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575A - 자동차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8575A KR20160098575A KR1020150019414A KR20150019414A KR20160098575A KR 20160098575 A KR20160098575 A KR 20160098575A KR 1020150019414 A KR1020150019414 A KR 1020150019414A KR 20150019414 A KR20150019414 A KR 20150019414A KR 20160098575 A KR20160098575 A KR 201600985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protective film
- automobile
- power
-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발전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차용 발전장치는, 일측면이 자동차의 표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타측면을 덮는 보호필름부와, 베이스부와 보호필름부 사이에 개재되며 보호필름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풍압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는 각종 디스플레이, 오디오 장치, 히터, 조명 등의 전기장치 및 파워아웃렛(Power Outlet)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랙박스, 휴대폰, 노트북 등의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고용량, 고출력의 배터리가 요구된다.
다만, 고용량, 고출력의 배터리는 중량, 부피가 크고, 고가의 장치에 해당하며, 구동부로부터 전달받는 전기에너지로 해당 전력수요를 충족하는 경우, 엔진효율이 떨어지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위하여 차체의 표면 등에 부착되는 태양전지, 제동 장치 또는 현가장치 등에 적용되는 에너지 회수 장치(Energy Recovery)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의 경우 장착위치가 제한되며, 날씨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 폭이 크고, 제동장치 또는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에너지 회수 장치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 단가가 높으며, 발전장치의 장착을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하고, 수리, 교체 등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9977호(2014.02.03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현가 장치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이 용이하고, 내구성능이 양호하며, 투명소재를 적용하여 자동차의 윈드실드(Windshield), 헤드램프(Headlamp) 등에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는: 일측면이 자동차의 표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을 덮는 보호필름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호필름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호필름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자동차의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호필름부는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는 윈드실드 또는 헤드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호필름부 사이에 개재되며 압전그래핀을 포함하여,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와 배터리를 연결하여, 상기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전달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는 자동차의 주행 시 발생되는 풍압( 風壓, Wind Pressure)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배터리 또는 전기장치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연비를 향상시키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표면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윈드실드 또는 헤드램프에 장착 가능하여 장치의 활용 범위가 넓고, 에너지 발생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정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정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정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베이스부(100), 보호필름부(200) 및 발전부재(300)를 포함하여, 자동차(10)의 주행 중 발생되는 풍압에 의하여 발전부재(300)가 변형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주행 중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차(10)의 전장품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날씨에 따른 발전효율의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추가 공간의 확보 없이 자동차용 발전장치(1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일측면(110)이 자동차(10)의 표면에 장착된다. 베이스부(100)를 자동차(10)의 표면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베이스부(100)의 양단부에 결합 끈(미도시)을 적용하여 자동차(10)의 도어의 틈새 등에 결합 끈을 고정하는 방식 또는, 장착하고자 하는 부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베이스부(100)를 부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일측면(110)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자동차(10)의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용 발전장치(1)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자동차(10)의 전면부(11)에 장착된다. 발전부재(300)는 주행 시 보호필름부(200)에 가해지는 풍압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발전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자동차(10)의 전면부(11)에 장착되어 주행 시 발전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자동차(10)의 전면부(11)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점선 부분으로 표시된 영역을 말하며, 자동차(10)의 전진 주행 시, 바람이 직접 닿는 부위에 해당한다.
보호필름부(200)는 베이스부(100)의 타측면(130)을 덮는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필름부(200)는 라미네이트 방식 또는 점착제를 이용한 방식 등을 적용하여 베이스부(100)의 타측면(130)에 부착되어, 이물질, 강수, 강우 등에 의한 발전부재(300) 및 베이스부(100)의 파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와 보호필름부(20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베이스부(100)는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에 부착된다.
베이스부(100)와 보호필름부(200)가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후술할 발전부재(300)가 압전그래핀을 포함하는 경우, 윈드실드(13)에 부착되어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헤드램프(15)에서 발광되는 빛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10)의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 및 자동차 전방의 조명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며, 자동차(10)의 전면부(11)에 위치하여 주행 시 상당한 세기의 풍압이 작용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에 발전부재(300)가 구비되는 경우 풍압에 의하여 발전부재(300)의 변형 정도를 크게 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와 보호필름부(200)는 차종의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기 제작되고, 베이스부(100)의 일측면(110)에는 점착제가 기 도포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가공 없이 자동차(1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발전부재는 베이스부(100)와 보호필름부(200) 사이에 개재되며, 보호필름부(2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발전부재(300)는 발전부(310) 및 리드부(330)를 포함한다.
발전부(310)는 베이스부(100)와 보호필름부(200) 사이에 개재되며, 압전그래핀을 포함하여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압전그래핀은 그래핀의 일측면에 원자를 증착(도핑)한 비대칭 그래핀에 해당한다. 도핑원소로는 Li, H, K, F, HxFy(0 < x < 1, 0 < y < 1), LixHy(0 < x < 1, 0 < y < 1)이 적용될 수 있다.
