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245A - 수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245A
KR20160098245A KR1020167015763A KR20167015763A KR20160098245A KR 20160098245 A KR20160098245 A KR 20160098245A KR 1020167015763 A KR1020167015763 A KR 1020167015763A KR 20167015763 A KR20167015763 A KR 20167015763A KR 20160098245 A KR20160098245 A KR 20160098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er
male
lock
connector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223B1 (ko
Inventor
야스마사 우에하라
유타카 우에다
가즈히코 다키모토
메구미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9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5Rotating or swive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joining a flexible tube to a rigid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33Swivel nut connectors, e.g. threaded connectors, bayonet-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수형 커넥터(1)는,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튜브(8)의 상류단에 접속된 루어부(10)와, 루어부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된 록부(20)를 구비한다. 루어부(10)는, 튜브(8)와 연통한 유로(17)가 형성된 통형상의 수형 루어(11)를 구비한다. 록부(20)는, 양단이 개구한 중공 통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 수형 루어에 대향하는 암나사(21)를 구비한다. 수형 루어(11)는 록부(20) 내에 삽입된다. 록부(20)가 루어부(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루어부(10) 및 록부(20)에, 서로 상대방에 걸어맞추는 회전 방지 기구(16, 26)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
본 발명은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 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삽입된 경비(經鼻) 카테터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된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를 통하여 영양제, 유동식,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일반적으로 「경장 영양제」라고 불린다)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액상물은 용기에 저류된다. 용기의 유출 포토에는, 유연성을 갖는 튜브(이하 「용기측 튜브」라고 한다)가 접속된다. 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 또는 당해 카테터에 접속된 유연성을 갖는 튜브(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환자측 튜브」라고 한다)의 상류단에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용기측 튜브와 환자측 튜브를 접속하기 위해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사용된다. 종래, 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에 수형 커넥터가 설치되고 또한, 환자측 튜브의 상류단에 암형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경장 영양 요법에 있어서 투여된 액상물이 저점도의 액체이면, 액상물이 위로부터 식도로 역류하여 폐렴을 병발하거나 액상물의 수분이 체내에서 충분히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설사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여기서, 경장 영양 요법에서는, 액상물을, 농조화제(thickening agent)나 증점제를 첨가하는 등으로 하여 고점도화(즉, 반고형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점도화한 액상물은,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튜브를 통과할 때의 저항이 크다. 따라서, 고점도화한 액상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 액상물은 압력을 가하여 압송된다.
이 때문에, 용기측 튜브와 환자측 튜브를 접속하는 접속구는, 액상물에 인가되는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서로 걸어맞추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요망된다. 여기서,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영양계의 의료 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국제 표준화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형 커넥터(910)는, 통형상의 수형 루어(911)와, 수형 루어(911)를 둘러싸는 외통(913)을 갖는다. 수형 루어(911)의 외주면(9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테이퍼면)이다. 수형 루어(9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형 루어(911)를 관통하는 유로(917)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913)의 수형 루어(91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형 커넥터(920)는, 수형 루어(911)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부(암형 루어(921)를 갖는다.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테이퍼면)이다. 삽입부(92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925)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수형 루어(911)를 삽입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암나사(915)와 수나사(92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수형 루어(911)의 외주면(912)과,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은,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테이퍼면이므로, 양자는 액밀한 면접촉을 한다. 서로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915) 및 수나사(925)는,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 상태를 록하기 위한 록 기구를 구성한다. 수형 커넥터( 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액밀성(액상물에 압력을 가해도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상물이 빠져나가지 않는 성질)과 접속 강도(접속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인장력을 가해도 분리하지 않는 성질)가 뛰어난 접속을 제공한다.
국제 규격 ISO80369-3에서는, 경장 영양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와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측 튜브의 상류단에 수형 커넥터(910)를 설치하고, 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에 암형 커넥터(920)를 설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08/152871호 팜플렛
수형 커넥터(910)에서는, 외통(913)이 수형 루어(911)를 둘러싸고, 외통(9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형 루어(911)와 외통(913)의 사이의 공극, 특히 암나사(915)의 골짜기에, 경장 영양제가 부착하기 쉽다. 암나사(915)의 골짜기 내에 일단 경장 영양제가 부착하면, 당해 경장 영양제를 닦아내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경장 영양제가 장기간에 걸쳐 계속 부착하면, 수형 커넥터(910)는 비위생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결국은, 수형 커넥터(910) 내에서 균이 번식하여, 당해 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하여,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수형 커넥터(910)가 설치되는 환자측 튜브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인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910)는 당해 카테터와 함께 환자에게 계속 유치(留置)된다. 카테터의 교환은, PEG 카테터의 경우, 통상 1∼3개월마다 행해진다. 수형 커넥터의 오염은, 카테터의 교환 빈도를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수형 루어를 둘러싸는 암나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로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한 수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상기 튜브에 접속된 루어부와, 상기 루어부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된 록부를 구비한다. 상기 루어부는, 상기 튜브와 연통한 유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수형 루어를 구비한다. 상기 록부는, 양단이 개구한 중공 통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 상기 수형 루어에 대향하는 암나사를 구비한다. 상기 수형 루어는 상기 록부 내에 삽입된다. 상기 록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록부에, 서로 상대방에 걸어맞추는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에서는, 수형 루어를 구비한 루어부에 대하여, 암나사를 구비한 록부가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루어부로부터 록부를 떼어내고, 루어부 및 록부를, 각각 따로 따로 청소할 수 있다. 록부를, 새로운 것에 교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수형 커넥터는 록부가 루어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루어부와 록부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다른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b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c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d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다른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a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맞춰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당해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당해 암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는, 상기 록부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루어부가 파손하거나 마모될 가능성이 저감하므로, 튜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교환 용이성이 뒤떨어지는 루어부를 장수명화 할 수 있다. 이는 루어부가 설치된 튜브의 교환 빈도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상기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록부에 설치된 볼록부와, 상기 루어부에 설치된, 상기 볼록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방지 기구가 볼록부와 오목부로 구성되므로, 회전 방지 기구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파손이나 마모를 상대적으로 하기 쉬운 볼록부가 록부에 설치되고, 파손이나 마모를 상대적으로 하기 어려운 오목부가 루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튜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교환 용이성이 뒤떨어지는 루어부를 장수명화 할 수 있다. 이는 루어부가 설치된 튜브의 교환 빈도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상기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록부 및 상기 루어부의 한쪽에 형성된 볼록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주(周)방향의 한쪽의 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다른쪽의 측에 수직면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상기 볼록부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수직면에 각각 대향하는 경사면 및 수직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루어부에 록부를 장착하는 작업은 비교적 용이하면서, 의도하지 않게 루어부와 록부가 분리되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루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접속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루어부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록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루어부와 암형 커넥터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암나사와 수나사의 나사 결합을 확실히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형 루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루어부와 상기 록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록부에, 서로 상대방에 걸어맞추는 분리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를 암형 커넥터와, 액밀성 및 접속 강도가 뛰어난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지 기구가, 나사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루어부와 록부의 강고한 접속과, 루어부와 록부의 접속/분리의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루어부는, 상기 수형 루어가 설치된 기단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록부는, 상기 기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상기 수형 커넥터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장부에 인가된 회전 토크는, 회전 방지 기구를 통하지 않고, 암나사에 전달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강고하게 나사 결합하고 있는 경우라도, 연장부에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하여 양자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루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는,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가,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암형 커넥터와의 접속 및 분리의 작업성이나, 록부의 암나사의 청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상기 수형 루어보다도 상기 튜브측의 위치에, 상기 루어부와 상기 록부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영양제가 루어부와 록부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액밀한 시일은, 상기 루어부에 형성된 수테이퍼면과, 상기 록부에 형성된 암테이퍼면이 서로 끼워맞춰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루어부에 록부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형 루어 및 상기 암나사는, ISO80369-3에 준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를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와 액밀성 및 접속 강도가 뛰어난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록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루어부에 대한 상기 록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볼록) 또는 오목한 부분(오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루어부에 대한 록부의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은,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작업자가 파지하는 지그와 걸어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상기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에 걸어맞추도록 구성된 지그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를 통하여 상기 루어부 또는 상기 록부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루어부에 대한 록부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애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실제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이 충실히 나타나 있지 않다.
