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639A -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639A
KR20160102639A KR1020150024941A KR20150024941A KR20160102639A KR 20160102639 A KR20160102639 A KR 20160102639A KR 1020150024941 A KR1020150024941 A KR 1020150024941A KR 20150024941 A KR20150024941 A KR 20150024941A KR 20160102639 A KR20160102639 A KR 2016010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action
bus
service
bus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휘
Original Assignee
이윤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휘 filed Critical 이윤휘
Priority to KR102015002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2639A/ko
Publication of KR2016010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31Awarding of a frequent usage incentive independent of the monetary value of a good or service purchased, or distance travel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한 회원들이 회원ID와 비밀번호의 입력만으로도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으로 인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안정적으로 운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요금지급을 보장하여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적절하게 버스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BUSINESS METHOD AND SYSTEM FOR BUS TRANSPORTATION SERVICES TO LIAISE WITH HIGH SPEED RAILS NETWORKS}
본 발명의 운영방법과 그 시스템은 다음으로 요약된다. 본 발명은 가입한 회원 간 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의 효율적 제공 및 공유는 물론,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와의 지급거래 등 필요한 모든 거래는 지정된 기간 이내에 자동적 지급 결제, 필요한 교통수단, 정류장 등에 관한 교통정보의 편리한 제공 및 접근 등을 위하여 (1) 회원의 개별적 정보, ID, 비밀번호 등을 등록하는 '회원가입계약'과 (2) 고속철(KTX)사업의 주체인 코레일과 버스운송사업체들 간에 체결되는 '환승 및 정산계약'과 (3) 버스운송업자,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 금융기관 간에 체결되는 '금융계약'과 (4) 코레일, 버스운송업자,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 간에 체결되는 '특정공급계약'과 (5) 고속철(KTX)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본부가 지정하는 주거래은행이 버스운송사업자와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들에게 운송사업으로 인정되는 회계범위 및 고속철(KTX)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본부가 주거래은행에 보장하는 신용범위의 한도 내에서 고속철(KTX)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본부의 결제지시에 따라서 주거래은행이 버스운송사업자와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들에게 교통운임, 대금 및 대가를 지불하는 '지불보증계약' 등을 통하여, 코레일이 지급한 정산요금을 신탁구좌에 예치하며, 버스운송업자,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들에게 안정적으로 지급을 보장하며, 고속철(KTX)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본부 및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고, 코레일, 버스운송업자,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의 이익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고속철(KTX)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의 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5년 지방자치제를 실시하면서 대중교통 정책은 행정구역 단위로 각각의 입장과 이해관계를 기준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수도권 대중교통의 요금체계는 행정구역별로 서로 상이하고, 광역화되어 가는 대중교통의 연계가 단절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 및 이용객의 불편을 가중시키는 등 대중교통 환경이 악화되어,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객의 경제적 부담 최소화하고, 수도권 내 상이한 대중교통 요금을 통합 일원화하여 이용객 불편해소하고, 열악한 대중교통 운수산업의 경쟁력 강화하기 위하여, 2007.7.1일부터 도입된 수도권 대중교통 수단의 요금제도를 통합하여 거리비례제 방식으로 교통카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는 수도권 통합 환승할인제는 대중교통 수단 간 환승 시 각 수단 간 통행한 거리를 통합하여 총 통행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서울시, 인천시 및 경기도를 포함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시행하기 위하여 2007.6.29일에 협약을 체결하고, (주)한국스마트카드(KSCC)에서 통합정산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증시스템은 (주)eB에서 구축하였으며, 정산기관을 일원화하기 위해 대표정산업무는 (주)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수행하고, 환승 관련 모든 데이터는 (주) 한국스마트카드가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에 제공하여 (주)eB에서 검증정산 업무를 대행하는 수도권 통합요금제 정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대중교통 이용요금 부담이 줄어들고 목적지까지 최단경로로 환승을 허용하여 합리적 통행패턴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대중교통 이용이 활성화되고, 운수산업의 경쟁력이 증가하였다. 대중교통의 경우 수익성보다는 공익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측면도 존재하지만, 대중교통 환승 시 이용요금을 할인해주면서 생긴 손실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환승할인손실보전금' 명목으로 보전하는데 결국 환승할인 부담도 세금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매년 증가하는 환승이용객을 감안하면 수도권 자치단체의 환승할인 손실금 보조로 인한 재정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완화해야 하는 것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현안과제이다.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지하철과 연계하여 환승할인보조금을 지원받는 버스업체들은, 지하철의 구조적 적자운영에 따른 어려움을 함께 부담하는 입장에 처하여, 제공하는 버스운송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대가를 지급받지 못하고 점차적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6a의 구성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인터넷 및 이동통신을 통하여 회원으로 가입하고, 고속철도를 이용하면 고속철도역에서 원하는 위치의 버스정류장까지 동일한 요금으로 시내버스, 마을버스, 시외버스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며, 도13의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고속철(KTX)사업의 주체인 코레일과 버스운송사업체들 간에 체결되는 '환승 및 정산계약'을 바탕으로 교통요금을 징수한 코레일은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회원들의 요금제도를 통합하여 회원들이 환승하는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환승할인보조금을 지급한다.
