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046A -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046A
KR20110031046A KR1020090088764A KR20090088764A KR20110031046A KR 20110031046 A KR20110031046 A KR 20110031046A KR 1020090088764 A KR1020090088764 A KR 1020090088764A KR 20090088764 A KR20090088764 A KR 20090088764A KR 20110031046 A KR20110031046 A KR 20110031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ransaction
information
sam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693B1 (ko
Inventor
이기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Priority to KR102009008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93B1/ko
Priority to PCT/KR2009/005661 priority patent/WO2011034230A1/ko
Publication of KR2011003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의 결제 및 정산과 타 전자화폐사의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사업자별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지불 SAM이 장착되어, 기존 교통카드 또는 호환형 교통카드로 식별한 후, 해당 식별 교통카드에 따른 지불거래 처리를 수행하는 카드 단말기와, 카드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자사 카드 단말기에서 거래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해 정산처리하고, 타사 카드로 결제된 거래내역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사업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통카드, 단말기, 지불SAM

Description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ayment and adjustment compatibility type traffic card and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의 결제 및 정산과 타 전자화폐사의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D 인식분야에서 바코드 시스템과 마그네틱 카드 시스템은 상품과 신용카드 혹은 공중전화카드로서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생산방식의 변화, 문화 및 기술의 진보 등으로 이를 개선한 스마트 카드(SMART CARD)와 RFID카드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여기서, 스마트 카드는 IC카드라고도 칭한다.
지불SAM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비접촉식 전자화폐 단말기에 사용되는 지불 보안응용모듈(SAM, Secure Application Module)의 물리적 특성 및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규격으로 국내 비접촉식 전자화폐의 호환 사용을 위한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는 지불에 관련된 보안응용모듈에 대한 표준 규격이다.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카드 운영체제,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갖춤으로써 특정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집적회로 칩을 내장한 신 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 카드이다. 스마트 카드는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카드와, 비접촉식 카드, 겸용카드(콤비카드)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대중교통 이용 국민의 생활권역의 확대로 광역화된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나 다양한 교통카드 사업자들의 개별기술에 의한 시스템 구축으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현행 교통카드는 권역별 민간 사업자가 운영 중에 있음으로 인하여 상호호환이 안되어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민간 사업자 과점에 의한 시장발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영주체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개발의 중복투자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교통카드 인프라의 독자구축으로 인접 지역간 활용도가 감소하며 KS 표준 미 준수에 의한 신뢰성 저하 및 사회적 비용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KS에 따른 전국호환 교통카드 및 관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표준기술을 개발하고 기능 및 성능 확인을 위한 시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교통카드 전국호환 서비스 제공의 기술적 기반을 조성하고 전국호환 교통카드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다양화, 신뢰성, 실시간 운용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국적으로 호환 가능한 교통카드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 발급 사업자와 카드 결제대상인 사업자 상호간 결제내역 호환 및 정산을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지역별 또는 사업자 간 규격이 상이하게 구축되어 있는 교통카드 시스템이 상호 호환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에 대한 중복투자를 방지하며, 나아가 교통카드 시스템에 대한 국가차원의 기술적 표준을 규정하여 안정성 있는 교통카드 시스템의 구축 및 보급에 기여함에 있다.
본 발명은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사업자별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지불 SAM이 장착되어, 기존 교통카드 또는 호환형 교통카드로 식별한 후, 해당 식별 교통카드에 따른 지불거래 처리를 수행하는 카드 단말기; 및 상기 카드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자사 카드 단말기에서 거래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해 정산처리하고, 타사 카드로 결제된 거래내역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사업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카드운 영체제(COS)로 설정되는 전용파일(Config DF)을 인식하여, 교통카드가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지 또는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 (a)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교통카드가 호환 기능을 가질 경우, 전자화폐 AID(Application IDentifier)를 기반으로 부가정보인 환승정보, 입구정보를 확인한 후, 호환 기능을 갖는 표준 카드의 DF를 선택하여 표준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c)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집하고, 상기 교통카드가 자사 발급카드인지 또는 타사 발급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 (c) 단계의 판단결과, 타사 발급카드인 경우,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타사 정산서버로부터 자사 발급 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 (d) 단계의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상호 정산처리하고, 해당 거래내역에 대한 거래대금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입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국호환형 교통카드로 결제 및 정산과 타 전자화폐사의 결제 및 정산을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드 발급 사업자와 카드 결제대상인 사업자 상호간 결제내역 호환 및 정산을 하여, 종래 지역별 또는 사업자별로 상이하게 구축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대한 중복투자 방지가 가능하며, 전국호환형 교통카드 사업자 간 공통적인 정산전문을 토대로 구축되어 국가공통의 안정적인 교통카드 시스템 운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은 교통카드(100), 카드 단말기(200), 사업자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교통카드(100)-
여기서, 교통카드(선불IC카드)는 금전적 가치가 IC칩에 저장되고, 교통 등 다양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데 사용되는 카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불IC카드는 전국 호환형 교통카드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불IC카드에 대해 설명하면, 각 교통카드 사업자사와의 호환사용을 위하여 다음 파일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카드 내의 파일에는 전용파일(DF:Divert File) 및 요소파일(EF:Element File)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 구조의 계층구조(Tree Structure)를 가진다.
여기서, 전용파일(DF)은 각 사업자와의 호환사용을 위하여 Config DF라는 ADF(Add Field)를 추가하여, 교통 호환 ADF의 정보를 저장하고 거래 시 이를 외부 에 제공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호환 기능은, 전국호환 교통카드와 기존 카드를 구분하기 위해 단말기에서는 먼저 Config DF를 선택한 다음에 나오는 응답에서 표준거래를 할 것인지, 혹은 기존 거래를 할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표준 거래를 위한 명령어는 KS-6924 규격에 맞는 명령어를 정의하고 있다.
-카드 단말기(200)-
카드 단말기(200)는 각기 다른 사업자별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지불 SAM이 장착되어, 기존 교통카드 또는 호환형 교통카드로 식별한 후, 해당 식별 교통카드에 따른 지불거래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카드 단말기는 비접촉식 IC칩(전국 호환형 교통카드)의 유효성(Validation)을 인증하고 보안성을 유지해주는 보안인증 IC칩의 장착이 가능한 카드형태의 지불 SAM(Secure Application Module, 보안응용모듈)이 장착되어, 호환형 교통카드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단말기는 내부 안테나를 이용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전자카드에 대한 이용 요금 징수 및 충전, 잔액 조회 등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 접촉식 카드리더, 제어보드, 지불SAM보드로 구성되며, 제어보드는 카드 단말기의 지불거래 운영을 위한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지불거래 운영은 기존 교통카드와 전국 호환 기능의 교통카드를 식별한 후, 각 교통카드의 운영 알고리즘에 따라 지불 거래를 수행토록 한다.
여기서, 카드 단말기는 RS-232를 통해 교통카드와 전자지불 관련 처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보드(CPU B'd)와 지불SAM보드(SAM B'd)에서 동시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며, ISO-7816 통신 규격을 갖는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 기능과, ISO-1443 통신 규격을 갖는 비접촉 전자카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도록 하드웨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상기 비접촉 전자카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비접촉식 통신 방식에 따른 B-type 통신방식과, A-type 통신방식 모두가 적용되는 하드웨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도로공사 단말기, 버스 단말기, 철도공사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전국호환 교통카드의 무선 프로토콜 형식(typeA/B)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현재 설치되어 있는 고속도로 전자카드 시스템에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위한 기능을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측면으로 변경되더라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자 카드의 사용에는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카드 단말기는 전국호환 카드에 대한 처리 프로세스를 갖는데, 교통카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하이플러스 카드, K-Cash 카드, X-Cash 카드 중 하나의 카드를 검출한다. 예를들면, 철도공사 전자카드의 경우 기존 철도공사 전자카드 처리 순서를 따르고 전국 호환 교통카드의 경우 전국 호환교통카드 처리 순서를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카드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요금터미널 제어기 인터페이스를 위해 RS-232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되고, 전자카드 인터페이스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기능을 갖는다. 모바일 결제 인터페이스는 RS-232 통신으로 예비 포트를 구성하고, SAM 슬롯은 1개의 SIM 접속을 위한 포트를 구성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ATMEL 사의 ATmega128로 이루어진 8 bit 마이컴로써, 동작 클럭 14.7456MHz, 128KB의 Flash Memory, 4KB EEPROM, 4KB SRAM, 2개의 UART를 포함하여, Programmable IO Line을 갖는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를 이용한 전자카드 통신 거리는 10mm 이상이고, 전자카드 통신 속도는 400mS 이하(한국도로공사 SAM 기준), 안테나 크기는 90 mm x 90 mm이고, O/S가 없으며, 입력 전원으로 DC 5V, 12V의 Battery Back-Up 전원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제어 보드를 운영하기 위한 처리 프로세서 즉, 교통카드 단말기의 운영 알고리즘은 호환기능을 갖는 교통카드의 카드운영체제(COS)에 기반한다. 이러한 카드운영체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내의 파일에는 전용파일(DF:Divert File) 및 요소파일(EF:Element File)과 같은 디렉토리 구조의 계층구조(Tree Structure)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전용파일(DF)은 각 사업자와의 호환사용을 위하여 Config DF라는 ADF(Add Field)를 추가하여, 교통 호환 ADF의 정보를 저장하고 거래 시 이를 외부에 제공토록 하고 있다. 또한, 환승정보, 입구정보 등 거래 시 필요한 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필수 파일을 지정한다.
