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652A -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652A
KR20050022652A KR1020030060257A KR20030060257A KR20050022652A KR 20050022652 A KR20050022652 A KR 20050022652A KR 1020030060257 A KR1020030060257 A KR 1020030060257A KR 20030060257 A KR20030060257 A KR 20030060257A KR 20050022652 A KR20050022652 A KR 2005002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rvice
key code
operating system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에이캐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캐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캐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2652A/ko
Publication of KR2005002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유통, 문화 등의 다양한 거래에 있어 전자화폐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역의 변경에 따라 해당 지역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스마트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사업자의 키 코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 발행사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카드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되는 고유의 키 코드와 운영체제 및 충전 금액이 포함된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제공하는 과정과, 각 카드 서비스 업체는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자신들의 고유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는 제공되는 각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과, 고객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해당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사용 권한을 부여하며, 위치변경에 따른 해당 카드의 키 코드 변경 방식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고객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업체는 해당 스마트 카드에 금액 가치 전환을 위한 카드 애플릿과 이동통신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해 고객의 서비스 위치 변경이 서비스 제공업체에 확인되는 해당 지역을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한 다음 다운로드 하는 과정 및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이전 지역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다운로드 된 현재 지역의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활성화상태로 유지하는 과정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캐쉬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자화페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각 지역별 카드 발생사 및 서비스 업체에 대한 키 코드로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하나의 스마트 카드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일부 한정된 서비스 지역에 구애 받지 않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및 방법{KEY CODE CHANGE SYSTEM OF SMART CARD USING LOCATION BASE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통, 유통, 문화 등의 다양한 거래에 있어 전자화폐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역의 변경에 따라 해당 지역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스마트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사업자의 키 코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화폐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는 카드 내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운영체제,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카드의 사용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보안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마그네틱 필드를 사용하는 기준의 자기 방식의 카드보다 많은 정보를 보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의 측면에서 뛰어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메모리에 사용자의 거래 정보뿐만 아니라 통장계좌,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개인의 신상정보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에 따라 단순한 전자화폐의 기능을 초월하여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확장되고 있다.
스마트 카드는 이미 우리의 생활에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서유럽 통신기구인 ETSI에서 정의한 SIM 타입의 카드로 결합되어 이동통신단말기와 전자화폐의 단일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스마트 카드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 및 이 두 개의 기능을 혼합한 콤비형으로 구분된다.
접촉식 카드는 카드 리더(Reader) 혹은 카드 라이터(Writer)에 카드를 삽입시켜 데이터 인터페이스 접점이 서로 접촉되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 인터페이스 접점을 통해 카드 내에 전원이 공급되며 이를 통해 정보의 입출력이 이루어진다.
비접촉 카드는 카드가 판독기의 일정거리 이내에 근접되면 카드 내에 내장되어 있는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판독기와 RF(Radio Frequency)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콤비형 카드는 상기한 접촉 카드의 기능과 비접촉 카드의 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접촉 혹은 비접촉을 통해 정보의 교환이 이들 각각에 대한 키 코드와 O/S 및 애플릿이 설정된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각 카드 발생사와 서비스 업체간에 사용하고 있는 키 코드의 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서로간에 호환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각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에 따라 각각 한정된 지역 또는 카드 판독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지역 또는 다양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복수의 카드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판독기가 여러 종류의 카드에 대한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보안 모듈과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장치를 부가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국을 하나의 카드를 통한 서비스로 통합되는 경우 역시 각 서비스 업체와 제휴된 모든 가맹점 및 교통수단에 장착되어 있는 단말기를 교체 혹은 보완하여야 하며, 그에 대한 요금 정산 관련 시스템 및 알고리즘을 정비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선불 또는 후불형 교통카드의 경우 지방자치에 따라 각 지역별 교통업체와 제휴되어 과금 및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제공업체가 서로 다른 관계로, 예를 들어 서울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통카드는 경기도, 부산, 대구 등의 타 도시 및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서울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예를 들어 부산에 업무차 방문하여 교통 수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할인 혜택이 없는 현금을 이용하거나 부산에서 통용되고 있는 선불 혹은 후불형 카드를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구매한 선불 카드에 충전된 전체 금액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지역, 예를 들어 인천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인천지역에서는 부산에서 구입한 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잔여액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경비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삽입 장착되도록 구현되는 SIM 타입의 콤비형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지역의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로 자동 변경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IM 타입으로 구현되지 않는 콤비형 스마트 카드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가맹점)에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 단말기와 접속하여 해당 지역의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접촉 혹은 비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만으로 구현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해서도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가맹점)에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스마트 카드의 소지자는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일부 한정된 서비스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각 