본 발명은 현행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구도에서 버스운송사업체들이 ㈜한국스마트카드, ㈜eB, 버스운송조합, 지하철 등 여러 관련 당사자들을 바탕으로 발생하는 복잡한 계약관계를 극복하고, 코레일과의 단순한 계약관계 설정을 통하여 낭비와 불이익을 최소화하고,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안정적으로 운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요금지급을 보장하여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적절하게 버스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행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복잡한 구도에서 발생하는 버스운송업체의 불이익 해소, 고속철도 및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객의 경제적 부담 최소화, 고속철도 및 버스 등 대중교통의 상이한 요금을 통합 일원화하여 이용객의 불편해소,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후원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열악한 대중교통 운수산업의 경쟁력 강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 지급 지연으로 인한 버스운송업체의 사업운영상 어려움 해소, 버스운송사업에 관련되는 다양한 당사자들의 법적 보호에 관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입회원의 회원ID 및 비밀번호와 회원이 제공한 신청내역정보만으로,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안정적으로 운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요금지급을 보장하여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적절하게 버스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입한 회원들이 회원ID와 비밀번호의 입력만으로도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으로 인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안정적으로 운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요금지급을 보장하여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적절하게 버스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현행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구도에서 버스운송사업체들이 ㈜한국스마트카드, ㈜eB, 버스운송조합, 지하철 등 여러 관련 당사자들이 상호 간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제한하고 의무를 부과하는 조항들을 규정하여 합리적, 효율적으로 운송사업이 운영되도록 약정하지만, 이러한 버스운송 사업시스템이 실제적 버스운송업체들이 제공하는 운송서비스에 대한 합리적이고 합당한 대가를 제공하는 것인지에 관한 수준의 평가는 별개의 문제이다.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경우 (1) 버스운송업체가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참가하여 지하철과 환승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버스운송 서비스의 법적 보호에 한계가 따르며; (2) 지방자치단체가 버스운송업체들에게 환승할인보조금을 지급하지만, 충분한 요금지급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1) 도6a과 도6b의 구성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운송업체는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2) 도3의 흐름도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코레일과 연계하여 환승보조금을 보장받는 법률적 관계를 설정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든 청구내역정보를 메인 서버(10)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10)에서 회원정보DB(11), 불량거래정보DB(102),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고 판단하기 때문에 정보보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으로 인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안정적으로 운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요금지급을 보장하여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적절하게 버스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서버의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원정보DB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6a와 도6b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시스템 및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회원의 거래에 대한 선택정보의 입력과 거래의 선정에 관한 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회원이 정보를 입력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최종거래보고서 작성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거래정보DB(103)에서 회원의 거래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원의 데이터에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와 마일리지정보DB(109) 등을 적용하여 거래보고서정보DB(110)로 저장되는 흐름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원의 지불방법 및 절차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거래정보DB(103)에서 차량별 분배되는 교통요금의 지불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관리서버(10)에서 대출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거래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버스운송업체, 소비자와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 등의 개별적 정보, 회원ID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거래계좌를 개설하는 회원등록단계(S100)를 거쳐야 한다. 