이러한 호환 기능은, 전국호환 교통카드와 기존 카드를 구분하기 위해 단말기에서는 먼저 Config DF를 선택한 다음에 나오는 응답에서 표준 거래를 할 것인지, 혹은 기존 거래를 할 것인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국 호환기능을 갖는 카드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단말기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단말기는 교통카드와 RS-232를 통해 전자지불 관련 처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기존 카드와 전국호환 카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감시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해당 식별 교통카드에 따른 지불거래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10), RS-232방식으로 교통카드와 통신하며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요금터미널 제어기 인터페이스부(20), 내부 단말기의 RF부 이상에 대비한 예비 포트로서 과전류 방지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기존 카드 및 전국호환 카드를 제어하는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30), ISO-1443방식으로 상기 카드와 통신하되, 상기 기존 카드 및 전국호환 카드에 대한 비접촉식 통신방식을 운영제어하는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드 단말기는 내부 CPU 보드와 SAM 보드에서 동시 접근이 가능하며, 통신 사양으로, 115,200BPS의 통신속도를 갖고, 1 비트의 Stop Bit를 포함하여 No Parity통신 프로토콜을 형성한다.
여기서, 처리부(10)는 판단모듈(11), 정보조회모듈(12), 지불거래모듈(13), 재거래모듈(14), 취소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판단모듈(11)은 카드운영체제(COS)로 설정되는 전용파일(Config DF)을 인식하여, 상기 교통카드가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지 또는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정보조회모듈(12)은 판단모듈의 판단결과,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 교통카드인 경우, 상기 전용파일을 토대로 전국 호환카드 거래를 위한 정보조회를 수행하며, 지불거래모듈(13)은 정보조회모듈의 정보조회를 기반으로 상기 지불SAM과의 지불 거래를 수행하고, 재거래모듈(14)은 지불 거래 수행 중 사용자 카 드에서는 차감되었으나 상기 지불SAM으로 가치가 이동되지 못한 경우에 재거래를 수행하며, 취소모듈(15)은 카드 소지자의 요청에 따라 직전 거래에 대한 지불 취소 거래를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0)의 각 구성요소인 지불거래모듈(13), 재거래모듈(14), 취소모듈(15)에서 "모듈" 하위 개념으로 편의상 "~수단"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지불거래모듈은 초기화수단(1)과 지불거래수단(2)을 포함한다. 초기화수단(1)은 교통카드로 초기화 명령(Initializ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초기화 명령에 따라 교통카드 알고리즘정보(ALGIEP), 서명키(VKIEP_KDP), 거래 전 잔액정보(BALIEP), ID 센터명(IDCENTER), 교통카드 ID 정보(IDIEP), 교통카드 거래일련번호(NTIEP)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S1)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초기화 명령(Initialize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상기 초기화 명령에 따라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서명정보(S2)를 수신한다.
그리고 지불거래수단(2)은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교통카드로 지불거래 명령(Purchas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제3 서명정보(S3)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지불거래 명령(Credit SAM Command)을 전송하여, 거래 기록을 생성하고 거래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재거래모듈은 재초기화수단(3)과 재거래수단(4)을 포함한다. 재초기화수단(3)은 교통카드로 재초기화 명령(RE Initializ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교통카드로부터 재초기화 명령에 따라 교통카드 알고리즘 정보(ALGIEP), 서명키(VKIEP_KDP), 거래 전 잔액정보(BALIEP), ID 센터명(IDCENTER), 교통카드 ID정보(IDIEP), 교통카드 거래일련 번호(NTIEP), 거래된 교통카드의 ID정보(IDSAM_LOG), 카드단말기 정보(MPDA_LOG), 교통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S1)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재초기화 명령(RE Initialize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지불SAM으로부터 상기 재초기화 명령에 따라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서명정보(S2)를 수신한다.
그리고 재거래수단(4)은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교통카드로 재거래 명령(RE Purchas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제3 서명정보(S3)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재거래 명령(RE Credit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재거래 정보에 대한 개별거래 내역을 등록한다.
다음으로 취소모듈은 거래취소 초기화수단(5)과 거래취소수단(6)을 포함한다. 거래취소 초기화수단(5)은 교통카드로 거래취소 초기화명령(Initialize CARD For Cancellation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거래취소 초기 화명령에 따라 교통카드 알고리즘 정보(ALGIEP), 서명키(VKIEP_KDP), 거래 전 잔액정보(BALIEP), ID센터명(IDCENTER), 교통카드 ID 정보(IDIEP), 교통카드 거래일련 번호(NTIEP), 거래된 교통카드의 ID정보(IDSAM_LOG), 카드단말기 정보(MPDA_LOG), 교통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S1)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거래취소 초기화명령(Initialize SAM For Cancellation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상기 거래취소 초기화명령에 따라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서명정보(S2)를 수신한다.
그리고 거래취소수단(6)은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교통카드로 취소명령(Cancellation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제3 서명정보(S3)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취소명령(Cancellation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직전거래 기록을 소거하고 상태코드를 정상으로 변경한 후 거래를 종료시킨다.
참고로, 전국 호환카드 거래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Config DF의 EFconfig로 Application 정보 조회를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카드 단말기(PDA:Purcharge Device Application)는 전국 호환카드로 교통 호환 ADF의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ADF(ADded File)는 전국호환을 위해 카드로 부가된 파일로서, 상기 카드 단말기(PDA)는 해당 카드로 Config DF를 요청하는 것이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전국호환 교통카드(IEP)는 상기 카드 단말기(PDA)로 ADF 정보요청에 응답하는 설정된 임의의 코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임의의 코드는 표준 거래, 기존 거래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이다. 따라서, 카드 단말기(PDA)는 Config DF를 선택한 다음에 나오는 응답에서 표준 거래를 할 것인지, 혹은 기존 거래를 할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 단말기(PDA)는 임의의 코드를 접수한 후, 상기 전국호환 교통카드(IEP)로 EFconfig를 요청한다.
상기 전국호환 교통카드(IEP)는 단말기(PDA)로부터 EFconfig 요청에 응답하여, IDCENTER, AID length, DF Name, 부가 Data File 정보, 카드 소지자 정보, 유효기간 정보를 상기 카드 단말기(PDA)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IDCENTER는 한국전자지불산업협회에서 지정한 교통 사업자의 고유 번호이다. 상기 교통호환 사업자는 고유의 IDCENTER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0x00 번지는 Reserved 영역이고, 0x01 번지는 금융결제원 사업자이고, 0x02 번지는 에이캐시 사업자이며, 0x03 번지는 마이비 사업자이고, 0x04 번지는 Reserved 영역이며, 0x05 번지는 브이캐시 사업자이고, 0x06 번지는 몬덱스코리아 사업자, 0x07 번지는 한국도로공사 사업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0x08 번지는 한국스마트카드 사업자, 0x09 번지는 코레일네트웍스 사업자, 0x0A 번지는 Reserved 영역이며, 0x0B는 이비 사업자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AID length는 부가정보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승정보, 입구정보 등 거래 시 필요한 부가정보에 대한 총 길이를 나타내며, 상기 부가 Data File 정보를 통해 부가정보의 내용을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DF Name은 전용파일 즉, Config DF(Divert File)의 이름을 나타내고, 이외에 카드 소지자 정보, 카드의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 단말기(PDA)는 전술된 바와 같이, Config DF의 EFconfig로 Application 정보 조회함으로써, 전국호환 교통카드 거래의 종류를 파악한다.
또한 요금터미널 제어기 인터페이스부(20)는 RS-232통신 방식을 갖고, 115,200 bps의 통신속도 및 1 Stop 비트의 No Parity의 8비트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30)는 ISO-7816 통신방식이 적용되며,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40)는 ISO-1443 방식으로 교통카드와 통신하고, 106,000 bps의 통신 속도를 갖는다.