(실시 형태 1)
<구성>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1)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수형 커넥터(1)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수형 커넥터(1)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D는, 수형 커넥터(1)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심축(1a)에 평행한 방향을 「상하 방향」, 도 1a∼도 1d의 지면의 상측을 수형 커넥터(1)의 「상측」, 도 1a∼도 1d의 지면의 하측을 수형 커넥터(1)의 「하측」이라고 한다. 중심축 (1a)의 둘레에 회전하는 방향을 「주방향」, 중심축(1a)에 직교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중심축(1a)에 수직인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한다. 단, 「상하 방향」, 「상측」, 「하측」, 「수평 방향」은, 수형 커넥터(1)의 사용시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형 커넥터(1)는, 루어부(10)와 록부(20)를 구비한다.
루어부(10)는, 일단에 통형상의 수형 루어(11)를 구비하고, 타단에 기단부(18)를 구비한다. 원판상의 플랜지(15)가, 수형 루어(11)와 기단부(18)의 사이의 위치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해 있다. 가요성을 갖는 튜브(8)의 일단이 기단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유로(17)가, 중심축(1a)을 따라서 수형 루어(11)를 관통하고 있다. 유로(17)는, 튜브(8)와 연통하고 있다.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원추면)이다. 수형 루어(11)와 플랜지(15)의 사이에, 통형상부(13)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13)의 외주면은, 중심축(1a)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통형상부(13)의 외주면에, 나선상 돌기(14)가 돌출하고 있다. 나선상 돌기(14)는, 수나사의 나사산을 주방향으로 불연속이 되도록 분단한, 소위 불연속 나사이다.
플랜지(15)의 수형 루어(11)측의 면(상면)(15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플랜지(15)의 상면(15a)에, 한쌍의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오목부(1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기단부(18)의 외주면에, 박판상의 한쌍의 돌기(19)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19)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일평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록부(20)는, 상하 방향의 양단이 개구한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도 1d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록부(20)의 내주면에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제1 암나사(21) 및 제2 암나사(22)가, 중심축(1a) 방향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암나사(21) 및 제2 암나사(22)의 나선 방향은 동일하고(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나사), 유효 직경은 제1 암나사(21)의 쪽이 제2 암나사(22)보다 크다.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록부(20)의 하면(20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록부(20)의 하면(20a)에, 한쌍의 볼록부(26)가 하방을 향해 돌출해 있다. 한쌍의 볼록부(2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루어부(10) 및 록부(20)는, 외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변형하지 않는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질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가 바람직하다. 루어부(10) 및 록부(20)는, 각각 상기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루어부(10) 및 록부(20)를 각각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루어부(10)와 록부(20)를 다른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루어부(10)는 록부(20)보다도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루어부(10)를 ABS로 구성하고, 록부(20)를 PP로 구성할 수 있다.
루어부(10)에 접속되는 튜브(8)로서는, 유연성을 갖는 중공의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튜브(8)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하고, 외력이 없어지면 즉시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특성(이른바 고무상태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8)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고무상태의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이른바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연질 폴리염화비닐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튜브(8)는, 그 하류단이 환자에게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에게 유치되는 카테터(예를 들면 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여도 되고, 당해 카테터의 상류단에 접속되는 튜브여도 된다. 루어부(10)와 튜브(8)의 고정 방법은, 제한은 없고, 접착, 용착 등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록부(20)는 루어부(10)에 대하여 반복 탈착 가능하다. 록부(20)의 루어부(10)에의 장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도 1a∼도 1d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루어부(10)와 록부(20)를 대향시킨다. 록부(20)에, 수형 루어(11)를 하측으로부터 삽입한다. 루어부(10)의 나선상 돌기(14)가 록부(20)의 제2 암나사(22)의 나사산에 충돌한다. 루어부(10)에 대하여 록부(20)를 회전시켜,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를 나사 결합시킨다. 록부(2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수형 루어(11) 및 통형상부(13)가 록부(20) 내에 진입한다. 이윽고 록부(20)의 한쌍의 볼록부(26)가 루어부(10)의 플랜지(15)의 상면(15a)에 맞닿아, 이 위를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결국 한쌍의 볼록부(26)가 루어부(10)의 한쌍의 오목부(16)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록부(20)의 하면(20a)과 플랜지(15)의 상면(15a)이 맞닿거나 또는 접근한다. 한쌍의 볼록부(26)가 한쌍의 오목부(16)에 끼워넣어졌을 때, 록부(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하고, 작업자는, 손가락끝을 통해서 이를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루어부(10)에 록부(20)가 장착된다. 도 2a는, 루어부(10)에 록부(20)가 장착된 수형 커넥터(1)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b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그 단면도이다.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볼록부(26)가 오목부(16)에 끼워넣어져 있다.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21)는, 상술한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910)(도 11a 및 도 11b)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와 접속할 수 있다.
루어부(10)와 록부(20)의 분리는, 루어부(10)에 대하여 록부(20)를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26)와 오목부(16)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26)가 오목부(16)로부터 탈출한 후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록부(20)를 루어부(10)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루어부(10)와 록부(20)를 도 1a∼도 1d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분리할 수 있다.
루어부(10)에 대하여 록부(20)를 장착할 때 및 떼어낼 때, 한쌍의 돌기(19)를 손가락으로 잡으면, 루어부(10)의 파지가 용이하여, 회전 토크를 인가하기 쉽다.
루어부(10)와 록부(20)의 탈착은, 몇번이라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1)가 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튜브(8)는 PEG 카테터이며, 도시하지 않는 그 하단은 환자의 위 내에 삽입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1)는, 루어부(10)에 록부(20)를 장착한 상태(도 2a, 도 2b)에서, 튜브(8)(PEG 카테터)와 함께 환자에게 유치된다.
경장 영양 요법을 행하는 경우, 경장 영양제가 저류된 용기에 접속된 튜브(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에 접속된 암형 커넥터를 수형 커넥터(1)에 접속한다. 암형 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이다.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루어(11)를 삽입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 루어부(10)의 한쌍의 돌기(19)를 손가락으로 잡음으로써, 루어부(10)에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 록부(20)의 볼록부(26)가 루어부(10)의 오목부(16)에 끼워넣어지고, 또한, 록부(20)의 하면(20a)이 루어부(10)의 플랜지(15)의 상면(15a)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루어부(10)를 회전시키면, 록부(20)는, 루어부(1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은, 삽입부(921)의 내주면(922)과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테이퍼면이다. 따라서, 양면은 액밀한 면접촉을 한다.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11a 및 도 11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마찬가지로,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한 상태에서, 튜브(8)를 통하여 경장 영양제를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 후,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한다. 분리는, 수형 커넥터(1)에 대하여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할 때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도, 루어부(10)의 한쌍의 돌기(19)를 손가락으로 잡고, 접속시와는 역방향의 회전 토크를 루어부(10)에 인가할 수 있다. 록부(20)의 볼록부(26)가 루어부(10)의 오목부(16)에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루어부(10)에 대하여 암형 커넥터(920)를 회전시켰을 때,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 지지 않고,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이 선택적으로 느슨해진다.