지역별 카드 발생사 및 서비스 업체에 대한 키 코드로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하나의 스마트 카드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유의 운영체제와 카드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되는 키 코드가 포함된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고객에게 지급하며, 그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는 카드 발행사에 구비되는 서버와;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스마트 카드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금의 정산을 수행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에 구비되는 서버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사업자에 설치되는 서버와; 상기 무선통신사업자 서버와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기지국과; 상기 무선통신사업자와 제휴하여 무선통신사업자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에 대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암호화 다운로드를 통해 자동 변경하여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발행사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카드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되는 고유의 서비스 키 코드와 운영체제 및 충전 금액이 포함된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제공하는 과정과; 각 카드 서비스 업체는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자신들의 고유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는 제공되는 각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과; 고객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해당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사용 권한을 부여하며, 위치변경에 따른 해당 카드의 키 코드 변경 방식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고객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업체는 해당 스마트 카드에 금액 가치 전환을 위한 카드 애플릿과 이동통신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해 고객의 서비스 위치 변경이 서비스 제공업체에 확인되는 해당 지역을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한 다음 다운로드 하는 과정 및;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이전 지역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다운로드된 현재 지역의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활성화상태로 유지하는 과정 및;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금 정산에 따라 캐쉬 균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첨부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카드 발행사(10A-10D)와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 서비스 제공업체(30), 무선 통신 사업자(40), 기지국(50) 및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가 삽입 장착된 다수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60A-60C)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서비스 제공업체(30)는 다수의 카드 발행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제휴된 복수의 카드 발행사(10A-10D)에서 해당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서비스가 되는 카드를 발행하고자 할 경우 자신들 고유의 운영체제와 서비스 키 코드를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에 제공하여 준다.
카드 발행사(10A-10D)는 상기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와 제휴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 발급 요청에 따라 해당 카드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키 코드가 포함된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지급하며, 해당 카드의 서비스 업체에서 운영하는 고유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통해 교통, 유통, 문화 등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스마트 카드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카드 발행사(10A-10D)와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스마트 카드의 소지자인 고객(사용자)과의 선수금 및 결제 대금의 관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유무선 단말기를 등록된 가맹점에 설치하여 준다.
또한, 상기의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제휴된 서비스 제공업체(30)에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보안 모듈의 형태로 제공하거나 고객 카드의 키 코드 변경이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해당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보안 서버에 접속하여 키 코드 변경을 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다음 키 코드의 변경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각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31)에 맵 테이블로 저장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해당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변경하여 준다.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30)에는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각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로부터 카드 번호와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계, 각 카드 번호별 요금 관련 정보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키 코드의 자동 변경을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선 부여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또한, 설정된 주기로 상기의 각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 구비되는 서버를 접속하여 필요한 제반 정보의 업 데이트를 실행한다.
무선통신 사업자(40)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30)와 제휴되어 무선 통신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변경 서비스의 중계를 수행한다.
상기의 무선통신 사업자(40)는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을 위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60A-60C)에 다운로드 전송하는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하여 암호화를 수행하여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60A-60C)의 이동에 따른 위치 추적을 수행한다.
기지국(50)는 상기의 무선통신 사업자(40)와 이동통신단말기(60A-60C)의 무선망 통신의 연결을 중계 서비스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망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에 대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 장착되는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가 사용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해당 지역에서 적용되고 있는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자동 변경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사용자)이 임의의 카드 발행사(10A-10D)에 교통, 유통, 문화 등의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전자화폐의 결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의 발급을 요청하게 되면(S201), 해당 카드 발행사(10A-10D)는 고객이 발급 요청한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서비스 키 코드가 포함된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해당 고객에게 지급하여 준다(S202).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 장착되는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인 경우 해당 카드에 키 코드와 운영체제 및 충전된 금액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애플릿(Applet)을 다운로드 제공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임의의 고객(사용자)에게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지급하는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자신들이 발행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스마트 카드에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선불형 카드인 경우 충전된 금액 정보 및 해당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정보를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30)에 제공한다(S203).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각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 및 카드 발행사(10A-1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와 발급된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에 매칭 테이블로 설정한다(S204).