여기서,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40)는 기존 카드 통신과 전국호환 카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두 개의 RF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카드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전송(Tx)부 및 수신(Rx)부로 이루어진다. 이를 도 4에 도시된 회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40)의 RF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ISO-1443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교통카드와 기존 카드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컨트롤러(41),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ISO-1443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교통카드 와 전국호환 카드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컨트롤러(42)로 이루어지며, 제1 컨트롤러 및 제2 컨트롤러로 정격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발생 회로(43),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신전계 검출회로(44), 제1 컨트롤러 및 제2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송부 즉, RF송신 회로로 전송하는 통신 스위치회로(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클럭발생 회로(43)는 13.56MHz의 크리스털 발진소자 및 패키지화된 발진회로를 포함하며, 수신전계 검출회로(44)는 현재 접수되는 수신값에 대응하는 시그널을 AND회로를 이용한 버퍼를 통해 제1 컨트롤러(41)로 제공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처리부(10)는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 및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를 순차적으로 기동하여, 현재 접근되는 카드가 접촉식인지 또는 비접촉식인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접촉식일 경우 처리부는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만을 기동시켜 접촉식 카드에 대한 카드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지불거래, 지불 재거래, 지불 취소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비접촉식일 경우,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만을 기동시킨다. 이후,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컨트롤러를 순차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현재 비접촉식 카드가 기존 카드인지, 전국호환 카드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카드 종류를 판단하는 것은 수신전계 검출회로에 근거하여 안테나로부터 접수되는 수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수신 데이터는 통신 스위칭회로를 통해 제1 컨트롤러로 입력되고, 입력된 수신 데이터는 제1 컨트롤러의 데이터포트를 거쳐 처리부로 공급된 후, 처리부가 수신데이터를 분석하여 카드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전국 호환기능을 갖는 교통카드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에 의거 지불거래를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 지불거래를 위한 단말기의 운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단말기의 운영은 크게, Config DF의 EFconfig를 토대로 전국 호환카드 거래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 거래 전 정보조회 프로토콜를 기반으로 지불SAM과의 거래를 위한 지불 거래를 수행하는 과정, 지불 거래 수행 중 사용자 카드에서는 차감되었으나 지불SAM으로 가치가 이동되지 못한 경우에 재거래를 수행하는 지불 재거래 과정, 카드 소지자의 요청에 따라 직전 거래를 취소하기 위한 지불 취소 거래 과정으로 분류된다.
전국 호환기능을 갖는 교통카드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살펴 보면, 카드 단말기에 의해 교통카드가 인식된다. 먼저, 교통카드의 카드운영체제(COS)로 설정되는 Config DF를 인식하여, 현재의 교통카드가 호환 기능을 갖는지 또는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기존의 카드일 경우, 기존 카드의 DF를 선택하고, 기존 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수행한다.
반면, Config DF 인식 결과 현재의 카드가 호환 기능을 가질 경우, 전자화폐 AID(Applcation IDentifier) 즉, 부가정보인 환승정보, 입구정보 등 거래 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호환 기능을 갖는 표준 카드의 DF를 선택한다. 이는 표준 카드로써 X-CASH인지, K-CASH인지, 하이플러스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해당 표준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수행한다. 이러한 호환기능의 표준 카드의 지불절차는 각 사와의 호환사용을 위해 설계한 DF로서, 발행사별 AID 구분 방법을 갖고 있는 다양한 카드 추가시, 카드 선택 인식 소요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한편, 전술된 Config DF는 "선불 IC 카드"에서는 각사와의 호환사용을 위하여 존재하는 ADF로서, "선불 IC 카드"의 교통호환 ADF의 정보를 저장, 교통호환 ADF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최초의 거래시 필수적으로 Config DF를 선택한다. 그리고, Config DF 아래에는 EFconfig와 EFconfig2가 설계되고 있으며, 상기 EFconfig는 교통호환 정보를 저장하고 EFconfig2는 선택 사항 파일로 거래 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단말기는 사업자별로 X-CASH 카드 단말기, K-CASH 카드 단말기, 하이플러스 카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업자 관리서버(300)-
사업자 관리서버(300)는 사업자별로 X-CASH 정산서버, K-CASH 정산서버, 하이플러스 정산서버를 포함하고, 자사 또는 타사 카드 단말기를 통해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VPN을 통해 수집하고, 해당 거래내역이 자사에서 발급한 호환형 교통카드에 의한 것인지 또는 타사에서 발급한 호환형 교통카드에 의한 것인지 분류한다. 수집된 교통카드 거래내역 정보 중, 자사 카드 단말기에서 거래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해서 자체 정산처리하고, 타사카드로 결제된 거래내역을 VPN을 경유하여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전송한다.
이러한 사업자 관리서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내역 수집부(310), 거래내역 교환부(320), 거래내역 검증부(330), 거래내역 정산부(340) 및 BL(Black List)부(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사를 하이플러스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래내역 수집부(310)는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집 및 저장하고, 호환형 교통카드가 자사 발급카드인지 또는 타사 발급카드(X-CASH, K-CASH)인지 여부에 따라 거래내역을 분류하고, 그 결과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경우 거래내역 교환부(320)로 전달하며, 자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경우 거래내역 정산부(34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거래내역 교환부(320)는 거래내역 수집부에서 카드 발급사에 따라 분류된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해당 카드 발급사에 따른 정산서버(X-CASH 정산서버 또는 K-CASH 정산서버)로 송신하며, 타사 정산서버(X-CASH 정산서버 또는 K-CASH 정산서버)로부터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된 자사 발급카드(하이플러스)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거래내역 검증부(330)는 거래내역 교환부에서 수신한 타사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하이플러스)에 대한 거래내역의 반송사유 여부를 검토하고, 검토결과 및 반송사유가 없는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의 표준 정산항목에 의거한 거래내역을 해당 타사 정산서버(X-CASH 정산서버 또는 K-CASH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거래내역을 자사(하이플러스) 정산서버의 거래내역 정산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송사유는 표준 정산항목에 명시되지 않은 데이터 값이 포함된 필드 오류, 카드번호, 승차일시 및 승하차역이 동일한 경우인 이중발생 오류, 승차일시가 미래일시인 매출일자 오류, 1원 단위 요금이 발생한 이용금액 오류, 승차데이 터 단독 또는 승차 및 하차 데이터 동시존재시 승차일시를 기준으로 하고, 하차데이터단독 존재시 하차일시를 기준으로 하여 이용일로부터 유효사용일자가 60일 이상 초과하여 청구된 거래에 대한 오류인 유효사용일자 오류, 카드구분코드체계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이거나 기타 카드발행사 자체적으로 번호 오류로 규정하고 있는 카드번호 오류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각사 정산서버는 자사 카드 단말기에서 발생한 호환형 교통카드 거래내역에 있어 정산일의 익일 02:00까지 거래된 내역을 포함하여 정산일에 발생한 거래내역으로 정의하며, 자사 교통카드 단말기에서 자사 발급 교통카드에 의해 발생한 정산일 거래 내역은 자체정산하고, 자사 교통카드 단말기에서 타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의해 발생한 정산일 거래 내역은 정산일의 익일 15:00까지 반송사유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을 제외하고 카드 발급한 타사 정산서버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각사 정산서버는 타사 정산 서버로부터 타사 카드 단말기에서 발생한 자사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해 수신한 후 반송사유 여부를 검토하고 정산처리 하도록 하며. 이 때 반송사유가 없는 경우 표준 정산항목에 따른 자사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및 검토결과에 대한 송신과 거래대금 입금을 타사 정산 서버로부터 거래내역을 수신한 거래내역 수신일의 익일 12:00까지 처리하도록 한다. 덧붙여, 타사 카드 단말기에서 발생한 자사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반송사유가 있음에도 수신하게 된 경우 거래내역 수신일의 익일까지 반송처리하며, 상호정산에서 제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준 정산항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거래내역 정산부(340)는 거래내역 검증부에서 타사 정산서버(X-CASH 정산서버 또는 K-CASH 정산서버)에 송신한 거래내역을 표준 정산항목에 의거 상호 정산처리하고, 해당 거래내역에 대한 거래대금을 해당 타사 정산서버(X-CASH 정산서버 또는 K-CASH 정산서버)로 입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거래내역 정산부는 거래내역 수집부에서 분류된 자사 카드 단말기에서 거래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해서 자체 정산처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BL(Black List)부(350)는 타사 정산서버의 BL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사 또는 타사 정산서버의 BL데이터를 거래내역 검증부로 전송하여, 정산시 거래내역 반송사유 중 하나인 BL사유 판단에 자사 또는 타사 정산서버의 BL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BL(Black List)는, 해당 사업자사가 발급한 호환형 교통카드 중 카드 단말기에서 결제를 차단하기 위해 작성한 리스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준 정산항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준 정산항목은 구분, 파일명, 데이터 일련번호, 고유번호, 카드사 코드, 카드번호, 거래금액, 거래전 금액, 거래후 금액, 오류코드, 교통수단 코드, 거래유형, NC, IDPSAM, TRTPSAM, PPIEP, IDEP, NTIEP, NIPP, NTPSAM, MTOTPSAM, ALGIEP, SINDC, IDCENTER, VKPSAM_KDINDC, VKPSAM_KDINDS, SINDS, 승차/하차 구분, 출발코드, 출발일시, 도착코드, 도착일시, 단말기번호, 환승구분, 환승횟수, 환승소요시간, 노선ID, 노선번호, 교통사업자ID, 교통사업자명, 차량번호ID, 차량등록번호, 이용시간, 이용거리, 카드유형, 근무자번호, 일반COUNTER, 일반거래금액, 대학생COUNTER, 대학생거래금액, 학생COUNTER, 학생거래금액, 소인COUNTER, 소인 거래금액, 기타COUNTER, 기타거래금액, 출발역명, 도착역명, 재처리구분, PNR번호, 반환번호, 원권번호, 취급일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분 항목은 형식이 A이고, 1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파일명항목은 형식이 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데이터 일련번호 항목은 형식이 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00000001'부터 시작한다. 