암형 커넥터(920)가 분리된 후의 수형 커넥터(1)에는 경장 영양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형 커넥터(1)를 청소하기 위해서, 또한, 록부(20)를 루어부(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떼어내진 록부(20)는, 수세 등을 함으로써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튜브(8)에 접속된 상태의 루어부(10)는, 청정한 천으로 경장 영양제를 닦아내거나, 혹은, 용기에 담아논 물 내에서 헹구어,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루어부(10) 및 록부(20)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한 후, 록부(20)를 루어부(10)에 장착한다. 록부(20)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록부(20)를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과 교환해도 된다.
<작용>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21)를 구비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를, 수형 루어(11)가 삽입되는 삽입부(921)와, 제1 암나사(21)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925)를 구비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에 접속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1)는, 수형 루어(11)를 구비한 루어부(10)와, 제1 암나사(21)를 구비한 록부(20)의 2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록부(20)는 루어부(10)에 반복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가 경장 영양제가 부착함으로써 더러워진 경우에는, 루어부(10)와 록부(20)를 분리하여, 각각을 따로 따로 청소할 수 있다. 록부(20)가 떼어내진 루어부(10)는,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이 드러나므로(도 1a 참조), 튜브(8)에 접속된 상태라도, 닦아냄에 의해 청정하게 청소할 수 있다. 나선상 돌기(14)가 불연속 나사이므로, 나선상 돌기(14)의 근방의 청소도 용이하다. 한편, 루어부(10)로부터 떼내어진 록부(20)는, 수세 등이 용이하다. 록부(20)내에는 수형 루어(11)가 존재하지 않고, 또한 양단이 개구하고 있으므로, 암나사(21, 22)의 골짜기에 부착한 경장 영양제는, 브러쉬를 삽입하는 등으로 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록부(20)도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록부(20)에 오염이 강고하게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록부(20)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21)를 구비하면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루어부(10)의 나선상 돌기(14)와 록부(20)의 제2 암나사(22)가 나사 결합한다.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는, 서로 걸어맞춤(나사 결합)함으로써, 중심축(1a) 방향을 따라서 루어부(10)와 록부(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는 중심축(1a) 방향으로 걸어맞춘다.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가 나사 결합했을 때, 루어부(10)와 록부(20)의 중심축(1a) 방향의 접속 강도는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장 영양 요법을 행할 때에, 경장 영양제가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빠져나가거나, 경장 영양제에 인가하는 압력이나 튜브(8)에 작용하는 장력 등에 의해서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일이 없다.
분리 방지 기구가 나사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루어부(10)와 록부(20)를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루어부(10)와 록부(20)의 접속/분리가 용이하다.
루어부(10)의 한쌍의 오목부(16)와 록부(20)의 한쌍의 볼록부(26)가 끼워맞춰진다. 오목부(16)와 볼록부(26)는, 서로 걸어맞춤(끼워맞춤)함으로써, 록부(20)가 루어부(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오목부(16)와 볼록부(26)는 주방향으로 걸어맞춘다. 회전 방지 기구의 록 상태(즉, 오목부(16)와 볼록부(26)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해제하여 록부(20)를 루어부(1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서로 접속된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하기 위해서, 루어부(1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회전 방지 기구가 록부(20)를 루어부(10)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므로,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의 나사 결합은 느슨해지지 않고,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이 선택적으로 느슨해진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가 분해되지 않고,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회전 방지 기구를 록 상태로 하기 위해, 및, 당해 록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회전 토크)은, 볼록부(26) 및 오목부(16)의 치수, 형상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록부(20)의 하면(20a)으로부터의 볼록부(26)의 돌출 높이를 작게 하는, 볼록부(26)의 선단을 둥글게 하는 또는 모따기하는, 오목부(16)의 개구의 단가장자리를 모따기하는, 등에 의해, 상기의 힘(회전 토크)을 작게 할 수 있다.
회전 방지 기구는, 수형 커넥터(1)에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할 때에, 루어부(1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를 강고하게 나사 결합시키는데도 도움이 된다.
수형 커넥터(1)는, 루어부(10)와 록부(20)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기 위해서,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은, 1 부품으로 구성된 수형 커넥터(910)의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과 동등하다.
루어부(10)는 튜브(8)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루어부(10)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 교환하는 것은 비교적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록부(20)는, 루어부(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므로, 그 교환은 비교적 용이하다. 이러한 루어부(10)와 록부(20)의 교환 용이성의 차이를 고려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재로부터 돌출한 부분인 볼록부(26)는 다른 부재에 충돌하여 파손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볼록부(26)와 오목부(16)의 끼워맞춤 및 그 끼워맞춤의 해제를 반복하면, 볼록부(26)의 선단은 마모하기 쉽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상대적으로 파손이나 마모하기 쉬운 볼록부(26)를 록부(20)에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파손이나 마모하기 어려운 오목부(16)를 루어부(10)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26)가 파손이나 마모하여, 회전 방지 기구의 기능이 저하한 경우에는, 록부(2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파손이나 마모가 적은 오목부(16)를 루어부(10)에 형성함으로써, 루어부(10)의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는, 루어부(10)가 설치된 튜브(8)의 교환 빈도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루어부(10)는, 록부(20)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루어부(10)의 파손이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루어부(10)를 더욱 장수명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루어부(10)가 설치된 튜브(8)의 교환 빈도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실시 형태 2)
<구성>
본 실시 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는,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가 구비하고 있던 나선상 돌기(14) 및 제2 암나사(22)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를 설명한다. 이하에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2)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수형 커넥터(2)의 하방으로부터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수형 커넥터(2)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d는, 수형 커넥터(2)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는, 루어부(210)와 록부(220)를 구비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루어부(210)에는, 수형 루어(11)와 플랜지(15)의 사이에, 통형상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213)의 외주면은, 중심축(1a)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대략 일정한 원통면이다. 통형상부(213)의 외주면에는, 실시 형태 1의 통형상부(13)에 설치되어 있던 나선상 돌기(1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원판상의 플랜지(15)에, 한쌍의 오목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6)는, 플랜지(1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이다. 한쌍의 오목부(21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도 3d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록부(220)의 내주면에는, 실시 형태 1의 제1 암나사(21)에 상당하는 암나사(21)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21)의 하측에는, 중심축(1a) 방향에 있어서 내경이 일정한 원통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록부(220)의 하면(20a)에, 한쌍의 볼록부(226)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볼록부(226)의 하면(2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실시 형태 1의 볼록부(26)의 돌출 높이보다 크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록부(220)는 루어부(210)에 대하여 반복 탈착 가능하다. 록부(220)의 루어부(210)에의 장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가 구비하고 있던 나선상 돌기(14) 및 제2 암나사(22)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루어부(210)와 록부(220)를 대향시켜, 수형 루어(11)를 록부(220) 내에 밀어넣는다. 루어부(210)의 통형상부(213)가 록부(220)의 원통면(222)에 끼워넣어지고, 록부(220)의 한쌍의 볼록부(226)가 루어부(210)의 한쌍의 오목부(216)에 끼워넣어진다.
이렇게 하여,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루어부(210)에 록부(220)가 장착된다. 도 4a는, 루어부(210)에 록부(220)가 장착된 수형 커넥터(2)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b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그 단면도이다. 볼록부(226)가 오목부(216)에 끼워넣어져 있다.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21)는, 상술한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910)(도 11a 및 도 11b)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형 커넥터(2)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와 접속할 수 있다.
루어부(210)와 록부(220)의 분리는, 루어부(210) 및 록부(220)를 중심축(1a) 방향을 따라서 분리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끌어당기면 된다. 통형상부(213)와 원통면(222)의 끼워맞춤, 및, 볼록부(226)와 오목부(216)의 끼워맞춤이 각각 해제되어, 루어부(210)와 록부(220)를 도 3a∼도 3d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분리할 수 있다.