이후,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은 고객(사용자)이 발급 받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의 결제 기능을 위한 서비스 신청과 사용되는 지역 정보 및 키 코드의 변경 방식,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사용되는 지역에 대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자동 변경을 서비스 제공업체(30)에 등록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업체(30)는 등록되는 고객(사용자)정보,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PIN 및 가입자 번호 등을 데이터 베이스(31)에 매칭 테이블로 저장한다(S205).
또한,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 등록된 가맹점내의 유무선 단말기 및 교통수단에 장착되어 단말기에 스마트 카드의 결제에 따른 금액 가치 전환 및 정산을 위한 카드 애플릿을 다운로드하며, 무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에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간의 선수금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S206).
고객(사용자)이 스마트 카드를 등록한 지역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지역의 이동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고객(사용자)의 위치 변경이 서비스 제공업체(30)에 검출되면 서비스 제공업체(30)는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31)로부터 엑세스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현재의 지역에서 서비스되는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다운로드하여 자동 변경하여 준다(S208).
이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콤비형의 스마트 카드는 접촉 방식을 지원하는 영역(A)과 비접촉 방식을 지원하는 영역(B)으로 구분되며, 접촉 방식을 지원하는 영역(A)에는 키 코드의 정보와 요금에 대한 정보 등의 애플릿이 저정되는 메모리 영역(110)과 운영체제인 O/S가 저장되는 영역(120)으로 구분된다.
또한, 비접촉 방식을 지원하는 영역(B)은 충전된 금액 정보, 카드 발행사 (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키 코드가 저장되는 섹터(Sector :130)와 비접촉 방식을 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O/S가 저장되는 영역(140)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섹터(130)는 통상적으로, 16개로 구분되며, 하나의 섹터는 4개의 블록으로 구분되고, 이 4개의 블록 중에 임의의 하나의 블록에 충전된 금액의 정보가 저장되고, 또 다른 하나의 블록에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가 저장되며, 또 다른 블록들에는 스마트 카드의 각 고유한 값이 저장된다.
또한, 하나의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서 사용되는 섹터는 대략적으로 3개 내지 4개의 섹터 영역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스마트 카드의 사용자가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무선통신사업자(40)의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된 지역의 정보가 서비스 제공업체(30)에 검출된다.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30)는 데이터 베이스(31)로부터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엑세스한 후 무선통신사업자(4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암호화를 통해 다운로드 제공하여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자동 변경하여 준다.
이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의 0 내지 2번 섹터에 발급 당시에 설정된 A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였다면, 고객(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하여 서비스 지역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0내지 2번 섹터에 저장되어 있는 A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비활성화의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빈 섹터의 영역, 예를 들어 3내지 5번 섹터에 B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다운로드 저장하여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서비스 지역의 이동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의 결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 전환 서비스의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임의의 고객이 A 카드 발행사 및 A 카드 서비스 업체(20A)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아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자동 변경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A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가 관장하는 서비스 존 A(60A), 예를 들어 서울에서 교통, 문화, 유통 등에 대한 대금 결제에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던 도중에 B 카드 발행사 및 B 카드 서비스 업체(20B)가 관장하는 서비스 존 B(60B), 예를 들어 부산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선통신사업자(40)에 의한 위치기반서비스, 즉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확인에 의해 해당 고객이 부산으로 이동되었음이 검출되어 서비스 제공업체(30)에 전달된다.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30)에서는 데이터 베이스(31)로부터 서비스 존B(60B), 부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B카드 발행사(10B) 및 B 카드 서비스 업체(20B)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엑세스하여 무선통신사업자(4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준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삽입 장착되어 있는 SIM 카드 형태의 스마트 카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존B(60B), 부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B카드 발행사(10B) 및 B카드 서비스업체(20B)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변경 활성화되어 부산지역에서도 역시 스마트 카드의 대금 결제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 영역의 이동에 따라 충전된 요금 정보에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접촉 방식의 메모리 영역에 수록되어 있는 요금 정보와 비접촉 방식의 섹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요금 정보는 균형이 형성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 장착되는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가 사용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키 값 변경 요구에 따라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자동 변경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사용자)이 임의의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 교통, 유통, 문화 등의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전자화폐의 결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의 발급을 요청하게 되면(S301), 해당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아 해당 고객에게 지급하여 준다(S302).