상기 고유번호 항목은 형식이 N이며, 20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거래일자 8자리 및 SEQ 12자리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사 코드 항목은 형식이 N이고, 2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카드번호 항목은 형식이 AN이고, 20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후불카드의 경우 카드번호 16자리 및 공백 4자리로 구성된다. 상기 거래금액 항목은 형식이 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선불카드 요청금액 이전 잔액을 의미하며, 코레일 측에서는 철도 승차권 다권구매인 경우 승차권금액을 의미한다. 상기 거래전 금액 항목은 형식은 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선불카드 요청금액 처리 후 잔액을 의미한다. 상기 거래후 항목은 형식이 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선불카드 요청금액 처리후 잔액을 의미한다. 상기 오류코드 항목은 형식이 N이며, 4자리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교통수단 코드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항목에서는 코레일의 경우 '080800', 공항철도의 경우 '010102', 금융결제원 관련 교통수단의 경우 '060205', 하이플러스 관련 교통수단의 경우 '070700'로 정의한다. 상기 거래유형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항목에서는 매입의 경우 '0', 직전거래 취소의 경우 '1', 코레일 철도승차권 환불의 경우 '2', 매입거래 취소의 경우 '9'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NC 항목은 형식이 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총액거래 수집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IDPSAM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PSAM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상기 TRTPSAM 항목은 형식이 N이며, 2자리의 길이를 갖고, 거래형식을 의미하며, 구매거래의 경우 '00', 가치저장거래의 경우 '01', 취소거래 및 오류거래의 경우 '02', 파라미터 갱신의 경우 '03'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PPIEP 항목은 형식이 N이며, 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교통카드 사업자의 식별자(IDentification)를 의미한다. 상기 IDEP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10자리의 길이를 갖고, 전자화폐 식별자(IDentification)의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NTIEP는 전자화폐의 거래 횟수, 상기 NIPP항목은 형식이 N이며, 5자리의 길이를 갖고, 전자화폐의 개별거래 구매횟수를 의미한다. 상기 NTPSAM항목은 형식이 N이며, 10자리의 길이를 갖고, 지불SAM(Purcharge Secure Application Module) 내 개별거래 횟수에 따른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MTOTPSAM항목은 형식이 N이며, 10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불SAM 거래총액을 의미한다. 상기 ALGIEP 항목은 형식이 N이며, 2자리의 길이를 갖고, 교통카드의 알고리즘 식별자(IDentification)를 의미한다. 상기 SINDS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갖고, 지불SAM서명 또는 선불카드 의 SIGN값을 의미한다. 상기 IDCENTER 항목은 형식이 N이며, 2자리의 길이를 갖고, 전자화폐 회사의 식별자(IDentification)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VKPSAM_KDINDC 항목은 형식이 N이며, 2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금융결제원에서 개별거래 내역 검증을 위한 서명 생성시 사용되는 키인 KDINDC의 버젼을 의미하며, 상기 VKPSAM_KDINDS항목은 형식이 N이며, 2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금융결제원에서 개별거래 내역 검증을 위한 서명 생성시 사용되는 키인 KDINDS의 버젼을 의미한다. 상기 SINDS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하이플러스 측에서 필요한 개별거래 PSAM 생성서명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승차/하차 구분 항목의 경우 형식은 AN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코레일 철도 승차권 구매시는 'P', 계좌이체환불은 'T', 반환충전은 'C', 기타 혼용결제 및 변경발행은 'F'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출발코드 항목은, 형식이 AN이고, 10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지하철 이용시 승차역 코드, 버스 이용시 승차정류장 코드,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해당영업소 번호를 의미하며 코레일 측에서는 출발역 6자리 및 공백 4자리로 구성 및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출발일시 항목은, 형식은 N이며, 14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 버스 이용시 또는 코레일 측에서는 승차일시를 의미하며,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입구진입일시를 의미하고, 'YYYYMMDDhhmmss'형식으로 데이터를 표기한다.
또한, 상기 도착코드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10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지하철 이용시 하차역 코드, 버스 이용시 하차정류장 코드,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통과 영업소 번호, 코레일 측에서는 도착역 6자리 및 공백 4자리로 구성 및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도착일시 항목은, 형식은 N이며, 14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버스 이용시는 하차시간,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영업소 통과일시, 코레일 측에서는 도착일시를 의미하고,'YYYYMMDDhhmmss'형식으로 데이터를 표기한다 .
또한, 상기 단말기 번호 항목은, 단말기가 쌍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하차쪽 단말기 번호를 기준으로 하고, 형식은 AN이며, 10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 및 버스 이용시 단말기 번호, 코레일 측에서는 reserved code '0' 및 역번호 4자리 및 창구번호 5자리로 구성된 TID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환승구분 항목은 형식이 A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버스 이용시 또는 코레일 측에서는 환승시 'Y', 비환승시 'N'으로 정의하며,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차종구분에 따라 '0~9'로 정의한다. 상기 환승횟수 항목은 형식이 N이고, 1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코레일 측에서는 '0'으로 정의한다. 상기 환승소요시간 항목은 형식은 N이고, 4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데이터 표기형식은 'mmss'에 따르며, 코레일 측에서는 환승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노선ID 항목은 형식이 N이며, 3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코레일에서는 열차종별 2자리 및 객실종별 1자리로 구성 및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노선번호 항목은 형식은 AN이고, 6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버스에서는 버스노선번호를 의미하고, 코레일에서는 열차번호 5자리 및 공백 1자리로 구성 및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교통사업자ID 항목은 형식은 N이며, 4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역구분 2자리 및 사업자일련번호 2자리로 구성 및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번호ID 항목은 형 식이 AN이며, 10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구매일자를 기재하며, 코레일에서는 철도회원번호를 기재하며, 철도회원 번호가 없는 경우 공백으로 처리한다. 상기 차량등록번호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12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버스 이용 시 또는 코레일 측에서는 상기 차량등록번호 항목에 실반환금액을 기재한다.
또한,상기 이용시간 항목은 형식이 N이며, 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버스 이용시 및 코레일 측에서는 'hhmmss'로 데이터를 표기한다. 그리고, 상기 이용거리 항목은 형식이 N이고, 3자리의 길이를 가지며, 버스 이용시 또는 코레일 측에서는 이용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카드유형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일반은 '0', 대학생은 '1', 청소년은 '2', 어린이는 '3', 기타는 '4'로 정의한다. 상기 근무자번호 항목은 형식이 N이며, 5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코레일 측에서는 승차권발매일련번호를 기재하며,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필수적인 항목이다.
또한, 상기 출발역명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1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 이용시 출발역명, 버스 이용시 출발정류장명,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입구영업소명, 코레일 측에서는 승차역명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도착역명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1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 이용시 하차역명, 버스 이용시 하차정류장명,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출구영업소명, 코레일 측에서는 하차역명을 의미한다. 상기 재처리항목은 형식이 A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코레일 측에서는 'N'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대학생COUNTER 항목,학생COUNTER 항목,소인COUNTER 항목 및 기타COUNTER 항목은 형식이 N이며, 6자리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대학생거래금액 항 목,학생거래금액 항목,소인 거래금액 항목 및 기타거래금액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일반거래 금액은 형식이 N이며, 6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지하철 및 버스 이용시 금액, 하이플러스 측에서는 통행료, 코레일 측에서는 승차권금액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일반COUNTER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자리의 길이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PNR번호 항목은 형식이 AN이며, 15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코레일 측에서는 철도여정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반환번호 항목 및 원권번호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8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코레일 측에서는 창구번호 5자리 및 발매일자 8자리 및 일련번호 5자리로 구성 및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취급일시 항목은 형식이 N이며, 14자리의 길이를 가지고, 발매일시 및 반환일시를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 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이하,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운영체제(COS)로 설정되는 전용파일(Config DF)을 인식하여, 교통카드가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지 또는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한다(S2).
