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668A -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668A
KR20160098668A KR1020150020377A KR20150020377A KR20160098668A KR 20160098668 A KR20160098668 A KR 20160098668A KR 1020150020377 A KR1020150020377 A KR 1020150020377A KR 20150020377 A KR20150020377 A KR 20150020377A KR 20160098668 A KR20160098668 A KR 20160098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
battery
protection circuit
unit
electronic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환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전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석환 filed Critical 전석환
Priority to KR102015002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668A/ko
Publication of KR2016009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방전된 충전대상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점프스타터(Jump Starter)로서, 휴대용 배터리에 연결하는 입력단자와, 입력단자로부터 연결된 입력케이블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충전대상 배터리에 연결하는 점프단자와, 점프단자로부터 연결된 점프케이블을 포함하는 점프부와, 입력부와 점프부 사이에 연결되며,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며 전원의 극성 변화에 따른 충전대상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부와, 보호회로부와 함께 입력부로부터 점프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스위치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LED유닛의 색상 및 구동을 조절하는 LED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JUMP STARTER HAVING MULTI FUNCTION PRO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은 물론 시동 전원이 필요한 장치(예: 보트, 모터사이클 등)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휴대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및 각종 이동 수단에는 램프류, 계기류, 에어컨장치 등과 같은 많은 전기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중에서 배터리와 직렬로 연결된 장치의 경우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발전기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원만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차량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만일 운전자가 이러한 전기장치를 끄지 않고 엔진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때, 배터리는 완전히 방전되어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해 시동모터에 공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도 남아 있지 않아 시동을 걸 수 없는 사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황에서는 주로 다른 차량 운전자의 도움을 받아서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데, 여성운전자나 초보운전자의 경우 기계작동 미숙 및 경험 등의 부족으로 점프케이블의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여 차량의 다른 전기장치들이 고장이 나는 등 피해와 불편함이 많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3237호(공개일, 2000.11.06.)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은 물론 시동 전원이 필요한 장치의 시동을 걸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방전된 충전대상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점프스타터(Jump Starter)로서, 상기 휴대용 배터리에 연결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연결된 입력케이블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에 연결하는 점프단자와, 상기 점프단자로부터 연결된 점프케이블을 포함하는 점프부; 및 상기 입력부와 점프부 사이에 연결되며,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전원의 극성 변화에 따른 충전대상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와 함께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점프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LED유닛의 색상 및 구동을 조절하는 LED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점프스타터를 제공한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시 딜레이(delay)를 주는 딜레이회로 포함하며, 상기 점프단자와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가 연결되면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전압 및 접촉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ON)/오프(OFF)시켜 상호 간의 접촉시 전기적인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 또는 상기 점프부의 쇼트(short)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LED구동부를 통해 상기 LED유닛을 레드(red) 색상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을 시동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차량에 구비된 시동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점프부와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극성 방향이 역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LED구동부를 통해 상기 LED유닛을 레드 색상으로 점멸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전압보다 클 때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ON)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전압은, 0.1V일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대상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는 기능을 가지되,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충전량이 시동 가능한 충전량일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전원 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쪽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를 향해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차량의 시동 후에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로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LED구동부를 통해 상기 LED유닛을 소등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와 입력케이블은, 고전류를 견디는 재질 및 구조를 가지되, 상기 입력단자는, EC5 커넥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을 비롯하여 시동 전원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차량의 경우를 살펴보면 파워 인가 시 딜레이(delay)회로, 접촉저항 측정회로 및 전원 차단 스위치를 적용하여 전기적인 스파크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 배터리 및 케이블이 쇼트(short)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프(jumper)와 차량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연결될 때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시키고,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보조 배터리와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을 체크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차량 배터리가 시동 가능한 충전량을 가지고 있을 때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차량 배터리로부터 휴대용 보조 배터리로 역충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시동을 할 경우 시동모터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시간 동안 공급전압을 차단하고 락(lock)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의 본체부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Ⅰ-Ⅰ, Ⅱ-Ⅱ단면을 확대 도시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는 차량은 물론, 시동을 걸기 위해 전원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예: 보트, 모터사이클 등)에 모두 적용 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 차량 배터리에 시동 전원을 충전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의 본체부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이에 도시된 점프스타터는 휴대용 배터리(10,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방전된 충전대상 배터리(이하, '차량 배터리'라 함)(20, 도 2 참조)를 충전할 수 있는 점프스타터(Jump Starter)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점프스타터는 본체부(100), 입력부(200), 그리고 점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10, 도 2 참조)에 연결되는 입력단자(220)와, 상기 입력단자(220)로부터 상기 본체(100)까지 연결된 입력케이블(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단자(220)와 입력케이블(210)은 고전류를 견디는 재질 및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입력단자(220)는 표준형 EC5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입력케이블(210)은 고무재질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도 1의 Ⅰ-Ⅰ 단면을 통해 나타난 상기 입력케이블(210)의 내부 형상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상기 입력케이블(210)은 전류가 흐르는 전선케이블(211)이 코어를 형성하며, 이의 둘레를 감싸 고전류를 견디는 고무외피(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고무외피(213)의 바깥면에는 고무외피(213)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외피코팅부(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점프부(300)