루어부(210)와 록부(220)의 탈착은, 몇번이라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2)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과 개략 같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커넥터(2)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를 접속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11a 및 도 11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경장 영양 요법을 행한 후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록부(220)를 루어부(210)로부터 분리하고, 각각을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다. 록부(220)를,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과 교환해도 된다.
<작용>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를, 수형 루어(11)가 삽입되는 삽입부(921)와, 암나사(21)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925)를 구비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에 접속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2)는, 수형 루어(11)를 구비한 루어부(210)와, 암나사(21)를 구비한 록부(220)와의 2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록부(220)는 루어부(210)에 반복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루어부(210)와 록부(220)를 분리하여, 각각을 따로 따로 청소할 수 있다. 록부(220)에 오염이 강고하게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록부(220)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21)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루어부(210)의 통형상부(213)에는 실시 형태 1의 나선상 돌기(1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통형상부(213)의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록부(220)의 내주면에는 실시 형태 1의 제2 암나사(2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록부(220)의 내주면의 청소가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는,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에 설치되어 있던,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나선상 돌기(14) 및 제2 암나사(22)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2)에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한 상태에서, 튜브(8)를 흐르는 경장 영양제의 압력이 상승하거나, 튜브(8)에 장력이 가해지면, 루어부(210)와 록부(220)가 분리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볼록부(226)와 오목부(216)의 끼워맞춤, 및/또는, 통형상부(213)와 원통면(222)의 끼워맞춤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루어부(210)와 록부(220)의 접속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를,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튜브(8)의 내압이 이상 상승한 경우나, 튜브(8)에 비정상으로 큰 장력이 가해진 경우에, 루어부(210)와 록부(220)가 분리하도록, 루어부(210)와 록부(220)의 접속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환자나 간호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오목부(216)와 볼록부(226)는, 서로 걸어맞춤(끼워맞춤)함으로써, 록부(220)가 루어부(2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오목부(216)와 볼록부(226)는 주방향으로 걸어맞춘다. 회전 방지 기구는, 수형 커넥터(2)에 대한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 및 분리를, 루어부(21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루어부(10)와 록부(20)를 접속/분리할 때에, 루어부(10)에 대하여 록부(2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26) 및 오목부(16)는, 루어부(10)에 대하여 록부(20)를 비교적 큰 회전 토크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볼록부(26)와 오목부(16)의 걸어맞춤(끼워맞춤) 및 그 해제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루어부(210)와 록부(220)를 접속/분리할 때에, 루어부(210)에 대하여 록부(220)를 회전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의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226) 및 오목부(216)는, 루어부(210)에 대한 록부(220)의 회전을 보다 강하게 저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루어부(21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를 보다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강고하게 접속된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2에도 적용된다.
(실시 형태 3)
<구성>
본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는,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주로 이하의 2점에서 상이하다. 첫째로, 록부(320)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부(325)를 갖는다. 둘째로,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를 설명한다. 이하에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 그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3)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수형 커넥터(3)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c는, 수형 커넥터(3)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d는, 수형 커넥터(3)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는,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구비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루어부(310)는, 실시 형태 1의 루어부(10)가 구비하고 있던 플랜지(15)(도 1a 및 도 1b 참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기단부(18)의 상면(18a)으로부터 수형 루어(11)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기단부(18)의 외주면은, 수형 루어(11)와 동축의 원통면이다. 기단부(18)의 외경은, 나선상 돌기(14)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다.
기단부(18)의 외주면의 하단 근방의 위치에, 한쌍의 돌기(319)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기(319)는, 실시 형태 1의 돌기(19)와 달리, 주방향에 따른 박판형상을 갖고 있다. 돌기(319)의 상면(319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돌기(319)의 상면(319a)에, 오목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319) 및 한쌍의 오목부(31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수형 루어(11)와 기단부(18)의 사이에 통형상부(313)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통형상부(13)와 달리, 통형상부(313)의 외주면은, 수형 루어(11)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테이퍼면)이다. 통형상부(313)의 외주면에,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나선상 돌기(14)가 돌출해 있다.
록부(320)는, 상하 방향의 양단이 개구한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록부 본체(324)를 구비한다. 록부 본체(324)의 하면(324a)으로부터, 한쌍의 연장부(325)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32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아암형상)의 부재이다. 한쌍의 연장부(325)간의 간격은, 루어부(310)의 기단부(18)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크다. 한쌍의 연장부(325)의 외(外)치수는, 루어부(310)의 한쌍의 돌기(319)의 외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연장부(325)의 하면(325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연장부(325)의 하면(325a)에, 볼록부(326)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한쌍의 연장부(325) 및 한쌍의 볼록부(32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도 5d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록부 본체(324)의 내주면에는, 실시 형태 1의 록부(20)와 동일하게, 위로부터 순서대로 제1 암나사(21) 및 제2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나사(21)와 제2 암나사(22)의 사이에, 직경 소부(小部)(323)가 설치되어 있다. 직경 소부(323)의 내주면은, 제2 암나사(22)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테이퍼면)이다. 직경 소부(323)의 최소 내경은, 제1 암나사(21)의 최소 내경 및 제2 암나사(22)의 최소 내경보다 작다. 직경 소부(323)의 암테이퍼면은, 루어부(310)의 통형상부(313)의 수테이퍼면과, 테이퍼 각도 및 직경에 있어서 일치한다.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도, 록부(320)는 루어부(310)에 대하여 반복 탈착 가능하다. 록부(320)의 루어부(310)에의 장착은, 실시 형태 1과 개략 같고,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도 5a∼도 5d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대향시킨다. 록부(320)에, 수형 루어(11)를 하측으로부터 삽입한다. 한쌍의 연장부(325)간에, 수형 루어(11) 및 기단부(18)가 순서대로 삽입된다. 루어부(310)의 나선상 돌기(14)가 록부(320)의 제2 암나사(22)의 나사산에 충돌한다. 루어부(310)에 대하여 록부(320)를 회전시켜,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를 나사 결합시킨다. 록부(2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수형 루어(11) 및 통형상부(313)가 록부 본체(324) 내에 순서대로 진입한다. 이윽고 연장부(325)의 볼록부(326)가 루어부(310)의 돌기(319)의 상면(319a)에 맞닿아, 이 위를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결국 볼록부(326)가 루어부(310)의 오목부(316)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연장부(325)의 하면(325a)과 돌기(319)의 상면(319a)이 대향한다. 한쌍의 볼록부(326)를 한쌍의 오목부(316)에 끼워넣을 때, 록부(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하여, 작업자는, 손가락끝을 통하여 이를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6a∼도 6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루어부(310)에 록부(320)가 장착된다. 도 6a는, 루어부(310)에 록부(320)가 장착된 수형 커넥터(3)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중심축(1a) 및 연장부(325)를 포함하는 면에 따른 수형 커넥터(3)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다른 면에 따른 수형 커넥터(3)의 단면도이다. 도 6c의 단면은, 도 6b의 단면과 직교한다.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록부(320)의 한쌍의 연장부(325)는, 루어부(310)의 기단부(18)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기단부(18)를 사이에 끼고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25)와 돌기(319)는 상하 방향에 대향하고, 연장부(325)의 노출된 외면은, 돌기(319)의 외면과 대략 연속한 면을 구성하고 있다. 볼록부(326)가 오목부(316)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 6c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통형상부(313)와 직경 소부(323)가, 서로 면접촉하여 끼워넣어져 있다.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21)는, 상술한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910)(도 11a 및 도 11b)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에 접속할 수 있다.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분리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루어부(310)에 대하여 록부(320)를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326)와 오목부(316)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326)가 오목부(316)로부터 탈출한 후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록부(320)를 루어부(310)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도 5a∼도 5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분리할 수 있다.