다음으로, 제 (S2)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교통카드가 호환 기능을 가질 경 우, 전자화폐 AID(Application IDentifier)를 기반으로 부가정보인 환승정보, 입구정보를 확인한 후, 호환 기능을 갖는 표준 카드의 DF를 선택하여 표준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수행한다(S4).
다음으로,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집하고, 상기 교통카드가 자사 발급카드인지 또는 타사 발급카드인지를 판단한다(S6).
다음으로, 제 (S6) 단계의 판단결과, 타사 발급카드인 경우,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타사 정산서버로부터 자사 발급 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거래내역을 교환한다(S8). 여기서, 제 (S6) 단계의 판단결과, 자사 발급카드인 경우, 자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정산 처리한다.
다음으로, 제 (S8) 단계의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상호 정산처리하고, 해당 거래내역에 대한 거래대금 정보를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입금처리한다(S10). 그리고 타사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반송사유 여부를 검토하고, 검토결과 반송사유가 없는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의 표준 정산항목에 의거한 거래내역을 해당 타사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거래내역을 자사 정산서버의 거래내역 정산부로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래 수행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Config DF의 EFconfig를 토대로 전국 호환카드 거래를 위한 정보조회를 수행하는 제1 단계(S22)를 포함하여, 제1 단계의 정보조회를 기반으로 지불SAM과의 지불 거래를 수행하는 제2 단계(S24)와, 지불 거래 수행 중 사용자 카드에서는 차감되었으나 상기 지불SAM으로 가치가 이동되지 못한 경우에 재거래를 수행하는 제3 단계(S26)와, 카드 소지자의 요청에 따라 직전 거래에 대한 지불 취소 거래를 수행하는 제4 단계(S28)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단계(S22)인 정보 조회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카드 단말기가 전국 호환카드로 교통 호환 ADF의 정보에 대한 상기 Config DF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 EFconfig를 요청하고, 이로부터 IDCENTER, AID length, DF Name, 부가 Data File 정보, 카드 소지자 정보, 유효기간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Config DF의 EFconfig로 Application 정보 조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IDCENTER는 한국전자지불산업협회에서 지정한 교통 사업자의 고유 번호이고, 상기 AID length는 부가정보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불 거래 시 부가정보에 대한 총 길이를 나타내며, 상기 DF Name은 전용파일로서 상기 Config DF(Divert File)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제2 단계(S24)인 지불거래 과정을 설명하면, ba) 전국 호환카드(IEP)로 부가파일인 ADF를 요청하는 단계와, bb)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알고리즘 정보인 ALGIEP와, 전국호환카드(IEP)에 대한 서명키(Version of Key)인 VKIEP_KDP와, 거래 전 전자카드의 잔액(BALance)을 나타내는 정보인 BALIEP 와, ID 센터명을 나타내는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IDIEP 와, 전국 호환카드의 거래일련 번호(Number of Transaction)는 나타내는 NTIEP 및 본 거래에 따른 서명정보 제1 서명정보 S1을 접수하는 단계와, bc)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접수된 ALGIEP, VKIEP_KDP, BALIEP, IDCENTER, IDIEP, NTIEP, S1 정보를 포함하여, 카드 단말기(PDA)에 대한 기기정보인 MPDA 및 부가데이터를 지불SAM으로 전송하여 지불SAM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bd) 상기 지불SAM 초기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와, 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상기 ALGIEP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상기 S1 정보와 대응하는 제2 서명정보 S2를 수신하는 단계와, be)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거래승인 및 해당 전국 호환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명령하고, 이를 위해,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 IDPSAM 정보, NTPSAM 정보, SCSAM 정보, S2 정보 및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bf)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상기 IDPSAM 정보, NTPSAM 정보, SCSAM 정보, S2 정보 및 부가데이터에 기반한 제3 서명정보 S3을 수신하는 단계와, bg)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접수된 제3 서명정보 S3을 지불SAM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bh) 서명정보S3에 대한 인증절차를 거친 지불SAM으로부터, 거래유형 정보인 TRT, 지불SAM 에서 생성한 서명키 정보로서 VKIND_KEY 와, ID 센터 정보인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 ID 정보인 IDEP 와, 전국 호환카드 거래에 대한 일련번호 정보인 NTEP와, 거래 전 전국 호환카드의 잔액 정보로서 BALEP와, 카드 단말기(PDA)의 기기 정보인 MPDA와,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와,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인 NTSAM와, SAM의 거래수집 일련 번호인 NCSAM와, SAM에서 발생된 개별 거래건수(Number of Indivisual transaction) 정보인 NISAM와, SAM을 통해 거래된 거래금액의 총액(TOTal)을 나타내는 TOTSAM와, 거래 인증에 따른 거래 정보로서 SIGNIND 및 SIGNIND2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적인 지불거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가데이터는 거래를 위한 시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운영자의 요구에 따라 부가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제3 단계(S26)인 지불재거래 과정을 설명하면, ba)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 부가파일인 ADF를 요청하는 단계와, bb) 전국 호환카드로 초기화를 요청하며, 이에 응답하여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알고리즘 정보인 ALGIEP와,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서명키인 VKIEP_KDP와, 거래 전 전자카드의 잔액을 나타내는 정보인 BALIEP 와, ID 센터명을 나타내는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IDIEP 와, 전국 호환카드의 거래일련 번호는 나타내는 NTIEP 와, 거래되었던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인 IDSAM_LOG 와, 거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인 MPDA_LOG 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인 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 S1을 접수하는 단계와, bc)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접수된 거래 정보인 ALGIEP, VKIEP_KDP, BALIEP, IDCENTER, IDIEP, NTIEP, MPDA_LOG, IDPSAM_LOG, NTIEP_LOG, S1를 포함하여, 현재 거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PDA)의 기기정보인 MPDA 및 지불 재거래를 위한 부가데이타를 지불SAM으로 제공하며, 지불SAM의 초기화를 요청하는 단계와, bd) 초기화 요청에 따라, 지불SAM으로부터 현재 지불 재거래를 요청한 지불SAM에 대한 ID 정보인 IDSAM 와, 거래 일련 번호인 NTSAM 와, 지불SAM에 대한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상기 S1에 대응하는 제2 서명정보인 S2를 수신하는 단계와, be) 지불SAM으로부터 제2 서명정보 S2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지불SAM에 대한 ID 정보인 IDPSAM 와, 지불SAM의 전자화폐 거래 일련번호인 NTPSAM 와, 상기 PSAM의 암호화 정보 SCPSAM 와, 제2 서명정보 S2 및 지불 재거래 요청을 위한 부가데이터를 전국 호환카드(IEP)로 전송함으로써 지불 재거래를 지시하는 단계와, bf)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지불 재거래 요청에 응답하여, 제3 서명정보인 S3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지불SAM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bg) 서명정보S3에 대한 인증절차가 수행된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거래유형 정보인 TRT, 지불SAM 에서 생성한 서명키 정보로서 VKIND_KEY 와, ID 센터 정보인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 ID 정보인 IDEP 와, 전국 호환카드 거래에 대한 일련번호 정보인 NTEP와, 지불 재거래 전 카드에 대한 일련번호 정보인 NTEP_log 와, 거래 전 전국 호환카드의 잔 액 정보로서 BALEP와, 단말기(PDA)의 기기 정보인 MPDA와,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와,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인 NTSAM와, 지불SAM의 거래수집 일련 번호인 NCSAM와, 지불SAM에서 발생된 발행기관별 거래건수 정보인 NISAM와, 지불SAM을 통해 거래된 거래금액의 총액을 나타내는 TOTSAM와, 거래 인증에 따른 거래 정보로서 SIGNIND 및 SIGNIND2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와, bh)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지불 재거래 정보에 대한 개별거래 내역을 등록한 후, 정상적인 지불 재거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4 단계(S28)인 거래취소 과정을 설명하면, ba) 전국 호환카드(IEP)로 부가파일인 ADF 및 초기화를 요청하는 단계와, bb)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알고리즘 정보인 ALGEP와,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서명키인 VKEP와, 거래 전 전자카드의 잔액을 나타내는 정보인 BALEP 와, ID 센터명을 나타내는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IDEP 와, 전국 호환카드의 거래일련 번호는 나타내는 NTEP 와, 거래되었던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인 IDSAM_LOG 와, 거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인 MPDA_LOG 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인 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서명정보 제1 