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872A -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872A
KR20160098872A KR1020150021062A KR20150021062A KR20160098872A KR 20160098872 A KR20160098872 A KR 20160098872A KR 1020150021062 A KR1020150021062 A KR 1020150021062A KR 20150021062 A KR20150021062 A KR 20150021062A KR 20160098872 A KR20160098872 A KR 2016009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support
support member
support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907B1 (ko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비젼
Priority to KR102015002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9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전·후면에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가 놓여 콘택트렌즈의 원형 그대로 진열이 가능하여 판매자나 소비자가 육안으로 실물을 보면서 신속·정확한 설명 및 확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Contact lens supporting member and desktop st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전·후면에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가 놓여 콘택트렌즈의 원형 그대로 진열이 가능하여 판매자나 소비자가 육안으로 실물을 보면서 신속·정확한 설명 및 확인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라 함은 안구의 전면에 밀착시켜서 시력을 교정 내지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의학적 적응인 경우에는 물론 직업상 안경이 흐리거나 위험한 경우에 사용되며, 미용상으로 안경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나 의안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컬러 콘택트 렌즈는 선전이나 판매 등을 위해서 전시할 경우 렌즈의 특성상 보관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컬러를 가진 많은 종류의 콘택트 렌즈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아래와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베이스판(40)에 벨크로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고정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여 콘택트렌즈(L)의 물기를 흡수하여 건조된 상태로 전시되도록 하는 드라이부재(30), 케이스(10)와 결합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된다.
드라이부재(30)는 뚜껑(20)과 케이스(10)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을 채운다.
이때, 콘택트렌즈(L)는 뚜껑(20)의 내측 표면에 밀착하여 케이스(10)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콘택트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렌즈 샘플용 케이스는 트레이(112)와, 리드(114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리드(114a)와 결합하는 트레이(112)는 콘택트렌즈(102)를 수용한다.
콘택트렌즈 샘플용 케이스(110)는 삽입홈(132)에 끼움 삽입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콘택트 렌즈(1)가 수용되는 홀더(14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패널(110)은 홀더(140)가 장착되는 장착부(111)가 다수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홀더(140) 내부의 수용공간부(143)에 콘택트 렌즈(1)가 수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콘택트렌즈를 담고 있는 홀더는 거치대에 끼워 진열되는데, 콘택트렌즈는 홀더 내에서 위치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축하여 변형되어, 진열 효과가 매우 낮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홀더 내부에는 수용액이 담겨 있어 콘택트렌즈가 수축은 되지 않지만, 수용액이 콘택트렌즈에 굴절률을 일으켜 소비자가 실물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홀더들은 거치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끼워진 상태로 진열되기 때문에, 거치대가 조금이라도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특히 판매자나 소비자가 거치대를 들고 볼 때 홀더가 앞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공보 제2013-0004893호 한국공개실용공보 제2011-0011094호 한국공개실용공보 제2010-000536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택트렌즈가 원형 그대로 진열되어 판매자나 소비자의 육안으로 실물을 보면서 신속·정확한 설명 및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콘택트렌즈가 원형 그대로 진열되는 지지부재가 임의로 빠지지 않게 진열시키는 탁상용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는, 콘택트렌즈의 후면이 놓여 지지되며 위로 볼록한 제1지지부;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놓여 지지되며 위로 볼록한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콘택트렌즈의 후면이 놓이는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놓이는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투명 재질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탁상용 진열대는, 콘택트렌즈의 후면 및 전면 사이에서 배치 지지되며 위로 볼록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갖는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상기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가 홀딩되는 전후면홀딩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탁상용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콘택트렌즈의 후면이 놓이는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놓이는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홀딩판에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놓이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홀딩판에는 상기 제2지지부가 노출된 채 상기 제2플랜지가 홀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탁상용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홀딩판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더 설치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전후면홀딩판이 착탈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이 받쳐지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탁상용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백색이고, 상기 제2지지부는 투명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에 콘택트렌즈를 위치시키면 제1·2지지부와 콘택트렌즈의 전·후면이 가지고 있는 곡률대로 콘택트렌즈가 지지되고, 콘택트렌즈의 원형이 그대로 진열되어 판매자나 소비자가 육안으로 실물을 보면서 신속·정확한 설명 및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콘택트렌즈 원형이 보존되어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는 전후면홀딩판 사이에 끼워지고, 전후면홀딩판은 거치판에 서랍처럼 밀어서 넣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탁상용 진열대를 들거나, 거치판을 받침대에서 빼도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는 전후면홀딩판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수용액이 묻은 콘택트렌즈는 자체 수분에 의해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와 밀착되는 흡착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별다른 장치 없이도 콘택트렌즈와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가 서로 달라붙은 채로 진열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의 제1·2지지부가 동일한 형상이므로 제품생산이 간편하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의 제1·2플랜지는 하면이 평평하고 제 1·2 지지편은 구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를 집어들 때 손가락이 제1·2플랜지와 제 1·2 지지편에 동시에 닿게 되어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가 바닥에 있는 상태에서도 쉽게 집어들 수 있다.