루어부(310)에 대하여 록부(320)를 장착할 때, 및 떼어낼 때, 한쌍의 돌기(319)를 한쪽 손으로 잡고, 록부 본체(324)를 다른쪽 손으로 잡는다.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탈착은, 몇번이라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3)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과 개략 동일하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커넥터(3)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를 접속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11a 및 도 11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경장 영양 요법을 행한 후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록부(320)를 루어부(310)로부터 분리하여, 각각을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다. 록부(320)를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과 교환해도 좋다.
<작용>
실시 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를, 수형 루어(11)가 삽입되는 삽입부(921)와, 제1 암나사(21)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925)를 구비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에 접속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는, 수형 루어(11)를 구비한 루어부(310)와, 제1 암나사(21)를 구비한 록부(320)의 2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록부(320)는 루어부(310)에 반복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분리하여, 각각을 따로 따로 청소할 수 있다. 록부(320)에 오염이 강고하게 부착하여 있는 경우에는, 록부(320)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21)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루어부(310)의 나선상 돌기(14)와 록부(320)의 제2 암나사(22)는, 서로 걸어맞춤(나사 결합)함으로써, 중심축(1a) 방향을 따라서 루어부(310)와 록부(3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분리 방지 기구가 나사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접속/분리가 용이하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루어부(310)의 한쌍의 오목부(316)와 록부(320)의 한쌍의 볼록부(326)는, 서로 걸어맞춤(끼워맞춤)함으로써, 록부(320)가 루어부(3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회전 방지 기구는,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의 나사 결합이 의도치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6a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루어부(310)에 록부(320)를 장착했을 때, 록부(320)의 한쌍의 연장부(325)가 루어부(310)의 기단부(18)에 대하여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연장부(325)는, 기단부(18)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해 있다. 연장부(325)는, 기단부(18)의 하단 근방에까지 도달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325)의 하단으로부터 기단부(18)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 치수는, 기단부(18)의 상하 방향 치수의 반이상, 나아가 3분의 2 이상, 특히 4분의 3 이상이다. 또한, 연장부(325)의 상하 방향 치수는, 돌기(319)의 상하 방향 치수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의 기단부(18)를 파지하면 한쌍의 연장부(325)도 동시에 파지될 수 있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 참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를 나사 결합시킬 필요가 있고,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암형 커넥터(920)에 대하여 수형 커넥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를,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한쌍의 돌기(319)가 아니라, 한쌍의 연장부(325)에 인가할 수 있다. 한쌍의 연장부(325)와 제1 암나사(21)는, 공통하는 록부(32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연장부(325)에 인가된 회전 토크는, 제1 암나사(21)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예를 들면,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 참조)를 접속한 상태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방치하면, 영양제가 고착하여,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할 때에 양자를 강고하게 비틀면, 그 후,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한쌍의 연장부(325)에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하여,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 형태 1의 커넥터(1)(도 2a 참조)에서는, 회전 토크는 한쌍의 돌기(19)에 인가된다. 한쌍의 돌기(19)는 루어부(10)에 설치되어 있고, 이는, 제1 암나사(21)가 설치된 록부(20)와는 별도 부품이다. 루어부(10)로부터 록부(20)에의 회전 토크의 전달은, 오목부(16)와 볼록부(26)로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 기구를 통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가 강고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경우, 한쌍의 돌기(19)에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하면,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오목부(16)와 볼록부(26)의 걸어맞춤(끼워맞춤)이 해제되어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져 버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이러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목부(16)와 볼록부(26)의 걸어맞춤(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는, 루어부(10)와 록부(2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분리시에 수형 커넥터(3)에 인가되는 회전 토크의 전달 경로에, 오목부(316)와 볼록부(326)로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 기구는 개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때에,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는 일 없이, 제1 암나사(21)와 수나사(925)의 나사 결합을 확실히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오목부(316)와 볼록부(326)로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 기구는, 실시 형태 1의 오목부(16)와 볼록부(26)로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 기구와 달리, 큰 회전 토크를 전달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수형 커넥터(3)는,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루어부(310)의 기단부(18)와 록부(320)의 한쌍의 연장부(325)를 일체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은, 1부품으로 구성된 수형 커넥터(910)의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과 동등하다.
루어부(310)에 록부(320)를 장착했을 때, 연장부(325)와 돌기(319)는 흡사 일체물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한다(도 6a 참조). 따라서, 기단부(18)를 파지했을 때에, 연장부(325) 및 돌기(319)를 동시에 파지했다고 해도,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920)에 대하여 접속 및 분리하는 작업 중에,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루어부(310)에 록부(320)를 장착했을 때, 통형상부(313)와 직경 소부(323)가 서로 끼워맞춰진다. 통형상부(313)의 수테이퍼면과 직경 소부(323)의 암테이퍼면은, 테이퍼 각도 및 직경이 동일하므로, 통형상부(313)와 직경 소부(323)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은, 암형 커넥터(920)(도 12a 및 도 12b)의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에, 액 밀하게 면접촉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920)와 접속한 상태에서는,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과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의 사이를 통과하여 영양제가 빠져나갈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2)를 접속하기 직전에, 영양제가 삽입부(921)의 개구단까지 충만해 있는 경우, 삽입부(921)에 수형 루어(11)를 삽입하면, 영양제가 삽입부(921)로부터 빠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통형상부(313)와 직경 소부(323)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므로, 빠져나온 영양제는, 나선상 돌기(14) 및 제2 암나사(22)의 측으로 흐르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영양제가, 록부 본체(324)의 하면(324a)을 따라서 수형 커넥터(3) 외로 빠져나가, 환자의 몸이나 의복을 더럽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튜브(8)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교환 용이성이 뒤떨어지는 루어부(310)(특히, 청소가 비교적 곤란한 나선상 돌기(14))에의 영양제의 부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사이에 빠져나간 영양제가 고착하여,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분리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돌기(19)에 비하여, 본 실시 형태 3의 돌기(319)는 작다. 이는, 예를 들면 환자가 잘못하여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분해하여 버리는 등의 오조작을 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수형 커넥터(3)를 청소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이 약간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한쌍의 돌기(319)에 걸어맞추는 지그를 이용하여, 이 작업성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그러한 지그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7a는, 지그(350)를 이용하여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접속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지그(350)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파지판(351)이 연결부(358)로 연결된, 상방으로부터 보면 대략 「U」자형상을 갖고 있다. 한쌍의 파지판(351)의 상면의 외측 부분(대향하는 파지판(351)으로부터 먼 부분)으로부터 규제부(352)가 상방을 향해 돌출해 있다. 규제부(352)보다 내측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은 유지부(353)이다.
한쌍의 파지판(351)의 유지부(353)보다 하측의 서로 대향하는 면(351b), 및, 한쌍의 규제부(35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제1 오목부(351a) 및 제2 오목부(3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면(351b)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351a)는 공통되는 원통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규제부(352)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2 오목부(352a)도 공통되는 원통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오목부(351a)의 원통면과 제2 오목부(352a)의 원통면은, 동축이다.
이상과 같은 지그(350)를 이용하여 루어부(310)와 록부(320)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지그(350)의 개방측(연결부(358)와는 반대측)을 튜브(8)에 대향시킨다.
