는 힘이 주어졌을 때에는 이동부(150)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면서, 이동부(150)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밀접 재질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50)의 아랫면이 지지되되 상방향 이동 시에는 넘어가지는 다수의 단턱이 하우징 벽(11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팽창부(111b)가 하우징 벽(112)과 이동부(150)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인 경우, 이동부(150)가 하우징(11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기 내벽에 잔류하는 상기 액상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이동 장치(300)는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이 동일하나, 제 1실시예와는 달리 가압부(P)는 압력공(221)이 위치한 가압부(220)와 탄성부(230)로 구성된다. 또한, 팽창부 기체 주입부(130A)와 가압부 기체 유입부(130)가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제 3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뚜껑(210)과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용기(200)로서, 가압부(220), 팽창부(221b) 및 이동부(250)를 구비하는 이동 장치(300)와 하우징 벽(240)을 포함한다. 내,외벽의 형태상의 차이는 하우징 벽(240)의 상부(241)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마감되나, 용기(100)의 바닥도 이중 구조라는 차이와 내,외벽 밸브 및 통공(222)이 하부에 형성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단순히 용기의 디자인의 차이에 따른 것이며, 제 1실시예와 그 기능과 작동은 동일하다.
제 3실시예에서 가압부(220)는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탄성부(230)에 접한 가압부(220)에 압력공(221)인 개방부가 형성되어 압력공(221)에 위치하는 탄성부(230)에 가하는 외부 압력과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220) 내부의 기체를 내용물 보관부(221a)의 하부에 위치한 팽창부(221b) 내부로 이동시킨다는 것이다. 즉,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가압부(P)가 제 3실시예의 경우 가압부(220)의 압력공(221)과 탄성부(2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 1실시예는 가압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외부에 의한 압력을 전달하며, 제 3실시예는 가압부(220)에 압력공(221)이 형성되고 압력공(221)을 덮는 탄성을 가지거나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부(230)에 의하여 외부에 가하여 지는 압력이 내부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탄성부(230)와 연결된 압력공(221) 부위를 누름으로써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이동 장치(300), 하우징(310) 및 기체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히, 하우징(310)은 내용물을 충진 및 인출 가능하도록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편의상, 하우징(310)은 상측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하우징(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310)은 내부를 내용물충진공간(312)과 기체저장공간(314)으로 나뉘어진다. 내용물충진공간(312)은 하우징(310)의 개방측의 내부에 형성되고, 기체저장공간(314)은 개방측에 반대되는 하우징(310)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이동 장치(300)는 하우징(310)의 내부를 내용물충진공간(312)과 기체저장공간(314)으로 구획한 상태로 상호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더욱 상세히, 이동 장치(30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부(350)를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310)은 내용물의 인출을 위해 일측이 개방되고, 이동부(350) 등의 조립이나 설치를 위해 타측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이동부(350)는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며, 하우징(3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이동 장치(300)는 매개 수납공간부(360) 및 액상 차단물(370)을 더 포함한다.
매개 수납공간부(360)는 이동부(35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매개 수납공간부(360)는 이동부(350)의 테두리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연속되게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깊이나 너비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액상 차단물(370)은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내측에 충진된 채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에 접함으로써 이동부(350)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양측에 대해 상호 액상 기밀성을 유지한다. 이때, 액상 차단물(370)은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에 접하여 표면 장력에 의해 내부면(316)에 접착되지 않는 재질 또는 점성을 갖는다. 물론, 액상 차단물(370)은 겔(gel) 상태로서 매개 수납공간부(360)에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동부(350)는 액상 차단물(370)의 충진 또는 제작상의 용이성을 위해 제1 이동부재(352), 제2 이동부재(354) 및 연결부재(356)를 포함한다.
즉, 이동부(350)는 조립 가능한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로 나뉘어지고,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의 조립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매개 수납공간부(360)를 형성한다.
제1 이동부재(352)는 하우징(310)의 내용물을 향하여 충진된 내용물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이동부재(354)는 제1 이동부재(352)의 내용물을 향하는 방향에 반대측에 위치한다.