회원은 도6a와 도6b에 의한 회원의 구분과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관계설정 및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에 관한 개별적 정보, 지급거래를 허락하는 회원ID, 비밀번호, 거래계좌의 개설 등을 회원정보DB(101)에 등록하며, 이러한 회원ID는 유일코드(unique code)로 관리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 시스템의 모든 정보는 회원ID에 의하여 목록화하기 때문에 회원ID는 유일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회원ID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회원ID 중복 여부 확인단계(S210)를 반드시 거쳐야 하며, 동일한 회원ID가 이미 등록된 경우에는 신청한 회원ID에 대해서는 가입신청이 거절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버스운송업체, 소비자와 물품 및 용역공급자 등의 회원가입과 회원ID, 비밀번호 및 거래구좌개설의 등록에 관한 정보는 버스운송지원센터가 관리하는 메인 서버(10)에서 불량거래정보DB(102)의 조회 등을 통하여 회원의 불량거래자 여부에 대한 판별단계(S220)를 거쳐서 회원정보DB(101)에 등록되며(S100), 불량거래자 정보는 불량거래정보DB(102)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에 관한 정보 및 도8에서 나열하는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양한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 등은 거래정보DB(103)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물품 및 용역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서비스정보DB(104)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차량에 관한 모든 자료 및 정보 등은 차량정보DB(105)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노선에 관한 모든 교통정보 등은 노선정보DB(106)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정류장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정류장정보DB(107)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링크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링크정보DB(108), 회원의 마일리지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마일리지정보DB(109), 회원의 거래에 관한 구체적 내역을 기재하는 보고서에 관한 정보는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각각 저장되고 관리된다. 상기의 회원ID 및 비밀번호에 관한 중복 여부 확인단계(S210) 또는 불량거래자 판별단계(S220)에서 해당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청절차를 종료하고 그 사실 및 이에 해당되는 이유를 설명하여 신청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1)(S812)를 거치게 된다.
이하에서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 시스템의 회원등록단계(S100)를 완료한 것을 전제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가입한 회원이 요청한 신청정보의 입력에 따른 각 단계의 진행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급거래의 각 단계는, 메인 서버(10)에 청구내역정보를 전송하는 버스운송업체, 소비자 및 물품 및 용역공급업자들의 회원 여부 및 회원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및 비밀번호 확인요청단계(S200)와,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와 ‘회원정보DB(101)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를 비교, 확인하는 회원ID와 비밀번호 및 청구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1)와,
상기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정보에 대하여 불량거래자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상태 확인단계(S212)로 이루어지는 회원ID 확인단계(S200)와,
상기 확인단계(S211)(S212)들 중에서 해당요건이 충족하지 않는 경우, 회원이 신청한 지급처리를 중단하고 그러한 거래의 신청에 대한 승인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1)(S812)와, 상기 확인단계(S211)(S212)들의 요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 회원의 지급거래 요청단계(S300) 및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의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와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를 비교하여 지급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거래가능 여부 판별단계(S400)와,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모든 지급 진행절차를 중단하고 그러한 거래의 승인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0)와,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청구내역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500)와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단계(S600)와, 상기 인증단계(S6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와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지급처리를 중단하는 거래불승인단계(S810)와, 상기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메인 서버(10)의 데이터 검색(S131)을 통하여 공제금액을 수정하고(S132), 공제금액 또는 수정된 공제금액을 확인하는 단계(S800)와, 상기 확인단계(S8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 받은 청구내역정보’와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거래를 승인하는 승인단계(S9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처리 흐름도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회원ID는 지급신청자의 회원등록 여부를 사전적 단계에서 미리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후속단계를 차단하며, 또한 등록된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정보내역의 목록코드 역할을 함으로써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수많은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목록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회원ID는 타인에게 노출되어도 무방하며, 만일 부정사용자에 의하여 회원ID가 도용되어도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와 다른 부당한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금융거래방법은 모든 청구내역정보를 메인 서버(10)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10)내에서 회원정보DB(101), 불량거래정보DB(102),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고 판단하게 때문에 정보보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용량의 청구내역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서버(10)로 전송함에 따른 처리속도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데이터의 압축 기술 및 통신기술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거래방법의 실시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여지는 없다.