서명정보 S1을 접수하는 단계와, bc)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접수한 거래정보 즉, ALGEP, VKEP, BALEP, IDCENTER, IDEP, NTEP, IDSAM_LOG, MPDA_LOG, NTEP_LOG, S1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단말기 정보인 MPDA 및 거래 취소를 위한 부가데이터를 지불SAM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bd) 지불SAM으로부터 지불SAM에 대한 ID 정보 IDSAM, 전자화폐 거래 일련번호 NTSAM,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 SCSAM 및 제2 서명정보 S2 값을 접수하는 단계와, be) 지불SAM에서 제공되는 응답신호인 IDSAM, NTSAM, SCSAM, S2를 포함하여, 거래취소를 용인하기 위한 부가데이터를 전국 호환카드(IEP)로 전송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기 거래된 지불SAM 정보를 취소토록 요청하는 단계와, bf) 지불SAM 정보 취소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거래 유형정보 TRT, 개별거래에 따른 서명 키 버전정보 VKIND_KEY, ID 센터 정보 IDCENTER, 전자화폐 ID 정보 IDEP, 기 거래되었던 전자화폐 거래일련 번호 NTEP_LOG, 전자화폐의 잔액정보 BALEP, 단말기 기기 정보 MPDA, 지불SAM ID 정보 IDSAM, 지불SAM 거래 일련번호 NTSAM, 지불SAM 거래수집 일련 번호 NCSAM, 지불SAM에 대한 거래 건수 정보 NISAM, 거래 금액 정보 TOTSAM, 개별 서명정보 SIGNIND, SIGNIND2를 수신하여 거래 취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bg) 거래 취소에 따른 개별거래의 내역을 등록하고, 거래 취소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운영체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단말기에 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의 RF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관리서버에 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래 수행과정의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교통카드 200 : 카드 단말기
300 : 사업자 관리서버 310 : 거래내역 수집부
320 : 거래내역 교환부 330 : 거래내역 검증부
340 : 거래내역 정산부 350 : BL부
10 : 처리부 11 : 판단모듈
12 : 정보조회모듈 13 : 지불거래모듈
14 : 재거래모듈 15 : 취소모듈
20 : 요금터미널 제어기 인터페이스부
30 :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 40 :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
41 : 제1 컨트롤러 42 : 제2 컨트롤러
43 : 클럭발생 회로 44 : 수신전계 검출회로
45 : 통신 스위치 회로 1 : 초기화 수단
2 : 지불거래수단 3 : 재초기화 수단
4 : 재거래수단 5 : 거래취소 초기화수단
6 : 거래취소수단

Claims (21)

  1.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사업자별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인증하는 지불 SAM이 장착되어, 기존 교통카드 또는 호환형 교통카드로 식별한 후, 해당 식별 교통카드에 따른 지불거래 처리를 수행하는 카드 단말기; 및
    상기 카드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수집하여 자사 카드 단말기에서 거래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에 대해 정산처리하고, 타사 카드로 결제된 거래내역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사업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는,
    상기 교통카드와 RS-232를 통해 전자지불 관련 처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기존 카드와 전국호환 카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감시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해당 식별 교통카드에 따른 지불거래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RS-232방식으로 교통카드와 통신하며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요금터미널 제어기 인터페이스부;
    내부 단말기의 RF부 이상에 대비한 예비 포트로서 과전류 방지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기존 카드 및 전국호환 카드를 제어하는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 및
    ISO-1443방식으로 상기 카드와 통신하되, 상기 기존 카드 및 전국호환 카드에 대한 비접촉식 통신방식을 운영제어하는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는,
    통신사양으로, 115,200bps의 통신속도를 갖고, 1 비트의 Stop Bit를 포함하여 No Parity 통신 프로토콜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는,
    카드운영체제(COS)로 설정되는 전용파일(Config DF)을 인식하여, 상기 교통카드가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지 또는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 교통카드인 경우, 상기 전용파일을 토대로 전국 호환카드 거래를 위한 정보조회를 수행하는 정보조회모듈;
    상기 정보조회모듈의 정보조회를 기반으로 상기 지불SAM과의 지불 거래를 수행하는 지불거래모듈;
    상기 지불 거래 수행 중 사용자 카드에서는 차감되었으나 상기 지불SAM으로 가치가 이동되지 못한 경우에 재거래를 수행하는 재거래모듈; 및
    카드 소지자의 요청에 따라 직전 거래에 대한 지불 취소 거래를 수행하는 취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관리서버는,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집하고, 상기 거래내역 중, 상기 교통카드가 자사 발급카드인지 또는 타사 발급카드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경우 거래내역 교환부로 전달하며, 자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경우 거래내역 정산부로 전달하는 거래내역 수집부;
    상기 거래내역 수집부로부터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타사 정산서버로부터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된 자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신하는 거래내역 교환부;
    상기 거래내역 교환부에서 수신한 타사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반송사유 여부를 검토하고, 검토결과 반송사유가 없는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의 표준 정산항목에 의거한 거래내역을 해당 타사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거래내역을 자사 정산서버의 거래내역 정산부로 전 달하는 거래내역 검증부; 및
    상기 거래내역 검증부에서 해당 타사 정산서버로 송신한 거래내역을 상호 정산처리하고, 해당 거래내역에 대한 거래대금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입금하며, 상기 거래내역 수집부로부터 수신하는 자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정산처리하는 거래내역 정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거래모듈은,
    상기 교통카드로 초기화 명령(Initializ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초기화 명령에 따라 교통카드 알고리즘정보(ALGIEP), 서명키(VKIEP_KDP), 거래 전 잔액정보(BALIEP), ID 센터명(IDCENTER), 교통카드 ID 정보(IDIEP), 교통카드 거래일련번호(NTIEP)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S1)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초기화 명령(Initialize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상기 초기화 명령에 따라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서명정보(S2)를 수신하는 초기화수단; 및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교 통카드로 지불거래 명령(Purchas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제3 서명정보(S3)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지불거래 명령(Credit SAM Command)을 전송하여, 거래 기록을 생성하고 거래를 종료하는 지불거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거래모듈은,
    상기 교통카드로 재초기화 명령(RE Initializ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재초기화 명령에 따라 교통카드 알고리즘 정보(ALGIEP), 서명키(VKIEP_KDP), 거래 전 잔액정보(BALIEP), ID 센터명(IDCENTER), 교통카드 ID정보(IDIEP), 교통카드 거래일련 번호(NTIEP), 거래된 교통카드의 ID정보(IDSAM_LOG), 카드단말기 정보(MPDA_LOG), 교통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S1)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재초기화 명령(RE Initialize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상기 재초기화 명령에 따라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서명정보(S2)를 수신하는 재초기화 수단; 및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교 통카드로 재거래 명령(RE Purchase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제3 서명정보(S3)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재거래 명령(RE Credit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재거래 정보에 대한 개별거래 내역을 등록하는 재거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모듈은,
    상기 교통카드로 거래취소 초기화명령(Initialize CARD For Cancellation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거래취소 초기화명령에 따라 교통카드 알고리즘 정보(ALGIEP), 서명키(VKIEP_KDP), 거래 전 잔액정보(BALIEP), ID센터명(IDCENTER), 교통카드 ID 정보(IDIEP), 교통카드 거래일련 번호(NTIEP), 거래된 교통카드의 ID정보(IDSAM_LOG), 카드단말기 정보(MPDA_LOG), 교통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S1)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거래취소 초기화명령(Initialize SAM For Cancellation Command)을 전송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상기 거래취소 초기화명령에 따라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서명정보(S2)를 수신하는 거래취소 초기화 수단; 및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교 통카드로 취소명령(Cancellation CARD Command)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제3 서명정보(S3)를 수신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취소명령(Cancellation SAM Command)을 전송하여, 직전거래 기록을 소거하고 상태코드를 정상으로 변경한 후 거래를 종료시키는 거래취소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관리서버는,