이때, 교통 카드의 기능만을 하는 선불형 스마트 카드인 경우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로부터 미리 일괄적으로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은 상태이므로, 고객에게 지급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발급되는 스마트 카드의 시리얼 번호만을 등록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 장착되는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인 경우 해당 카드에 키 코드 및 운영체제와 충전된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애플릿(Applet)을 다운로드 제공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임의의 고객(사용자)에게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지급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 및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는 자신들이 발행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스마트 카드에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선불형 카드인 경우 충전된 금액 정보 및 해당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정보에 대하여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30)에 제공한다(S303).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각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 및 카드 발행사(10A-1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와 발급된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에 테이블로 설정한다(S304).
이후,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은 고객(사용자)이 발급 받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의 결제 기능을 위한 서비스 신청과 사용되는 지역 정보 및 키 코드의 변경 방식,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키 값 변경을 서비스 제공업체(30)에 등록한다(S305).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 등록된 가맹점내의 유무선 단말기 및 교통수단에 장착되어 단말기에 스마트 카드의 결제에 따른 금액 가치 전환 및 정산을 위한 카드 애플릿을 다운로드하며, 무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에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간의 선수금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S306).
고객(사용자)이 스마트 카드를 등록된 서비스 지역, 예를 들어 서울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다른 카드 서비스 업체가 서비스를 관장하는 지역, 예를 들어 부산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객(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부산 지역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로의 키 코드 변경을 요청하게 되면 무선통신사업자(40)의 망을 통해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 요청이 서비스 제공업체(30)에 전송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업체(30)는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31)로부터 엑세스하여 전술한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현재의 지역인 부산지역 서비스를 관장하는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다운로드하여 자동 변경하여 준다(S308).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스마트 카드가 사용 지역을 이동에 따라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SMS 메시지를 수신에 따라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자동 변경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사용자)이 임의의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 교통, 유통, 문화 등의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전자화폐의 결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의 발급을 요청하게 되면(S401), 해당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아 해당 고객에게 지급하여 준다(S402).
이때, 교통 카드의 기능만을 하는 선불형 스마트 카드인 경우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는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로부터 미리 일괄적으로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은 상태이므로, 고객에게 지급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발급되는 스마트 카드의 시리얼 번호만을 등록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 장착되는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인 경우 해당 카드에 키 코드 및 운영체제와 충전된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애플릿(Applet)을 다운로드 제공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임의의 고객(사용자)에게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지급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 및 제휴된 카드 발행사(10A-10D)는 자신들이 발행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스마트 카드에 연동되는 사용자 정보, 선불형 카드인 경우 충전된 금액 정보 및 해당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정보를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업체(30)에 제공한다(S403).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각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 및 카드 발행사(10A-1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와 발급된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에 테이블로 설정한다(S404).
이후,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발급 받은 고객(사용자)이 발급 받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의 결제 기능을 위한 서비스 신청과 사용되는 지역 정보 및 키 코드의 변경 방식,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고객(사용자)의 위치가 다른 카드 서비스 업체가 관장하는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 요구에 대한 SMS 메시지의 수신으로 등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업체(30)는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1)에 등록한다(S405).
동시에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상기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에 등록된 가맹점내의 유무선 단말기 및 교통수단에 장착되어 단말기에 스마트 카드의 결제에 따른 금액 가치 전환 및 정산을 위한 카드 애플릿을 다운로드하며, 무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시에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간의 선수금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S406).