특히,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부재(356)는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연결부재(356)는 암수 결합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연결부재(356)는 제1 이동부재(352)의 하측과 제2 이동부재(354)의 상측을 연결하여 결속한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 사이에는 매개 수납공간부(360)가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연결부재(3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때,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는 암수 결합 또는 후크 결합 방식인 연결부재(356)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제1 이동부재(352) 또는 제2 이동부재(354)가 단독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이동부재(352)는 액상 차단물(370)이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1 확대공간부(353)를 형성하고, 제2 이동부재(354)는 액상 차단물(370)이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제1 확대공간부(353)에 대응되도록 제2 확대공간부(35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확대공간부(353)와 제2 확대공간부(355)는 각각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의 테두리에서 공간이 확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이동부(350)가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을 따라 이동시에, 액상 차단물(370)은 내부면(316)에 최대한 넓게 접하여 기밀력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가장자리가 제1 이동부재(352)의 테두리 및 제2 이동부재(354)의 테두리에 수직되게 연장될 경우, 액상 차단물(370)은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서리에 의해 집중 응력이 발생되어 절단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확대공간부(353)와 제2 확대공간부(355)가 매개 수납공간부(360)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은 액상 차단물(370)이 접한 채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코팅면(320)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면(320)은 코팅액을 내부면(316)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350)는 매개 수납공간부(360) 내측으로 액상 차단물(370)을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 홀부(380)를 통공하고, 충진 홀부(380)는 개폐를 위해 캡(390)을 구비할 수 있다. 충진 홀부(380)는 제1 이동부재(352) 또는 제2 이동부재(354)에 통공되는데, 편의상, 제1 이동부재(352)에 통공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충진 홀부(380)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캡(390)은 충진 홀부(380)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체 제어부(400)는 기체저장공간(314)에 기체를 공급하여 이동 장치(300)의 이동부(350)와 액상 차단물(370)을 하우징(310)의 내용물 인출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기체 제어부(400)는 기체 대기부(410), 가압부(420) 및 내기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기체 대기부(410)는 하우징(310)의 바닥, 또는 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싱에서 하우징(310)의 바닥에 연결되도록 통공되어 공급되는 기체를 하우징(310) 내부의 기체저장공간(314)으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체는 공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420)는 기체 대기부(410)에 기체를 가압하여 기체 대기부(410)의 기체를 이동시키거나, 기체 대기부(410)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체를 펌핑하는 펌프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내기 제어부(430)는 기체 대기부(410)를 통해 기체가 가압부(420)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기 제어부(430)는 제1 밸브(4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밸브(434)는 가압부(420)에 의해 기체 대기부(410)를 통해 기체의 공급이 정지 시 통과홀(433)을 막아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체가 통과홀(433)을 통과할 때는, 제1 밸브(434)가 압력에 의해 통과홀(433)로부터 이격되어 기체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 기체는 기체저장공간(314)에 충진되는 양이 증가됨으로써, 이동부(350)와 액상 차단물(370)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기체 대기부(410)로의 기체 공급이 정지시, 제1 밸브(434)는 자중에 의해 통과홀(433)을 막는다. 이에 따라, 기체저장공간(314)의 기체는 기체 대기부(410)를 통한 배기가 방지되고, 액상 차단물(370)에 의해 하우징(310)의 내용물 인출측으로 배기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부(350)는 하우징(310) 내부에서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기체 제어부(400)는 외기 제어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외기 제어부(440)는 가압부(420)에 의해 이동되는 기체가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기체를 공급받기 위해 기체 대기부(410) 내측에 구비된다.
특히, 외기 제어부(440)는 제2 밸브(4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밸브(444)는 가압부(420)에 의해 기체 대기부(410)를 통해 기체의 공급시 또는 통과홀(433)을 통해 기체가 역류시 개구홀(443)을 막아 기체의 배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체가 가압부(420)로부터 기체 대기부(410) 내측으로 이동시, 기체 대기부(410) 내부의 기체는 통과홀(433)을 통해 기체저장공간(314)으로 이동되려는 압력에 의해 제1 밸브(434)가 상승된다. 이로 인해, 기체 대기부(410) 내측의 기체는 기체저장공간(314)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기체 대기부(410) 내측의 기체가 제2 밸브(444)를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밸브(434)는 개구홀(443)을 막는다. 그래서, 기체의 배기가 방지된다.
이동 장치(300)는 이동부(350), 가압부(420) 및 팽창부(314)를 포함한다.
이동부(350)는 하우징(310)의 내부를 내용물 보관부(312)와 팽창부(314)로 구획한다.
그리고, 기체 제어부(400)는 이동부(350)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 보관부(312)와 팽창부(314)의 상호 밀접성을 유지하도록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된다. 아울러, 기체 제어부(400)는 팽창부(314)로 기체를 공급하여 이동부(350)를 하우징(310)의 내용물 인출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체 제어부(400)는 기체 대기부(410), 가압부(420) 및 내기(內氣)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기체 대기부(410)는 하우징(310)에 형성되어 기체를 팽창부(314)로 이송 대기하는 역할을 하고, 가압부(420)는 기체 대기부(410)에 기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내기 제어부(430)는 기체가 팽창부(314)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내기 제어부(430)는 통과홀(433) 및 제1 밸브(434)를 포함한다.
통과홀(433)은 가압부(420)로부터 공급받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이고, 제1 밸브(434)는 기체의 공급이 정지 시 통과홀(433)을 막아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체 제어부(400)는 외기(外氣) 제어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제어부(440)는 팽창부(314)의 기체 또는 가압부(420)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연장되는 개방홀(436)을 구비한다.