받침대와 거치판을 각각 분리시키면 작은 공간에도 보관하기가 쉽다.
받침대의 상단 모서리에 테이퍼가 져서 손으로 받침대를 잡기가 편하다.
사용자가 받침대로부터 거치판을 분리하여 손으로 직접 들고 보거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제 1 의 종래 기술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의 종래 기술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제 2 의 종래 기술의 사시도와 부분확대도.
도 4는 제 3 의 종래 기술의 사시도.
도 5는 제 3 의 종래 기술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분해사시도.
도 7은 콘택트렌즈와 밀착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후면홀딩판과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와 설명시트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거치판 사시도와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탁상용 진열대(600)는, 콘택트렌즈(100)가 지지되는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와,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가 홀딩되는 전후면홀딩판(300)을 포함한다.
전후면홀딩판(300)이 서로 결합되게 하여 탁상 등에 올려놓아도 되지만,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가 거치되는 거치대(500)가 더 설치되면 안정적으로 탁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서 바람직하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는 콘택트렌즈 후면(104)이 놓여 지지되는 제1지지부(230)와, 콘택트렌즈 전면(102)에 놓여 지지되는 제2지지부(21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230)는 콘택트렌즈 후면(104)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위로 볼록한 제1지지편(232)과, 제1지지편(23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2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부(210)는 콘택트렌즈 전면(102)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위로 볼록한 제2지지편(212)과, 제2지지편(21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2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 1·2 지지편(232·212)은 거의 반 구형에 가까운 형상이다.
제1·2플랜지(234·214)는 각각 제1·2지지편(232·212) 하단의 바깥 둘레 전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2 지지편(232·212)과 콘택트렌즈(100)는 서로 밀착이 잘 되도록 곡률이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부(230)와 제2지지부(210)는 형상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동일한 금형으로 생산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지지부(230)는 백색재질이지만, 불투명재질 혹은 투명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콘택트렌즈(100)가 칼라 콘택트렌즈인 경우, 제1지지부(230)가 백색이면 콘택트렌즈(100)의 색이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제2지지부(210)는 투명한 재질로 하여 콘택트렌즈 특히 칼라 콘택트렌즈가 선명하게 보이게 한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특히 얇은 두께로 사출 성형 가능한 PET 재질이 바람직하다.
전후면 홀딩판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의 전·후면에 끼워져 지지하는 전후면홀딩판(300)은 후면홀딩판(310)과 전면홀딩판(320)을 포함한다.
전면홀딩판(320)과 후면홀딩판(3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홀딩판(320)과 후면홀딩판(310)은 단면이 얇은 사각형 특히 가로보다 세로가 긴 직사각형의 판이 바람직하다.
전면홀딩판(320)에는 관통공(3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22)은 제2지지편(212)이 통과되면서 제2플랜지(214) 상에 걸려 홀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후면홀딩판(310)에는 제1지지부(230)의 제1플랜지(234) 및 제2지지부(210)의 제2플랜지(214)가 놓이는 수용홈(312)이 형성된다.