도2은 본 발명에 의한 회원들 간의 금융거래 및 정보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로, 메인 서버(10)와, 상기 메인 서버(10)에 접속되어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기관 서버(20)와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압축 및 암호화/부호화 모듈 및 ODBC 또는 TCP/IT 등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한 자체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거래정보 및 신청내역정보를 송수신하는 회원의 단말기(30)와,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지의 통신시스템(40)과 스트리밍/웹 서버(60), 상호 간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전송하는 모듈 (201~2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서버(10)는 회원의 구분 및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 관련당사자들의 관계설정에 관한 정보, 지급거래를 요구하는 회원에 관한 개별적 정보와 회원ID, 비밀번호, 거래구좌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정보DB(101)와, 불량거래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거래정보DB(102)와,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에 관한 정보 및 도8에서 나열하는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양한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 등은 거래정보DB(103)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물품 및 용역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서비스정보DB(104)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차량에 관한 모든 자료 및 정보 등은 차량정보DB(105)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노선에 관한 모든 교통정보 등은 노선정보DB(106)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정류장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정류장정보DB(107)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링크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링크정보DB(108), 회원의 마일리지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마일리지정보DB(109), 회원의 거래에 관한 구체적 내역을 기재하는 보고서에 관한 정보는 거래보고서정보DB(110)와,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와 ‘회원정보DB(101)에 저장하고 관리되는 회원ID’ 및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연산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도3은 상기 메인 서버의 구성도로서, 상기 메인 서버(10)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버스운송업체, 소비자와 물품 및 용역공급자 등의 회원가입과 회원ID, 비밀번호 및 거래구좌개설의 등록에 관한 정보는 버스운송 지원센타가 관리하는 메인 서버(10)에서 불량거래정보DB(102)의 조회 등을 통하여 회원의 불량거래자 여부에 대한 판별단계(S212)를 거쳐서 회원정보DB(101)에 등록되며(S100),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에 관한 정보 및 도8에서 나열하는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양한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 등은 거래정보DB(103)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물품 및 용역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서비스정보DB(104)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차량에 관한 모든 자료 및 정보 등은 차량정보DB(105)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노선에 관한 모든 교통정보 등은 노선정보DB(106)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정류장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정류장정보DB(107)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링크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링크정보DB(108), 회원의 마일리지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마일리지정보DB(109), 회원의 거래에 관한 구체적 내역을 기재하는 보고서에 관한 정보는 거래보고서정보DB(110) 등으로 구성되는 DB관리서버(20)와 회원인증모듈(201), 거래관리모듈(203), 서비스관리모듈(204), 차량관리모듈(205), 노선관리모듈(206), 정류장관리모듈(207), 링크관리모듈(208), 마일리지관리모듈(209) 및 거래보고서관리모듈(210) 등으로 구성되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관리서버(26) 및 회원이 개설한 개별적 회원계좌(1101)를 관리하는 계좌관리모듈(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리모듈들은 관리서버와 함께 상호 간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관리모듈은 관리서버와 지속적 신호연결관계를 취하면서 회원들의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신청, 주문, 결제, 배송, 거래 및 서비스의 조회, 손해배상, 지역별 관리센터 및 스마트코디 등의 정보, 사은품 정보, 상품권 정보, 마일리지 정보, 상품 및 서비스 분류기준정보, 주문 및 상담 내역, 수수료 및 회원가상계좌 내역, 거래보고서정보 전달 등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을 위한 모든 절차와 과정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진행에 따라서 각 절차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필요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역으로 로딩, 출력함으로써, 관리서버의 전체적인 절차진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가령, 회원의 신청이 합당한 것인가의 여부,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에 필요한 버스운송지원센터의 지역별 선정, 소비자, 물품 및 용역의 공급, 주문, 스마트코디 등의 대상을 어떻게 설정하고 진행할 것인지의 여부, 지역적 적절한 차량, 노선, 정류장, 링크 등의 설정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여부,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범위와 조건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의 여부, 제공하는 거래보고서 정보의 범위와 조건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의 여부 등을 신뢰할 수 있도록 심사하고 평가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도4는 회원정보DB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회원정보DB에는 회원등록을 통하여 회원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회원ID를 저장하는 회원ID필드(10111), 해당 회원의 상호 또는 성명, e-mail주소를 포함하는 우편주소, 전화 및 팩스번호, 사업성격 및 성별, 거래은행구좌번호 등 회원에 관한 개별적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필드(10112), 해당회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필드(10113)와 해당회원의 사업성격에 따라서 구분하는 회원구분필드(10114)가 적어도 포함된다.