특히, 외기 제어부(440)는 가압부(420)에 의해 기체 대기부(410) 내의 기체를 팽창부(314)로 공급시 개구홀(443)을 막아 기체 대기부(410)의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부(420)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420)가 복원될 때 기체 대기부(410)로 용기 외부의 기체를 기체 대기부(410)로 흡기하는 제2 밸브(4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부(350)는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하우징(310)의 내부를 구획한다. 이때, 이동부(350)는 매개 수납공간부(360) 및 액상 차단물(370)을 포함한다.
매개 수납공간부(360)는 이동부(350)의 테두리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액상 차단물(370)은 하우징(310)의 내부면(316)에 접함으로써 이동부(350)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양측에 대해 상호 액상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개 수납공간부(360)에 충진된다.
한편, 이동부(350)는 제1 이동부재(352) 및 제2 이동부재(354)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352)는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이동부재(354)는 제1 이동부재(352)의 반대측인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상 차단물(370)을 지지한다.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 사이에는 매개 수납공간부(360)가 형성된다.
이동부(350)는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6)를 더 포함하고, 제1 이동부재(352)와 제2 이동부재(354)는 연결부재(356)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이동부재(352)는 액상 차단물(370)이 내부면(316)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1 확대공간부(353)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이동부재(354)는 액상 차단물(370)이 내부면(316)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개 수납공간부(360)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2 확대공간부(35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인 경우, 이동부(350)가 하우징(31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기(100) 내벽에 잔류하는 액상 내용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부(350)는 매개 수납공간부(360) 내측으로 액상 차단물(370)을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 홀부(380)를 통공하고, 충진 홀부(380)는 개폐를 위해 캡(39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P: 가압부 100: 용기
101, 210: 뚜껑 110, 310: 하우징
111a, 221a, 312: 내용물 보관부
111b, 221b, 314: 팽창부
112, 240: 하우징 벽 112a: 하우징 벽 통공
113: 가압부 외벽 113a: 가압부 통공
114: 바닥면 114a: 배출공
120, 150, 250, 350: 이동부
130: 가압부 기체 유입부 130A: 팽창부 기체 주입부
140: 팽창 수단 141: 기체배출마개
220, 420: 가압부 221: 압력공
222: 밸브 및 통공 230: 탄성부
241: 상부 300: 이동 장치
312: 내용물충진공간 314: 기체저장공간
316: 내부면 320: 코팅면
352: 제1 이동부재
353: 제1 확대공간부 354: 제2 이동부재
355: 제2 확대공간부 356: 연결부재
360: 매개 수납공간부 370: 액상 차단물
380: 충진 홀부 390: 캡
400: 기체 제어부 410: 기체 대기부
430: 내기 제어부 433: 통과홀
434: 제1 밸브 440: 외기 제어부
443: 개구홀 444: 제2 밸브

Claims (65)

  1.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기체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기체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 또는 다른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 부피가 작아지며 기체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를 포함하고,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 공간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 2항, 제 7항 및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기체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3항, 제 4항, 제 7항 및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2항, 제 7항 및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내용물 보관부와 팽창부로 구획한 상태로 상호 밀접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기체 제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이송 대기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기체가 상기 팽창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공급받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과홀; 및
    기체의 공급이 정지 시 상기 통과홀을 막아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의 기체 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외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연장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기체 대기부 내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공급시 상기 개구홀을 막아 상기 기체 대기부의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복원될 때 용기 외부의 기체를 상기 기체 대기부로 흡기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상기 이동부의 테두리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개 수납공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양측에 대해 상호 액상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에 넣어지는 액상 차단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의 반대측인 매개 수납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액상 차단물을 지지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사이에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1 확대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2 확대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 2항, 제 7항, 제 14항, 제 21항 및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인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기 내벽에 잔류하는 상기 액상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액상 차단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 홀부를 통공하고,
    상기 충진 홀부는 개폐를 위해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은 코팅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기체 제어부는,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송 안내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체 대기부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압부; 및
    상기 기체 대기부를 통해 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가압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기체를 주입하는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 또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으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는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부 기체가 유입되어 다시 가압이 가능한 가압 이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38. 제 35항에 있어서,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 또는 다른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분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벽과 상기 가압부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저장하고,
    상기 가압부 외부면에 상기 가압부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 부피가 작아지며 기체가 상기 팽창부로 유입되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되,