고객(사용자)이 스마트 카드를 등록된 서비스 지역, 예를 들어 서울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다른 카드 서비스 업체가 서비스를 관장하는 지역, 예를 들어 부산으로 이동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업체(30)는 무선통신사업자(30)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검출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위치를 확인하여 SMS 메시지의 수신이 등록되어 있는 고객(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등록된 고객(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현재 스마트 카드에 등록되어 있는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이 있어야 한다는 SMS(Short Message System) 메시지를 무선통신사업자(3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여 준다(S407).
상기와 같이 서비스 제공업체(30)로부터 SMS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의 승인을 요청하게 되면 무선통신사업자(40)의 망을 통해 승인 요청이 서비스 제공업체(30)에 전송되어 진다(S408).
따라서, 서비스 제공업체(30)는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31)로부터 엑세스하여 전술한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현재의 지역인 부산지역 서비스를 관장하는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로 다운로드하여 자동 변경하여 준다(S409).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서 서비스 지역의 이동에 따른 카드의 금액 발란스를 유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카드 발행사(10A-10D) 및 카드 서비스 업체(20A-20D)로부터 서비스 지역의 전환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번호를 선부여 받아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한다.
따라서, 일 예를 들어 A카드 발행사(10A)에서 a000 ~ a099까지의 카드가 발급되어 개인에게 배포되어 있고, B카드 발행사(10B)에서는 b000 ~ b099까지의 카드가 발급되어 개인에서 배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A카드 서비스 업체(20A) 및 B카드 서비스 업체(20B)는 개별 카드사의 카드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여 거래 및 정산이 이루어지는 업체이고, C카드 서비스 업체(20C) 및 D카드 서비스 업체(20D)는 개별 카드사의 카드 번호 이외에 자체의 인식번호를 이용하여 카드의 거래 및 정산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C카드 서비스 업체(20C)는 c000 ~ c099의 카드 번호를 발행사의 카드에 넣어 발급하게 되고, D카드 서비스 업체(20D)는 d000 ~ d099의 카드 번호를 발행사의 카드에 넣어 발급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업체(30)는 서비스 지역의 전환에 따라 카드 키 전환에 사용하기 위하여 A카드 발행사(10A) 및 B카드 발행사(10B)로부터 a000 ~ a099 및 b000 ~ b099까지의 카드 번호와 C카드 서비스 업체(20C) 및 D카드 서비스 업체(20D)로부터 c000 ~ c099 및 d000 ~ d099의 카드 번호를 선 부여받아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카드 인식번호에 따라 학생요금과 같이 할인 요금이 적용되는 카드의 경우에는 일반 카드 번호와 종류별 할인 카드 번호를 구분한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 지역의 전환에 따라 카드 키 전환에 사용하기 위한 카드 번호를 선 부여받아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지역의 이동에 따른 카드 전환 및 금액 발란스를 유지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일 예를 들어 "가" 사용자가 A카드사(10A)에서 발행된 a010이라는 카드번호의 카드 번호를 소지하고 있고, 이 카드는 A카드 서비스 업체(20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잔액이 10,000원이 들어 있고, 이 "가"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업체(30)에 C카드 서비스 업체(20C)가 서비스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키 코드가 변경되도록 서비스를 선 신청해 놓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의 "가" 사용자가 C카드 서비스 업체(20C)가 서비스하는 지역으로 이용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에는 무선통신 사업자(40)에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의해 "가" 사용자의 위치 변경이 감지되고, 이에 따라 키 코드의 변경이 요청된다.
따라서, 키 코드 변경 권한을 가진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는 무선 통신사업자(40)가 제공하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가" 사용자가 소유한 카드의 접촉식 메모리 영역에 설치된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메모리 영역의 특정 섹터에 있던 A서비스 업체(20A)의 키 코드를 비활성화시키고, 잔액 정보 10,000원의 데이터를 엑세스 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는 C카드 서비스 업체(20C)로부터 선발급 받아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하고 있는 번호 중 하나, 예를 들어 c980 이라는 카드 번호와 a010의 카드 번호를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카드의 접촉식 메모리에 들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접촉식 메모리의 빈 영역에 C카드 서비스 업체(20C)의 키 코드를 내려주고 이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필요할 경우 섹터 0에 들어 있는 지시값(Indicator)을 A 카드 서비스 업체(20A)가 아닌 C카드 서비스 업체(20C)의 키코드 및 데이터가 있는 섹터를 지시하도록 변경한다.