점프부(300)는 상기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에 연결하는 점프단자(320)와, 상기 점프단자(320)로부터 연결된 점프케이블(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프단자(320)는 극성 별로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에 구비된 전극단자에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집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점프케이블(310)은 관용의 형상에 따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부(100)
본체부(100)는 상기 입력부(200)와 점프부(3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에는 다양한 형태의 회로기판을 통해 보호회로부(110, 도 2 참조), 전자스위치(120, 도 2 참조), LED구동부(130, 도 2 참조)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1의 Ⅱ-Ⅱ단면을 통해 나타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형상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는 상, 하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끼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부호 105a는 서로 분할 및 조립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의 외장 표면을 둘러 인조가죽, 천연가죽, 천연섬유,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외장부재(105, 도 3의 (b) 참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장시간 사용시 내구성이 손상되거나 오염 등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체 사용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좋은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와 상기 외장부재(105, 도 3의 (b) 참조)를 통과하여 LED유닛(105)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LED유닛(105)은 그린(green) 또는 레드(red) 색상으로 점등/소등 및 점멸 구동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유닛(105)의 바깥쪽에는 광 확산기능을 갖는 보호플레이트, 즉 확산판(105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105a)에 의해 외부의 먼지 또는 습기가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LED유닛(105)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을 보다 강렬하게 확산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LED유닛(105)의 점등 또는 점멸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실시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3, 도 3의 (b) 참조)의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데, 이에 본체부(100)의 다양한 회로구성이 내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보호회로부(110), 전자스위치(120), 그리고 LED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전원의 극성 변화에 따른 차량 배터리(2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스위치(120)는 상기 보호회로부(110)와 함께 상기 입력부(200, 도 1 참조)로부터 상기 점프부(300, 도 1 참조)로 제공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LED구동부(130)는 상기 케이스(103)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LED유닛(105)의 색상(예: 그린, 레드 등) 및 구동(예: 점멸, 점등, 소등 등)을 조절한다.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10)로부터 전원 공급시 딜레이(delay)를 주는 딜레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프단자(320, 도 1 참조)와 상기 차량 배터리(20)가 연결되면 상기 차량 배터리(20)의 전압 및 접촉단자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차량 배터리(20)의 전압 및 접촉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적인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여 회로의 손상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차량 배터리(20) 또는 상기 점프부(300, 도 1 참조)의 쇼트(short)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쇼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120)를 오프(OFF)시켜 휴대용 배터리(10)에서 충전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은 쇼트 현상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LED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LED유닛(105, 도 3의 (b) 참조)을 레드(red) 색상으로 점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를 쇼트 보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시 발생된 진동 혹은 기타 원인으로 인해 점프케이블(310, 도 1 참조)이 느슨하게 연결되거나 단락 되었을 경우,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전자스위치(120)를 통해 즉시 출력전력을 차단하여 차량의 금속도체와의 쇼트로 인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차량 배터리(2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을 시동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110)를 오프(OFF)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시동모터(미도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를 과전류 보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점프부(300, 도 1 참조)와 상기 차량 배터리(20)의 극성 방향이 역으로 연결될 때(즉, 점프케이블의 양극과 음극이 차량 배터리(20)의 전극단자에 반대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전자스위치(12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즉, 이를 역접보호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현상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해, 상기 LED구동부(130)를 통해 상기 LED유닛(105, 도 3의 (b) 참조)을 레드 색상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전압보다 클 때 상기 전자스위치(120)를 온(ON)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전압은 0.1V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배터리(20)가 0.1V 이상일 경우,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상기 전자스위치(120)를 온(ON)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10) 및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을 체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차량 배터리(20)의 충전량이 시동 가능한 충전량일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120)를 오프(OFF)시켜 전원 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차량 배터리(20)쪽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10)를 향해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회로부(110)는 차량의 시동 후에 상기 차량 배터리(20)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10)로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스위치(12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구동부(120)를 통해 상기 LED유닛(105, 도 3의 (b) 참조)을 소등시켜 역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점프부(300, 도 1 참조)를 차량 배터리에 연결한다.