도5은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을 통하여 메인 서버(10)에 접속하며 (S10110), 회원의 사업성격구분에 따른 가입 여부를 결정한다 (S10120). 회원의 사업성격구분에 따른 가입선택의 버튼을 누르면, 회원의 개별적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S10130). 회원의 개별적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회원에게 ID와 임시비밀번호가 부여되고, 거래계좌가 신설되고, 회원스마트카드가 발급됨으로써 (S10140) 가입절차가 종료된다. 비밀번호는 나중에 변경이 가능하며, 회원이 원하는 ID와 비밀번호의 입력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온라인 및 이동통신을 통한 가입이며, 물론 오프라인을 통한 가입도 가능하다.
도6a와 도6b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구성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소비자 (111), 버스운송지원센터 (112), 물품 및 용역 공급업자 (113), 코레일 (114), 버스운송업체 (115), 대출기관(116), 법원등기소(117), 스마트코디(118) 등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을 구성하는 이해 당사자들은 일반적으로 당사자간에 체결된 계약관계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도 7는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회원의 거래에 대한 선택정보의 입력과 거래의 선정에 관한 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회원ID와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회원확인절차와 정상회원확인절차(S2010)를 거치면,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S2020)(S2030), 이러한 신청정보는 다시 변경이 허용되며(S2040), 신청정보가 최종적으로 확인되면,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에 대한 임시승인 절차를 거쳐서(S2050), 신청절차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2070).
도8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회원이 정보를 입력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회원의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의 개별적 정보를 입력하려면(S200), 회원에게 1차적으로 회원별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1010), 다음으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1020), 다음으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을 위하여 제공되는 교통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1030), 다음으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차량 및 정류장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1040), 다음으로 거래보고서 및 거래계좌 등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1050), 다음으로 클레임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1060), 마지막으로 회원들이 요구할 수 있는 질문정보, 신청정보, 부가/추가정보 등을 포함하는 기타정보분류를 안내하여(S11070), 이와 같이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거래보고서 서비스신청에 관한 정보의 선택은 종료된다(S11080). 물론 모든 절차를 차례로 거쳐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회원정보DB(101)에 저장되는 해당회원의 회원분류필드(1014)의 구분에 따른 신청자의 성격에 따라서 불필요 절차는 자동적 생략되게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도9는 회원의 데이터에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와 마일리지정보DB(109) 등을 적용하여 거래보고서정보DB(110)로 저장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신청자의 데이터를 입력하고(S11010), 입력된 데이터는 최대한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S11011, S11012) 분류, 정렬, 저장되고(S11020), 신청자 본인의 개별적 거래분석 및 평가와 ICD/ICF/ICHI의 국제공통표준언어를 적용하고 최대한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S11021, S11022) 본인에게 필요한 변환절차를 거쳐서 거래보고서가 작성되며(S11040), 신청자의 요구사항, 결과의 정확도, 시스템의 정상적 작동, 시스템의 upgrade에 의한 수정 및 변경 등을 고려하여 결과를 승인하는 경우, 회원 본인의 최종거래보고서가 작성되고(S11045), 진행절차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1050).
도10은 거래정보DB(103)에서 회원의 거래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회원ID와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회원확인절차를 거치면(S10310), 회원이 이용할 수 있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범위를 안내하며(S103101), 이러한 범위에서 회원이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를 주문하면(S103102), 거래 가능한 종류와 그 거래절차에 대한 진행안내가 제공되고(S103103) 거래진행과 함께 지원서비스의 비용안내가 제공되고(S103104), 지원서비스에 대한 청약과 승낙이 이루어져서 거래가 실행을 주문하면(S103105), 이러한 거래의 인증절차를 거쳐서(S103106), 거래정보가 회원거래구좌를 통하여 전송되고(S103107), 등록회원이 거래를 승인하는 경우(S103108), 주문한 지원서비스의 거래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03110). 실행된 거래에 대한 정보가 요약되어 회원거래구좌를 통하여 전송된다(S103111).