이와 동시에 A카드 서비스 업체(20A)와 관련되는 잔액을 초기화시키고, C카드 서비스 업체(20C)의 금액 발란스를 증가시키게 되며, 상기한 키 코드의 변경 및 금액 발란스 변경에 대한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업체(30)의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되고, 서비스 사용에 따른 정산이 수행된다.
따라서, C카드 서비스 업체(20C)는 "가"사용자가 특정 사용처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가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를 근거로 이에 대한 정산을 서비스 제공업체(30)에 요청하게 된다.
또한, 다른 일 예로 "나" 사용자가 B카드 발행사(10B)의 b011 이라는 카드 번호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 카드에는 C카드 서비스 업체(20C)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c080 이라는 서비스 인식번호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고 하면 "나" 사용자는 C카드 서비스 업체(20C)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나" 사용자가 D카드 서비스 업체(20D)가 제공하는 서비스 지역으로 이용하는 경우 SMS 메시지의 확인을 통해 키 코드가 변경되도록 서비스를 신청하였으며, 카드에 포함된 신용기능을 이용하여 10,000원 단위로 자동 충전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신청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나" 사용자가 D카드 서비스 업체(20D)가 관장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통신 사업자(40)가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의해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에 "나" 사용자의 위치 변경이 감지되고 이에 따라 키 코드의 변경 요청이 수행된다.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는 "나" 사용자에게 키 변경 요청을 확인하는 SMS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나"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확인 신호가 검출되면 키 코드의 변경을 수행한다.
그러면, 키 코드 변경 권한을 갖는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는 무선 통신사업자(4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나"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의 접촉식 메모리 영역에 설치된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메모리 영역의 특정 섹터에 있던 C서비스 업체(20C)의 키 코드를 비활성화시킨다.
이후, 서비스 제공업체(30)의 서버는 D카드 서비스 업체(20D)로부터 선발급 받아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하고 있는 번호 중 하나, 예를 들어 d990 이라는 카드 번호와 b011 및 c080의 카드 번호를 매칭시킨 다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카드의 접촉식 메모리에 들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접촉식 메모리의 빈 영역에 D카드 서비스 업체(20C)의 키 코드를 내려주고 이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필요할 경우 섹터 0에 들어 있는 지시값(Indicator)을 C 카드 서비스 업체(20C)가 아닌 D카드 서비스 업체(20D)의 키코드 및 데이터가 있는 섹터를 지시하도록 변경하며, "나" 사용자가 요청한 대로 10,000원 금액 만큼 "나" 고객의 신용카드 기능을 이용하여 금액 발란스를 증가시킨다.
또한, "나" 사용자가 사용하던 금액이 모두 소진되기 전에 자동 충전 또는 "나" 사용자의 확인 요청에 따라 충전 금액을 증가시킨다.
상기한 키 코드의 변경 및 금액 발란스 변경에 대한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업체(30)의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되고, 서비스 사용에 따른 정산이 수행된다.
따라서, D 카드 서비스 업체(20D)는 "나" 사용자가 특정 사용처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가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를 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C 카드 서비스 업체(20C)에서 선 제공한 카드 번호 d990의 사용임을 판단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정산을 서비스 제공업체(30)에 제공하여 "나" 사용자가 사용한 금액에 대한 대금의 결제를 정산 받는다.
이상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삽입되는 SIM 카드의 형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비접촉 방식만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혹은 애플릿 다운로드의 설치가 불가능한 카드인 경우 해당 서비스 지역의 가맹점에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 단말기에 접촉 혹은 비접촉 방식을 통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다운로드 설정을 통해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접촉 방식만을 적용하는 있는 스마트 카드인 경우 가맹점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데이터 인터페이스 접점을 접촉하여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다운로드받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화페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각 지역별 카드 발생사 및 서비스 업체에 대한 키 코드로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하나의 스마트 카드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 발행사 및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일부 한정된 서비스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스마트 카드의 경우 해당 서비스 지역의 가맹점에 설치된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해당 지역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쉽게 다운로드받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적용하여 전화화폐의 사용 영역을 확대하여 준다.