    타사 정산서버로부터 BL(Black List)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사 또는 타사 정산서버의 BL데이터를 상기 거래내역 검증부로 전송하는 BL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정산항목은,
    구분, 파일명, 데이터 일련번호, 고유번호, 카드사 코드, 카드번호, 거래금액, 거래전 금액, 거래후 금액, 오류코드, 교통수단 코드, 거래유형, NC, IDPSAM, TRTPSAM, PPIEP, IDEP, NTIEP, NIPP, NTPSAM, MTOTPSAM, ALGIEP, SINDC, IDCENTER, VKPSAM_KDINDC, VKPSAM_KDINDS, SINDS, 승차/하차 구분, 출발코드, 출발일시, 도착코드, 도착일시, 단말기번호, 환승구분, 환승횟수, 환승소요시간, 노선ID, 노선번호, 교통사업자ID, 교통사업자명, 차량번호ID, 차량등록번호, 이용시간, 이용거리, 카드유형, 근무자번호, 일반COUNTER, 일반거래금액, 대학생COUNTER, 대학생거래금액, 학생COUNTER, 학생거래금액, 소인COUNTER, 소인 거래금액, 기타COUNTER, 기타거래금액, 출발역명, 도착역명, 재처리구분, PNR번호, 반환번호, 원권번호 및 취급일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사유는,
    상기 표준 정산항목에 명시되지 않은 데이터 값이 포함된 필드 오류, 카드번호, 승차일시 및 승하차역이 동일한 경우인 이중발생 오류, 승차일시가 미래일시인 매출일자 오류, 1원 단위 요금이 발생한 이용금액 오류, 승차데이터 단독 또는 승차 및 하차 데이터 동시존재시 승차일시를 기준으로 하고, 하차데이터단독 존재시 하차일시를 기준으로 하여 이용일로부터 유효사용일자가 60일 이상 초과하여 청구된 거래에 대한 오류인 유효사용일자 오류, 카드구분코드체계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이거나 기타 카드발행사 자체적으로 번호 오류로 규정하고 있는 카드번호 오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12.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카드운영체제(COS)로 설정되는 전용파일(Config DF)을 인식하여, 교통카드가 전국호환 기능을 갖는지 또는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 (a)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교통카드가 호환 기능을 가질 경우, 전자화폐 AID(Application IDentifier)를 기반으로 부가정보인 환승정보, 입구정보를 확인한 후, 호환 기능을 갖는 표준 카드의 DF를 선택하여 표준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c) 전국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수집하고, 상기 교통카드가 자사 발급카드인지 또는 타사 발급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제 (c) 단계의 판단결과, 타사 발급카드인 경우,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타사 정산서버로부터 자사 발급 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 (d) 단계의 타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상호 정산처리하고, 해당 거래내역에 대한 거래대금을 해당 사업자 정산서버로 입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f) 상기 제 (c) 단계의 판단결과, 자사 발급카드인 경우, 자사 발급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정산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g) 타사 카드 단말기에서 사용된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의 반송사유 여부를 검토하고, 검토결과 반송사유가 없는 자사 발급 호환형 교통카드의 표준 정산항목에 의거한 거래내역을 해당 타사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거래내역을 자사 정산서버의 거래내역 정산부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Config DF의 EFconfig를 토대로 전국 호환카드 거래를 위한 정보조회를 수행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단계의 정보조회를 기반으로 지불SAM과의 지불 거래를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지불 거래 수행 중 사용자 카드에서는 차감되었으나 상기 지불SAM으로 가치가 이동되지 못한 경우에 재거래를 수행하는 제3 단계; 및
    카드 소지자의 요청에 따라 직전 거래에 대한 지불 취소 거래를 수행하는 제4 단계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카드 단말기가 전국 호환카드로 교통 호환 ADF의 정보에 대한 상기 Config DF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 EFconfig를 요청하고, 이로부터 IDCENTER, AID length, DF Name, 부가 Data File 정보, 카드 소지자 정보, 유효기간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Config DF의 EFconfig로 Application 정보 조회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ba) 전국 호환카드(IEP)로 부가파일인 ADF를 요청하는 단계;
    bb)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알고리즘 정보인 ALGIEP와, 전국호환카드(IEP)에 대한 서명키(Version of Key)인 VKIEP_KDP와, 거래 전 전자카드의 잔액(BALance)을 나타내는 정보인 BALIEP 와, ID 센터명을 나타내는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IDIEP 와, 전국 호환카드의 거래일련 번호(Number of Transaction)는 나타내는 NTIEP 및 본 거래에 따른 서명정보 제1 서명정보 S1을 접수하는 단계;
    bc)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접수된 ALGIEP, VKIEP_KDP, BALIEP, IDCENTER, IDIEP, NTIEP, S1 정보를 포함하여, 카드 단말기(PDA)에 대한 기기정보인 MPDA 및 부가데이터를 지불SAM으로 전송하여 지불SAM을 초기화하는 단계;
    bd) 상기 지불SAM 초기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 와, SAM의 거래 일련번호로서 NTSAM 와, SAM의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상기 ALGIEP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상기 S1 정보와 대응하는 제2 서명정보 S2를 수신하는 단계;
    be)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래정보 및 서명정보를 수신한 후, 거래승인 및 해당 전국 호환카드에 대한 지불거래를 명령하고, 이를 위해,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 IDPSAM 정보, NTPSAM 정보, SCSAM 정보, S2 정보 및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f)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상기 IDPSAM 정보, NTPSAM 정보, SCSAM 정보, S2 정보 및 부가데이터에 기반한 제3 서명정보 S3을 수신하는 단계;
    bg)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부터 접수된 제3 서명정보 S3을 상기 지불SAM으로 전달하는 단계;
    bh) 상기 S3에 대한 인증절차를 거친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거래유형 정보인 TRT, 지불SAM 에서 생성한 서명키 정보로서 VKIND_KEY 와, ID 센터 정보인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 ID 정보인 IDEP 와, 전국 호환카드 거래에 대한 일련번호 정보인 NTEP와, 거래 전 전국 호환카드의 잔액 정보로서 BALEP와, 카드 단말기(PDA)의 기기 정보인 MPDA와,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와,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인 NTSAM와, SAM의 거래수집 일련 번호인 NCSAM와, SAM에서 발생된 개별 거래건수(Number of Indivisual transaction) 정보인 NISAM와, SAM을 통해 거래된 거래금액의 총액(TOTal)을 나타내는 TOTSAM와, 거래 인증에 따른 거래 정보로서 SIGNIND 및 SIGNIND2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적인 지불거래를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ba)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 부가파일인 ADF를 요청하는 단계;
    bb) 상기 전국 호환카드로 초기화를 요청하며, 이에 응답하여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알고리즘 정보인 ALGIEP와,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서명키인 VKIEP_KDP와, 거래 전 전자카드의 잔액을 나타내는 정보인 BALIEP 와, ID 센터명을 나타내는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IDIEP 와, 전국 호환카드의 거래일련 번호는 나타내는 NTIEP 와, 거래되었던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인 IDSAM_LOG 와, 거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인 MPDA_LOG 와, 전국 호환카드(IEP) 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인 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제1 서명정보 S1을 접수하는 단계;
    bc)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접수된 거래 정보인 ALGIEP, VKIEP_KDP, BALIEP, IDCENTER, IDIEP, NTIEP, MPDA_LOG, IDPSAM_LOG, NTIEP_LOG, S1를 포함하여, 현재 거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PDA)의 기기정보인 MPDA 및 지불 재거래를 위한 부가데이타를 지불SAM으로 제공하며, 지불SAM의 초기화를 요청하는 단계;
    bd) 상기 초기화 요청에 따라,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현재 지불 재거래를 요청한 지불SAM에 대한 ID 정보인 IDSAM 와, 거래 일련 번호인 NTSAM 와, 지불SAM에 대한 암호화 정보인 SCSAM 및 상기 S1에 대응하는 제2 서명정보인 S2를 수신하는 단계;
    be)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2 서명정보 S2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지불SAM에 대한 ID 정보인 IDPSAM 와, 지불SAM의 전자화폐 거래 일련번호인 NTPSAM 와, 상기 PSAM의 암호화 정보 SCPSAM 와, 제2 서명정보 S2 및 지불 재거래 요청을 위한 부가데이터를 전국 호환카드(IEP)로 전송함으로써 지불 재거래를 지시하는 단계;
    bf)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지불 재거래 요청에 응답하여, 제3 서명정보인 S3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지불SAM으로 전달하는 단계;
    bg) 상기 S3에 대한 인증절차가 수행된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거래유형 정보 인 TRT, 지불SAM 에서 생성한 서명키 정보로서 VKIND_KEY 와, ID 센터 정보인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 ID 정보인 IDEP 와, 전국 호환카드 거래에 대한 일련번호 정보인 NTEP와, 지불 재거래 전 카드에 대한 일련번호 정보인 NTEP_log 와, 거래 전 전국 호환카드의 잔액 정보로서 BALEP와, 단말기(PDA)의 기기 정보인 MPDA와, 지불SAM의 ID 정보인 IDSAM와, 지불SAM의 거래 일련번호인 NTSAM와, 지불SAM의 거래수집 일련 번호인 NCSAM와, 지불SAM에서 발생된 발행기관별 거래건수 정보인 NISAM와, 지불SAM을 통해 거래된 거래금액의 총액을 나타내는 TOTSAM와, 거래 인증에 따른 거래 정보로서 SIGNIND 및 SIGNIND2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및