도11은 회원의 지불방법 및 절차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회원이 발급받은 스마트카드를 사용하여 결제수단을 선택하면, on-ine 또는 off-line 결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12는 거래정보DB(103)에서 회원의 지불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를 소지한 회원이 결제를 요청하면 (S10320), 회원이 이용할 수 있는 지급수단에 관한 결제방법 및 순서를 안내하고 (S10330), 이러한 지급수단에 의한 결제방법 및 순서가 충족되면(S10340), 회원의 거래정보를 요청하고 (S10350), 거래에 관한 결제요건이 충족되면 (S10360), 요청한 거래가 승인되며 (S10370), 거래정보가 회원가래구좌를 통하여 전송되고 (S10380), 요청한 거래가 유효하게 종료된다 (S10390).
도13은 거래정보DB(103)에서 차량별 분배되는 교통요금의 지불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회원이 스마트카드를 사용하여 결제를 요청하면(S10320), 약정된 교통요금이 징수되며(S10321), 환승여부에 따른(S10322), 버스노선이 결정되며(S10323), 약정사항에 따라서 분배된 요금은(S10324), 차량별로 분배되면(S10325), 요청한 거래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0326).
도14는 관리서버(10)에서 대출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신청자가 정상회원으로 확인되면(S2710), 대출신청서를 작성하고(S2720), BPSS정보를 바탕으로 회원거래정보를 제공하고(S2730), 대출기관과 여신거래약정서를 체결하고(S2740), 회원 및 사업본부가 제공한 회원거래정보를 근거로 대출의 심사를 거쳐서 승인이 결정되고(S2750), 회원의 지정한 계좌에 대출금이 지급되면(S2770), 대출에 관한 진행절차는 유효하게 종료된다(S277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회원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등록을 신청(S100)하되, 회원가입 대상자는 업소 별 개별적 정보, 거래를 위한 회원ID, 비밀번호, 거래구좌 등에 관한 정보를 회원정보DB(101)에 등록하는데, 이러한 회원의 회원ID 및 비밀번호는 유일하며, 동일한 회원ID 및 비밀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S200)에는 가입신청이 거절(S811)되며, 이러한 회원 등록정보는 메인 서버(10)로 전송되며, 불량거래정보DB(102) 조회 등을 통하여 회원등록 여부를 결정 한다 (S210).
상기 메인 서버(10)에서 회원등록에 문제가 없으면, 회원정보DB(101)에 회원정보를 등재하고, 해당 회원의 회원ID를 유효한 코드로 등록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유일코드(unique code)인 회원의 회원ID를 기준으로 하여, 회원의 각종 개별적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되므로 상기 메인 서버(10)는 회원ID의 중복 등록 여부를 확인 및 점검하는 단계(S20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이렇게 등록된 회원의 시스템 이용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지급거래 및 정보취득을 희망하는 경우, 회원이 회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회원ID 확인요청단계(S200)를 거치면, 입력된 정보는 메인 서버(10)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서버(10)에서는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가 회원정보DB(101)에 저장하고 관리되는 회원ID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11)(S200).
다음에,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의 거래정보를 조회한다(S212). 거래정보 조회는 VAN시스템(50)을 통하여 금융기관 서버(20)에 접속하여 해당 회원의 불량거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에, 상기의 등록된 회원ID 여부와 거래 상태에 이상이 없으면, 메인 서버(10)는 상기 단말기(30)로부터 청구내역정보를 입력하고 지급요청단계(S300)를 거치게 되고,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를 메인 서버(10)를 통하여 등록된 신청내역정보와 비교하여 거래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400)을 거치게 된다.
다음에, 위의 조건이 충족되면, 메인 서버(10)는 상기 단말기(30)를 통하여 전송된 청구내역정보를 입력 받아(S500), 회원정보DB(101),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비교,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확인단계(S600)를 거치고, 상기 청구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회원정보DB(101),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메인 서버(10)의 데이터 검색(S131)을 통하여 공제금액 또는 정보제공범위를 수정하고(S132), 수정된 공제금액 또는 수정된 정보를 입력(S700), 확인하는 단계(S800)를 거친 후,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청구내역정보’와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거래 또는 정보제공을 승인하고(S900), 일치하지 않으면 신청을 거절하는 통보(S810)를 함으로써 일련의 절차가 종료된다.