또한,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에 대하여 교통수단에 장착되는 단말기나 서비스 업체에 구비되는 시스템의 교체 및 보완 없이 상호 호환성을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을 수행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키 값 변경 요구에 의해 키 코드 변경을 수행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한 서비스 영역의 이동시 SMS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키 코드 변경을 수행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콤비형(Combination Type) 스마트 카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키 코드의 변경상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각 카드 서비스 업체의 고유한 서비스 키 코드와 운영체제가 포함된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고객에 제공하며, 해당 정보가 등록되는 카드 발행사에 구비되는 서버와;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스마트 카드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금의 정산을 수행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에 구비된 서버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사업자에 구비되는 서버와;
    상기 무선통신사업자와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기지국과;
    상기 무선통신사업자 서버에서 제공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에 대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암호화 다운로드를 통해 자동 변경하여 주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구비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서비스 업체에 구비되는 서버는 스마트 카드의 선수금 및 결제 대금의 관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등록된(키 코드 변경을 위해 개설된) 가맹점의 유무선 단말기에 제공하고, 제휴된 서비스 제공업체에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보안 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사업자에 구비되는 서버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변경 서비스를 중계하며, 다운로드 전송하는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에 구비되는 서버는 각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맵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에 구비되는 서버는 각 카드 발행사 서버 및 카드 서비스 업체 서버로부터 발급된 카드 번호와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계, 각 카드 번호별 요금 관련 정보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키 코드의 자동 변경을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선 부여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설정된 주기로 상기의 각 카드 발행사 서버 및 카드 서비스 업체 서버를 접속하여 갱신 및 변경되는 데이터를 업 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
  6. 고객의 요청에 따라 카드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된 고유의 키 코드와 운영체제 및 충전 금액이 포함된 SIM 타입의 스마트 카드를 발급하여 제공하는 과정과;
    각 카드 서비스 업체 서버는 키 코드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자신들의 고유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의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제공되는 각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과;
    고객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해당 스마트 카드에 대하여 사용 권한을 부여하며, 위치변경에 따른 해당 카드의 키 코드 변경 방식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고객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해당 스마트 카드에 금액 가치 전환을 위한 카드 애플릿과 이동통신단말기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해 고객의 서비스 위치 변경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확인되면 해당 지역을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한 다음 다운로드 하는 과정 및;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이전 지역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다운로드된 현재 지역의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활성화상태로 유지하는 과정 및;
    서비스 제공에 따라 요금 정산이 발생되면 캐쉬 균형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다운로드 되는 금액 가치 전환을 위한 카드 애플릿 및 통신 프로그램은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설정에 따라 최초 키 코드의 변경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고객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 방법 등록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서비스 위치 변경이 검출되는 경우 SMS 메시지를 통해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이 필요함을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에 대한 승인이 검출되면 해당 지역을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한 다음 다운로드하며,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이전 지역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다운로드된 현재 지역의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활성화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고객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 방법 등록에 따라 고객의 직접 선택에 의한 키 코드 및 운영체제의 변경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지역을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한 다음 다운로드하며,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이전 지역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다운로드된 현재 지역의 서비스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활성화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다운로드 제공하는 금액 가치 전환을 위한 애플릿 및 통신 프로그램은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업체의 가맹점 단말기에 모든 카드 서비스 업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방식이 제공되지 않은 스마트 카드의 경우 가맹점에 설치되는 유무선 단말기에 접속하여 해당 지역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다운로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지 않는 SIM 타입이 아닌 스마트 카드의 경우 가맹점에 설치되는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해당 지역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 및 운영체제를 다운로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13. 카드 서비스 업체(카드 발행사)는 고유의 키 코드와 운영체제 및 충전 금액이 포함된 카드를 발급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카드 서비스 제공업체는 각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로부터 카드 전환시 사용할 카드 번호를 선 부여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소정의 잔액이 있는 임의의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가 서비스 지역 이동시 키 코드 자동 변경 서비스를 신청하는 과정과;
    이동 통신망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키 코드 변경 서비스 요청자의 위치 변경이 검출되면 키 코드 변경 권한을 가진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는 무선망을 통해 고객이 소지한 카드의 비접촉식 메모리 영역에 설치된 서비스 제공업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메모리 영역의 특정 섹터에 있던 이전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를 비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잔액에 대한 정보를 엑세스하여 임시 보관하는 과정과;
    상기 키 코드 변경 권한을 가진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카드 번호와 해당 고객의 카드 번호를 매칭시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고객 카드의 접촉식 메모리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접촉식 메모리의 빈 영역에 현재 지역의 서비스를 관장하는 카드 서비스 업체의 키 코드를 다운로드 한 후 활성화시키며, 엑세스하여 임시 보관한 잔액 정보에 대한 금액 발란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카드에 대한 키 코드 변경 및 금액 발란스 변경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역 서비스 제공업체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각 카드 발행사 및 카드 서비스 업체로부터 카드 전환시 사용할 카드 번호를 선 부여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일반 카드와 종류별 할인 카드 번호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방법.