수용홈(312)은 제1플랜지(234) 및 제2플랜지(214)가 수용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깊이를 가진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가 각자 수용홈(321)에서 안정적으로 놓여져 지지되게 된다.
관통공(322)의 직경(B)은 제1·2플랜지(232·214)의 직경(a)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제2플랜지(214)가 전면홀딩판(320)에서 빠지지 않는다.
수용홈(312)의 직경(A)은 적어도 제1·2플랜지(234·214)의 직경(a)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야 수용홈(312)에 제1플랜지(234)를 위치시킬 수 있다.
수용홈(312)과 관통공(322)은 서로 마주하며, 여러 개가 일정한 배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4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후면홀딩판(310)의 두께는 전면홀딩판(320)보다 두껍다.
그 이유는, 후면홀딩판(310)이 수용홈(312)을 형성하기 위한 살빼기 공정에서 그 깊이만큼 두께가 얇아져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거치대(500)
거치대(500)는 전후면홀딩판(300)이 착탈되는 거치판(400), 거치판(400)이 받쳐지는 받침대(3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거치판(400) 은 전후면홀딩판(300)의 양측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415), 레일(415)의 양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판(410), 연결판(4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토퍼(440)를 포함한다.
전후면홀딩판(300)이 거치판 내부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415)은, 좌측레일(420)과 우측레일(430)을 포함한다.
좌측레일(420)과 우측레일(430)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ㄷ자 형상의 전면가이드(426)와 격벽(424), ㄷ자 형상의 격벽(424)과 후면가이드(422)가 형성된다.
전면가이드(426)는 레일(415)의 전면과 연결되고, 후면가이드(422)는 레일(415)의 후면과 연결된다.
격벽(424)은 전면가이드(426)와 후면가이드(422) 사이에 형성된다.
후면가이드(422)와 격벽(4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얇은 직사각형의 연결판(410)이 부착고정된다.
연결판(410) 상단에 형성되는 도려낸 홈(450)은 정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와 달리 연결판(410)과 레일(41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424)과 전면가이드(426)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전후면홀딩판(300)이 위치하게 된다.
전후면홀딩판(300)은 거치판(40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거치판(4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스토퍼(440)의 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양단이 레일(415)의 하단과 연결된다.
전후면홀딩판(300)을 거치판(400) 내부에 위치시킬 때, 전후면홀딩판(300)은 거치판(40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다가 스토퍼(440)에 막혀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한다.
격벽(424)과 격벽(424) 사이에는 공간인 삽입부(460)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즉 삽입부(460)는 좌측레일(420)과 우측레일(430)의 격벽(424) 사이의 공간, 즉, 연결판(410)과 후면홀딩판(310) 사이의 공간이다.
필요에 따라 거치판(400)의 삽입부(460)에는 설명시트(360)가 전후면홀딩판(300)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되게 된다.
설명시트(360)는, 콘택트렌즈(100)의 이름·재질·크기 등이 기재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콘택트렌즈(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설명시트(360)는 거치판(40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거치판(400) 내부에 넣어지게 되고, 연결판(410)에 형성된 도려낸 홈(450)에 손가락을 넣어 설명시트(360)를 잡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당기면 밖으로 꺼내진다.
받침대(350)
거치판(400)이 받쳐지는 받침대(350)에는 거치판(400)을 위치시킬 수 있는 홈(352)이 형성된다.
홈(352)의 단면은 거치판(400) 하단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352)은 거치판(400)과 받침대(350)의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받침대(350)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형성된다.
이는, 받침대(350)에 위치한 거치판(400)이 쓰러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거치판(400)은 슬라이딩이나 삽입을 통해 홈(352)에 위치하게 된다.
받침대(350)의 상단모서리는 테이퍼가 져서 받침대(350)를 사용자가 손으로 편하게 받침대(350)를 잡을 수 있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 및 탁상용 진열대(600)의 조립 순서
제1지지부(230)의 전면에 콘택트렌즈(100)의 후면을 놓은 후 그 위에 제2지지부(210)로 덮으면, 콘택트렌즈 후면(104)은 제1지지부(230)의 제1지지편(232)과, 콘택트렌즈 전면(102)은 제2지지부(210)의 제2지지편(212) 사이에 놓여 지지되게 된다.