도2은 또한 본 발명의 메인 서버(10)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웹 서버(60)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회원들을 메인 서버(10)에 접속해 주는 역할을 한다. 메인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로는 회원의 구분 및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 당사자들의 관계설정에 관한 정보,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에 관한 개별적 정보와 회원ID, 거래계좌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정보DB(101), 불량거래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거래정보DB(102),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에 관한 정보 및 도8에서 나열하는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양한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 등은 거래정보DB(103)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물품 및 용역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서비스정보DB(104)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차량에 관한 모든 자료 및 정보 등은 차량정보DB(105)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노선에 관한 모든 교통정보 등은 노선정보DB(106)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정류장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정류장정보DB(107)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링크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링크정보DB(108), 회원의 마일리지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마일리지정보DB(109), 회원의 거래에 관한 구체적 내역을 기재하는 보고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보고서정보DB(110)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운송업체가 직접 매번 번거로운 지급이나 운송사업에 관한 정보제공에 관여하거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으로 인정되는 회계범위 이내에서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안정적으로 버스운송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환승요금의 지급을 보장하여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버스운송사업의 시스템 전체에 효율성을 유지하며, 버스운송사업체들에게 적절하게 버스운송사업에 관한 투명한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여, 모든 회원들의 권리와 이익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 시스템 전체에 투명성을 보장하고 효율성을 유지하는 새로운 개념의 거래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메인 서버
101: 회원정보DB
102: 불량거래정보DB
103: 거래정보DB
104: 서비스정보DB
105: 차량정보DB
106: 노선정보DB
107: 정류장정보DB
108: 링크정보DB
109: 마일리지정보DB
110: 거래보고서정보DB
20: 금융기관 서버
30: 회원 단말기
40: 통신시스템
50: VAN시스템
60: 웹 서버
70: 금융기관 서버

Claims (6)

  1. 가입한 회원들이 회원ID와 비밀번호의 입력만으로도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으로 인정되는 범위 이내에서 약정한 모든 대금지급이 지정된 기간 이내에 자동적 결제되어 회계상 처리되고, 회원의 권리와 이익이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되고,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을 통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편의를 제공하고, 버스운송서비스의 미흡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중교통의 이용자를 증가시켜서 고속철도 및 버스 이용자, 버스운전사, 버스회사 및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과 거래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거래의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회원가입 신청자들의 개별정보, 회원ID 등을 등록하여 개별적 계좌를 개설한 회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원등록단계(S100);
    가입한 회원들 간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의 거래에 관하여 신청내역정보를 전송하는 회원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요청단계(S200);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회원정보DB(101)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를 비교, 확인하는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
    상기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정보에 대하여 불량거래자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상태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회원ID 확인단계(S220);
    상기 확인단계(S210)(S220)들의 요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 회원의 거래 신청단계(S300);
    상기 회원ID 확인단계(S200)를 거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과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의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을 비교하여 승인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인가능 여부 판별단계(S400);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를 거쳐 회원정보DB(101)에 등록된 회원이 거래한 모든 거래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단계(S500);
    상기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를 거쳐 회원정보DB(101)에 등록된 회원이 거래한 모든 거래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단계(S500)를 거친 후,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단계(S600);
    상기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데이터의 검색(S131)을 통하여 정보를 수정 및 추가하고(S132), 본인이 직접 본인의 수정정보 또는 추가정보를 입력하고(S700), 확인하는 단계(S800)와