KR1020030060257A 2003-08-29 2003-08-29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KR20050022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257A KR20050022652A (ko) 2003-08-29 2003-08-29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257A KR20050022652A (ko) 2003-08-29 2003-08-29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652A true KR20050022652A (ko) 2005-03-08

Family

ID=3723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257A KR20050022652A (ko) 2003-08-29 2003-08-29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26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93B1 (ko) * 2009-09-18 2013-01-18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1677B1 (ko) * 2012-05-29 2014-06-02 비씨카드(주) 모바일 결제를 위한 방법, 이동 단말기, 가맹점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462531B1 (ko) * 2012-05-29 2014-11-18 비씨카드 주식회사 모바일 결제를 위한 방법, 이동 단말기, 가맹점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90113243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다날 결제 처리 대행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93B1 (ko) * 2009-09-18 2013-01-18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1677B1 (ko) * 2012-05-29 2014-06-02 비씨카드(주) 모바일 결제를 위한 방법, 이동 단말기, 가맹점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462531B1 (ko) * 2012-05-29 2014-11-18 비씨카드 주식회사 모바일 결제를 위한 방법, 이동 단말기, 가맹점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90113243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다날 결제 처리 대행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7878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purchaser to direct payment approval, settlement, and membership subscrip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12673A1 (en) Method for autorising mandates of payment by credit cards and related apparatuses
JP2005276184A (ja) 無線サービス購買システム
CN104871189A (zh) 通过手机应用实现移动非接触式票务/支付的方法和系统
KR20110032735A (ko)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인출 방법, 현금 인출 기능이 내장된 휴대 단말 및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인출 시스템
KR101363315B1 (ko) 금융 결제와 통신 기능이 통합된 모바일 카드, 이를 이용한 해외 금융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64160A1 (en)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ommunications network,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thereof
KR20030000447A (ko) 결제 정보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버추얼카드 발급 방법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CN101014985A (zh) 使用作为储值装置的普通的移动装置使跨越不同的支付系统的非接触支付交易便利的系统和方法
KR101283992B1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마일리지 충전 및 충전 마일리지 사용방법
KR20050022652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키 코드 변경장치및 방법
KR20000037185A (ko) 무선카드칩 내장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소액결제 및리필시스템
KR20010046972A (ko) 휴대전화기용 무선주파수 신용카드 시스템 및 신용카드결제방법
KR101149071B1 (ko) 다중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7204A (ko) 무선인식칩 내장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소액구매요금및 통신요금 통합 징수시스템
KR20140015171A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344509B1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별 마일리지 충전 시스템
KR100521993B1 (ko) 선/후불 결제 기능을 가지는 카드 단말기, 카드 단말기의선/후불 결제 방법
KR20170123224A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456344B1 (ko) 휴대폰 내장형 다중교통카드 시스템 및 그 사용제한방법
KR20160150074A (ko) 선불형 데이터 이머니 전환 시스템
KR20050021407A (ko) 휴대폰 칩 내 휴대폰 소액결제 사전 한도구현을 통한 휴대폰 간 직접 가치 이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802925B1 (ko)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1518215A1 (e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 public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