다음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한쌍의 파지판(351)간에 튜브(8)를 삽입한다. 튜브(8)의 외경은, 파지판(351)의 서로 대향하는 면(351b)간의 간격보다 크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351a)(도 7a 참조)가 구성하는 원통면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다. 따라서, 튜브(8)는, 서로 대향하는 면(351b)간을 통과할 때는 축경하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튜브(8)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351a) 사이에 끼워넣어지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튜브(8)를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351a)간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지그(350)를 상승시킨다. 기단부(18)의 외경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351a)가 구성하는 원통면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2 오목부(352a)가 구성하는 원통면의 직경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단부(18)는 서로 대향하는 제2 오목부(352a) 사이에 끼워넣고, 기단부(18)의 하단은 유지부(353)에 맞닿는다. 기단부(18)로부터 돌출한 한쌍의 돌기(319)는 한쌍의 규제부(352)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돌기(319)의 상면(319a)은, 규제부(352)의 상단과 같거나 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루어부(310)는, 지그(35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또한, 지그(35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록부(320)를 루어부(310)에 씌워,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록부(320)와 루어부(310)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록부(320)를 루어부(310)에 장착한다.
루어부(310)와 록부(320)의 분리는, 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장착 및 분리가 각각 종료하면, 지그(350)는 튜브(8)로부터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지그(350)는, 루어부(310)의 상하 방향의 이동 및 회전을 규제한다. 따라서, 지그(350)를 통하여 루어부(310)를 낙하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지그(350)를 통하여 루어(31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그(350)의 한쌍의 파지판(351)을 통하여 루어부(310)를 유지함으로써, 루어부(310)에 대한 록부(320)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쌍의 파지판(351)의 서로 대향하는 면(351b)간의 간격은, 튜브(8)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일단 튜브(8)를 제1 오목부(351a)간에 삽입해 버리면(도 7b 참조), 그 후, 지그(350)로부터 손을 떼도, 지그(350)가 튜브(8)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지그(350)의 형상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쌍의 파지판(351)의 각각의 상면에, 각 돌기(319)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한쌍의 돌기(319)가 한쌍의 파지판(351)에 각각 끼워맞춰짐으로써, 루어부(310)의 낙하 및 회전이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3에도 적용된다.
(실시 형태 4)
본 실시 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하여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와 다르다.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를 설명한다. 이하에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4)의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수형 커넥터(4)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c는, 수형 커넥터(4)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8d는, 수형 커넥터(4)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는, 루어부(410)와 록부(420)를 구비한다.
도 8a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루어부(410)는, 돌기(319)의 상면(319a)에 오목부(316)(도 5a 참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관형상부(313)와 기단부(18)의 외경차에 기인하여 형성된 기단부(18)의 상면(18a)에, 한쌍의 오목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오목부(41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록부(410)는, 연장부(325)의 하면(325a)에 볼록부(326)(도 5b 참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록부 본체(324)의 하면(324a)에, 한쌍의 볼록부(426)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볼록부(426)는, 중심축(1a)에 대하여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상기를 제외하고, 루어부(410) 및 록부(420)는, 실시 형태 3의 루어부(310) 및 록부(320)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도, 록부(420)는 루어부(410)에 대하여 반복 탈착가능하다. 록부(420)의 루어부(410)에의 장착은, 실시 형태 3과 대략 동일하다. 록부(420)에, 수형 루어(11)를 하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루어부(410)에 대하여 록부(420)를 회전시켜,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를 나사 결합시킨다. 록부(420)의 볼록부(426)가 루어부(410)의 오목부(416)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연장부(325)의 하면(325a)과 돌기(319)의 상면(319a)이 대향한다. 한쌍의 볼록부(426)가 한쌍의 오목부(416)에 끼워넣어질 때, 록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하고, 작업자는, 손가락끝을 통해서 이를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9a∼도 9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루어부(410)에 록부(420)가 장착된다. 도 9a는, 루어부(410)에 록부(420)가 장착된 수형 커넥터(4)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수형 커넥터(4)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c는 중심축(1a) 및 연장부(325)를 포함하는 면에 따른 수형 커넥터(4)의 단면도이다. 도 9d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별도의 면에 따른 수형 커넥터(4)의 단면도이다. 도 9d의 단면은, 도 9c의 단면과 직교한다.
도 9b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록부(420)의 한쌍의 연장부(325)는, 루어부(410)의 기단부(18)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기단부(18)를 사이에 끼고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325)와 돌기(319)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연장부(325)의 노출된 외면은, 돌기(319)의 외면과 대략 연속한 면을 구성하고 있다. 볼록부(426)가 오목부(416)에 끼워넣어져 있다.
루어부(410)와 록부(420)의 분리는, 실시 형태 3과 동일하게, 루어부(410)에 대하여 록부(420)를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426)와 오목부(416)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426)가 오목부(416)로부터 탈출한 후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록부(420)를 루어부(410)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루어부(410)와 록부(420)의 탈착은, 몇번이라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은, 실시 형태 3의 수형 커넥터(3)의 사용 방법 및 작용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지그(350)(도 7a∼도 7d 참조)를, 수형 커넥터(4)의 조립 및 분해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볼록부(426)가 록부 본체(324)의 하면(324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장부(325)의 하면(325a)에 볼록부(326)가 형성된 실시 형태 3(도 5b 참조)에 비하여, 다른 부재와의 충돌 등에 의해 볼록부가 파손하거나 마모할 가능성이 낮다.
본 실시 형태 4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3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4에도 적용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 1∼4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 1∼4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4의 수형 커넥터(3, 4)에서는, 통형상부(313)와 직경 소부(323)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었다. 동일한 시일을 실시 형태 1, 2의 수형 커넥터(1, 2)에 설치해도 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예를 들면, 루어부(10)의 통형상부(13) 및 록부(20)의 제1 암나사(21)와 제2 암나사(22)의 사이의 직경 소부(23)(도 1d 참조)에, 실시 형태 3, 4의 통형상부(313) 및 직경 소부(323)와 동일한, 서로 끼워맞추는 수테이퍼면 및 암테이퍼면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예를 들면, 루어부(210)의 통형상부(213) 및 록부(220)의 원통면(222)에, 실시 형태 3, 4의 통형상부(313) 및 직경 소부(323)와 동일한, 서로 끼워맞추는 수테이퍼면 및 암테이퍼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4에서는, 시일은, 서로 끼워맞추는 수테이퍼면과 암테이퍼면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끼워맞추는 2개의 원통면에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루어부 및 록부의 어느 한쪽에 O링을 장착하고, 당해 O링을 다른쪽에 밀착시킴으로써, 액밀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는 위치는, 수형 루어(11)보다도 하측(튜브(8)측)의 위치이면, 상기의 실시 형태 3, 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나선상 돌기(14) 및 제2 암나사(22)보다 하측에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시일은, 루어부와 록부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루어부와 록부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루어부와 록부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루어부(10, 210, 310, 410)에 대하여 록부(20, 220, 320, 420)를 탈착할 때에, 록부(20, 220, 320, 420)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도록, 록부(20, 220, 320, 420)에도 돌기가 설치되어도 된다. 돌기의 형상은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루어부(10, 210)에 설치된 돌기(19)와 유사한 박판상의 한쌍의 돌기를, 록부(20, 220, 320, 420)의 외주면에,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서 설치할 수 있다.
혹은, 록부(20, 220, 320, 420)에, 지그가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볼록) 또는 오목한 부분(오목)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3, 4의 록부(20, 320, 420)의 상면(하면(20a, 324a)과는 반대측의 면)에 복수의 돌기 또는 복수의 오목한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록부(20, 320, 4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상의 지그의 편면에, 당해 복수의 돌기 또는 복수의 오목한 부분과 끼워맞추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설치한다. 루어부(10, 310, 410)에 대하여 록부(20, 320, 420)를 탈착할 때에, 록부(20, 320, 420)에 당해 지그를 장착하고, 지그를 통하여 록부(20, 320, 42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록부(20, 320, 420)의 탈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루어부(10, 210, 310, 410)에 설치한 돌기(19, 319)의 형상이나 수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 돌기(19)를 생략해도 되고,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돌기(319)를 생략해도 된다.