이때, 점프단자(320, 도 1 참조)의 양극 및 음극을 잘 확인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딜레이(delay)회로는 충전을 위해 점프부(300, 도 1 참조)를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에 연결한 후 전원(Power) 인가를 지연한다.
이어서, 본체부(100, 도 2 참조)에 구비된 전자스위치(switch)(120, 도 2 참조)가 작동한다.
이때, 본체부(100, 도 2 참조)에 내장된 보호회로부(110, 도 2 참조)는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의 전압 및 접촉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여 회로의 손상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점프케이블(310, 도 1 참조)이 느슨하거나 단락 되었을 경우, 양극 및 음극이 잘못 연결되었을 경우, 그리고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가 쇼트 상태일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120, 도 2 참조)는 오프(OFF) 상태가 되며 LED유닛(105, 도 2의 (b) 참조)은 레드 색상으로 점멸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배터리(10, 도 2 참조)를 체크하여, 방전 또는 잔량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120, 도 2 참조)는 오프(OFF) 상태가 되며 LED유닛(105, 도 2의 (b) 참조)은 레드 색상으로 점등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시동 후에 상기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10)로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스위치(120, 도 2 참조)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LED유닛(105, 도 3의 (b) 참조)은 소등되며 역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스위치(120, 도 2 참조)가 온(ON) 동작하여, 전원(Power)가 인가되면 상기 LED유닛(105, 도 3의 (b) 참조)은 그린(green) 색상으로 점등된다.
이후, 차량의 시동이 이루어지면, 전술한 역충전 방지를 위해 전자스위치(120, 도 2 참조)가 오프(OFF) 동작되며, LED유닛(105, 도 3의 (b) 참조)는 소등된다.
이어서, 휴대용 배터리(10, 도 2 참조)로부터 차량 배터리(20, 도 2 참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충전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와 달리,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LED유닛(105, 도 3의 (b)를 참조)을 통해 레드(red) 색상으로 점등된다. 이를 통해, 차량 시동을 위해 부적합하다는 사실이 사용자에게 인지되고, 연속적인 시동 작업이 무리하게 이루어질 경우 차량에 구비된 시동모터(미도시)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시간(예: 1~9 sec 등) 동안 공급전압을 차단하고 이를 락(lock) 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의 경우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 휴대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차량은 물론 시동을 걸기 위해 전원이 필요한 그 외의 보트, 모터사이클 등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은 물론 시동 전원이 필요한 장치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차량의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파워 인가 시 딜레이(delay)회로, 접촉저항 측정회로 및 전원 차단 스위치를 적용하여 전기적인 스파크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차량 배터리 및 케이블이 쇼트(short)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점프(jumper)와 차량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연결될 때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시키고,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휴대용 보조 배터리와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을 체크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차량 배터리가 시동 가능한 충전량을 가지고 있을 때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차량 배터리로부터 휴대용 보조 배터리로 역충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연속적으로 시동을 할 경우 시동모터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시간 동안 공급전압을 차단하고 락(lock)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프스타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휴대용 배터리
20: 충전대상 배터리(또는 차량 배터리)
100: 본체부
101: 외피부재
103: 케이스
105: LED 유닛
105a: 확산판
110: 보호회로부
120: 전자스위치부
130: LED구동부
200: 입력부
210: 입력케이블
220: 입력단자
300: 점프부
310: 점프케이블
320: 점프단자

Claims (9)

  1.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방전된 충전대상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점프스타터(Jump Starter)로서,
    상기 휴대용 배터리에 연결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연결된 입력케이블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에 연결하는 점프단자와, 상기 점프단자로부터 연결된 점프케이블을 포함하는 점프부; 및
    상기 입력부와 점프부 사이에 연결되며,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전원의 극성 변화에 따른 충전대상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와 함께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점프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LED유닛의 색상 및 구동을 조절하는 LED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시 딜레이(delay)를 주는 딜레이회로 포함하며,