리드부(330)는 발전부(310)와 배터리(30)를 연결하여, 발전부(31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3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드부(330)는 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선으로 예시되며, 양단부가 각각 발전부(310)와 배터리(30)에 연결되어 발전부(31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3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자외선차단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차단층은 베이스부(100)와 보호필름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자의 눈, 신체를 보호하고 강한 빛에 의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는 자동차(10)의 종류, 사양 등에 따라 제작된 자동차용 발전장치(1)를 자동차(10)의 표면, 특히 자동차(10)의 전면부(11)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베이스부(100)의 일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자동차(10)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 및 보호필름부(200)는 투명하게 제작되므로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에 장착되어도 운전자의 시야 및 헤드램프(15)의 조명을 제한하지 않는 반면, 풍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위치이므로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00) 및 보호필름부(200)가 장착되면, 리드부(330)를 배터리(30) 또는 전기부품에 연결함으로써 자동차용 발전장치(1)의 장착이 완료된다.
운전자가 자동차(10)를 전진 주행하면, 풍압에 의하여 보호필름부(200)가 베이스부(100) 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보호필름부(200)와 베이스부(100) 사이에 개재된 발전부(310)가 가압, 변형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리드부(330)를 통하여 배터리(30)에 축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자동차(10)의 주행 시 발생되는 풍압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연비를 향상시키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자동차(10)의 표면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발전장치(1)는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윈드실드(13) 또는 헤드램프(15)에 장착 가능하여 장치의 활용 범위가 넓고, 에너지 발생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자동차용 발전장치
10: 자동차
11: 전면부 13: 윈드실드
15: 헤드램프 30: 배터리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부의 일측면
130: 베이스부의 타측면 200: 보호필름부
300: 발전부재 310: 발전부
330: 리드부
11: 전면부 13: 윈드실드
15: 헤드램프 30: 배터리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부의 일측면
130: 베이스부의 타측면 200: 보호필름부
300: 발전부재 310: 발전부
330: 리드부
Claims (5)
- 일측면이 자동차의 표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을 덮는 보호필름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호필름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호필름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자동차의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발전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호필름부는 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는 윈드실드 또는 헤드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발전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호필름부 사이에 개재되며 압전그래핀을 포함하여,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와 배터리를 연결하여, 상기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전달하는 리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발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414A KR20160098575A (ko) | 2015-02-09 | 2015-02-09 | 자동차용 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414A KR20160098575A (ko) | 2015-02-09 | 2015-02-09 | 자동차용 발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8575A true KR20160098575A (ko) | 2016-08-19 |
Family
ID=5687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9414A KR20160098575A (ko) | 2015-02-09 | 2015-02-09 | 자동차용 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857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67495A (zh) * | 2018-07-03 | 2020-01-10 | 陕西汽车集团有限责任公司 | 车辆驾驶室能量回收系统 |
KR20200086768A (ko) * | 2019-01-09 | 2020-07-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주행풍을 이용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2015
- 2015-02-09 KR KR1020150019414A patent/KR201600985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67495A (zh) * | 2018-07-03 | 2020-01-10 | 陕西汽车集团有限责任公司 | 车辆驾驶室能量回收系统 |
KR20200086768A (ko) * | 2019-01-09 | 2020-07-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주행풍을 이용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473997B (zh) |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和终端设备 | |
US9300169B1 (en) | Automotive roof rack with integral solar cell array | |
KR20160098575A (ko) | 자동차용 발전장치 | |
US20120152634A1 (en) | Electricity generating in a vehicle by way of a fifth wheel | |
US10963155B2 (en) | User interface for a charging column | |
CN103434449A (zh) | 汽车后视镜 | |
CN105162238A (zh) | 一种新能源汽车的太阳能充电系统 | |
CN203793088U (zh) | 汽车多功能遮阳装置 | |
CN103358988A (zh) | 一种车载语音安全提醒装置 | |
KR20190065510A (ko) | 시간대와 상관없이 시야에 잘 들어오는 에어벌룬볼라드 | |
CN103264641A (zh) | 一种可随天气温度变化的太阳能车体外壳 | |
KR101628046B1 (ko) | 차량용 광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조명장치 | |
US11175496B2 (en) | Display | |
CN205736816U (zh) | 后风挡玻璃组件及具有其的车辆 | |
MX2021006995A (es) | Un vehiculo electrico. | |
CN214420612U (zh) | 自行车骑行发电的转向警示装置 | |
CN202339681U (zh) | 车载广告牌 | |
CN102913837A (zh) | 一种太阳能自行车车后警示灯 | |
CN219447208U (zh) | 多功能挡泥板 | |
JP2014184833A (ja) | 車載用太陽電池、及び車載用太陽電池を搭載した車両 | |
CN206369157U (zh) | 一种可拆卸式散热型汽车大灯 | |
CN213876273U (zh) | 镜头以及车辆 | |
CN206633912U (zh) | 汽车外后视镜的指示灯安装结构 | |
CN207599605U (zh) | 车用侧门警示灯 | |
CN208615689U (zh) | 一种使用方便的车载遮光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