실시 형태 1, 3, 4의 수형 커넥터(1, 3, 4)에 있어서, 루어부(10)의 나선상 돌기(14)는, 나사산이 주방향으로 분단된 불연속 나사가 아니라, 나사산이 주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나사(즉, 일반적인 수나사)여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26, 226, 326, 426) 및 오목부(16, 216, 316, 416)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볼록부가 루어부에 형성되고, 오목부가 록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26, 226, 326, 426) 및 오목부(16, 216, 316, 416)의 형상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26, 226, 326, 426) 및 오목부(16, 216, 316, 416)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본 형상은, 모두 사각형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것과같은 볼록부(826) 및 오목부(816)여도 된다. 볼록부(826)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꼭대기면(가장 돌출된 면)(826a)과, 꼭대기면(826a)에 대하여 주방향의 한쪽의 측에 인접하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826b)과, 꼭대기면(826a)에 대하여 주방향의 다른쪽의 측에 인접하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수직면(826c)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816)는, 볼록부(826)의 꼭대기면(826a), 경사면(826b), 수직면(826c)에 각각 대응하는 저면(816a), 경사면(816b), 수직면(816c)을 구비하고 있다. 화살표 A는, 볼록부(826)가 설치된 록부(820)를, 오목부(816)가 설치된 루어부(810)에 장착할 때의, 록부(820)의 루어부(810)에 대한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볼록부(826)는, 화살표 A의 전측에 경사면(826b)을 구비하므로, 볼록부(826)와 오목부(816)를 걸어맞춤(끼워맞춤)시키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볼록부(826) 및 오목부(816)가 실시 형태 3의 연장부(325)의 하면(325a) 및 돌기(319)의 상면(319a)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돌기(319)의 엣지(도 10a의 엣지(810e))에 볼록부(826)의 경사면(826b)이 충돌해도, 볼록부(826)는 엣지(810e)를 용이하게 넘을 수 있다.
도 10b는, 록부(820)가 루어부(810)에 장착되고, 볼록부(826)와 오목부(816)가 걸어맞춰진(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볼록부(826)의 꼭대기면(826a), 경사면(826b), 수직면(826c)이, 오목부(816)의 저면(816a), 경사면(816b), 수직면(816c)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수직면(826c)과 수직면(816c)은, 주방향으로 대향하므로, 볼록부(826)와 오목부(816)의 걸어맞춤(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회전 방지 기구를, 이러한 주방향으로 비대칭성을 갖는 볼록부(826) 및 오목부(816)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은 비교적 용이하고, 분해는 비교적 곤란한 수형 커넥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루어부와 록부가 분리되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있어서, 볼록부(826) 및 오목부(816)를 구성하는 각 면은,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이어도 된다. 볼록부(826) 및 오목부(816)가, 꼭대기면(826a) 및 저면(816a)을 생략하고, 경사면(826b)과 수직면(826c)이 인접하는 삼각형상의 볼록부, 및, 경사면(816b)과 수직면(816c)이 인접하는 삼각형상의 오목부여도 된다. 수직면(826c, 816c)을,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변경해도 된다.
주방향으로 걸어맞추는 회전 방지 기구의 구성은, 볼록부(26, 326, 426)와 오목부(16, 316, 416)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대향하는 2면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한쪽의 볼록부가 다른쪽의 볼록부를 넘음으로써, 2개의 볼록부가 걸어맞춰지고, 회전 방지 기구가 록 상태로 된다. 2개의 볼록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본 형상은, 볼록부(26, 326, 426)와 동일하게, 사각형이어도 되고, 도 10a에 나타낸 볼록부(826)와 마찬가지로, 걸어맞출 때의 상대적 이동 방향의 전측에 경사면을 갖고, 후측에 수직면을 갖는, 주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이어도 된다.
분리 방지 기구는, 나선상 돌기(14)와 제2 암나사(22)로 구성된 나사 결합 구조 이외의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구조(예를 들면 볼록부와 볼록부, 볼록부와 오목부 등)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4에 있어서, 록부에 설치되는 연장부(325)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2이상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연장부(325)는 중심축(1a)에 대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암형 커넥터(920)와의 접속 및 분리의 작업성이나, 록부(특히 암나사(21, 22))의 청소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2개가 바람직하다. 연장부(325)의 수에 따라, 돌기(319)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혹은, 연장부가 기단부(18)의 외주면을 주방향으로 덮는 통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루어부에 록부를 장착하면, 통형상의 연장부보다 하측에서 돌기(319)가 노출된다. 연장부의 외주면에, 루어부에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도록, 돌기(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2의 돌기(19)와 유사한 돌기)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외,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또는 그 변경한 구성을, 다른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1∼4에서는,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가 체외에 길게 도출된, 이른바 「튜브형」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수형 커넥터(1∼4)를 부착했다. 단,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카테터가 환자의 체외에 실질적으로 도출되지 않는, 이른바 「버튼형」PEG 카테터에 접속되는 튜브의 상류단에도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경비 카테터의 상류단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경장 영양제가 흐르는 임의의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다. 당해 튜브는, PEG 카테터나 경비 카테터와 같이 환자에게 유치되는 카테터여도 되고, 이들 카테터에 접속되는 튜브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환자에게 유치되는 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3, 4 : 수형 커넥터 8 : 튜브
10, 210, 310, 410 : 루어부 11 : 수형 루어
14 : 나선상 돌기(나사 결합 구조)
16, 216, 316, 416, 816 : 오목부(회전 방지 기구)
17 : 유로 18 : 기단부
19, 319 : 돌기 20, 220, 320, 420 : 록부
21 : 암나사(제1 암나사) 22 : 제2 암나사(나사 결합 구조)
26, 226, 326, 426, 826 : 볼록부(회전 방지 기구)
313 : 통형상부(시일을 형성하는 수테이퍼면)
323 : 직경 소부(시일을 형성하는 암테이퍼면)
325 : 연장부 350 : 지그
816b, 826b : 경사면 816c, 826c : 수직면
920 : 암형 커넥터 921 : 삽입부
925 : 수나사

Claims (14)

  1.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상기 튜브에 접속된 루어부와, 상기 루어부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된 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루어부는, 상기 튜브와 연통한 유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수형 루어를 구비하고,
    상기 록부는, 양단이 개구한 중공 통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 상기 수형 루어에 대향하는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루어는 상기 록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록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록부에, 서로 상대방에 걸어맞추는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는, 상기 록부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록부에 설치된 볼록부와, 상기 루어부에 설치된, 상기 볼록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록부 및 상기 루어부의 한쪽에 형성된 볼록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주방향의 한쪽의 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다른쪽의 측에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상기 볼록부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수직면에 각각 대향하는 경사면 및 수직면을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루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고,
    서로 접속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루어부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서로 역방향에 회전시켰을 때, 상기 록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루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루어부와 상기 록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록부에, 서로 상대방에 걸어맞추는 분리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 기구가, 나사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는, 상기 수형 루어가 설치된 기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부는, 상기 기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상기 수형 커넥터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루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는,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수형 커넥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루어보다도 상기 튜브측의 위치에, 상기 루어부와 상기 록부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액밀한 시일은, 상기 루어부에 형성된 수테이퍼면과,