    상기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의 재료 또는 구성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외부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외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접한 상기 가압부 외벽에 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개방부의 상기 탄성부 부위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하며,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4.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팽창부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압력이 없이 정지 시에는 상기 이동부가 지지하는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5.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에 밀접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팽창부에 주입이 가능한 공기를 포함하고, 다른 기체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6.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축소한 후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공간이 확장하며, 상기 가압부 공간의 축소와 확장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반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접하여, 내부에 기체 공간을 가지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는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유입된 기체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기 팽창부에 인접한 상기 이동부를 상기 팽창부의 팽창 방향인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전체 또는 부분이 있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에 의해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하는 팽창부 기체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는 상기 팽창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압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가압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팽창부 내부로 주입된 후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압박이 해제되어 가압부의 형태가 가압 이전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가압부의 외부면 외부에 있는 기체를 상기 가압부로 유입하는 가압부 기체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는 상기 가압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0.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팽창부의 공간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팽창부의 공간 크기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공간 크기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할 때 이동판의 구획 위치에 따라 함께 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1. 제 35항, 제 40항 및 제 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 내에 구비되어 기체의 부피 증감이 이루어지는 팽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2. 제 36항, 제 37항, 제 40항 및 제 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스프링, 지지대, 태엽,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 기체 유입부와 상기 팽창부 기체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스윙 체크밸브, 리프트 체크밸브, 틸팅 디스크체크 밸브, 웨이퍼 디스크 체크밸브, 인-라인 체크 밸브, 스톱 체크밸브, 다이아후램 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3. 제 35항, 제 40항 및 제 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4.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내용물 보관부와 팽창부로 구획한 상태로 상호 밀접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부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기체 제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이송 대기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공급하는 가압부; 및
    기체가 상기 팽창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공급받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과홀; 및
    기체의 공급이 정지 시 상기 통과홀을 막아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7.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의 기체 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외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연장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기체 대기부 내의 기체를 상기 팽창부로 공급시 상기 개구홀을 막아 상기 기체 대기부의 기체가 용기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복원될 때 용기 외부의 기체를 상기 기체 대기부로 흡기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59.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상기 이동부의 테두리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매개 수납공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양측에 대해 상호 액상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에 넣어지는 액상 차단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의 반대측인 매개 수납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액상 차단물을 지지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 사이에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6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1 확대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액상 차단물이 상기 내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의 영역을 확장하도록 가장자리에 제2 확대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63. 제 35항, 제 40항, 제 47항, 제 54항 및 제 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액상 내용물인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기 내벽에 잔류하는 상기 액상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64.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개 수납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액상 차단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충진 홀부를 통공하고,
    상기 충진 홀부는 개폐를 위해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65.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인출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기체 제어부는,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송 안내하는 기체 대기부;
    상기 기체 대기부에 기체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체 대기부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압부; 및
    상기 기체 대기부를 통해 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가압부에서 역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KR1020150055566A 2015-02-23 2015-04-20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KR101711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5482 2015-02-23
KR1020150025482 2015-02-23
KR20150025830 2015-02-24
KR1020150025830 2015-02-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94A Division KR20160124641A (ko) 2015-09-08 2015-09-08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69A true KR20160102869A (ko) 2016-08-31
KR101711900B1 KR101711900B1 (ko) 2017-03-03

Family

ID=5687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566A KR101711900B1 (ko) 2015-02-23 2015-04-20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336A (ko) * 2008-07-09 2010-01-19 (주)티에스티아이테크 유체 토출 장치 및 방법
KR20110014287A (ko) * 2009-08-05 2011-02-11 이광수 내용물의 자동배출수단을 구비한 용기
KR20130006865U (ko) * 2012-05-21 2013-11-29 천호선 내용물 절약형 용기
KR20140121257A (ko) * 2013-04-07 2014-10-15 김현준 승강대가 구비된 과자 보관용 지관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336A (ko) * 2008-07-09 2010-01-19 (주)티에스티아이테크 유체 토출 장치 및 방법
KR20110014287A (ko) * 2009-08-05 2011-02-11 이광수 내용물의 자동배출수단을 구비한 용기
KR20130006865U (ko) * 2012-05-21 2013-11-29 천호선 내용물 절약형 용기
KR20140121257A (ko) * 2013-04-07 2014-10-15 김현준 승강대가 구비된 과자 보관용 지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900B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82755A (ja) 真空保存用瓶栓
KR20110039000A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JP2015512330A (ja) 再充填可能なスプレーボトル
JP2000245529A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CN101070136A (zh) 便携式液体分配器
KR101125511B1 (ko)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KR20170027528A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JP2008120443A (ja) 吐出器付きの容器
KR200439351Y1 (ko) 디스펜서 용기
EP3010833A2 (en) Refillable spray bottle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468588B1 (ko) 액체 디스펜서
KR101711900B1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KR20170027531A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KR20160124641A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JP2007326579A (ja) 噴出器の内容物混合装置、および噴出器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US20180255905A1 (en) Cosmetic-fluid dispenser
KR101552133B1 (ko) 포장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내용물 이동 장치
KR101812944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5116521B2 (ja) 液体用容器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