    상기 점프단자와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가 연결되면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전압 및 접촉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ON)/오프(OFF)시켜 상호 간의 접촉시 전기적인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 또는 상기 점프부의 쇼트(short)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LED구동부를 통해 상기 LED유닛을 레드(red)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을 시동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차량에 구비된 시동모터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점프부와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극성 방향이 역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LED구동부를 통해 상기 LED유닛을 레드 색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이 기 설정전압보다 클 때 상기 전자스위치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상기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대상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의 충전량이 시동 가능한 충전량일 경우,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전원 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쪽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를 향해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차량의 시동 후에 상기 충전대상 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용 배터리로 전원이 역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LED구동부를 통해 상기 LED유닛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입력케이블은 고전류를 견디는 재질 및 구조를 가지되,
    상기 입력단자는,
    EC5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KR1020150020377A 2015-02-10 2015-02-10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KR20160098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77A KR20160098668A (ko) 2015-02-10 2015-02-10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77A KR20160098668A (ko) 2015-02-10 2015-02-10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668A true KR20160098668A (ko) 2016-08-19

Family

ID=5687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377A KR20160098668A (ko) 2015-02-10 2015-02-10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6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56A (ko) * 2016-10-27 2018-05-08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해상용 엔진 시동기
KR101991279B1 (ko) * 2018-01-31 2019-06-20 (주)그로빅 충전용 점프케이블
KR102094383B1 (ko) * 2019-03-27 2020-03-27 곽호영 배터리 관리장치
KR102127187B1 (ko) 2019-02-15 2020-06-26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다목적 사용기능을 갖는 휴대용 점프스타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237A (ko) 2000-05-30 2000-11-06 이주호 차량의 자동충전 및 시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237A (ko) 2000-05-30 2000-11-06 이주호 차량의 자동충전 및 시동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56A (ko) * 2016-10-27 2018-05-08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해상용 엔진 시동기
KR101991279B1 (ko) * 2018-01-31 2019-06-20 (주)그로빅 충전용 점프케이블
KR102127187B1 (ko) 2019-02-15 2020-06-26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다목적 사용기능을 갖는 휴대용 점프스타터
KR102094383B1 (ko) * 2019-03-27 2020-03-27 곽호영 배터리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419B2 (en) Motor vehicle having a jump-start device between at least two on-board electric power systems
JP2024059894A (ja) 消耗バッテリ又は放電バッテリ事前調整システムを備えた充電式バッテリジャンプスタート装置
KR101866037B1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5693922B2 (ja) 低電圧及び高電圧統合電圧分配装置
WO2017005158A1 (en) Battery boost apparatus
KR20160098668A (ko) 다기능 보호회로를 갖는 점프스타터
JP3180247U (ja) 逆方向への放電が可能となる携帯機器の保護カバー
JP6514866B2 (ja) 充電式電気機器
JP4804994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電源装置
JP2015115979A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CN108270271A (zh) 电源装置
JP2003259560A (ja) 充電回路
RU2003122780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батарея для сотового телефона
US20160301176A1 (en) Battery clip connection
KR102238607B1 (ko) 배터리 팩
US20160285258A1 (en) Safety clamp system for emergency start of vehicle battery
US7279866B2 (en) Charger/jumper method and apparatus
CN201167242Y (zh) 一种汽车充电器
KR101959897B1 (ko) 해상용 엔진 시동기
KR102086848B1 (ko) 방전된 차량에서의 역전류 감지 시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비상시동장치
KR102225222B1 (ko) 무선 충전을 통한 자기 방전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WO2017208999A1 (ja) 車載電池ユニット
JP6514865B2 (ja) 充電式電気機器
US20110140675A1 (en) Charging device for different batteries
US10279689B2 (en) Battery rescue activating rese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