    상기 록부에 형성된 암테이퍼면이 서로 끼워맞춰짐으로써 형성되는, 수형 커넥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루어 및 상기 암나사는, ISO80369-3에 준거하는, 수형 커넥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록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루어부에 대한 상기 록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을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에 걸어맞추도록 구성된 지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를 통하여 상기 루어부 또는 상기 록부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KR1020167015763A 2013-12-11 2014-12-09 수형 커넥터 KR102315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6269 2013-12-11
JP2013256269 2013-12-11
PCT/JP2014/082565 WO2015087880A1 (ja) 2013-12-11 2014-12-09 オス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245A true KR20160098245A (ko) 2016-08-18
KR102315223B1 KR102315223B1 (ko) 2021-10-20

Family

ID=5337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763A KR102315223B1 (ko) 2013-12-11 2014-12-09 수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4145B2 (ko)
EP (1) EP3081254B1 (ko)
JP (1) JP6578949B2 (ko)
KR (1) KR102315223B1 (ko)
CN (1) CN105979999B (ko)
WO (1) WO20150878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4730A (zh) * 2019-03-08 2021-07-23 泰尔茂株式会社 医疗器械
KR20230018806A (ko) 2021-07-30 2023-02-07 이건형 압력상쇄 기능과 미세분말 포집 및, 전량추출 기능을 구비한 니들형 스파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2463A1 (en) * 2015-07-14 2018-05-23 Neomed, Inc.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US10682287B2 (en) * 2015-07-14 2020-06-16 Neomed, Inc.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and enteral couplings and syringes
WO2017066846A1 (en) * 2015-10-23 2017-04-27 Chris Whelan Thread-locking luer
US11504517B2 (en) 2015-12-11 2022-11-22 Nxstage Medical, Inc. Fluid line connector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0170189273A1 (en) * 2015-12-31 2017-07-06 Ping-I Hsu Truncated feeding tube
KR20180102161A (ko) * 2016-01-18 2018-09-14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Iv 무니들 커넥터를 위한 소독 캡
JP2017209149A (ja) * 2016-05-23 2017-11-30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
JP6878788B2 (ja) * 2016-08-24 2021-06-0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オスコネクタ用カバー
WO2018086687A1 (en) * 2016-11-10 2018-05-17 N.V. Nutricia Enteral feeding adapter
CN109289097A (zh) * 2017-07-24 2019-02-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注射泵与药盒的连接装置及注射装置
US10857397B2 (en) * 2017-07-26 2020-1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ayonet hose connector assembly mechanism in powered air purifying air respirator housing
US11844859B2 (en) 2017-08-20 2023-12-19 Nasus Pharma Ltd. Dry powder compositions for intranasal delivery
AU2018319592B2 (en) 2017-08-20 2024-06-27 Nasus Pharma Ltd. Dry powder compositions for intranasal delivery
CN110142725B (zh) * 2018-02-12 2023-03-14 株式会社小仓 液压工作装置
CN109224285B (zh) * 2018-07-12 2021-03-05 合肥市第二人民医院 一种负压引流管连接装置
WO2020070983A1 (ja) * 2018-10-04 2020-04-09 光陽産業株式会社 医療用接続構造
WO2020251894A1 (en) 2019-06-09 2020-12-17 Merit Medical Systems, Inc. Fluid delivery adapter for vascular compress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20255278A1 (ja) * 2019-06-19 2020-12-24 清明 本間 内視鏡用処置具
US11674614B2 (en) 2020-10-09 2023-06-13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CN113144377A (zh) * 2021-04-22 2021-07-23 深圳麦普奇医疗科技有限公司 远端通路导引导管
WO2024042254A1 (es) * 2022-08-26 2024-02-29 Alibaz Research & Development, S.L. Conector giratorio para vías intravenos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971A1 (en) * 2005-01-14 2006-07-20 Baldwin Brian E Swabable fluid connectors and fluid connector pairs
WO2008152871A1 (ja) 2007-06-08 2008-12-18 Jms Co., Ltd.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US20100059985A1 (en) * 2008-09-08 2010-03-1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anitary coupling assembly
US20120192968A1 (en) * 2009-09-04 2012-08-02 Olivier Bonnal Selectively sealable male needleless connector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019A (en) * 1979-06-04 1987-01-2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Luer connection
US5047021A (en) * 1989-08-29 1991-09-10 Utterberg David S Male luer lock medical fitting
US5395348A (en) * 1993-05-04 1995-03-07 Symbiosis Corporation Medical intravenous administration line connectors
DE4318101A1 (de) * 1993-06-01 1994-12-08 Sterimed Gmbh Schlauchkupplung
US5702374A (en) 1995-11-14 1997-12-30 Abbott Laboratories Male luer connector assembly
ITTO20020276A1 (it) * 2002-03-27 2003-09-29 Borla Ind ,,connettore luer lock maschio per linee di fluido medicali,,
CN2579415Y (zh) * 2002-11-13 2003-10-15 王伟成 安全药瓶盖
JP4253763B2 (ja) * 2003-06-13 2009-04-15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ロックリングの緩み防止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具
US20050251102A1 (en) * 2003-09-26 2005-11-10 Michael Hegland Catheter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8005974A (ja) * 2006-06-28 2008-01-1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ルアー固定フィッティング接続構造
JP4971728B2 (ja) * 2006-08-31 2012-07-11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ーの接続構造
US20080140055A1 (en) * 2006-12-08 2008-06-12 Utah Medical Products, Inc. Lockable enteral feeding adapter
JP4959350B2 (ja) 2007-01-19 2012-06-20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雄ルアーコネクター
JP4999604B2 (ja) 2007-08-23 2012-08-15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ーの接続構造
JP5812314B2 (ja) * 2010-10-12 2015-11-1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オスコネクタ及び医療用接続具
WO2012139949A1 (de) * 2011-04-12 2012-10-18 Raumedic Ag Luer-konnektor sowie konnektor-set zur einmalig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971A1 (en) * 2005-01-14 2006-07-20 Baldwin Brian E Swabable fluid connectors and fluid connector pairs
WO2008152871A1 (ja) 2007-06-08 2008-12-18 Jms Co., Ltd.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US20100059985A1 (en) * 2008-09-08 2010-03-1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anitary coupling assembly
US20120192968A1 (en) * 2009-09-04 2012-08-02 Olivier Bonnal Selectively sealable male needleless connectors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4730A (zh) * 2019-03-08 2021-07-23 泰尔茂株式会社 医疗器械
EP3919113A4 (en) * 2019-03-08 2022-04-06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INSTRUMENT
KR20230018806A (ko) 2021-07-30 2023-02-07 이건형 압력상쇄 기능과 미세분말 포집 및, 전량추출 기능을 구비한 니들형 스파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64145B2 (en) 2020-12-15
KR102315223B1 (ko) 2021-10-20
JP6578949B2 (ja) 2019-09-25
JPWO2015087880A1 (ja) 2017-03-16
EP3081254B1 (en) 2021-01-27
CN105979999A (zh) 2016-09-28
EP3081254A1 (en) 2016-10-19
WO2015087880A1 (ja) 2015-06-18
EP3081254A4 (en) 2017-08-16
CN105979999B (zh) 2021-03-12
US20160354288A1 (en)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8245A (ko) 수형 커넥터
KR102315224B1 (ko) 수형 커넥터
JP2022028926A (ja) 医療用採液注入器
KR20160049548A (ko) 더블 수 커넥터
WO2015146831A1 (ja) 洗浄用アダプタ
WO2017141858A1 (ja) アダプタ
KR102349983B1 (ko)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JP6237402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6268877B2 (ja) 医療用接続具
JP7388146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7077016B2 (ja) キャップ
JP6237403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6677912B2 (ja) オスコネクタ
JP6801800B2 (ja) オスコネクタ
JP2018027177A (ja) オスコネクタ分解用工具及びオスコネクタ
JP2022015099A (ja) 経腸栄養用オス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