    상기 확인단계(S8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원ID에 관한 중복 여부 확인단계(S210) 또는 불량거래자 판별단계(S220)에서 해당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회원등록 절차를 종료하고 그 사실 및 이에 해당되는 이유를 설명하여 회원등록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1)(S812)를 더 포함하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모든 진행절차를 중단하고 그러한 거래의 승인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0)를 더 포함하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S6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거래를 중단하는 거래불승인단계(S810)를 더 포함하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5. 회원 본인의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거래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서 데이터의 검색(S131)을 통하여 정보를 수정하고(S132), 수정된 정보를 입력(S700), 확인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6. 회원에게 필요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거래방법에 있어서,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 시스템의 회원에 관한 인적 정보와 회원ID 및 신청내역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정보DB(101), 불량거래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거래자정보DB(102), 물품 및 용역공급자의 지급거래에 관한 정보 및 도8에서 나열하는 버스정류장 임대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양한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 등은 거래정보DB(103)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거래에 관한 정보 및 도8에서 나열하는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양한 업체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관한 정보 등은 거래정보DB(103)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물품 및 용역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서비스정보DB(104)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차량에 관한 모든 자료 및 정보 등은 차량정보DB(105)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노선에 관한 모든 교통정보 등은 노선정보DB(106)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정류장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정류장정보DB(107)에,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 지원서비스사업의 링크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링크정보DB(108), 회원의 마일리지에 관한 모든 정보는 마일리지정보DB(109), 회원의 거래에 관한 구체적 내역을 기재하는 보고서에 관한 정보는 거래보고서정보DB(110),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상기 회원정보DB(101)에 저장하고 관리되는 회원ID' 및 '거래정보DB(103), 서비스정보DB(104), 차량정보DB(105), 노선정보DB(106), 정류장정보DB(107), 링크정보DB(108), 마일리지정보DB(109)와 거래보고서정보DB(110)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연산장치(미도시)로 구성되는 메인 서버(10);
            상기 VAN시스템(50)을 통하여 메인 서버(10)에 접속되어 해당 회원의 불량거래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기관 서버(20)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압축 및 암호화/부호화 모듈 및 ODBC 또는 TCP/IT 등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한 자체 통신모듈이 내장되는 단말기(30);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지의 통신시스템(40)으로 구성되며 회원들에게 지급하는 거래의 방법.
KR1020150024941A 2015-02-23 2015-02-23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10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41A KR20160102639A (ko) 2015-02-23 2015-02-23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41A KR20160102639A (ko) 2015-02-23 2015-02-23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39A true KR20160102639A (ko) 2016-08-31

Family

ID=5687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41A KR20160102639A (ko) 2015-02-23 2015-02-23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26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594B2 (en) Delayed transit fare assessment
US7731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US8954344B2 (en) Methods of offline fare collection for open-loop and hybrid card systems
KR100662675B1 (ko) 전자적 무역 거래 서버, 판매자용 클라이언트, 구매자용클라이언트 및 전자적 무역 거래 방법
Mezghani Study on electronic ticketing in public transport
JP6689782B2 (ja) トランジット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使用される記憶値カードを提供し、リロードし、兌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90143247A (ko) 대중교통이용에 따른 탄소배출권 인증시스템
US20150199664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facilitating access to transportation services
KR20110031046A (ko)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83325A (ja) 交通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および交通機関用記憶装置
KR20160102639A (ko) 고속철 연계 버스운송사업 지원서비스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
TW202247090A (zh) 為自動駕駛汽車的團體使用者提供移動服務的方法及系統
CN115861000A (zh) 云上车站系统及云上车站系统的交互方法
Michou et al. Electronic Toll Management Payment Scheme based on Vehicular Ad-hoc Networks and Cardano's Blockchain Platform
KR20110012326A (ko) 일반인이 제공하는 아이디어의 개발 및 투자실행을 위한 사업으로서 회원가입을 통한 거래의 방법 및 그 시스템
Scărișoreanu Integrated e-ticketing: Solution to make public transport more attractive than personal cars
US202203918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loading, and redeeming stored value cards used in transit applications
TWI748229B (zh) 基於區塊鏈之停車費交易方法及系統
Long Implementation of multimodal electronic payment systems: lessons from Los Angeles and Minneapolis-St. Paul
KR20160097477A (ko) 택배대리수령 지원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Vo et al. Operational Concepts for Distributed Ledger in ITS Use Cases: Blockchain Research and Deployment Technical Services Support
Zacepins et al.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Subsidies Using Contactless Bank Cards.
Kovalova Improved procedure for calculating tariff plans, compensation systems and the cost of a round trip
ELMessiry et al. Vehicle Ownership, Leasing, and Rental Blockchain Protocol VOLR BP
KR20160097479A (ko) 조립식 버스정류장 임대사업의 거래에 관한 방법 및 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