이후,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를 수용홈(312)에 위치시키고 전면홀딩판(320)으로 후면홀딩판(310)의 전면을 덮는다.
전면홀딩판(320)으로 후면홀딩판(310)을 덮었을 때, 관통공(322)은 수용홈(312)과 동심이 된다.
이때, 제2지지편(212) 일부분은 전면홀딩판(320)보다 위로 튀어나오게 되고, 전면홀딩판(320)의 후면 중 관통공(322) 주변부분은 제2플랜지(214)와 밀착된다.
그리고,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를 위치시킨 전후면홀딩판(300)을 거치판(4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거치판(400) 내부에 위치하게 한다.
거치판(400)의 삽입부(460)에 설명시트(360)를 위치시킨다.
이후, 거치판(400)을 받침대(350)의 홈(352)에 슬라이딩 혹은 삽입하면, 거치판(400)은 지면으로부터 직립하게 된다.
이때, 거치판(400)의 하단과 닿는 받침대(350)의 면은 받침대(350)의 하면과 예각을 이루고, 거치판(400)은 받침대(350)의 하면과 둔각을 이루게 된다.
즉, 사용자가 콘택트렌즈(100)를 편하고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는 위치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달리 거치판(400)은 받침대(350)의 하면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에 콘택트렌즈(100)를 위치시키면 제1·2지지부(230·210)와 콘택트렌즈(100)의 전·후면이 갖고 있는 곡률대로 콘택트렌즈(100)가 지지되고, 콘택트렌즈(100)의 원형이 그대로 진열됨으로써, 판매자나 소비자가 육안으로 실물을 보면서 신속·정확한 설명 및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콘택트렌즈(100) 원형이 보존되어 콘택트렌즈의 교체시기가 매우 길어진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가 전후면홀딩판(300) 사이에 끼워지고, 전후면홀딩판(300)이 거치판(400)에 서랍방식으로 조립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탁상용 진열대(600)를 들거나, 거치판(400)을 받침대(350)에서 빼도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는 전후면홀딩판(3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수용액이 묻은 콘택트렌즈(100)는 자체 수분에 의해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와 밀착되는 흡착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별다른 장치 없이도 콘택트렌즈(100)와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가 서로 달라붙은 채로 진열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의 제1·2지지부(230·210)가 서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제품생산이 간편하다.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의 제1·2플랜지는 하면이 평평하고 제 1·2 지지편은 구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를 집어들 때 손가락이 제1·2플랜지(234·214)와 제 1·2 지지편(232·212)에 동시에 닿게 되어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200)가 바닥에 있는 상태에서도 쉽게 집어들 수 있다.
받침대(350)와 거치판(400)을 각각 분리시키면 작은 공간에도 보관하기가 쉽다.
사용자가 받침대(350)로부터 거치판(400)을 분리하여 손으로 직접 들고 보거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증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콘택트렌즈 102 : 콘택트렌즈 전면
104 : 콘택트렌즈 후면 200 :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210 : 제2지지부 212 : 제2지지편
214 : 제2플랜지 230 : 제1지지부
232 : 제1지지편 234 : 제1플랜지
300 : 전후면홀딩판 310 : 후면홀딩판
312 : 수용홈 320 : 전면홀딩판
322 : 관통공 350 : 받침대
352 : 홈 360 : 설명시트
400 : 거치판 410 : 연결판
415 : 레일 420 : 좌측레일
422 : 전면가이드 424 : 격벽
426 : 후면가이드 430 : 우측레일
440 : 스토퍼 450 : 도려낸 홈
460 : 삽입부 500 : 거치대
600 : 탁상용 진열대 A : 홈의 직경
B : 관통공의 직경 a : 제1·2플랜지의 외경

Claims (7)

  1. 콘택트렌즈의 후면이 놓여 지지되며 위로 볼록한 제1지지부;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놓여 지지되며 위로 볼록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콘택트렌즈의 후면이 놓이는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놓이는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투명 재질인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4. 콘택트렌즈의 후면 및 전면 사이에서 배치 지지되며 위로 볼록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갖는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상기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가 홀딩되는 전후면홀딩판;을 포함하는 탁상용 진열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콘택트렌즈의 후면이 놓이는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놓이는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의 하단 둘레에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홀딩판에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놓이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홀딩판에는 상기 제2지지부가 노출된 채 상기 제2플랜지가 홀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탁상용 진열대.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홀딩판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전후면홀딩판이 착탈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이 받쳐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탁상용 진열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백색이고,
    상기 제2지지부는 투명인 탁상용 진열대.