    bh)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제공되는 지불 재거래 정보에 대한 개별거래 내역을 등록한 후, 정상적인 지불 재거래를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ba) 전국 호환카드(IEP)로 부가파일인 ADF 및 초기화를 요청하는 단계;
    bb)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알고리즘 정보인 ALGEP와, 전국 호환카드(IEP)에 대한 서명키인 VKEP와, 거래 전 전자카드의 잔 액을 나타내는 정보인 BALEP 와, ID 센터명을 나타내는 IDCENTER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IDEP 와, 전국 호환카드의 거래일련 번호는 나타내는 NTEP 와, 거래되었던 전국 호환카드(IEP)의 ID 정보인 IDSAM_LOG 와, 거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인 MPDA_LOG 와, 전국 호환카드(IEP)의 기 거래에 대한 전자화폐 거래 일련 번호인 NTEP_LOG 및 본 거래에 따른 서명정보 제1 서명정보 S1을 접수하는 단계;
    bc) 상기 전국 호환카드(IEP)로부터 접수한 거래정보 즉, ALGEP, VKEP, BALEP, IDCENTER, IDEP, NTEP, IDSAM_LOG, MPDA_LOG, NTEP_LOG, S1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단말기 정보인 MPDA 및 거래 취소를 위한 부가데이터를 지불SAM으로 전송하는 단계;
    bd)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지불SAM에 대한 ID 정보 IDSAM, 전자화폐 거래 일련번호 NTSAM, 지불SAM의 암호화 정보 SCSAM 및 제2 서명정보 S2 값을 접수하는 단계;
    be) 상기 지불SAM에서 제공되는 응답신호인 IDSAM, NTSAM, SCSAM, S2를 포함하여, 거래취소를 용인하기 위한 부가데이터를 전국 호환카드(IEP)로 전송하고, 상기 지불SAM으로 기 거래된 지불SAM 정보를 취소토록 요청하는 단계;
    bf) 상기 지불SAM 정보 취소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지불SAM으로부터 거래 유형정보 TRT, 개별거래에 따른 서명 키 버전정보 VKIND_KEY, ID 센터 정보 IDCENTER, 전자화폐 ID 정보 IDEP, 기 거래되었던 전자화폐 거래일련 번호 NTEP_LOG, 전자화폐의 잔액정보 BALEP, 단말기 기기 정보 MPDA, 지불SAM ID 정보 IDSAM, 지불SAM 거래 일련번호 NTSAM, 지불SAM 거래수집 일련 번호 NCSAM, 지불SAM에 대한 거래 건수 정보 NISAM, 거래 금액 정보 TOTSAM, 개별 서명정보 SIGNIND, SIGNIND2를 수신하여 거래 취소를 수행하는 단계; 및
    bg) 거래 취소에 따른 개별거래의 내역을 등록하고, 거래 취소 절차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IDCENTER는 한국전자지불산업협회에서 지정한 교통 사업자의 고유 번호이고, 상기 AID length는 부가정보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불 거래 시 부가정보에 대한 총 길이를 나타내며, 상기 DF Name은 전용파일로서 상기 Config DF(Divert File)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데이터는 거래를 위한 시간정보,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운영자의 요구에 따라 부가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형 교통카드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90088764A 2009-09-18 2009-09-18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764A KR101218693B1 (ko) 2009-09-18 2009-09-18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09/005661 WO2011034230A1 (ko) 2009-09-18 2009-10-01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764A KR101218693B1 (ko) 2009-09-18 2009-09-18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46A true KR20110031046A (ko) 2011-03-24
KR101218693B1 KR101218693B1 (ko) 2013-01-18

Family

ID=4375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764A KR101218693B1 (ko) 2009-09-18 2009-09-18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8693B1 (ko)
WO (1) WO2011034230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95B1 (ko) * 2011-10-28 2013-06-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교통 요금의 자동 징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교통 카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카드 처리 장치
KR20160022953A (ko) * 2014-08-19 2016-03-03 주식회사 알씨엔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KR20170088224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즉시충전 선불교통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US9928496B2 (en) 2013-01-30 2018-03-27 Kt Corporation Generating a temporal physical payment card
US9978056B2 (en) 2013-02-14 2018-05-22 Kt Corporation Smart card having multiple payment instruments
US10007873B2 (en) 2012-07-27 2018-06-26 Kt Corporation Multifunction smart card
KR101965408B1 (ko) * 2018-01-09 2019-04-03 에스트래픽 (주) 접촉식 교통요금 정산장치
KR101986561B1 (ko) * 2018-01-09 2019-06-07 에스트래픽 (주) 교통카드 발매장치
KR101986562B1 (ko) * 2018-01-09 2019-06-07 에스트래픽 (주) 교통카드 통합관리시스템
KR20200101041A (ko) * 2019-02-19 2020-08-27 김승훈 결제 과정에서의 보안성 강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97A (ko) * 2002-09-03 2004-03-12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멀티교통카드 롬데이타가 탑재된 콤비형 교통카드 및 그설정방법
KR100519828B1 (ko) * 2003-08-01 2005-10-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한 교통 카드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22652A (ko) * 2003-08-29 2005-03-08 에이캐시 주식회사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KR100770636B1 (ko) * 2005-03-29 2007-10-29 씨제이인터넷 주식회사 교통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7878A (ko) * 2006-08-23 2008-02-27 (주)로직아이텍 각 지역별 교통카드를 전국에서 사용하기 위한통합운영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95B1 (ko) * 2011-10-28 2013-06-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교통 요금의 자동 징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교통 카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카드 처리 장치
US8733645B2 (en) 2011-10-28 2014-05-27 Lg Cns Co., Ltd. Unified transportation payment system
US10007873B2 (en) 2012-07-27 2018-06-26 Kt Corporation Multifunction smart card
US9928496B2 (en) 2013-01-30 2018-03-27 Kt Corporation Generating a temporal physical payment card
US9978056B2 (en) 2013-02-14 2018-05-22 Kt Corporation Smart card having multiple payment instruments
KR20160022953A (ko) * 2014-08-19 2016-03-03 주식회사 알씨엔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KR20170088224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즉시충전 선불교통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KR101965408B1 (ko) * 2018-01-09 2019-04-03 에스트래픽 (주) 접촉식 교통요금 정산장치
KR101986561B1 (ko) * 2018-01-09 2019-06-07 에스트래픽 (주) 교통카드 발매장치
KR101986562B1 (ko) * 2018-01-09 2019-06-07 에스트래픽 (주) 교통카드 통합관리시스템
KR20200101041A (ko) * 2019-02-19 2020-08-27 김승훈 결제 과정에서의 보안성 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693B1 (ko) 2013-01-18
WO2011034230A1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693B1 (ko)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10594B2 (en) Delayed transit fare assessment
US8025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KR100366060B1 (ko) 광지불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제시스템
TWI428858B (zh) 用於整合式付費及電子商務轉帳之裝置及方法
JP4847451B2 (ja) 旅客輸送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内でチケットを取得する方法
US20050182674A1 (en) Charge approval and payment system
PT780801E (pt) Método e dispositivos para a utilização e compensação de meios de pagamento electrónicos num sistema aberto e inter-operável para a cobrança automática de taxas.
US20060173790A1 (en) Optical payment transcei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6600268A (zh) 基于移动支付的智能车载终端以及支付方法
JP2012513637A (ja) ワイヤレス通信リンクによって支援される電動車両充電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083325A (ja) 交通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および交通機関用記憶装置
CN109308608A (zh) 基于二维码脱机认证的轨道交通售检票消费系统及方法
CN107480971A (zh) 虚拟国标cpu卡以及基于虚拟国标cpu卡实现互联网用户交易的方法
CN103177513A (zh) 一种nfc终端的电子票务系统
CN101685511A (zh) 基于近场通信的终端支付方法、和基于近场通信的终端
EP2033134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transit fares
KR20130104252A (ko) 차량탑재장치에서의 티머니 카드 호환 방법
JPWO2004075081A1 (ja) モバイル・ネットコマース決済システム
WO2001069863A1 (en) An electronic mail service system comprising an internet network
Chandurkar Ticketing Protocol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020083525A (ko) 지하철 요금 자동 징수를 위한 광결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