KR1020150021062A 2015-02-11 2015-02-11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KR10174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62A KR101744907B1 (ko) 2015-02-11 2015-02-11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62A KR101744907B1 (ko) 2015-02-11 2015-02-11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932A Division KR20170063489A (ko) 2017-05-29 2017-05-29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72A true KR20160098872A (ko) 2016-08-19
KR101744907B1 KR101744907B1 (ko) 2017-06-09

Family

ID=5687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62A KR101744907B1 (ko) 2015-02-11 2015-02-11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99A (ko) * 2016-12-12 2018-06-20 안소운 물품 진열구대
TWI722881B (zh) * 2020-04-24 2021-03-21 巧上有限公司 隱形眼鏡樣品展示結構
KR200494414Y1 (ko) * 2020-04-07 2021-10-07 주식회사 렌즈베리 콘택트렌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10B1 (ko) 2017-09-01 2020-01-15 주식회사 스타비젼 샘플용 컬러 콘택트렌즈의 습식 진열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364A (ko) 2008-07-07 2010-01-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새송이버섯 파치를 함유하는 발효사료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10011094A (ko) 2009-07-27 2011-02-08 손기태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KR20130004893A (ko) 2011-02-12 2013-01-14 박성귀 다용도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6526B2 (en) * 2001-08-17 2006-08-08 Clearlab International Pte Ltd.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WO2013153582A1 (ja) * 2012-04-13 2013-10-17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包装容器
KR200463014Y1 (ko) * 2012-05-03 2012-10-16 송민섭 렌즈 진열대 및 그 진열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364A (ko) 2008-07-07 2010-01-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새송이버섯 파치를 함유하는 발효사료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10011094A (ko) 2009-07-27 2011-02-08 손기태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KR20130004893A (ko) 2011-02-12 2013-01-14 박성귀 다용도 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99A (ko) * 2016-12-12 2018-06-20 안소운 물품 진열구대
KR200494414Y1 (ko) * 2020-04-07 2021-10-07 주식회사 렌즈베리 콘택트렌즈 디스플레이 장치
TWI722881B (zh) * 2020-04-24 2021-03-21 巧上有限公司 隱形眼鏡樣品展示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907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175B2 (en) Packaging
KR101744907B1 (ko)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US9384684B2 (en) Shelf-type display module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6467210B1 (en) Versatile picture frame
KR20170063489A (ko)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US9910286B2 (en) TwinScope 3-D viewer
US10593237B2 (en) Interactive display module
KR200481355Y1 (ko)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KR20130091416A (ko) 도서 정리구
KR102066710B1 (ko) 샘플용 컬러 콘택트렌즈의 습식 진열 케이스
KR200458769Y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광고 표현이 가능한 컵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KR20190021045A (ko) 담배갑 진열대
US20220301465A1 (en) Tabletop Advertising Stand with Integrated Magnifying View Port
KR200483866Y1 (ko) 집게형 액자
KR200470737Y1 (ko) 콘택트렌즈 드라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47904Y1 (ko) 책장
KR20130035931A (ko) 자석이 부착된 모형
KR200426947Y1 (ko) 테이블용 광고장치
JP3087247U (ja) 展示見本のラベル保持枠
KR200311205Y1 (ko) 스탠드형 오프너
KR20190003113U (ko) 투명의 콘택트렌즈의 용기부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대
KR20090013409A (ko) 액자겸 메모 홀더용 거치대
JP4160343B2 (ja) システム展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